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276Y1 - 쿠션재의 착탈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커버 - Google Patents

쿠션재의 착탈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276Y1
KR200465276Y1 KR2020100000915U KR20100000915U KR200465276Y1 KR 200465276 Y1 KR200465276 Y1 KR 200465276Y1 KR 2020100000915 U KR2020100000915 U KR 2020100000915U KR 20100000915 U KR20100000915 U KR 20100000915U KR 200465276 Y1 KR200465276 Y1 KR 200465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seat cover
opening
head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9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668U (ko
Inventor
조성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탈키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탈키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탈키즈
Priority to KR20201000009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27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6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6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2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1Upholstery, padded or cushioned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6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booster cushions, e.g. to lift a child to allow proper use of the conventional safety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모차나 유아용 카시트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유아용 시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의 성장에 맞추어 시트커버의 쿠션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시트 커버의 어깨부에 수납되는 쿠션재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한 유아용 시트커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쿠션재의 착탈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커버{Seat cover for an infant being capable of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cushion material}
본 고안은 유모차나 유아용 카시트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유아용 시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의 성장에 맞추어 시트커버의 쿠션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시트커버의 어깨부에 수납되는 쿠션재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한 유아용 시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에게 안락감을 제공하고 위생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유모차의 탑승공간이나 자동차의 유아용 안전시트에 별도의 시트커버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유아용 시트커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아용 시트커버(10)는 유아의 머리 부분를 받치는 머리부(20)와, 상기 머리부(20)와 연결부재(21)에 의하여 연결되고 유아의 몸통 부분을 받치는 몸통부(30)와, 상기 몸통부(30)의 하측으로 두 갈레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유아의 다리 부분을 받치는 다리부(40)와, 상기 몸통부(30)의 좌측과 우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유아의 어깨 부분을 받치는 어깨부(50)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머리부(20), 몸통부(30), 다리부(40) 및 어깨부(50)의 테두리는 봉합부(60)가 형성되어 이들을 마감하고 있다.
이러한 유아용 시트커버(10)의 머리부(20), 몸통부(30), 다리부(40) 및 어깨부(50)는 유아에게 안락한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푹신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어깨부(50)의 내부에는 쿠션재(70)가 충전된다.
도 2 는 도 1 의 A-A' 선 단면도로서, 상기 어깨부(50)의 내부에는 유아에게 안락한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재(70)가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 쿠션재(70)의 상부는 완만하게 돌출된 볼록면(71)을 이루고, 하부는 평평한 평탄면(72)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어깨부(50)에 충전된 쿠션재(70)에 의하여 충분한 쿠션감이 제공되므로, 시트커버에 앉은 유아에게 안락감을 제공함은 물론 어깨부(50)가 쿠션재(70)에 의하여 정면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돌출된 쿠션재(70)에 의하여 유아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겸하게 된다.
