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079Y1 -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 - Google Patents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079Y1
KR200465079Y1 KR2020120004304U KR20120004304U KR200465079Y1 KR 200465079 Y1 KR200465079 Y1 KR 200465079Y1 KR 2020120004304 U KR2020120004304 U KR 2020120004304U KR 20120004304 U KR20120004304 U KR 20120004304U KR 200465079 Y1 KR200465079 Y1 KR 200465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l
foam
fastener
bath
co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승준
홍명기
Original Assignee
홍명기
송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명기, 송승준 filed Critical 홍명기
Priority to KR2020120004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0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0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 거품타올과 때밀이 타올 간 결합을 통해 목욕 세정이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는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때밀이 타올 구조는, 목욕용 때밀이 타올 구조에 있어서, 천연 극세섬유(極細纖維, ultrafine fiber, microfiber) 재질로 구성되고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형상으로 직조된 거품타올; 및 폴리아미드(Polyamide) 및 비스코스 레이온(Viscose Rayon) 재질로 직조되고 상기 거품타올과 결합하기 위한 파스너(Fastener)가 구비된 때밀이 타올로 이루어지고, 파스너는 후크, 스냅단추, 밸크로 테이프, 체결 띠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때밀이 타올의 양 측면에 재봉되고; 상기 거품타올의 중앙을 마른(Roll up) 후 때밀이 타올이 거품타올을 권취한 상태에서 상기 파스너를 상호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목욕 시 휴대하는 타올의 수를 최소화하고, 장갑형 때밀이 기능, 등밀이용 때밀이 기능을 포함하여, 거품 타올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품 타올과 때밀이 타올을 선택적으로 결합 사용하도록 하여 등밀이 타올의 기능을 유도함에 따라, 목욕용 타올의 기능 대비 제조 단가를 격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BATH TOWEL STRUCTURE COMBINED WITH FOAM TOWEL}
본 고안은 타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거품 타올과 때밀이 타올을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하고, 때밀이 타올과 신체 간의 마찰력으로 인해 때밀이 타올이 거품 타올로부터 밀리거나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욕시에 사용하는 목욕용 때밀이 타올은 속칭 이태리 타올이라 하여, 사각형의 형상으로 된 주머니의 내부에 손을 수납시켜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상기한 때밀이 타올을 사용할 경우에는 혼자서 등 부위를 전체적으로 깨끗하게 닦아낼 수 없기 때문에 수건형상으로 길게 직조된 때밀이 타올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건형상으로 직조된 때밀이 타올을 사용하여 등을 닦아내기 위해서는 때밀이 타올의 양단을 손에 거머쥐고 양팔을 뒤로 젖혀 때밀이 타올을 등 부위에 밀착시키고, 등 부위에 밀착된 때밀이 타올을 양손으로 상하 좌우로 당기게 되므로서 등 부위를 닦아내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건형상으로 직조된 때밀이 타올을 사용하여 등 부위를 닦아내다 보면, 등 중앙의 척추부위에 해당하는 등허리 부위가 신체의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으므로 등허리 부위를 깨끗이 닦아내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으며, 등허리 부분을 닦아내기 위하여 타올을 거머쥔 손에 과도하게 힘을 주게 됨으로써, 양쪽 등과 어깨 부분의 피부가 벌겋게 달아오르게 되어 피부손상을 야기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등을 제외한 다른 신체부위를 닦아낼 경우에는 때밀이 타올에 면수건 등을 감아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피부에 부드러운 감촉을 느끼면서 신체부위를 닦아낼 수 있으나, 등 부위를 닦아낼 경우에는 때밀이 타올 자체만으로 닦아내어야 하므로 사용중에 때밀이 타올이 접혀지거나 구겨짐으로써 피부에 꺼칠꺼칠한 감촉을 느끼게 되어 피부손상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목욕 후라도 개운한 느낌을 가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첨부된 특허문헌은 등밀이용 목욕 타올은, 수건형상으로 직조된 때밀이 타올의 일면 중앙부에는 2개의 탄력밴드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되도록 대응시켜 탄력밴드의 양단을 때밀이 타올과 일체로 재봉하여 형성하고, 때밀이 타올의 양단을 각각의 탄력밴드의 하부로 넣고 뒤집어 때밀이 타올과 탄력밴드에 의한 수납공간부를 형성하고, 수납공간부에는 몸체의 양측이 탄력밴드에 의하여 고정되는 스폰지를 삽입하여 형성함으로써, 목욕시 혼자서라도 수월하게 등허리 부위를 깨끗이 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항상 부드러운 감촉을 느끼면서 