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468Y1 - 자동차용 헤드 램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 램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5468Y1 KR200465468Y1 KR2020110000863U KR20110000863U KR200465468Y1 KR 200465468 Y1 KR200465468 Y1 KR 200465468Y1 KR 2020110000863 U KR2020110000863 U KR 2020110000863U KR 20110000863 U KR20110000863 U KR 20110000863U KR 200465468 Y1 KR200465468 Y1 KR 20046546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 boss
- housing
- horizontal
- lam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B60Q1/044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the housing being fastened onto the vehicle body using means other than scre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60Q1/0683—Adjustable by rotation of a scr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램프 홀더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리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홀더는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스부는 상기 리브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관한 것으로, 램프 홀더를 하우징에 장착함에 있어서, 리브부와 보스부의 상호체결에 의한 장착점을 더 포함함으로써, 램프 홀더를 하우징에 더욱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의 램프 홀더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헤드램프는 대향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빛의 조사각도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상향램프와 하향램프를 이용하여 이러한 조절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헤드램프는 차량의 상태에 맞게 상하 및 좌우로 빛의 조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조절하는 것을 에이밍(aiming)이라고 하며, 보통 에이밍 수단을 구비하여 이를 조정하고 있다.
에이밍 수단의 조정방법에는 초기 조준 조정, 즉 헤드램프를 차체에 장착한 다음, 사용 전에 또는 검사시에 행해지는 조정과, 레벨링 조정, 즉 사람이나 적재 물 등에 의해 차체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에 따라 그때마다 수정하기 위한 조정이 있다.
이러한 초기 조준 조정은 통상 수동 조작에 의한 에이밍 수단에 의해 행해지게 되며, 레벨링 조정은 부분적으로 원격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기구에 의해 행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헤드램프에는 전방부의 좌우 양쪽에 각각 1개의 램프가 장착되는 2등식 램프와 각각 2개의 램프가 부착되어 안쪽의 램프는 상향램프로서의 기능을 하고, 바깥쪽 램프는 하향램프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 4등식 램프가 있다.
이때, 한국공개특허 제2003-49787호는 자동차용 4등식 헤드램프의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2003-49787호의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4등식 헤드램프의 에이밍 구조에서는 2개의 램프에 대한 각각의 에이밍 작업을 위해 각각의 에이밍 수단을 구비해야 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향램프 어셈블리와 하향램프 어셈블리를 별도의 베이스 플레이트(또는 램프 홀더)의 장공부에 각각 수용시키고, 상기 별도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하나의 에이밍 수단에 의해 조절함으로써, 상향램프 어셈블리와 하향램프 어셈블리를 동시에 연동하여 조절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에이밍 수단의 피봇포인트에 1점 지지되면서, 수직용 에이밍 로드와 수평용 에이밍 로드에 의해 에이밍 조절되고,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또는 램프 홀더)가 슈라우드 패널(또는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은 피봇 포인트 1점, 수직용 에이밍 로드 1점 및 수평용 에이밍 로드 1점을 포함한 3점에 의해 장착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별도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향램프 어셈블리와 하향램프 어셈블리를 수용시키는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중량이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상술한 3점, 즉, 피봇 포인트 1점, 수직용 에이밍 로드 1점 및 수평용 에이밍 로드 1점으로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슈라우드 패널에 장착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의 램프 홀더를 하우징에 장착함에 있어서,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램프 홀더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리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홀더는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스부는 상기 리브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자동차용 헤드 램프는 피봇 포인트부,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 및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봇 포인트부는 상기 램프 홀더의 중앙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는 상기 피봇 포인트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는 상기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의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보스부는 수직 보스부 및 수평 