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864Y1 - 분쇄조절용기 - Google Patents
분쇄조절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5864Y1 KR200465864Y1 KR2020110007923U KR20110007923U KR200465864Y1 KR 200465864 Y1 KR200465864 Y1 KR 200465864Y1 KR 2020110007923 U KR2020110007923 U KR 2020110007923U KR 20110007923 U KR20110007923 U KR 20110007923U KR 200465864 Y1 KR200465864 Y1 KR 20046586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ing means
- control
- grinding
- container
- pulveriz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9/02—Cutting or splitting g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쇄 날이 나선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 스크루에 의해서 곡물 및 채소 등의 재료가 분쇄되는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쇄 날에 의해서 분쇄된 재료의 알갱이 입자들의 크기를 조절하는 분쇄조절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크게 분쇄용기의 분쇄구간에 조절배출구가 형성되고, 그 조절배출구에는 막음수단이 구비되며, 분쇄용기의 조절배출구 주변에는 그 막음수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은 조절배출구에 의해서 입자가 큰 분쇄물이 배출되되, 고정수단에 의해서 설치 및 분리되는 막음수단에 의해서 그 입자가 큰 분쇄물의 배출을 막아 입자가 미세한 분쇄물이 배출관으로 배출되는바, 막음수단을 통하여 분쇄물의 입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은 조절배출구에 의해서 입자가 큰 분쇄물이 배출되되, 고정수단에 의해서 설치 및 분리되는 막음수단에 의해서 그 입자가 큰 분쇄물의 배출을 막아 입자가 미세한 분쇄물이 배출관으로 배출되는바, 막음수단을 통하여 분쇄물의 입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분쇄 날이 나선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 스크루에 의해서 곡물 및 채소 등의 재료가 분쇄되는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쇄 날에 의해서 분쇄된 재료의 알갱이 입자들의 크기를 조절하는 분쇄조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분쇄기는 크게 회전하는 날을 통해서 재료를 미세하게 절삭하는 절삭분쇄기와 분쇄 날이 하나 이상 형성된 스크루에 의해서 압착되어 파쇄되는 압착분쇄기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은 압착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도 2에 개시된 압착분쇄기를 살펴보면, 구동부(1)에 의해서 스크루(200)가 회전하고, 분쇄용기(100)로 투입된 재료가 그 스크루(200)의 분쇄 날과 용기날(11)에 맞물려서 분쇄된 후, 분쇄용기(100) 최하단에 형성된 배출구(12)를 통과하여 배출되되, 안내수단(20)에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루(200)의 분쇄 날과 용기날(11)은 스크루(200)의 끝단으로 갈수록 더욱 촘촘하고 정교하게 형성된 것으로, 스크루(200) 끝단으로 갈수록 재료가 단계적으로 점차 미세하게 분쇄된다.
한편, 도 1과 도 2에 개시된 고안에서는 배출구 상단에 틈(13)을 형성하여 즙만이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위에서와 같이, 종래의 분쇄용기(100)는 재료가 미세하게 분쇄되는 스크루(200) 끝단과 대응하는 분쇄용기(100)의 최하단에 배출구(12)가 형성되어 미세하게 분쇄된 분쇄물 만이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자는 사용자의 선호도 또는 재료 및 그 재료의 용도(요리종류 등)에 적합한 크기로 재료 분쇄할 수 있는 분쇄조절용기를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이에 본 고안은 분쇄용기의 분쇄구간에 조절배출구가 형성되고, 그 조절배출구에는 막음수단이 구비되며, 분쇄용기의 조절배출구 주변에는 그 막음수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조절배출구에 의해서 입자가 큰 분쇄물이 배출되되, 고정수단에 의해서 설치 및 분리되는 막음수단에 의해서 그 입자가 큰 분쇄물의 배출을 막아 입자가 미세한 분쇄물이 배출관으로 배출되는바, 막음수단을 통하여 분쇄물의 입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쇄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개요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전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막음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d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e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개요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전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막음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d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e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본 고안은 분쇄 날에 의해서 분쇄된 재료의 알갱이 입자들의 크기를 조절하는 분쇄조절용기에 관한 것으로, 크게 알갱이가 큰 분쇄물이 배출되도록 분쇄용기(100)의 분쇄구간(A)에 조절배출구(300)가 형성되고, 그 조절배출구(300)를 막아 알갱이가 미세한 분쇄물이 배출구(12)로 배출되도록 하는 막음수단(400)을 포함하며, 조절배출구(300)에 막음수단(40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도 3과 같이, 분쇄용기(100)에 형성된 용기날(11)의 최상단 부분부터 배출구(12)의 최상단 부분까지가 분쇄구간(A)이고, 그 배출구(12)의 최상단 부분부터 최하단 부분까지 분쇄배출구간(B)으로 구분한다.