등 부위를 닦아낼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등 피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첨부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건형상으로 길게 직조된 때밀이 타올(1)의 일면 중앙부에는 때밀이 타올(1)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2개의 탄력밴드(2,2')를 각각의 탄력밴드(2,2')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대응시키고, 각각의 탄력밴드(2,2') 양단을 때밀이 타올(1)과 일체로 재봉함으로써 탄력밴드(2,2')를 때밀이 타올(1)의 일면에 고정 형성하게 되며, 탄력밴드(2,2')를 재봉할 경우에는 길이가 서로 다른 양변의 끝단이 매끄러운 곡선으로 연결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재봉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의 때밀이 타올(1)과 탄력밴드(2,2')가 일체로 재봉되지 않은 부분을 통하여 때밀이 타올(1)의 양단을 각각의 탄력밴드(2,2') 하부로 집어 넣어 빼내게 되면, 때밀이 타올(1)과 탄력밴드(2,2')가 일체로 재봉된 부분이 안으로 접히면서 때밀이 타올(1)이 뒤집히게 되어, 때밀이 타올(1)의 접혀진 부분과 때밀이 타올(1)에 재봉되지 않은 탄력밴드(2,2,)의 일부분에 의하여 수납공간부(2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수납공간부(20)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한 몸체의 각 모서리 부분을 삽입의 편의를 위하여 둥그스름하게 깍아낸 스폰지(3)를 때밀이 타올(1)의 접혀진 부분에 의하여 스폰지(3)가 덮혀지도록 삽입하고, 스폰지(3)의 양측면이 상기 탄력밴드(2,2')의 하측에서 탄력적으로 고정되도록 형성한 구성으로 되며, 수납공간부(20)에 스폰지(3)를 삽입하는 대신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면수건을 적당한 형상으로 접어서 삽입할 수도 있다.
따라서, 등밀이용 목욕 타올을 사용하여 등 부위를 닦아내게 되면, 스폰지(3)나 면수건이 삽입된 수납공간부(20)가 상하로 불룩하게 불거져 나오게 됨으로써, 스폰지(3)나 면수건이 가지는 특유의 푹신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부드러운 감촉을 느끼면서 신체의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 등허리 부위뿐만 아니라 등 부위 전체를 구석구석까지 손쉽게 닦아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술된 특허 문헌은 탄력밴드를 이용하여 수납공간부를 형성하고, 수납 공간부에 스폰지를 삽입하도록 구성하여 등 부위의 세정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하나, 등밀이 용도를 제외한 타 부위의 세정 시에는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더욱이, 목욕 시에는 전술된 등밀이용 목욕 타올을 포함하여 거품타올, 때밀이 손 타올 등 여러 종류의 타올을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지적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80440, 등록일자 2000년 02월 17일, 고안의 명칭 '등밀이용 목욕타올'.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목욕 시 휴대하는 타올의 수를 최소화하고, 장갑형 때밀이 기능, 등밀이용 때밀이 기능을 포함하여, 거품 타올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거품 타올과 때밀이 타올을 착탈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공중 목욕탕에 구비된 거품타올 또는 수건과 용이하게 결합하여 사용의 편의성과 휴대의 간편성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거품 타올과 때밀이 타올을 선택적으로 결합 사용하도록 하여 등밀이 타올의 기능을 발휘함에 따라, 목욕용 타올의 기능 대비 제조 단가를 격감시킬 수 있는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관점에 따른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는, 목욕용 때밀이 타올 구조에 있어서, 천연 극세섬유(極細纖維, ultrafine fiber, microfiber) 재질로 구성되고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형상으로 직조된 거품타올; 및 폴리아미드(Polyamide) 및 비스코스 레이온(Viscose Rayon) 재질로 직조되고 상기 거품타올과 결합하기 위한 파스너(Fastener)가 구비된 때밀이 타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때밀이 타올은 손 내입부가 마련된 벙어리 장갑 형태, 사각형, 원형, 양측 개구면에 밴드가 장착된 원통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봉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파스너는 후크, 스냅단추, 밸크로 테이프, 체결 띠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때밀이 타올의 양 측면에 재봉되고; 상기 거품타올의 중앙을 마른(Roll up) 후 때밀이 타올이 거품타올을 권취한 상태에서 상기 파스너를 상호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는, 목욕 시 휴대하는 타올의 수를 최소화하고, 장갑형 때밀이 기능, 등밀이용 때밀이 기능을 포함하여, 거품 타올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품 타올과 때밀이 타올을 선택적으로 결합 사용하도록 하여 등밀이 타올의 기능을 유도함에 따라, 목욕용 타올의 기능 대비 제조 단가를 격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공중 목욕탕을 이용할 경우, 비축된 거품타올 또는 수건을 이용하여 등밀이용 때밀이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등밀이용 