그런데, 유아가 성장하면서 신장이나 가슴 둘레가 커지게 되면, 어깨부(50)에 충전된 쿠션재(70)가 유아의 어깨 부분에 걸리게 되면서 오히려 유아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러한 경우 시트커버를 보다 큰 사이즈의 것으로 교체하거나 시트커버의 사용을 아예 포기하게 되므로 물자의 낭비를 불러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라나는 유아의 성장에 맞추어 시트커버의 쿠션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시트커버의 어깨부에 수납되는 쿠션재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 유아용 시트커버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유아용 시트커버의 구성은, 유모차의 탑승공간이나 자동차의 유아용 안전시트에 장착하여 사용하되, 유아의 머리 부분를 받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와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고 유아의 몸통 부분을 받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좌측과 우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유아의 어깨 부분을 받치는 어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아용 시트커버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의 배면에 형성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어깨부의 정면과 배면 사이의 내부 공간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는 쿠션재; 및 상기 개구부에 구비된 개폐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 유아용 시트커버는, 어깨부로 충입되는 쿠션재를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아의 신장이나 가슴둘레가 자람에 따른 어깨 부분의 걸림 현상을 해소할 수 있으며 아울러 큰 사이즈의 시트커버로 교체할 필요가 없어 물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및 도 2 는 종래 유아용 시트커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 은 정면도, 도 2 는 도 1 의 A-A' 선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유아용 시트커버의 배면도,
도 4 는 본 고안 실시예의 유아용 시트커버의 재질을 나타낸 도면,
도 5 는 본 고안 유아용 시트커버의 측면도로서, 도 5a 는 쿠션재의 볼록면을 시트커버의 전면 방향으로 삽입할 경우의 측면도이고, 도 5b 는 쿠션재의 볼록면을 시트커버의 배면 방향으로 삽입할 경우의 측면도,
도 6 은 본 고안 실시예의 유아용 시트커버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유아용 시트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은 본 고안 유아용 시트커버를 도시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 유아용 시트커버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상술한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유아용 시트커버(1)에 도시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의 도면 부호는 상호 동일하게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유아용 시트커버(1)의 정면 부분은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유아용 시트커버(1)와 동일하다.
즉, 본 고안 유아용 시트커버(1)는 유아의 머리 부분를 받치는 머리부(20)와, 상기 머리부(20)와 연결부재(21)에 의하여 연결되고 유아의 몸통 부분을 받치는 몸통부(30)와, 상기 몸통부(30)의 하측으로 두 갈레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유아의 다리 부분을 받치는 다리부(40)와, 상기 몸통부(30)의 좌측과 우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유아의 어깨 부분을 받치는 어깨부(50)와, 상기 머리부(20), 몸통부(30), 다리부(40) 및 어깨부(50)의 테두리는 봉합부(60)를 포함한다.
본 고안 유아용 시트커버(1)의 어깨부(50)의 배면에는 개구부(100)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00)를 통하여 어깨부(50)의 정면과 배면 사이의 내부 공간에 쿠션재(70)를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100)는 개폐수단(110)이 구비되어, 쿠션재(70)가 개구부(100)를 통하여 삽입된 후 개구부(100)를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개폐수단(110)은 상기 개구부(100)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수단이라면 공지된 모든 수단이 사용가능하고, 본 고안 실시예는 도시된 바와 같은 통상의 지퍼를 사용하였으나, 통상의 벨크로 테이프(일명, '찍찍이') 또는 단추를 사용하는 것도 좋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00)에 의하여 쿠션재(70)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은 재봉 처리된 마감선(101)에 의하여 몸통부(30)와 격리되어 있다.
상기 쿠션재(70)는 상술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완만하게 돌출된 볼록면(71)을 이루고, 하부는 평평한 평탄면(72)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유아용 시트커버(1)는 신장이나 가슴둘레의 크기가 적은 체형의 유아를 앉힐 경우에는 상기 쿠션재(70)를 어깨부(50)에 삽입시켜 사용하고, 신장이나 가슴둘레가 큰 체형의 유아를 앉힐 경우에는 상기 쿠션재(70)를 어깨부(50)로부터 제거하여 사용함으로써, 유아의 성장 상황에 맞추어 쿠션감을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유아의 불편함을 덜어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고안 유아용 시트커버(1)의 머리부(20)에도 별도의 쿠션재(미도시)가 충전되는데, 시트커버(1)를 별도의 머리보호대(미도시)가 구비된 자동차의 유아용 카시트에 장착할 경우, 이 머리보호대의 위로 머리부(20)에 충전된 쿠션재가 중첩되면서 시트커버(1)에 앉은 유아의 머리에 불편함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어깨부(50)에 쿠션재(70)를 삽입식으로 탈착시키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고안 유아용 시트커버(1)의 상기 머리부(20)의 배면에 개구부(미도시)를 형성하고, 이 머리부(20) 배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머리부(20)의 정면과 배면 사이의 내부 공간에 별도의 쿠션재를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머리부(20)의 배면에 형성되는 개구부에는 지퍼 등의 개폐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쿠션재가 삽입된 후 개구부를 닫을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본 고안 유아용 시트커버(1)의 머리부(20) 배면에도 별도의 쿠션재를 착탈시킬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머리보호대가 구비된 유아용 카시트에 본 고안 유아용 시트커버(1)를 장착할 경우 머리부(20)의 배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쿠션재를 제거하여 사용하고, 머리보호대를 구비하지 않은 유아용 카시트에 본 고안 유아용 시트커버(1)를 장착할 경우 쿠션재가 삽입된 상태로 사용한다.
