KR200466020Y1 - 수직벽 녹화용 포트지지틀 - Google Patents

수직벽 녹화용 포트지지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020Y1
KR200466020Y1 KR2020100011806U KR20100011806U KR200466020Y1 KR 200466020 Y1 KR200466020 Y1 KR 200466020Y1 KR 2020100011806 U KR2020100011806 U KR 2020100011806U KR 20100011806 U KR20100011806 U KR 20100011806U KR 200466020 Y1 KR200466020 Y1 KR 2004660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wall
support frame
seating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635U (ko
Inventor
박철홍
김재홍
김상민
Original Assignee
그린인프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인프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인프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1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020Y1/ko
Priority to US13/884,409 priority patent/US20130227884A1/en
Priority to CN201180054778.5A priority patent/CN103209581B/zh
Priority to EP11841987.8A priority patent/EP2641465A2/en
Priority to JP2013539740A priority patent/JP2013544096A/ja
Priority to PCT/KR2011/008057 priority patent/WO2012067356A2/ko
Publication of KR201200036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6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0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0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직벽 녹화용 포트지지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포트지지틀의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틀몸체(10)는 바닥판(12)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벽(14)이 형성되고,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하측벽(16)이 형성되며, 양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단부벽(18)이 형성된다. 상기 상측벽(14)과 나란히 수평구획벽(20)이 형성되어 물관통과부(22)를 형성하고, 상기 단부벽(18)과 나란히 다수개의 수직구획벽(28)을 형성하여 다수개의 포트안착부(30)를 형성한다. 상기 포트안착부(30)에는 각각 포트(40)가 안착된다. 상기 포트(40)는 상기 포트안착부(30)에 형성된 안착대(32)에 설치되므로 바닥판(12)과 포트(40)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된다. 상기 포트(40)의 중간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바닥판(12)에는 틈새리브(34)가 형성된다. 상기 틈새리브(34)는 상기 포트(40)의 중간부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수평구획벽(20)에는 관수개구부(20')가 형성되어 관을 통해 전달된 물이 포트(40)로 전달되게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수직벽 녹화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포트(40)와 바닥판(12)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물이 통과할 수 있게 되어 포트(40)에 있는 식물의 생육이 보다 잘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수직벽 녹화용 포트지지틀{Port receiving frame for afforestation of vertical wall}
본 고안은 수직벽 녹화용 포트지지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벽의 녹화를 위한 포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수직벽에 미리 설치되는 수직벽 녹화용 포트지지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수직벽에도 녹화를 하여 친환경적으로 수직벽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수직벽의 예로는 절토 또는 성토에 의해 발생하는 사면을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만든 수직벽, 대형 건물의 벽면 등이 있다.
사면을 녹화하기 위한 공법으로 다양한 것이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9883호의 사면녹화 보강토공법이 있는데, 이는 절토나 성토지의 사면을 녹화함에 있어서, 형틀을 사용하여 성토층을 형성하고, 성토층의 형성 후에 형틀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식생토층을 형틀과 성토층의 선단 사이에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은 상기 식생토층의 표면이 지표면을 기준으로 상부방향으로만 향하게 되어 있어, 식생토층에 자라는 식물이 지표면에 대해 상방으로 자라게 된다. 따라서, 사람들이 지표면에서 사면을 볼 때, 사면에서 자라는 식물뿐만아니라 상기 형틀의 일면도 많이 보이게 되어 녹화의 정도가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방식의 경우, 식생토층이 지표면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향하도록 보이게 되므로 예각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에만 채용할 수 있고, 수직벽으로 되는 부분에는 녹화공법을 채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직벽의 녹화를 위한 식생토가 내부에 구비되는 포트를 수직벽에 보다 쉽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포트지지틀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바닥판의 상단 가장자리와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벽과 하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의 양단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상측벽과 하측벽에 각각 단부가 연결되는 단부벽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지지틀몸체와, 상기 지지틀몸체의 바닥판에 연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직구획벽에 의해 구획되어 포트가 고정되어 안착되는 포트안착부와, 상기 포트안착부의 바닥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포트의 모서리를 지지하여 상기 포트안착부의 바닥면과 포트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는 안착대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안착부에는 상기 포트의 중간부에 해당되는 위치를 따라 상기 안착대에 요입되게 형성된 안착면의 높이와 같도록 틈새리브가 형성되는데, 상기 틈새리브에는 리브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벽에는 하부개구부가 형성되어 물이 유동되게 한다.
