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958B1 - 방수블록구조 - Google Patents

방수블록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958B1
KR101649958B1 KR1020140117690A KR20140117690A KR101649958B1 KR 101649958 B1 KR101649958 B1 KR 101649958B1 KR 1020140117690 A KR1020140117690 A KR 1020140117690A KR 20140117690 A KR20140117690 A KR 20140117690A KR 101649958 B1 KR101649958 B1 KR 101649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ding
box
bottom plate
box member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9193A (ko
Inventor
조흥기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원탑종합건설
조흥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원탑종합건설, 조흥기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원탑종합건설
Priority to KR1020140117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958B1/ko
Publication of KR20160029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블록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상기 박스부재의 모서리부위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수블록구조{Water block structure}
본 발명은 복수의 상기 박스부재의 모서리부위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수블록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상녹화란 건축물 옥상에 토양을 쌓은 후 식재 및 조경시설을 설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도시환경개선의 일환으로 옥상 등에 녹화시공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옥상녹화조성을 위해 최근에는 옥상 등에 녹화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식생용 블록은 대부분 시공성이 떨어짐은 물론 식물이 성장하면서 뿌리가 방수층을 훼손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근효과가 낮기 때문에 방수층이 파괴되어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건물 옥상 등의 바닥면에 작업자가 복수의 박스부재를 안착시킨 후 복수의 상기 박스부재의 내부에 식물 등을 식재하여 옥상 등에 보다 간편하게 녹화조성시공작업을 행할 수 있음은 물론 빗물 등에 의해 복수의 상기 박스부재 내부 하측에 일정량 저장될 물이 식재된 식물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고, 복수의 상기 박스부재의 배수구를 통해 상기 배수구보다 높은 높이로 상승하는 물이 복수의 상기 박스부재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상기 박스부재의 상단부 외측방향으로 물이 넘쳐흐를 우려가 없어 방수기능이 우수한 녹화조성을 위한 식생용 방수블록 시스템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039076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039076호의 경우 복수의 상기 박스부재의 모서리부위의 틈새를 통해 물이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03907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복수의 상기 박스부재의 모서리부위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수블록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박스부재와; 상기 박스부재의 모서리부위에서 상기 박스부재의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블록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박스부재의 각 모서리부위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모서리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박스부재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일측과 상기 바닥판의 타측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일측벽 및 타측벽과, 상기 바닥판의 전측과 상기 바닥판의 후측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전측벽 및 후측벽으로 구성되는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측벽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일측벽의 상부 후측에 형성되는 제 1돌출부재와; 상기 측벽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전측벽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 2돌출부재와; 상기 측벽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일측벽의 상부 전측과 상기 전측벽의 상부 일측 사이에 형성되는 제 3돌출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기 돌출부재가 내측에 수용되는 캡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캡부재는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서 상기 상부캡의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다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박스부재의 상부 전측과 상기 박스부재의 일측 상부에 각각 고정날개판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박스부재의 전측 외면에 가이드홈이 상하연장형성되고, 상기 박스부재의 후측 외면에 상기 박스부재의 후측외부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레일이 상하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날개판부재의 표면에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박스부재의 타측 내면과 상기 박스부재의 후측 내면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박스부재의 내부에 복수의 보강리브가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강리브의 전측의 반대측인 상기 보강리브의 후측 