목욕 타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목욕 타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때밀이 타올에 대한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거품타올에 대한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거품타올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목욕용 타올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목욕용 타올을 구성하는 거품타올과 때밀이 타올의 착탈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천연 극세섬유(極細纖維, ultrafine fiber, microfiber) 재질로 구성되고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형상으로 직조된 거품타올(210)과, 폴리아미드(Polyamide) 및 비스코스 레이온(Viscose Rayon) 재질로 직조되고 상기 거품타올(210)과 결합하기 위한 파스너(Fastener:221)가 구비된 때밀이 타올(2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때밀이 타올(220)은 벙어리 장갑 형태이거나, 사각 또는 원형으로 봉재되며, 일측 면에 손 내입부(223)가 마련된다. 또는, 상기 때밀이 타올(220)은 원통 구조를 갖도록 하고, 원통 구조의 양 개구면에 밴드를 장착함으로써 개구면을 통해 목욕용 타올 또는 임의의 수건을 인입시켜 때밀이 타올(220)과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때밀이 타올(220)과 거품타올(210) 간의 결합구조는 이탈이 가능한 구조를 전제로 하는 것으로, 이는 때밀이 타올(220)이 거품타올(210)과 결합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신체의 일부를 세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때밀이 타올(220)을 이용하여 등 부위를 제외한 신체의 일부를 스스로 세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손 내입부(223)로 사용자의 손을 인입시켜 신체 일부를 세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때밀이 타올(220)의 양측면에는 파스너(221)가 부착되어 있어, 세정 과정에서 피부상처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때밀이 타올(220)만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때밀이 타올(220)의 손 내입부(223)를 이용하여 때밀이 타올(220)을 뒤집어 사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등 부위에 해당하는 신체를 세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파스너(221)를 이용하여 거품타올(210)과 때밀이 타올(220)을 결합하여 사용토록 하는데, 상기 때밀이 타올(220)이 거품타올(210)의 중앙 위치를 권취하도록 한다.
이에, 상기 파스너(221)는 후크, 스냅단추, 밸크로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때밀이 타올(220)의 양 측면(앞면 및 뒷면)에 파스너(221)가 한 쌍을 이루도록 각각 재봉된다. 상기 파스너(221)로 사용되는 후크, 스냅단추는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신체 세정과정에서 스크레치에 의한 상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에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파스너(221)는 때밀이 타올(220)의 양 측면 구비되어, 거품타올(210)의 중앙을 마른(Roll up) 후 때밀이 타올(220)이 거품타올(210)을 권취한 상태에서 상기 파스너(221)를 상호 체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파스너(221)의 설치 간격을 좁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때밀이 타올(220)이 거품타올(210)을 견고히 권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파스너(221)의 설치 간격은 거품타올(210)의 폭에 따라 오차가 있을 수 있으나, 때밀이 타올(220)의 신축성을 감안할 때 파스너(221)의 간격(L)은 고정되며, 대략 4cm 내지 7cm 간격을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거품타올(210)과 때밀이 타올(220)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는 거품타올(210)과 때밀이 타올(220)이 상호 결합하기 이전에, 사용자 취향에 따라 거품타올(210)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거품타올(210)을 이용하여 거품 샤워를 할 수 있으며, 거품 샤워가 완료되면 상기 거품타올(210)과 때밀이 타올(220)을 결합하여 신체 등 부위를 세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타올(210)의 중앙 위치로 때밀이 타올(220)을 권취하는데, 상기 때밀이 타올(220)의 종단부에 구비된 파스너(221)를 이용하여 때밀이 타올(220)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파스너(221)는 후크, 스냅단추, 밸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파스너(221)는 밸크로 테이프로 적용될 수 있는데, 이는 때밀이 타올(220)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거품타올(210)과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파스너(221)를 이용하여 거품타올(210)과 때밀이 타올(2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사용자는 거품타올(210)의 양 종단을 잡고 신체의 등 부위를 용이하게 세정하게 된다.