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보스부는 제1헤드부 및 제1결합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보스부는 제2결합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리브부는 제1삽입부와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리브부 및 제2삽입부와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리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리브부는 상기 수직 보스부와 체결되고, 상기 제2리브부는 상기 수평 보스부와 체결되며, 상기 제1결합몸체부는 상기 제1삽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결합몸체부는 상기 제2삽입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1결합몸체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1헤드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1결합몸체부 및 상기 제1헤드부는 상기 하우징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1결합몸체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1헤드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1결합몸체부 및 상기 제1헤드부는 상기 하우징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하우징 제1램프 어셈블리가 장착될 수 있는 제1장공부 및 제2램프 어셈블리가 장착될 수 있는 제2장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홀더는 제1램프 어셈블리의 리플렉터가 체결될 수 있는 제1장공부 및 제2램프 어셈블리의 리플렉터가 체결될 수 있는 제2장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램프 홀더를 하우징에 장착함에 있어서, 리브부와 보스부의 상호체결에 의한 장착점을 더 포함함으로써, 램프 홀더를 하우징에 더욱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리브부와 보스부의 체결을 통해, 차량이 진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력이 램프 홀더에 전해짐으로써 램프 홀더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 진동으로 인한 램프 홀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구조의 자동차용 4등식 헤드 램프의 에이밍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4등식 헤드 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4등식 헤드 램프의 하우징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4등식 헤드 램프의 램프 홀더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4등식 헤드 램프의 하우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 보스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 보스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 보스부와 상기 수직 보스부와 체결되는 리브부의 이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 보스부와 상기 수평 보스부와 체결되는 리브부의 이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4등식 헤드 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4등식 헤드 램프의 하우징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4등식 헤드 램프의 램프 홀더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4등식 헤드 램프의 하우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 보스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 보스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 보스부와 상기 수직 보스부와 체결되는 리브부의 이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 보스부와 상기 수평 보스부와 체결되는 리브부의 이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구조의 자동차용 4등식 헤드 램프의 에이밍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헤드 램프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하우징은 대부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자동차용 4등식 헤드 램프(10)는 헤드램프의 리플렉터를 각각 상향 램프 리플렉터(11a)와, 하향 램프 리플렉터(11b)로 분리하여 형성하고, 상기 양 리플렉터(11a)(11b)의 후방을 램프 홀더(12)의 양단에 연결한다.
이때, 상기 램프 홀더(12)의 대략 중앙 하부에는 하우징(14)에 고정된 지지핀(13)이 피봇 지지하고 있고, 상기 램프 홀더(12)의 지지핀(13)의 피봇점 상부에는 하우징(미도시)에 나사 결합되는 수직용 에어밍 로드(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램프 홀더(12)의 일측, 예를 들면, 수직용 에어밍 로드(17)의 우측에는 하우징(미도시)에 나사 결합되는 수평용 에이밍 로드(18)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램프 홀더(12)가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은 피봇 포인트 1점, 수직용 에이밍 로드 1점 및 수평용 에이밍 로드 1점을 포함한 3점에 의해 장착되게 된다.
상기 4등식 헤드 램프는 수직 및 수평방향의 에이밍을 할 때 지지핀(13)을 지점으로 램프 홀더(12)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움직이는 바, 즉 수직 방향의 에이밍시에는 수직용 에이밍 로드(17)의 볼트를 회전하면 램프 홀더(12)가 지지핀(13)을 지점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수평방향의 에이밍 시에는 수평용 에이밍 로드(18)의 볼트를 회전하면 램프 홀더(12)가 지지핀(13)을 지점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에이밍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별도의 램프 홀더에 상향 램프 어셈블리와 하향 램프 어셈블리를 수용시키는 경우, 램프 홀더에 가해지는 무게가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상술한 3점, 즉, 피봇 포인트 1점, 수직용 에이밍 로드 1점 및 수평용 에이밍 로드 1점으로는 램프 홀더를 하우징에 장착하는 것이 어렵다.
