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657Y1 - 다목적 때밀이 타월 - Google Patents

다목적 때밀이 타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657Y1
KR200469657Y1 KR2020130002130U KR20130002130U KR200469657Y1 KR 200469657 Y1 KR200469657 Y1 KR 200469657Y1 KR 2020130002130 U KR2020130002130 U KR 2020130002130U KR 20130002130 U KR20130002130 U KR 20130002130U KR 200469657 Y1 KR200469657 Y1 KR 200469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member
support member
towel
friction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1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일석
Original Assignee
배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일석 filed Critical 배일석
Priority to KR20201300021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6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6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2Brush specifically designed for massaging the skin or scalp

Abstract

본 고안은, 장방형으로 일측 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테두리가 봉제 된 포켓형상이며, 때밀이 섬유재질로 형성된 마찰부재 및 상기 마찰부재의 일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마찰부재 보다 두꺼운 섬유재질로 이루어져 때밀이 시 상기 마찰부재의 접힘을 방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다목적 때밀이 타월을 제공한다.
따라서 지지부재를 통하여 때밀이 시 때밀이 타월이 말리거나 접혀지지 않아 때밀이 효과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접혀진 부분으로 인한 피부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마찰부재를 통하여 등과 같은 신체부위의 때밀이 용도는 물론, 지지부재로 얼굴과 같은 부드러운 피부와 마무리용으로도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때밀이 타월 {Multi-using bath towel}
본 고안은 다목적 때밀이 타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때밀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다목적 때밀이 타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때밀이 타월은 목욕 시 피부에 붙어있는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목욕용품으로서, 통상적으로 양면이 까칠까칠한 천으로 이루어져 피부와의 마찰을 통해 피부의 각질층에 점착되어 있는 오물을 제거한다.
이렇게 목욕 시 때를 밀기 위해서 사용되는 때밀이 타월은 크게 양손으로 양단부를 잡고 뒤로 걸쳐 등을 미는 등밀이용 타월과 한손에 끼우고 몸의 앞부분이나 팔, 다리 등 손이 닿는 부분을 닦아내는 손타월로 구분된다. 이러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233222호는 수건본체에 손잡이끈과 고무밴드가 구비된 때밀이 수건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때밀이 타월은, 두께가 얇기 때문에 때를 밀면 때밀이 타월이 말리거나 접혀져서 제대로 때가 밀리지도 않을 뿐더러, 피부와의 마찰을 이용하는 특성상 접혀진 부분이 피부에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때밀이 타월은, 부드러운 피부나 목욕의 마무리 시에는 보다 부드러운 천을 별도로 준비하여 이를 사용하기 때문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손잡이가 구비된 등때밀이 타월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마찰힘이 등때밀이 타월에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보다 시원하고 깔끔한 느낌을 주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때밀이 시 때밀이 타월이 말리거나 접혀져 때밀이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혀진 부분으로 인한 피부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다목적 때밀이 타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등밀이용뿐만 아니라 손 타월용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고, 때밀이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피부와 마무리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때밀이 후 사용자에게 보다 시원하고 깔끔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는 다목적 때밀이 타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양단부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등을 밀 수 있도록 장방형이며, 일측 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포켓형상이고, 때밀이 섬유재질로 형성된 마찰부재; 및 상기 마찰부재의 일 표면에 봉제되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마찰부재 보다 두꺼운 섬유재질로 이루어져 때밀이 시 상기 마찰부재를 지지하여 상기 마찰부재의 접힘을 방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다목적 때밀이 타월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마찰부재는 비스코스 레이온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부드러운 흡수성 재질로 형성되며, 합성섬유, 천연섬유, 극세사섬유 및 혼방섬유 재질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면 또는 면혼방 섬유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마찰부재 상기 일 표면과, 상기 마찰부재의 일 표면과 대면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 표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마찰부재와 상기 지지부재가 서로 선택적으로 탈부착되기 위한 착탈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착탈수단은, 벨크로(Velcro), 호크, 스넵(Snap) 및 고무자석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길이를 줄여 장갑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마찰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각각의 일 단부를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삽입 또는 외측으로 뒤집은 뒤, 상기 뒤집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찰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대면하는 각 면에 서로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부착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부착수단은, 벨크로(Velcro), 호크, 스넵(Snap) 및 고무자석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때밀이 타월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지지부재를 통하여 때밀이 시 때밀이 타월이 말리거나 접혀져 때밀이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혀진 부분으로 인한 피부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마찰부재로 신체부위의 때를 미는 때밀이용은 물론, 지지부재로 얼굴과 같은 부드러운 피부와 마무리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셋째, 손잡이형의 등때밀이 타월과는 달리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양단부를 잡고 때를 밀기 때문에 더욱 깔끔하게 때를 밀 수 있다.