그리고, 신체의 등 부위 세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는 거품타올(210)과 때밀이 타올(220)을 분리하는데, 상기 파스너(221)가 밸크로 테이프일 경우 강제적으로 파스너(221)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때밀이 타올(220)이 독립적으로 분리되면, 때밀이 타올(220)을 세척한 후 때밀이 타올(220)의 손 내입부(223)를 통해 때밀이 타올(220)을 뒤집어 신체 부위를 세정한다. 때밀이 타올(220)을 뒤집는 것은, 때밀이 타올(220)의 외피에 파스너(221)가 재봉되어 있음에 따라, 신체 세정과정에서 신체 부위에 스크레치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파스너(221)에 대한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때밀이 타올(220)은 손 내입부(223)를 중심으로 양측단에 재봉되어 상기 거품타올(210)과 묶음 결합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띠(225)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띠(225)는 때밀이 타올(22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때밀이 타올(220)의 제조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때밀이 타올(220)이 거품타올(210)의 중앙 위치를 권취한 후, 상호 대향하는 두 개의 체결띠(225)를 묶음 처리함으로써, 때밀이 타올(220)과 거품타올(210) 간의 견고한 결합을 형성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체결띠(225)는 손 내입부(223)를 중심으로 양측부에 각각 마련되고 있으나, 손 내입부(223)를 중심으로 어느 일측부에 하나 또는 두 개의 체결띠(2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체결띠(225)의 종단부 및 체결띠(225)와 대향하는 때밀이 타올(220)의 위치에 밸크로 테이프를 재봉하는 구조로서, 때밀이 타올(220)과 거품 타올(210)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거품타올(210)과 때밀이 타올(220) 간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거품타올(210)의 중앙 위치와 상기 때밀이 타올(220)의 일면에 상호 결합을 위한 체결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타올(210)의 중앙에 부착수단(213)을 재봉하고, 상기 때밀이 타올(220)의 일측면에 상기 부착수단(213)과 대응하는 결합수단(227)을 재봉함으로써, 때밀이 타올(220)을 거품타올(210)에 결합 시 때밀이 타올(220)의 유동이나 이탈을 방지한다.
물론, 상기 때밀이 타올(220)은 체결수단 이외에 전술된 파스너(221)를 통해 거품타올(210)과 결합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체결수단은 밸크로 테이프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후크, 스냅 단추 등으로 적용하여도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체결수단은 거품타올(210)의 부착수단(213)과 때밀이 타올(220)의 결합수단(227)을 통해 상호 결합을 도모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거품타올(210)의 중앙 위치에 요철 홈을 형성함으로써, 때밀이 타올(2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낸 거품타올(210)을 도시하고 있으며, 거품타올(210)의 중앙 위치에 상기 때밀이 타올(220)의 길이에 대응하는 폭으로 요철홈(601)을 형성한다. 이러한 요철홈(601)은 때밀이 타올(220)이 안착되어 권취되기 위한 공간으로, 상기 때밀이 타올(220)은 거품타올(210)과 결합된 후, 상기 요철홈(601)에 의해 상하 유동이 억제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거품타올(210)과 때밀이 타올(220)을 결합시켜 신체의 등 부위를 세정하고자 할 경우, 거품타올(210)의 상하 반복 운동에 의해 때밀이 타올(220)이 거품타올(210) 상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요철홈(601)은 거품타올(210)의 중앙 위치에 구비되며, 다수 개의 요철홈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제시하고 있는 거품타올(210) 및 때밀이 타올(220)의 결합 구조는 사용자의 신체 등 부위를 용이하게 때밀이 하기 위한 구조이나, 거품타올(210)에서 발생하는 비누거품을 이용하여 신체 등 부위를 때밀이 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때밀이 타올(220)만을 가지고 신체 등 부위를 세정할 때 피부 손상 우려가 존재하는 만큼, 거품타올(210)과 때밀이 타올(220)을 결합하여 거품을 유도함과 동시에 신체 등 부위의 세정이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고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때밀이 타올(220)의 외피에는 스냅 단추, 체결 띠, 밸크로 테이프 등으로 구성된 파스너가 부착되고 있음에 따라, 때밀이 타올(220)을 뒤집어 휴대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때밀이 타올(220)을 뒤집은 상태로 판매함으로써, 외관상 제품의 상품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러한 때밀이 타올(220)을 공중 목욕탕을 이용할 경우, 때밀이 타올(220)만을 휴대함으로써 비축된 거품타올 또는 수건과 결합하여 등밀이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제품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200 : 목욕용 타올 210 : 거품 타올
213 : 부착수단 220 : 때밀이 타올
223 : 손 내입부 225 : 체결띠
601 : 요철홈