삭제
삭제
상기 상측벽과 나란히 연장되게 수평구획벽이 상기 바닥판에 형성되어 상기 포트안착부의 상부에 물관이 위치되는 물관통과부를 형성한다.
상기 수평구획벽에는 관수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물관통과부를 통과하는 관에서 전달된 물이 상기 포트안착부의 포트로 전달되게 한다.
상기 물관통과부의 양단에 해당되는 상기 단부벽에는 관용개구부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포트지지틀 사이에서 관이 연장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수직벽 녹화용 포트지지틀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포트지지틀은 그 내부에 다수개의 포트를 고정하여 수직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직벽에 설치된 장착레일을 따라 다수개가 차례로 설치되어 수직벽에 포트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포트지지틀 내부의 포트를 부분적으로 교체하거나, 포트지지틀을 교체함에 의해 전체 수직벽에서 필요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수직벽의 녹화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보수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포트지지틀은 내부에 다수개의 연직칸막이를 두어 포트사이를 구획하므로 방근과 방수작용이 있어 포트 사이에서 식물의 뿌리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식물 사이의 경합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녹화가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포트지지틀은 건물의 수직벽에 설치되어 포트와 수직벽 사이의 상호작용이 없도록 하므로 수직벽이 형성된 건물이나 구조체에는 포트의 식물 또는 포트의 수분이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건물이나 구조체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포트지지틀에는 포트고정돌기가 있어 나사를 사용하여 장식품 등의 고정이 가능하고, 또 물관통과부에 형성된 공간을 사용하여 다양한 장식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포트지지틀의 내면에는 포트와 포트지지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배수성 및 단열효과를 충분히 높였으므로, 포트의 식물이 보다 잘 생육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직벽이 건물의 벽면인 경우에는 본 고안의 포트지지틀이 건물외부에서 일종의 단열재 역할을 하게 되어 건물의 단열효과를 높이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심의 건물의 벽면에 포트지지틀을 사용하여 녹화를 하게 되면, 도심지의 열섬효과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포트지지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물관통과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인 상세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수직구획벽과 체결공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포트안착부의 구성을 보인 상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의 포트지지틀에 포트가 안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수직벽 녹화용 포트지지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 실시예의 포트지지틀은 몸체를 지지틀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지지틀몸체(10)는 합성수지재질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벌크몰딩 컴파운드(Bulk Molding Compound)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재질은 고강도이면서 내구성 및 내충격성이 매우 우수하며 다양한 색상 연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벌크몰딩 컴파운드는 열전도율이 낮아 단열효과가 우수하여 온도에 의한 식물에의 영향이 없게 되는 특징도 있다.
상기 지지틀몸체(10)는 바닥판(12)이 판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12)은 수직벽의 전면에 그 배면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틀몸체(10)는 상기 수직벽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예를 들면 단면이 'H'자인 형강과 같은 장착레일(도시되지 않음)에 양단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장착레일이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틀몸체(10)의 양단이 장착레일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되고, 한쌍의 장착레일에 다수개의 지지틀몸체(10)가 차례로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바닥판(1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지지틀몸체(10)의 상단에는 상측벽(14)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틀몸체(10)의 하단에는 하측벽(1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측벽(16)에는 하부개구부(16')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하부개구부(16')는 아래에서 설명될 각각의 포트안착부(30)에 하나씩 형성된다. 하지만, 반드시 포트안착부(30) 하나에 하나의 하부개구부(16')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이 형성되면 된다.