상부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박스부재의 상부에 투수층이 안착되고, 상기 투수층의 상부에 토사층이 적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박스부재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일측과 상기 바닥판의 타측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일측벽 및 타측벽과, 상기 바닥판의 전측과 상기 바닥판의 후측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전측벽 및 후측벽으로 구성되는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측벽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일측벽의 상부 후측에 형성되는 제 1돌출부재와; 상기 측벽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전측벽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 2돌출부재와; 상기 측벽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일측벽의 상부 전측과 상기 전측벽의 상부 일측 사이에 형성되고, 내부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돌출캡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박스부재의 모서리부위에서 상기 박스부재의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 1, 2, 3돌출부재로 구성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캡부재 또는 상기 캡부재를 사용할 필요없이 제 1, 2돌출부재와 돌출캡부재로 구성되는 돌출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고정된 복수의 상기 박스부재의 모서리부위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보다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방수블록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서로 접한 상태로 연결고정된 도 1의 복수의 박스부재 중 어느 하나의 박스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캡부재의 저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투수층과 토사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방수블록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서로 접한 상태로 연결고정된 도 7의 복수의 박스부재 중 어느 하나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방수블록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방수블록구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박스부재(10)와 돌출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박스부재(10)는 바닥판(110)과 측벽(1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판(110)은 지면에 수평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측벽(120)은 일측벽(121) 및 타측벽(122)과 전측벽(123) 및 후측벽(1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벽(121) 및 상기 타측벽(122)은 상기 바닥판(110)의 일측과 상기 바닥판(110)의 타측에 상기 바닥판(110)의 상부방향으로 각각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벽(123) 및 상기 후측벽(124)은 상기 바닥판(110)의 전측과 상기 바닥판(110)의 후측에 상기 바닥판(110)의 상부방향으로 각각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벽(121)의 중간부와 상기 타측벽(122)의 중간부에는 빗물 등을 포함한 물을 배수하기 위한 원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배수구(12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돌출부재(20)는 상기 박스부재(10)의 모서리부위에서 상기 박스부재(10)의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재(20)는 상기 박스부재(10)의 각 모서리부위중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모서리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재(20)는 일예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1돌출부재(210), 제 2돌출부재(220) 및 제 3돌출부재(2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돌출부재(210)는 상기 측벽(120)의 일측벽(121)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일측벽(121)의 상부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돌출부재(210)는 평면형상이 '◁'형상의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돌출부재(220)는 상기 측벽(120)의 전측벽(123)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전측벽(123)의 상부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돌출부재(220)는 평면형상이 '△'형상의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돌출부재(230)는 상기 측벽(120)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일측벽(121)의 상부 전측과 상기 전측벽(123)의 상부 일측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돌출부재(230)는 평면형상이 '
Figure 112015128693346-pat00001