이는 일반적인 분쇄기의 배출구(12)는 스크루(200) 끝단에서 분쇄된 미세한 분쇄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위치와 크기로 형성되는 점에서 항상 개방되어 있어야 함으로, 배출구(12)를 기준으로 구분한 것이다.
즉, 분쇄구간(A)은 상기 정의 내린 배출구(12) 외의 부분 전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조절배출구(300)는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분쇄배출구간(B)에 형성된 배출구(12) 상부의 분쇄구간(A)에 구멍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으로, 재료가 미세하게 분쇄되는 스크루(200)의 끝단보다 위쪽에 형성됨에 따라서 미세하게 분쇄되는 스크루(200)의 끝단에 도달하기 이전에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조절배출구(300)는 도 8과 같이, 기존의 배출구(12)와 연통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막음수단(400)은 도 4와 같이, 조절배출구(300)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판재(410)로 구성되어, 조절배출구(300)가 막혀져서 스크루(200)에 의해서 분쇄되는 재료가 스크루(200) 끝단으로 이송되어 미세하게 분쇄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막음수단(400)은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판재(410)의 상단부에 손잡이(420)를 돌출형성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판재(410)의 하단부에 배출구멍(430)을 형성하여 배출구(12)로 배출되는 입자보다 큰 입자의 분쇄물들이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그 배출구멍(430)의 크기에 따른 여러 종류의 막음수단(400)을 사용하여, 분쇄물의 입자 크기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더욱이, 도 9와 같이, 조절배출구(300)를 막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막음수단(400)을 분할한 다수의 막음수단(400)과 그 분할된 막음수단(400)에 배출구멍(430)이 형성된 또 다른 막음수단(400)을 적절히 혼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고정수단(500)은 도 4와 같이, 조절배출구(300)의 우측에 '1' 자 형으로 돌출형성된 측면고정부(510)와 조절배출구(300)의 좌측에 단면이 'ㄱ' 자 형태로 형성된 전면고정부(520)로 구성된다.
상기 도 4에서의 전면고정부(520)는 'ㄱ' 자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부재가 막음수단(400)의 좌측면을 지지하는 측면고정부(510)부로 활용되며, 배출관(20)의 상부면 또한 막음수단(40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측면고정부(510)로 활용된다.
이렇게 구성된 고정수단(500)은 측면고정부(510)에 막음수단(400)의 우측면이 지지가 되고, 전면고정부(520)에 막음수단(400)의 전면이 지지가 되어, 막음수단(400)이 조절배출구(3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측면고정부(510)는 막음수단(400)이 전면고정부(520)에 지지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설치방식에 따라서 그 위치 및 개수가 달라지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설치방식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키는 상부슬라이딩 방식이고, 이하 설명될 회전방식인 도 8과 측면슬라이딩 방식인 도 9와 같이 다양한 위치와 수량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막음수단(400)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분쇄구간(B)의 최상단 부분에서 분쇄된 입자가 큰 분쇄물이 조절배출구멍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막음수단(400)을 고정수단(500)에 삽입시키면 상기 조절배출구멍(300)으로 배출되는 분쇄물이 막혀져서 스크루(200)의 최하단으로 이송되어, 더욱 미세하게 분쇄된 후에 배출구(12)를 통해서 배출관(20)에 안내되어 배출된다.