상기 상측벽(14)과 하측벽(16)을 연결하게 상기 바닥판(12)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단부벽(18)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단부벽(18)과 상측벽(14) 및 하측벽(16)이 서로 연결되는 모서리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지지틀몸체(10)의 모서리가 곡면으로 되면 장착레일의 내부로 삽입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기 상측벽(14), 하측벽(16) 및 양측의 단부벽(18)에 의해 상기 지지틀몸체(1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틀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기 상측벽(14)에 인접하여 나란히 구비되는 수평구획벽(20)에 의해 물관통과부(22)가 구획되어 형성된다. 상기 물관통과부(22)는 상기 상측벽(14)과 수평구획벽(20)에 의해 상기 지지틀몸체(10)의 상단에 구획되어 형성된다. 상기 물관통과부(22)는 또한 다수개의 관지지리브(24)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관지지리브(24)는 상기 물관통과부(22)에 설치되는 관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관지지리브(24)의 상단에는 관안착홈(26)이 대략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틀몸체(10)에는 상기 단부벽(18)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수직구획벽(28)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직구획벽(28)과 상기 수평구획벽(20)은 그 높이가 상기 상측벽(14), 하측벽(16) 및 단부벽(18)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된다. 물론, 상기 상측벽(14), 하측벽(16) 및 단부벽(18)은 동일한 높이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구획벽(28)은 총 4개가 형성되는데, 상기 수직구획벽(28)과 단부벽(18), 하측벽(16) 및 상기 수평구획벽(20)에 의해 총 5개의 포트안착부(30)가 형성된다. 상기 포트안착부(30)에는 본 실시예에서 각각 2개씩의 포트(40)가 안착된다.
상기 포트안착부(30)는 상기 포트(40)의 크기에 맞도록 그 치수가 설계되는데, 상기 포트안착부(30)에는 다수개의 안착대(3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착대(32)는 상기 바닥판(12)에서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 포트(40)의 네 모서리에 해당되는 부분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포트안착부(30)에 두개의 포트(40)가 안착되므로, 총 8개의 안착대(32)가 형성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인접한 안착대(32)를 일체로 하여 총 6개의 안착대(32)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대(32)에는 각각 포트(40)의 모서리가 안착되는 안착면(33)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면(33)은 상기 포트안착부(30)의 중앙측을 향하는 각각의 안착대(32)의 두 변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포트(40)는 실제로 상기 안착면(33)의 높이만큼 상기 바닥판(12)과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안착면(33)은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안착면(33)이 요입되게 형성되면, 포트(40)가 안착면(33)에 안착되면서 그 설치 위치가 유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포트안착부(30)에는 또한 각각의 포트(40)의 중간부분에 대응되게 틈새리브(3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틈새리브(34)는 상기 포트(40)의 크기가 크지 않다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상기 틈새리브(34)는 상기 포트(40)의 배부름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주어 상기 포트(40)와 바닥판(12)의 사이에 틈새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틈새리브(34)는 상기 바닥판(12)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그 높이는 상기 안착대(32)의 안착면(33)의 높이와 같다. 상기 틈새리브(34)의 양단부는 각각 단부벽(18)과 수직구획벽(28), 각각 수직구획벽(28)에 연결된다.
상기 틈새리브(34)에는 또한 리브개구부(34')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개구부(34')는 장마철 등에 과다급수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포트안착부(30) 내부를 통한 배수가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리브개구부(34')는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틈새리브(34)에 두 군데씩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이 형성되면 된다.
상기 수직구획벽(28)에는 체결보스(36)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보스(36)는 상기 수직구획벽(28)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구획벽(28)의 양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 중심이 상기 수직구획벽(28)의 중심에 있도록 된다. 상기 체결보스(36)에는 체결공(37)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37)은 상기 포트(40)를 상기 체결보스(36)에 체결하기 위한 나사(42)가 체결되는 부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수직벽 녹화용 포트지지틀을 사용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포트지지틀은 수직벽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가 쌍을 이뤄 설치되는 장착레일의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장착레일은 수직벽에 높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열을 이뤄 배치되고, 상기 장착레일의 사이에 포트지지틀들이 차례로 설치되어 수직벽 전체에 포트지지틀들이 설치된다. 상기 포트지지틀은 그 지지틀몸체(10)의 양단이 각각 상기 장착레일에 걸어져 설치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지지틀몸체(10)의 내부가 수직벽의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위치된다.