넷째, 양단부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등밀이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포개어 접은 뒤 장갑식으로 손을 집어넣어 손타월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때밀이 타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목적 때밀이 타월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마찰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때밀이 타월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다목적 때밀이 타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다목적 때밀이 타월을 개구부의 내측으로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때밀이 타월에 손을 집어넣어 장갑식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때밀이 타월(400)은, 마찰부재(100)와, 지지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마찰부재(100)는, 양단부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등을 밀 수 있도록 장방형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때밀이 섬유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찰부재(100)는, 사용자가 손을 집어넣어 장갑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일측 단부에 개구부(110)가 형성된 포켓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찰부재(100)는, 대략 가로 90cm, 세로 30cm의 원단을 2겹으로 접어 가로 90cm 세로 15cm의 장방형을 이루고 있으며, 2겹으로 겹쳐 접어진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110)가 형성되도록 상기 일측 단부를 제외한 타측 단부와 상단이 박음질 등으로 봉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마찰부재(100)는, 때밀이 섬유재질로서, 비스코스 레이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다양한 재질이 사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상기 마찰부재(100)의 일 표면에 구비되며, 때밀이 시 상기 마찰부재(100)를 지지하여 상기 마찰부재(100)의 접힘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때밀이 시 상기 마찰부재(100)가 접히거나 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상기 마찰부재(100) 보다 두꺼운 섬유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마찰부재(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얼굴과 같은 부드러운 피부에 사용하거나 마무리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피부에 덜 자극적인 부드러운 흡수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합성섬유, 천연섬유, 극세사섬유 및 혼방섬유 재질에서 어느 것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수건재질과 유사한 면 또는 면혼방 섬유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마찰부재(100)의 크기에 대응하여 가로 90cm, 세로 15cm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찰부재(100)의 일 표면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지지부재(20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양단부 일부 영역은 제외하고, 때를 주로 미는 부분인 상기 마찰부재(100)의 중앙부에만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마찰부재(12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다목적 때밀이 타월(410)은, 마찰부재(120)를 도 1에서와 같이 2겹이 아닌, 장방형의 1겹의 원단만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재(200)와 테두리를 따라 봉제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상기 마찰부재(100)의 테두리를 따라 박음질과 같은 방법으로 봉제 되어 상기 마찰부재(100)와 고정 결합된다.
한편, 다목적 때밀이 타월(42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마찰부재(100)와 상기 지지부재(200)가 봉제되어 고정결합되는 방식이 아니라, 상기 마찰부재(100)와 상기 지지부재(200)를 서로 선택적으로 탈부착시키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다목적 때밀이 타월(420)은, 대면하는 상기 마찰부재(100)와 상기 지지부재(200)의 표면에 각각 서로 선택적으로 탈부착하는 착탈수단(300)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다목적 때밀이 타월(420)은, 상기 지지부재(200)만을 상기 마찰부재(100)에서 따로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 새로운 지지부재(200)로의 교체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착탈수단(300)은, 벨크로(Velcro), 호크, 스넵(Snap) 및 고무자석 등이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다목적 때밀이 타월(400)은, 장방형의 크기를 그대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양단부를 파지하여 손이 닿지 않는 등 때밀이용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다목적 때밀이 타월(400)의 일단부를 상기 개구부(110)의 내측으로 삽입 또는 외측으로 뒤집어서 반으로 포개어 사용할 수 있다.
이러면,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다목적 때밀이 타월(400)은 사용자가 상기 개구부(110)로 손을 깊숙이 집어넣어 장갑식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등을 제외한 다른 부위의 때밀이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손이 깊숙하게 들어가기 때문에 종래의 별도의 조임밴드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벗겨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다목적 때밀이 타월(4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10)의 내측으로 삽입 또는 외측으로 뒤집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포개 접은 상태에서 상기 마찰부재(100)와 상기 지지부재(200)의 대면하는 각면에 부착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착수단은, 서로가 탈부착이 가능한 구성으로 벨크로(Velcro), 호크, 스넵(Snap) 및 고무자석 등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다목적 때밀이 타월(400,410,420)은, 상기 지지부재(200)가 상기 마찰부재(100)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때밀이 시 상기 마찰부재(100)가 접히거나 말리는 것을 방지하여 때미는 동작을 안정감 있고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때 미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접힌 부분으로 인한 피부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목적 때밀이 타월(400,410,420)은, 등과 같은 피부의 때를 밀려고 할 때에는 양단부를 파지하여 등밀이용으로 사용하고, 손타월용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일단부를 상기 개구부(110)의 내측으로 삽입하거나 외측으로 뒤집은 뒤 손을 상기 개구부(110)로 깊숙이 집어넣어 장갑식으로 사용함으로써, 등밀이용뿐만 아니라 손타월용으로도 다목적으로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다목적 때밀이 타월(400,410,420)은, 상기 마찰부재(100)를 접촉면으로 하여 때밀이 용으로도 사용하고, 얼굴같이 부드러운 피부부위를 닦거나 마무리할 때에는 상기 지지부재(200)를 사용함으로써 때밀이용 및 마무리용 등 다양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120... 마찰부재 110... 개구부
200... 지지부재 300... 착탈수단
400,410,420... 다목적 때밀이 타월