특히, 차량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하여, 상기 램프 홀더가 상하좌우로 크게 흔들리는 경우에는, 하우징으로부터 램프 홀더가 이탈될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어, 차량 진동으로 인한 램프 홀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인식에 따라, 본 고안자들은 다음과 같은 자동차용 헤드 램프의 구조를 고안하였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4등식 헤드 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4등식 헤드 램프의 하우징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4등식 헤드 램프의 램프 홀더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하우징과 램프 홀더의 구조에 특징이 있으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 도 3a 및 도 3b에서는 리플렉터를 포함한 램프 에셈블리의 구성은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먼저,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4등식 헤드 램프(100)의 하우징(200)은 헤드 램프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것으로, 제1램프 어셈블리, 예를 들면, 하향 램프 어셈블리가 장착될 수 있는 제1장공부(210) 및 제2램프 어셈블리, 예를 들면, 상향 램프 어셈블리가 장착될 수 있는 제2장공부(220)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와는 반대로, 제1장공부에 상향 램프 어셈블리가 장착될 수 있고, 제2장공부에 하향 램프 어셈블리가 장착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상향 램프 어셈블리 및 하향 램프 어셈블리를 장착할 수 있는 각각의 장공부를 포함한다면, 이들의 상향 또는 하향 램프 어셈블리의 장착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4등식 헤드 램프의 하우징(200)은 후술하는 램프 홀더의 피봇 포인트부,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 및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에 각각 대응하도록 피봇 포인트부(250),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240) 및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230)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피봇 포인트부(250)의 상부에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240)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가 하부에 위치하고, 피봇 포인트부가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4등식 헤드 램프의 하우징(200)은 후술하는 램프 홀더의 보스부와 체결되는 리브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리브부는 후술하는 램프 홀더의 제1보스부와 체결되는 제1리브부(260), 램프 홀더의 제2보스부와 체결되는 제2리브부(270) 및 램프 홀더의 제3보스부에 체결되는 제3리브부(280)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도면에는 상기 리브부가 3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적어도 하나의 리브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따라서, 본 고안에서 상기 리브부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각각의 리브부는 램프 홀더의 보스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보스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리브부(260)는 제1삽입부(262) 및 제1지지부(261)를 포함하고, 제2리브부(270)는 제2삽입부(272) 및 제2지지부(271)를 포함하며, 제3리브부(280)는 제3삽입부(282) 및 제3지지부(281)를 포함한다.
한편,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4등식 헤드 램프의 하우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리브부의 형상은 삽입부와 지지부를 포함하면 충분한 것으로, 도 3c와 같은 형상으로 리브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고안에서 상기 리브부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리브부(260')가 제1삽입부(262') 및 제1지지부(261')를 포함하고, 제2리브부(270')가 제2삽입부(272') 및 제2지지부(271')를 포함하며, 제3리브부(280')가 제3삽입부(282') 및 제3지지부(281')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면, 본 고안에서 상기 리브부의 형상은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4등식 헤드 램프의 램프 홀더(300)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으로, 헤드 램프 어셈블리의 리플렉터를 체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램프 홀더는 제1램프 어셈블리, 예를 들면, 하향 램프 어셈블리의 리플렉터가 체결될 수 있는 제1장공부(310) 및 제2램프 어셈블리, 예를 들면, 상향 램프 어셈블리의 리플렉터가 체결될 수 있는 제2장공부(320)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와는 반대로, 제1장공부에 상향 램프 어셈블리의 리플렉터가 장착될 수 있고, 제2장공부에 하향 램프 어셈블리의 리플렉터가 체결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상향 램프 어셈블리 및 하향 램프 어셈블리의 리플렉터를 체결할 수 있는 각각의 장공부를 포함한다면, 이들의 상향 또는 하향 램프 어셈블리의 리플렉터의 체결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램프 홀더의 제1장공부 및 제2장공부의 위치는 상기 하우징의 제1장공부 및 제2장공부와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4등식 헤드 램프의 램프 홀더(300)는 상기 하우징의 피봇 포인트부,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 및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에 각각 대응하도록 피봇 포인트부(350),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340) 및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330)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피봇 포인트부(350)는 상기 램프 홀더(300)의 대략 중앙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340)는 상기 피봇 포인트부(35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330)는 상기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340)의 좌측 또는 우측(도면상에서는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피봇 포인트부(350)의 상부에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340)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가 하부에 위치하고, 피봇 포인트부가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차량용 헤드 램프는 상술한 램프 홀더와 하우징 각각의 피봇 포인트부,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 및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가 결합되어, 도 1에서와 