한편, 배출구멍(520)이 형성된 막음수단(500)을 사용할 경우에는 그 배출구멍(520)에 의해서 막음수단(400)이 없을 경우에 배출되는 분쇄물 입자의 크기보다 작고, 막음수단(500)에 의해서 조절배출구(300) 전체가 막힌 상태에서 배출관(20)으로 배출되는 분쇄물의 입자보다 작은 크기의 분쇄물을 습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 6과 같이, 조절배출구(300)에 삽입되되, 안쪽 면이 분쇄용기(100)의 안 쪽과 일치되도록 형성된 막음부재(30)를 더 포함하여, 스크루(200)와 막음수단(4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해서 분쇄효율이 감소하지 않도록 막음부재(30)로 그 공간을 채운 것으로, 여기에서 막음수단(400)은 막음부재(30)가 조절배출구(300)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하, 상기 간단히 언급한 막음수단(400)의 설치방식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7은 상기 상부슬라이딩방식과 유사한 것으로, 배출관(20)은 상부 면을 개방되고, 그 배출관(20)을 구성하는 양 측면이 조절배출구(300)까지 확장되어 구성되며, 그 배출관(20)의 양 측면에는 막음수단(400)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이 홈은 막음수단(400)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고정부(510)와 막음수단(400)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고정부(520)로 구성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은 회전방식으로, 막음수단(400)의 판재(410)는 'T' 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판재(410)의 끝단에 원형의 힌지구멍(440)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고정수단(500)은 볼트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힌지구멍(440)을 관통하여 분쇄용기(100)에 고정설치되는 힌지측면고정부(530)와 그 힌지측면고정부(530)의 끝단에 볼트 머리와 같이 형성되어 힌지전면고정부(540)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고정부(500)는 힌지측면고정부(530)이 힌지구멍(440)에 접하여 막음수단(400)이 상·하, 좌·우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되, 그 힌지측면고정부(530)을 축으로 하여 막음수단(400)이 회전되어 조절배출구(300)를 막거나 개방시키게 된다.
그리고 힌지전면고정부(540)는 판재(410)의 전면과 접하여, 막음수단(400)이 전면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9는 측면슬라이딩방식으로, 고정수단(500)은 조절배출구(300) 상단과 하단에 전면고정부(520)와 측면고정부(510)으로 구성된 단면이 'ㄱ' 자 형태로 형성되고, 막음수단(400)은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측면슬라이딩방식은 분할된 막음수단(400)이 고정수단(500)에 삽입되어 조절배출구(300)의 하단에서부터 적층 되어 조절배출(300)를 막게 되며, 그 분할된 막음수단(400) 실시상태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분쇄물을 습득할 수 있다.
100 : 분쇄용기 200 : 스크루
300 : 조절배출구 400 : 막음수단
410 : 판재 420 : 손잡이
430 : 배출구멍 500 : 고정수단
510 : 측면고정수단 520 : 전면고정수단
300 : 조절배출구 400 : 막음수단
410 : 판재 420 : 손잡이
430 : 배출구멍 500 : 고정수단
510 : 측면고정수단 520 : 전면고정수단
Claims (5)
- 회전하는 스크루(200)에 의해서 재료들이 분쇄되어 배출구(12)로 배출되는 분쇄용기(100)에 있어서,
분쇄용기(100)의 분쇄구간(A)에 조절배출구(300)가 형성되고, 그 조절배출구(300)에는 막음수단(400)이 구비되고, 분쇄용기(100)의 조절배출구(300) 주변에는 그 막음수단(400)을 고정하되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조절용기.
- 제 1항에 있어서,
막음수단(400)은 한쪽 끝단에 배출구멍(4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조절용기.
- 제 1항에 있어서,
고정수단(500)은 막음수단(400)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고정부(510)와 막음수단(400)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고정부(5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조절용기.