'형상의 직각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서로 접한 상태로 연결고정된 도 1의 복수의 박스부재(10) 중 어느 하나의 박스부재(10)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박스부재(10)를 서로 접한 상태로 연결고정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박스부재(10)의 전측벽(123) 상부와 상기 박스부재(10)의 일측벽(121)의 상부에 각각 고정날개판부재(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날개판부재(30)는 전측고정날개판부재(310)와 일측고정날개판부재(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고정날개판부재(310)은 상기 박스부재(10)의 일측에서 상기 박스부재(1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고정날개판부재(310)의 후측은 상기 박스부재(10)의 전측벽(123) 상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측고정날개판부재(310)의 전측은 상기 전측고정날개판부재(310)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절곡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날개판부재(320)는 상기 박스부재(10)의 전측에서 상기 박스부재(1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날개판부재(320)의 타측은 상기 박스부재(10)의 일측벽(121)의 상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날개판부재(320)의 일측은 상기 일측고정날개판부재(320)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절곡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상기 박스부재(10)의 전측고정날개판부재(310)의 내측에는 다른 상기 박스부재(10)의 후측벽(124)의 상부가 수용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상기 박스부재(10)의 일측고정날개판부재(320)의 내측에는 다른 상기 박스부재(10)의 타측벽(122)의 상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날개판부재(30)를 통해 복수의 상기 박스부재(10)가 서로 접한 상태로 연결고정될 경우 상기 제 1, 2, 3돌출부재(210, 220, 230) 또한 서로 접하면서 평면형상이 사각형 형상 등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날개판부재(320)의 타측 상부면 후측에 상기 제 1돌출부재(210)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고정날개판부재(310)의 후측 상부면 타측에 상기 제 2돌출부재(220)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날개판부재(320)의 타측 상부면 전측과 상기 전측고정날개판부재(310)의 후측 상부면 일측 사이에 상기 제 3돌출부재(230)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박스부재(10)가 서로 접한 상태로 보다 안정적으로 강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정날개판부재(30)의 표면에 가이드슬릿(330)이 형성되고, 상기 박스부재(10)의 내면에 가이드돌기(130)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날개판부재(30)의 전측고정날개판부재(310)의 전측 중심부 표면에는 상기 전측고정날개판부재(310)의 일측에서 상기 전측고정날개판부재(31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상기 가이드슬릿(33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날개판부재(30)의 일측고정날개판부재(320)의 일측 중심부 표면에는 상기 일측고정날개판부재(320)의 전측에서 상기 일측고정날개판부재(32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상기 가이드슬릿(33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박스부재(10)의 타측벽(122) 내면 상측에 상기 박스부재(10)의 전측에서 상기 박스부재(1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상기 가이드돌기(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박스부재(10)의 후측벽(124) 내면 상측에도 상기 박스부재(10)의 일측에서 상기 박스부재(1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상기 가이드돌기(130)가 형성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상기 박스부재(10)의 고정날개판부재(30)의 가이드슬릿(330)내에 다른 상기 박스부재(10)의 가이드돌기(13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복수의 상기 박스부재(10)를 서로 접한 상태로 연결고정하는 고정 중에 복수의 상기 박스부재(10) 사이에 슬립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복수의 상기 박스부재(10)의 연결고정과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박스부재(10)의 전측 외면에는 상기 박스부재(10)의 전측 외면에서 상기 박스부재(1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가이드홈(140)이 상기 박스부재(1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박스부재(10)의 후측 외면에는 상기 박스부재(10)의 후측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가이드레일(150)이 상기 박스부재(1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상기 박스부재(10)의 가이드홈(140)내에 다른 상기 박스부재(10)의 가이드레일(150)이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40)내에 삽입되는 상기 가이드레일(150)의 삽입고정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레일(150)은 상기 가이드홈(140)내에 삽입된 상태로 피스고정 또는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접하면서 평면형상이 사각형 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 1, 2, 3돌출부재(210, 220, 230)로 구성되는 상기 돌출부재(20)가 내측에 수용되는 캡부재(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캡부재(40)의 저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캡부재(40)는 도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캡(410)과 다리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캡(410)의 일측, 상기 상부캡(410)의 타측, 상기 상부캡(410)의 전측 및 상기 상부캡(410)의 후측은 각각 상기 상부캡(4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절곡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재(420)는 상기 상부캡(410)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서 상기 상부캡(4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박스부재(10)의 상부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상기 박스부재(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박스부재(10)의 내부에는 복수의 보강리브(50)가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보강리브(50)는 