같은 피봇 포인트부,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 및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들 피봇 포인트부,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 및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에 관한 사항은 당업계에서 자명한 것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4등식 헤드 램프의 램프 홀더(300)는 상기 하우징의 리브부와 체결되는 보스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보스부는 상기 하우징의 제1리브부(260)와 체결되는 제1보스부(360), 상기 하우징의 제2리브부(270)와 체결되는 제2보스부(370) 및 상기 하우징의 제3리브부(280)와 체결되는 제3보스부(380)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보스부의 개수도 상기 리브부의 개수와 동일하게, 적어도 하나의 보스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따라서, 본 고안에서 상기 보스부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보스부는 수직 보스부(360, 370) 및 수평 보스부(3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보스부(360, 370)는 각각 헤드부(361, 371)와 결합몸체부(362, 3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보스부(380)는 결합몸체부(380)만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수직 보스부(360)는 제1헤드부(361)와 제1결합몸체부(362)를 포함하고, 제2수직 보스부(370)는 제2헤드부(371)와 제2결합몸체부(372)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보스부(380)는 제3결합몸체부(38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수직 보스부(360)는 상기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34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수직 보스부(370)는 상기 피봇 포인트부(35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보스부(380)은 상기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330)가 형성된 일측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330)가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평 보스부는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330)가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평 보스부는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4등식 헤드 램프는 하우징(200)에 리브부를 포함하고, 램프 홀더(300)에 보스부를 포함하여, 이들을 상호 체결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구조의 자동차용 헤드 램프는 램프 홀더가 하우징에 장착됨에 있어서, 피봇 포인트 1점, 수직용 에이밍 로드 1점 및 수평용 에이밍 로드 1점으로 램프 홀더를 하우징에 장착하였으나, 본 고안에의 자동차용 헤드 램프는 이러한 피봇 포인트부,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 및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의 3점과 더불어, 리브부와 보스부의 상호체결에 의한 장착점을 더 포함함으로써, 램프 홀더를 하우징에 장착함에 있어서,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차량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하여, 상기 램프 홀더가 상하좌우로 크게 흔들리는 경우에는, 하우징으로부터 램프 홀더가 이탈할 수 있는데, 리브부와 보스부의 체결을 통해, 차량이 진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력이 램프 홀더에 전해짐으로써 램프 홀더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 진동으로 인한 램프 홀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 보스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 보스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는 피봇 포인트부(350),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340) 및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3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의 경우,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일측(도면에서는 좌측)에 위치하므로, 상기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가 형성되지 않은 측(도면에서는 우측)에 수평 보스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상기 수평 보스부는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가 형성된 일측의 반대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램프 홀더에 가해지는 무게를 적절히 분산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 보스부는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340) 및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330)를 연결한 연장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평 보스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수평 보스부와 체결하기 위한 리브부를 하우징에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는 피봇 포인트부(350),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340) 및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3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램프 홀더에 가해지는 무게를 적절히 분산하기 위하여, 수직 보스부는 피봇 포인트부(350) 및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340)를 연결한 연장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직 보스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수직 보스부와 체결하기 위한 리브부를 하우징에 형성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 보스부와 상기 수직 보스부와 체결되는 리브부의 이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도 5a 및 도 5b에서는 상술한 제1수직 보스부를 기준으로 도시하였으며, 이는 제2수직 보스부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는 수직 보스부와 체결되는 리브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와 상기 평면도를 X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를 도시하였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직 보스부(360)는 제1헤드부(361)와 제1결합몸체부(362)를 포함하며, 이는 상술한 하우징의 제1리브부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1리브부는 제1삽입부(262) 및 제1지지부(261)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몸체부(362)가 상기 제1삽입부(262)에 삽입된다.