- 제 3항에 있어서,
측면고정부(510)는 조절배출구(300)에 위치할 막음수단(400)의 측면과 접하도록 전면으로 돌출형성되고, 전면고정부(520)는 그 측면고정부(510)의 전면에 측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조절용기.
- 제 1항에 있어서,
조절배출구(300)에 분쇄용기(10)의 안쪽 면과 일치하는 막음부재(30)를 더 포함하여 그 막음부재(30)가 막음수단(400)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조절용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7923U KR200465864Y1 (ko) | 2011-08-31 | 2011-08-31 | 분쇄조절용기 |
PCT/KR2012/005266 WO2013009025A2 (ko) | 2011-07-08 | 2012-07-03 | 분쇄조절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7923U KR200465864Y1 (ko) | 2011-08-31 | 2011-08-31 | 분쇄조절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1625U KR20130001625U (ko) | 2013-03-08 |
KR200465864Y1 true KR200465864Y1 (ko) | 2013-03-18 |
Family
ID=51360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7923U KR200465864Y1 (ko) | 2011-07-08 | 2011-08-31 | 분쇄조절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5864Y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12076A (ja) | 2001-10-05 | 2003-04-15 | Keikosha:Kk | 植物粉砕機 |
KR20060101848A (ko) * | 2005-03-21 | 2006-09-26 | 김영기 | 착즙주스기 |
KR100966607B1 (ko) | 2009-08-28 | 2010-06-29 |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 주서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 모듈 |
KR200454079Y1 (ko) | 2011-02-10 | 2011-06-15 | (주)현대가전업 | 수직형 녹즙기의 다짐용 보조 용기 |
-
2011
- 2011-08-31 KR KR2020110007923U patent/KR200465864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12076A (ja) | 2001-10-05 | 2003-04-15 | Keikosha:Kk | 植物粉砕機 |
KR20060101848A (ko) * | 2005-03-21 | 2006-09-26 | 김영기 | 착즙주스기 |
KR100966607B1 (ko) | 2009-08-28 | 2010-06-29 |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 주서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 모듈 |
KR200454079Y1 (ko) | 2011-02-10 | 2011-06-15 | (주)현대가전업 | 수직형 녹즙기의 다짐용 보조 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1625U (ko) | 2013-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767201A1 (en) | A grinding unit, a cartridge for the grinding unit and use of same for grinding coffee beans | |
JP2010131473A (ja) | 摩砕機 | |
KR20040088758A (ko) | 원두커피 분쇄장치 | |
KR101147934B1 (ko) | 수직형 분쇄기 | |
KR200461811Y1 (ko) | 분쇄조절용기 | |
KR102412533B1 (ko) | 분쇄기용 맷돌시스템 | |
KR200465864Y1 (ko) | 분쇄조절용기 | |
KR20050101127A (ko) | 다기능 녹즙기 | |
KR100940047B1 (ko) | 고추씨 분리장치가 있는 고추씨 분쇄장치 | |
DK3081126T3 (da) | Kværnværk til en krydderikværn | |
CN102210562A (zh) | 粉碎食物时能维持适当的投入和排出量而提高粉碎效率的搅拌机 | |
JP6626635B2 (ja) | 粒度調整機構を有する粒状食品用ミル | |
KR101279294B1 (ko) | 파쇄기를 구비한 차량 | |
KR20120006052U (ko) | 수평형 고추분쇄기 | |
KR102452432B1 (ko) | 다단 형상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 |
KR200461808Y1 (ko) | 분쇄조절용기 | |
KR20120002370U (ko) | 다용도 분쇄기 | |
KR101335691B1 (ko) | 고추 분쇄기 | |
CN202044985U (zh) | 一种破碎装置 | |
KR20130103063A (ko) | 분쇄조절용기 | |
KR102157660B1 (ko) | 청소가 용이한 분쇄기 | |
KR101023269B1 (ko) | 다용도 미분쇄 장치 | |
KR20130106040A (ko) | 분쇄장치 | |
BR112014006708B1 (pt) | moinho de cilindros e método para triturar material frágil para moagem | |
CN207546725U (zh) | 一种药物多级粉碎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