평면형상이 산형상의 파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50)는 상기 박스부재(10)의 전측 내부에 수직형성되는 전측보강리브(510)와; 상기 박스부재(10)의 후측 내부에 수직형성되는 후측보강리브(5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박스부재(10)의 전측 내부에 수직형성되는 상기 전측보강리브(510)는 상기 박스부재(10)의 일측에서 상기 박스부재(10)의 타측방향으로 복수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박스부재(10)의 후측 내부에 수직형성되는 상기 후측보강리브(520) 또한 상기 박스부재(10)의 일측에서 상기 박스부재(10)의 타측방향으로 복수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50)의 후측보강리브(520)의 전측의 반대측인 상기 후측보강리브(520)의 후측 상부에는 상기 후측보강리브(520)의 상부에서 상기 후측보강리브(52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삽입홈(521)이 형성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상기 박스부재(10)의 후측보강리브(520)의 삽입홈(521)내에는 다른 상기 박스부재(10)의 전측고정날개판부재(310)의 전측 하부가 삽입고정될 수 있고, 이로서, 어느 하나의 상기 박스부재(10)의 전측고정날개판부재(310)의 내측에 다른 상기 박스부재(10)의 후측벽(124) 상부가 수용되는 과정 중에 상기 후측보강리브(520)가 방해요소로 작용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상기 박스부재(10), 상기 돌출부재(20), 상기 고정날개판부재(30), 상기 보강리브(50) 모두를 한번에 성형하기 위해 상기 박스부재(10), 상기 돌출부재(20), 상기 고정날개판부재(30), 상기 보강리브(50)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질 등으로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박스부재(10)의 모서리부위에서 상기 박스부재(20)의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 1, 2, 3돌출부재(210, 220, 230)로 구성되는 돌출부재(20)와 상기 돌출부재(20)를 내부에 수용하는 상기 캡부재(40)를 통해 서로 연결고정된 복수의 상기 박스부재(10)의 모서리부위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보다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도 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투수층(60)과 토사층(7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박스부재(10)의 상부에는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투수층(60)이 수평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투수층(60)의 상부에는 흙, 모래, 인공토 등의 식재토양 등의 토사층(70)이 적재될 수 있다.
상기 토사층(70)으로 내린 빗물 등의 물은 상기 토사층(70)과 상기 투수층(6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박스부재(10)내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박스부재(10)내의 물은 상기 박스부재(10)의 배수구(125)를 통해 상기 박스부재(10)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방수블록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서로 접한 상태로 연결고정된 도 7의 복수의 박스부재 중 어느 하나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방수블록구조는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캡부재(40)를 사용할 필요없이 상기 돌출부재(20)만을 통해 서로 연결고정된 복수의 상기 박스부재(10)의 모서리부위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보다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재(20)는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돌출부재(210)와 상기 제 2돌출부재(220) 및 평면형상이 사각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돌출캡부재(24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캡부재(240)가 상기 제 3돌출부재(230)를 대신할 수 있다.
상기 돌출캡부재(240)의 일측, 상기 돌출캡부재(240)의 타측, 상기 돌출캡부재(240)의 전측 및 상기 돌출캡부재(240)의 후측은 상기 돌출캡부재(24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절곡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상기 박스부재(10)의 상기 돌출캡부재(240)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홈(241)에는 다른 상기 박스부재(10)의 제 1돌출부재(210)와 또 다른 상기 박스부재(10)의 제 2돌출부재(220)가 삽입될 수 있다.
10; 박스부재, 20; 돌출부재.

Claims (12)

  1.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일측과 상기 바닥판의 타측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일측벽 및 타측벽과 상기 바닥판의 전측과 상기 바닥판의 후측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전측벽 및 후측벽으로 구성되는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박스부재와;
    상기 박스부재의 각 모서리부위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모서리부위에서 상기 박스부재의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도록 상기 측벽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일측벽의 상부 후측에 형성되는 제 1돌출부재와, 상기 측벽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전측벽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 2돌출부재와, 상기 측벽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일측벽의 상부 전측과 상기 전측벽의 상부 일측 사이에 형성되고 내부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돌출캡부재로 구성되고, 어느 하나의 상기 박스부재의 상기 돌출캡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에 다른 상기 박스부재의 제 1돌출부재와 또 다른 상기 박스부재의 제 2돌출부재가 삽입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블록구조.