상기 지지틀몸체(10)의 물관통과부(22)와 포트안착부(30)에는 각각 물관(도시되지 않음)과 포트(40)가 설치된다. 상기 물관통과부(22)에는 물관 이외에도 광섬유나 조명을 위한 배선 등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트안착부(30)에는 각각 포트(40)가 안착된다. 상기 포트(40)는 상기 포트안착부(30)에 나사(42)에 의해 고정된다. 즉, 상기 나사(42)가 상기 체결보스(36)의 체결공(37)에 상기 포트(40)의 일측을 관통하여 체결됨에 의해 고정된다. 하지만, 상기 체결보스(36)가 상기 단부벽(18)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포트(40)중에서 상기 지지틀몸체(10)의 가장 좌측에 배치되는 것과 우측에 배치되는 것은 일단부가 나사(42)에 의해 고정될 수 없다. 하지만, 이들 포트(40)들은 각각 그 좌측단부와 우측단부가 상기 장착레일에 걸어짐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포트(40)는 상기 지지틀몸체(10)의 포트안착부(30)에 그 네 모서리가 상기 안착대(32)의 안착면(33)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포트(40)는 그 네 모서리가 안착대(32)의 안착면(33)에 위치되어 고정되어 임의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 포트(40)의 내부에는 식생토가 있고, 상기 식생토에 식물이 심어져 있어 상기 포트(40)가 상기 포트안착부(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식물이 자라게 되면 수직벽의 녹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포트(40)가 상기 지지틀몸체(10)의 포트안착부(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포트(40)의 배면과 상기 포트안착부(30)의 내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포트(40)의 네 모서리가 상기 안착대(32)의 안착면(33)에 안착되고, 상기 틈새리브(34) 상에 안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포트(40)와 지지틀몸체(10)의 바닥판(12)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된다. 상기 틈새에는 공기가 채워져 여름철에는 통기성을 확보하여 포트(40)에 있는 식물의 생육이 양호하게 한다. 상기 틈새에 구비된 공기는 겨울철에는 보온성을 높여서 상기 포트(40)에 있는 식물의 뿌리가 냉해를 입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포트(40)와 바닥판(12) 사이의 틈새는 장마철에 물이 과다하게 공급되었을 때, 배수가 보다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포트(40)와 바닥판(12)의 사이의 틈새, 상기 리브개구부(34') 그리고 다시 상기 포트(40)와 바닥판(12) 사이의 틈새 그리고 상기 하측벽(16)의 하부개구부(16')를 통해 물이 유동하여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평구획벽(20)의 관수개구부(20')를 통해서는 상기 물관통과부(22)를 통과하는 물관으로부터 전달되는 물이 통과되어 상기 포트(40)로 공급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물관은 상기 관용개구부(22')를 통해 인접하는 지지틀몸체(10)로 연장된다.
상기 포트(40)가 상기 포트안착부(30)에 모두 안착된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하여 상기 포트(40)에 있는 식물이 자라게 되면, 녹화가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포트(40)에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한다. 즉, 상기 물관을 통해 공급된 물은 상기 물관통과부(22)에서 상기 관수개구부(20')를 통해 포트(40)로 전달된다. 상기 포트(40)로 전달된 물은 식물의 생육을 위해 사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포트(40)중 어느 하나의 식물이 제대로 자라지 않거나 포트(40)의 일부가 손상되면, 문제가 있는 포트(40)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체결보스(36)에 체결된 나사(42)를 분리하고, 해당되는 포트(40)를 빼내고, 다른 포트(40)를 장착하여 나사(42)로 체결보스(36)에 체결하면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물관통과부(22)가 반드시 상기 수평구획벽(20)과 상측벽(14)의 사이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측벽(14)의 상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관이 통과할 수 있는 구성을 만들어도 상관없고, 상기 물관통과부(22)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포트(40)의 사이 사이에 관을 통과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10: 지지틀몸체 12: 바닥판
14: 상측벽 16: 하측벽
16': 하부개구부 18: 단부벽
20: 수평구획벽 20': 관수개구부
22: 물관통과부 22': 관통개구부
24: 관지지리브 26: 관안착홈
28: 수직구획벽 30: 포트안착부
32: 안착대 33: 안착면
34: 틈새리브 34': 리브개구부
36: 체결보스 37: 체결공
40: 포트 42: 나사

Claims (6)

  1. 바닥판의 상단 가장자리와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벽과 하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의 양단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상측벽과 하측벽에 각각 단부가 연결되는 단부벽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지지틀몸체와,
    상기 지지틀몸체의 바닥판에 연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직구획벽에 의해 구획되어 포트가 고정되어 안착되는 포트안착부와,
    상기 포트안착부의 바닥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포트의 모서리를 지지하여 상기 포트안착부의 바닥면과 포트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는 안착대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안착부에는 상기 포트의 중간부에 해당되는 위치를 따라 상기 안착대에 요입되게 형성된 안착면의 높이와 같도록 틈새리브가 형성되는데, 상기 틈새리브에는 리브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벽에는 하부개구부가 형성되어 물이 유동되게 하는 수직벽 녹화용 포트지지틀.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벽과 나란히 연장되게 수평구획벽이 상기 바닥판에 형성되어 상기 포트안착부의 상부에 물관이 위치되는 물관통과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 녹화용 포트지지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획벽에는 관수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물관통과부를 통과하는 관에서 전달된 물이 상기 포트안착부의 포트로 전달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 녹화용 포트지지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물관통과부의 양단에 해당되는 상기 단부벽에는 관용개구부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포트지지틀 사이에서 관이 연장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 녹화용 포트지지틀.