도 4 는 본 고안 유아용 시트커버(1)의 머리부(20), 몸통부(30), 다리부(40) 및 어깨부(50)에 사용되는 부재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머리부(20), 몸통부(30), 다리부(40) 및 어깨부(50)의 정면 부분(이하, '시트커버의 정면 부분'으로 통칭)은 메쉬(Mesh) 형태의 부재(200)를 이용하고, 이들 부분(20,30,40,50)의 배면 부분(이하, '시트커버의 배면 부분'으로 통칭)은 통상의 천 재질의 부재를 이용한다.
상기 정면 부분에 사용된 메쉬 형태의 부재(200)는, 망 구조 형태를 가지되 수직으로 견고하게 받치고 있는 3차원 입체 메쉬의 구조로 이루어져 하절기에는 통풍 효과에 따른 청량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시트커버(1)의 정면 부분이 메쉬 형태의 부재(200)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시트커버(1)의 배면 부분을 통상의 면 소재나 통상의 기모 재질의 천(미도시)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시트커버(1)의 배면 부분을 통상의 기모 재질로 이용하여 구성하게 되면, 하절기에는 상기 메쉬 형태의 부재(200)로 이루어진 정면 부분에 유아를 앉혀서 사용하다가, 동절기에는 기모 재질로 이루어진 시트커버(1)의 배면 부분에 유아를 앉힘으로써 유아에게 더 나은 보온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메쉬 형태 부재(200)로 이루어진 정면 부분이 상대적으로 배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시트커버(1)의 배면 부분을 면 소재로 구성하게 되면, 본 고안 시트커버(1)의 배면 부분을 이용하여 유아를 앉힐 경우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시트커버(1)의 배면 부분을 정면 부분과 동일한 재질의 메쉬 형태의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배면 부분에 사용되는 메쉬 형태의 부재는 정면 부분에 사용되는 메쉬 형태의 부재보다 그 두께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시트커버(1)의 정면 부분이 메쉬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시트커버(1)의 배면 부분을 상술한 바와 같은 기모 재질, 면 소재 또는 메쉬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절기에는 쿠션재(70)의 볼록면(71)을 시트커버(1)의 정면 방향으로 삽입하고, 동절기에는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재(70)의 볼록면(71)을 시트커버(1)의 배면 방향으로 삽입하면 된다.
도 6 은 본 고안 유아용 시트커버(1)의 사용상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유아용 시트커버(1)를 유모차(300) 또는 자동차의 유아용 안전시트(미도시)에 거치시키고, 유모차(300) 또는 유아용 안전시트에 부속된 고정끈(310)을 본 고안 시트커버(1)의 머리부(20)와 몸통부(30) 사이 및 몸통부(30)와 다리부(40) 사이에 고정시켜 본 고안 시트커버(1)를 유모차에 장착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 유아용 시트커버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본 고안 유아용 시트커버
10; 종래 유아용 시트커버
20; 머리부
30; 몸통부
40; 다리부
50; 어깨부
60; 봉합부
70; 쿠션재
71; 볼록면
72; 평탄면
100; 개구부
101; 봉합선
110; 개폐수단

Claims (2)

  1. 유모차의 탑승공간이나 자동차의 유아용 안전시트에 장착하여 사용하되, 유아의 머리 부분를 받치는 머리부(20)와, 상기 머리부(20)와 연결되고 유아의 몸통부분을 받치는 몸통부(30)와, 상기 몸통부(30)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어 유아의 어깨 부분을 받치는 어깨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아용 시트커버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50)의 배면에 형성된 개구부(100); 및
    상기 개구부(100)를 통하여 상기 어깨부(50)의 정면과 배면 사이의 내부 공간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는 쿠션재(70); 및
    상기 개구부(100)에 구비된 개폐수단(11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아용 시트커버의 머리부(20), 몸통부(30), 다리부(40) 및 어깨부(50)의 정면 부분은 메쉬형태의 부재(200)를 이용하고, 이들(20,30,40,50)의 배면 부분은 천 재질의 부재를 이용하고,
    상기 머리부(20)의 배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를 통하여 머리부(20)의 정면과 배면 사이의 내부 공간에 별도의 쿠션재를 탈착가능하게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커버.