Claims (6)

  1. 목욕용 때밀이 타올 구조에 있어서,
    천연 극세섬유(極細纖維, ultrafine fiber, microfiber) 재질로 구성되고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형상으로 직조된 거품타올(210); 및
    폴리아미드(Polyamide) 및 비스코스 레이온(Viscose Rayon) 재질로 직조되고 상기 거품타올(210)과 결합하기 위한 파스너(Fastener:221)가 구비된 때밀이 타올(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스너(221)는 후크, 스냅단추, 밸크로 테이프, 체결 띠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때밀이 타올(220)의 양 측면에 재봉되고, 상기 거품타올(210)의 중앙을 마른(Roll up) 후 때밀이 타올(220)이 거품타올(210)을 권취한 상태에서 상기 파스너(221)를 상호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때밀이 타올(220)은 손 내입부(223)가 마련된 벙어리 장갑 형태, 사각형, 원형, 양측 개구면에 밴드가 장착된 원통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봉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타올(210)의 중앙에 부착수단(213)을 재봉하고;
    상기 때밀이 타올(220)의 일 측면에 상기 부착수단(213)과 대응하는 결합수단(227)을 재봉함으로써, 상기 때밀이 타올(220)이 거품타올(210)로부터 유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213) 및 결합수단(227)은 후크, 스냅단추, 밸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타올(210)의 중앙 위치에 상기 때밀이 타올(220)의 길이에 대응하는 폭으로 요철홈(60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

KR2020120004304U 2012-05-22 2012-05-22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 KR2004650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304U KR200465079Y1 (ko) 2012-05-22 2012-05-22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304U KR200465079Y1 (ko) 2012-05-22 2012-05-22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079Y1 true KR200465079Y1 (ko) 2013-02-08

Family

ID=5136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304U KR200465079Y1 (ko) 2012-05-22 2012-05-22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0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657Y1 (ko) 2013-03-21 2013-10-28 배일석 다목적 때밀이 타월
KR20220128502A (ko) * 2021-03-11 2022-09-21 신호철 다용도 목욕타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5097A (ja) * 1995-02-13 1996-08-27 Toshiko Fujisaki 運動用タオル
KR19980059916U (ko) * 1997-03-03 1998-11-05 정인호 이태리타올이 부착된 목욕타올
JP3155467U (ja) * 2009-08-24 2009-11-19 大久保 光子 身体用洗浄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5097A (ja) * 1995-02-13 1996-08-27 Toshiko Fujisaki 運動用タオル
KR19980059916U (ko) * 1997-03-03 1998-11-05 정인호 이태리타올이 부착된 목욕타올
JP3155467U (ja) * 2009-08-24 2009-11-19 大久保 光子 身体用洗浄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657Y1 (ko) 2013-03-21 2013-10-28 배일석 다목적 때밀이 타월
KR20220128502A (ko) * 2021-03-11 2022-09-21 신호철 다용도 목욕타올
KR102587164B1 (ko) * 2021-03-11 2023-10-16 신호철 다용도 목욕타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73515A1 (en) Bathing towel
US20020144368A1 (en) Soft, soothing bath scrub
KR200465079Y1 (ko)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
US20110088190A1 (en) Soap pouch for wrist-hugging mitt
US9433329B2 (en) Wash cloth
KR20140064274A (ko)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
KR200470132Y1 (ko) 때밀이 타월
KR20170003721U (ko) 턱받이
CN215820710U (zh) 一种长条形搓澡巾
JP3182399U (ja) 洗顔用タオル
JP3193419U (ja) タスキ形タオル
JP3241750U (ja) サウナマット兼用ポーチ
JP2006333877A (ja) 身体洗浄摩擦具
JP3282110B2 (ja) 洗浄用具
JP3093965U (ja) 人体用洗浄具
KR200470856Y1 (ko) 염색두발을 위한 베개커버 겸용 세면타월
JP3113488U (ja) 肌洗浄用指サック
KR200453441Y1 (ko) 목욕 타월
KR200331732Y1 (ko) 목욕용 때밀이 타월
JP3191822U (ja) 洗顔具
US20090193605A1 (en) Universal bath sponge
JPH0237434Y2 (ko)
CN201640803U (zh) 一种便携洗漱包
CN204105474U (zh) 一种附加式坐垫
KR101148046B1 (ko) 가발 탈?부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