KR2020100011806U 2010-11-17 2010-11-17 수직벽 녹화용 포트지지틀 KR2004660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806U KR200466020Y1 (ko) 2010-11-17 2010-11-17 수직벽 녹화용 포트지지틀
US13/884,409 US20130227884A1 (en) 2010-11-17 2011-10-27 Pot for vertical wall, and multi-filter and port support frame used therefor
CN201180054778.5A CN103209581B (zh) 2010-11-17 2011-10-27 竖直壁用花盆及其花盆支承框架
EP11841987.8A EP2641465A2 (en) 2010-11-17 2011-10-27 Pot for vertical wall, and multi-filter and port support frame used therefor
JP2013539740A JP2013544096A (ja) 2010-11-17 2011-10-27 垂直壁用ポット及びこれに使われるマルチフィルタ及びポット支持枠組
PCT/KR2011/008057 WO2012067356A2 (ko) 2010-11-17 2011-10-27 수직벽용 포트 및 이에 사용되는 멀티필터 및 포트지지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806U KR200466020Y1 (ko) 2010-11-17 2010-11-17 수직벽 녹화용 포트지지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635U KR20120003635U (ko) 2012-05-25
KR200466020Y1 true KR200466020Y1 (ko) 2013-03-25

Family

ID=46612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806U KR200466020Y1 (ko) 2010-11-17 2010-11-17 수직벽 녹화용 포트지지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0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193A (ko) * 2014-09-04 2016-03-15 유한회사 원탑종합건설 방수블록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4644U (ja) 1982-10-23 1984-04-28 永松 睦雄 芝植込み用箱
JP3147134U (ja) * 2008-09-17 2008-12-18 洋 吉迫 プランター
KR100927393B1 (ko) * 2009-03-18 2009-11-19 (주) 일신네이쳐 생태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4644U (ja) 1982-10-23 1984-04-28 永松 睦雄 芝植込み用箱
JP3147134U (ja) * 2008-09-17 2008-12-18 洋 吉迫 プランター
KR100927393B1 (ko) * 2009-03-18 2009-11-19 (주) 일신네이쳐 생태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193A (ko) * 2014-09-04 2016-03-15 유한회사 원탑종합건설 방수블록구조
KR101649958B1 (ko) * 2014-09-04 2016-08-23 유한회사 원탑종합건설 방수블록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635U (ko) 201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8781B2 (en) Vertical planting module
US9374947B2 (en) Wall planting module
KR101505181B1 (ko) 수조 일체형 화분
WO2010142000A1 (en) Vegetation support system
KR101187406B1 (ko) 이끼 패널과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KR200472746Y1 (ko) 식물 재배 용기
KR200466020Y1 (ko) 수직벽 녹화용 포트지지틀
KR101303353B1 (ko) 식물 식재 용기
JP3856681B2 (ja) 植栽トレー
KR101279800B1 (ko) 지지부가 보강된 고설재배용 일체형 베드
JP3565222B2 (ja) 緑化ブロック及び緑化ブロック塀
KR102038769B1 (ko) 급수화분을 갖는 식물재배화분
KR101201355B1 (ko) 조경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경용 화분 조립체
KR101247568B1 (ko) 준 고설재배용 일체형 베드
KR100924218B1 (ko) 계단식 논의 논두렁 덮개
KR101127628B1 (ko)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KR100853728B1 (ko)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
KR101187407B1 (ko) 벽면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녹화방법
CN220247354U (zh) 一种藤植墙墙砖
KR100966800B1 (ko) 식생옹벽 시스템
KR100938140B1 (ko) 절개사면 녹화처리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206547422U (zh) 一种用于垂直绿墙的种植箱
JP2007037408A (ja) 苔の栽培方法及び苔の栽培装置
CN220556973U (zh) 一种多边形中空柱立体绿化模块
JP2005341905A (ja) 壁面緑化部材および壁面緑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