이때, 평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제1결합몸체부(362)는 상기 제1지지부(261)와 일정 간격(G2)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1헤드부(361)도 상기 제1지지부(261)와 일정 간격(G1)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측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제1결합몸체부(362) 및 제1헤드부(361)는 상기 제1리브부가 형성되는 하우징(200)과도 일정 간격(G3)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수직 보스부는 하우징 및 제1지지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데, 이는 제1수직 보스부가 하우징 또는 제1지지부와 접촉함에 따라, 에이밍 작업시 수직 보스부에 의해 램프 홀더의 이동을 방해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일정 간격의 이격거리를 결정함에 있어서, 에이밍 작업시 램프 홀더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수직 보스부가 하우징 및 제1지지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더라도, 그 일정 간격만큼만 램프 홀더가 흔들릴 것이므로, 차량이 큰 힘으로 진동하는 경우 발생되는 진동력이 램프 홀더에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도 5a와는 달리, 제1결합몸체부(362)는 제1지지부(261)와 접촉하면서, 제1수직 보스부가 제1리브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이는 제1결합몸체부(362)가 제1지지부(261)와 접촉하더라도, 에이밍 작업시 램프 홀더의 이동을 거의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을 접촉시켜 체결함으로써, 차량 진동으로 인한 램프 홀더의 이탈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 보스부와 상기 수평 보스부와 체결되는 리브부의 이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6a 및 도 6b에는 수평 보스부와 체결되는 리브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와 상기 평면도를 Y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를 도시하였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보스부(380)는 제3결합몸체부(380)만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상기 하우징의 제3리브부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3리브부는 제3삽입부(282) 및 제3지지부(281)를 포함하고, 상기 제3결합몸체부(380)가 상기 제3삽입부(282)에 삽입된다.
이때, 평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제3결합몸체부(380)는 상기 제3지지부(281)와 일정 간격(G4)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측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제3결합몸체부(380)는 상기 제3리브부가 형성되는 하우징(200)과도 일정 간격(G5)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수평 보스부는 하우징 및 제3지지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는데, 이는 수직 보스부와 마찬가지로, 수평 보스부가 하우징 또는 제3지지부와 접촉함에 따라, 에이밍 작업시 수평 보스부에 의해 램프 홀더의 이동을 방해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일정 간격의 이격거리를 결정함에 있어서, 에이밍 작업시 램프 홀더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b를 참조하면, 도 6a와는 달리, 제3결합몸체부(380)는 제3지지부(281)와 접촉하면서, 수평 보스부가 제3리브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이는 수직 보스부와 마찬가지로, 제3결합몸체부(380)가 제3지지부(281)와 접촉하더라도, 에이밍 작업시 램프 홀더의 이동을 거의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을 접촉시켜 체결함으로써, 차량 진동으로 인한 램프 홀더의 이탈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인바,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된 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100 : 자동차용 4등식 헤드 램프 200 : 하우징
210, 310 : 제1장공부 220, 320 : 제2장공부
230, 330 :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
240, 340 :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
250, 350 : 피봇 포인트부 260, 270, 280 : 리브부
360, 370, 380 : 보스부
210, 310 : 제1장공부 220, 320 : 제2장공부
230, 330 :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
240, 340 :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
250, 350 : 피봇 포인트부 260, 270, 280 : 리브부
360, 370, 380 : 보스부
Claims (12)
-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램프 홀더, 피봇 포인트부,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 및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리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홀더는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스부는 상기 리브부에 체결되고,
상기 보스부는,
상기 피봇 포인트부 및 상기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수직 방향에 위치하는 수직 보스부; 및
상기 수평 에이밍 로드부의 수평 방향에 위치하는 수평 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포인트부는 상기 램프 홀더의 중앙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는 상기 피봇 포인트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는 상기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의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보스부는 제1헤드부 및 제1결합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보스부는 제2결합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는 제1삽입부와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리브부 및 제2삽입부와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리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리브부는 상기 수직 보스부와 체결되고, 상기 제2리브부는 상기 수평 보스부와 체결되며,