  2. 삭제
KR2020100000915U 2010-01-27 2010-01-27 쿠션재의 착탈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커버 KR2004652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915U KR200465276Y1 (ko) 2010-01-27 2010-01-27 쿠션재의 착탈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915U KR200465276Y1 (ko) 2010-01-27 2010-01-27 쿠션재의 착탈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668U KR20110007668U (ko) 2011-08-03
KR200465276Y1 true KR200465276Y1 (ko) 2013-03-08

Family

ID=45596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915U KR200465276Y1 (ko) 2010-01-27 2010-01-27 쿠션재의 착탈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2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379Y1 (ko) * 2012-02-29 2013-12-12 주식회사 토탈키즈 시트패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527Y1 (ko) * 1999-06-02 2000-04-15 김영호 차량용 간이 씨트카바
KR200353453Y1 (ko) * 2004-03-12 2004-06-22 최희교 유아용 시트커버
JP2006102385A (ja) * 2004-10-08 2006-04-20 Motoi Oda チャイルドシート用マ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527Y1 (ko) * 1999-06-02 2000-04-15 김영호 차량용 간이 씨트카바
KR200353453Y1 (ko) * 2004-03-12 2004-06-22 최희교 유아용 시트커버
JP2006102385A (ja) * 2004-10-08 2006-04-20 Motoi Oda チャイルドシート用マ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379Y1 (ko) * 2012-02-29 2013-12-12 주식회사 토탈키즈 시트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668U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290Y1 (ko) 휴대용 목베개
US8239987B2 (en) Headrest pillow and eye mask attachment for neck pillow
KR101493031B1 (ko) 힙 시트 캐리어
US20100155446A1 (en) Device for Carrying a Child
US8683614B2 (en) Pillow bib
KR101922307B1 (ko) 영아용 속싸개
KR20200000890U (ko) 작고 가벼운 폴더블 메모리폼 여행 목베개
JP3170974U (ja) ベビーキャリア
KR200465276Y1 (ko) 쿠션재의 착탈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커버
KR200457649Y1 (ko) 유아용 수유쿠션
KR20110006436U (ko) 수유쿠션 및 다용도베개 세트
JP2013000561A (ja) バッグ兼抱っこ補助具
JP4716608B2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KR20100007076U (ko) 유아용 포대기
KR20100080650A (ko) 수면안대를 포함한 목 베개
JP2000296034A (ja) 足ぐりベルト付ベビーキャリア
JP3029567B2 (ja) ベビーホルダー兼用ウエストバッグ
KR20090012560U (ko) 유아용 포대기
TW201200399A (en) Seat and stroller with seasonal cover
KR200345164Y1 (ko) 조끼형 아기 포대기
KR101593640B1 (ko) 다용도 유아 매트리스
CN205523804U (zh) 座椅布套
KR200470379Y1 (ko) 시트패드
JP3155082U (ja) ベビーキャリア用フード
KR20120066088A (ko) 수유 자세를 자유롭게 하는 수유 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