  2.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일측과 상기 바닥판의 타측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일측벽 및 타측벽과 상기 바닥판의 전측과 상기 바닥판의 후측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전측벽 및 후측벽으로 구성되는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박스부재와;
    상기 박스부재의 각 모서리부위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모서리부위에서 상기 박스부재의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도록 상기 측벽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일측벽의 상부 후측에 형성되는 제 1돌출부재와, 상기 측벽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전측벽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 2돌출부재와, 상기 측벽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일측벽의 상부 전측과 상기 전측벽의 상부 일측 사이에 형성되는 제 3돌출부재;로 구성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가 내측에 수용되는 캡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블록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서 상기 상부캡의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다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블록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재의 상부 전측과 상기 박스부재의 일측 상부에 각각 고정날개판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블록구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재의 전측 외면에 가이드홈이 상하연장형성되고,
    상기 박스부재의 후측 외면에 상기 박스부재의 후측외부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레일이 상하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블록구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개판부재의 표면에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박스부재의 타측 내면과 상기 박스부재의 후측 내면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블록구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재의 내부에 복수의 보강리브가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블록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의 전측의 반대측인 상기 보강리브의 후측 상부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블록구조.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재의 상부에 투수층이 안착되고,
    상기 투수층의 상부에 토사층이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블록구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40117690A 2014-09-04 2014-09-04 방수블록구조 KR101649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690A KR101649958B1 (ko) 2014-09-04 2014-09-04 방수블록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690A KR101649958B1 (ko) 2014-09-04 2014-09-04 방수블록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193A KR20160029193A (ko) 2016-03-15
KR101649958B1 true KR101649958B1 (ko) 2016-08-23

Family

ID=55541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690A KR101649958B1 (ko) 2014-09-04 2014-09-04 방수블록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9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686B1 (ko) * 1997-10-25 2000-02-01 이상수 식물재배 및 유통용 용기
KR200288909Y1 (ko) * 2002-06-18 2002-09-11 조흥렬 조립식 식재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KR101039076B1 (ko) * 2010-08-26 2011-06-03 유한회사 원탑종합건설 녹화조성을 위한 식생용 방수블록 시스템
KR200466020Y1 (ko) * 2010-11-17 2013-03-25 그린인프라 주식회사 수직벽 녹화용 포트지지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686B1 (ko) * 1997-10-25 2000-02-01 이상수 식물재배 및 유통용 용기
KR200288909Y1 (ko) * 2002-06-18 2002-09-11 조흥렬 조립식 식재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KR101039076B1 (ko) * 2010-08-26 2011-06-03 유한회사 원탑종합건설 녹화조성을 위한 식생용 방수블록 시스템
KR200466020Y1 (ko) * 2010-11-17 2013-03-25 그린인프라 주식회사 수직벽 녹화용 포트지지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193A (ko)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359B1 (ko) 식물 재배 매트
KR19990088190A (ko) 식물재배매트및이의설치방법
ES2215007T3 (es) Procedimiento para cubrir de vegetacion de superficie y contenedor con reserva de agua utilizado en dicho procedimiento.
JP4818870B2 (ja) 土砂又は植物の敷設ユニット
KR20170101661A (ko) 투수성 보도블록
KR101649958B1 (ko) 방수블록구조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JP3856681B2 (ja) 植栽トレー
KR20080096317A (ko) 담수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CN103688807B (zh) 斜屋面生态系统安装方法
CN205511116U (zh) 蓄排水板
KR101598148B1 (ko)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KR20160093518A (ko) 보도용 방초 바닥판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보도 구조체
KR101124639B1 (ko) 식생블록
JP5975381B2 (ja) 植栽基盤及び植栽基盤の施工方法、緑化エリアのボーダー部処理構造
JP5103575B1 (ja) タイル敷設構造
KR100974086B1 (ko) 포트 식생 호안 블록
JP2006246830A (ja) 緑化エリアの仕切材及び仕切構造、緑化設備
KR100880204B1 (ko) 인공지반녹화구조물
KR101606424B1 (ko) 도로포장의 측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KR200420360Y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101804351B1 (ko) 옥상경사를 고려한 저류판
KR101039076B1 (ko) 녹화조성을 위한 식생용 방수블록 시스템
KR102333349B1 (ko) 블럭이 일체화된 친환경 대형 식생호안블럭
KR101325225B1 (ko) 조립식 박스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리텐션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