상기 제1결합몸체부는 상기 제1삽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결합몸체부는 상기 제2삽입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몸체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1헤드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1결합몸체부 및 상기 제1헤드부는 상기 하우징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몸체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1헤드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1결합몸체부 및 상기 제1헤드부는 상기 하우징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몸체부는 상기 제2지지부 및 상기 하우징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몸체부는 상기 제2지지부와 접촉하고, 상기 하우징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보스부는 제1수직 보스부 및 제2수직 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직 보스부는 상기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수직 보스부는 상기 피봇 포인트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평 보스부는 상기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가 위치하는 어느 일측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 보스부와 상기 제2수직 보스부는 상기 피봇 포인트부 및 상기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를 연결한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 보스부는 상기 수직용 에이밍 로드부 및 상기 수평용 에이밍 로드부를 연결한 연장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램프 어셈블리가 장착될 수 있는 제1장공부 및 제2램프 어셈블리가 장착될 수 있는 제2장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홀더는 제1램프 어셈블리의 리플렉터가 체결될 수 있는 제1장공부 및 제2램프 어셈블리의 리플렉터가 체결될 수 있는 제2장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0863U KR200465468Y1 (ko) | 2011-01-28 | 2011-01-28 | 자동차용 헤드 램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0863U KR200465468Y1 (ko) | 2011-01-28 | 2011-01-28 | 자동차용 헤드 램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5662U KR20120005662U (ko) | 2012-08-07 |
KR200465468Y1 true KR200465468Y1 (ko) | 2013-02-20 |
Family
ID=4687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0863U KR200465468Y1 (ko) | 2011-01-28 | 2011-01-28 | 자동차용 헤드 램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5468Y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22553U (ko) * | 1995-11-30 | 1997-06-18 | 자동차용 필러트림의 취부구조 | |
KR20000015066U (ko) * | 1998-12-31 | 2000-07-25 | 신영주 | 공조유니트 에어필터 커버 |
KR100765626B1 (ko) | 2005-12-15 | 2007-10-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팬더패널에 헤드램프 장착구조 |
KR20090005787A (ko) * | 2007-07-10 | 2009-01-14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헤드 램프의 에이밍 장치 |
-
2011
- 2011-01-28 KR KR2020110000863U patent/KR200465468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22553U (ko) * | 1995-11-30 | 1997-06-18 | 자동차용 필러트림의 취부구조 | |
KR20000015066U (ko) * | 1998-12-31 | 2000-07-25 | 신영주 | 공조유니트 에어필터 커버 |
KR100765626B1 (ko) | 2005-12-15 | 2007-10-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팬더패널에 헤드램프 장착구조 |
KR20090005787A (ko) * | 2007-07-10 | 2009-01-14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헤드 램프의 에이밍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5662U (ko) | 2012-08-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52422B2 (en) | Fixing structure for a head lamp module of an automobile | |
US9446721B2 (en) | Vehicle camera-securing assembly | |
CN101020441A (zh) | 车辆前部结构 | |
US20090154190A1 (en) | Apparatus for aiming led headlamp | |
US20130051058A1 (en) | Optically adjustable light module | |
JP4614211B2 (ja) | 自動車用の前照灯ブロック及び対応する自動車 | |
KR102272520B1 (ko) | 차량용 후사경 | |
JP2004082829A (ja) | 車載カメラ | |
JP2011098671A (ja) | トーイングトラクタ | |
US7029153B2 (en) | Lighting fixture frame and mounting panel apparatus | |
KR200465468Y1 (ko) | 자동차용 헤드 램프 | |
US7014254B2 (en) | Fastening device for a component installed in a depression in an automotive body part | |
JP2004022324A (ja) | 車輌用前照灯 | |
CN113459942A (zh) | 车辆照明总成和安装方法 | |
KR100909872B1 (ko) | 자동차용 맵 포켓 조립체 | |
JP3636906B2 (ja) | 自動車のランプ取付構造 | |
KR102377542B1 (ko) | 자동차의 조명 장치 | |
KR100683221B1 (ko) | 헤드램프 장착장치 | |
US6561686B1 (en) | Vehicle light mount | |
KR102104884B1 (ko) | 차량용 캐리어 | |
KR100683219B1 (ko) | 차량용 전조등 모듈 | |
JP5588237B2 (ja) | 車輌用前照灯 | |
JP2002205674A (ja) | 車両用カウリング廻り構造 | |
KR20130002782A (ko) | 펜더 조립 구조 및 방법 | |
KR101369976B1 (ko) | 차량용 램프의 진동 방지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