Claims (5)

  1. 양단부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등을 밀 수 있도록 장방형이며, 일측 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포켓형상이고, 때밀이 섬유재질로 형성된 마찰부재; 및
    상기 마찰부재의 일 표면에 결합되고, 상기 마찰부재 보다 두꺼운 섬유재질로 이루어져 때밀이 시 상기 마찰부재를 지지하여 상기 마찰부재의 접힘을 방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는 비스코스 레이온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부드러운 흡수성 재질로 형성되며, 합성섬유, 천연섬유, 극세사섬유 및 혼방섬유 재질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면 또는 면혼방 섬유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부재의 일 표면과, 상기 마찰부재의 일 표면에 대면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 표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마찰부재와 상기 지지부재가 서로 선택적으로 탈부착되기 위한 착탈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착탈수단은, 벨크로(Velcro), 호크, 스넵(Snap) 및 고무자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길이를 줄여 장갑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마찰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각각의 일 단부를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삽입 또는 외측으로 뒤집은 뒤, 상기 뒤집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찰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대면하는 각 면에 서로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부착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부착수단은, 벨크로(Velcro), 호크, 스넵(Snap) 및 고무자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다목적 때밀이 타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30002130U 2013-03-21 2013-03-21 다목적 때밀이 타월 KR200469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130U KR200469657Y1 (ko) 2013-03-21 2013-03-21 다목적 때밀이 타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130U KR200469657Y1 (ko) 2013-03-21 2013-03-21 다목적 때밀이 타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657Y1 true KR200469657Y1 (ko) 2013-10-28

Family

ID=50770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130U KR200469657Y1 (ko) 2013-03-21 2013-03-21 다목적 때밀이 타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6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519Y1 (ko) 2013-11-18 2015-10-14 최현지 다기능 때밀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574U (ko) * 2008-02-21 2009-08-26 류귀선 다목적 때밀이 타월
KR200465079Y1 (ko) 2012-05-22 2013-02-08 홍명기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574U (ko) * 2008-02-21 2009-08-26 류귀선 다목적 때밀이 타월
KR200465079Y1 (ko) 2012-05-22 2013-02-08 홍명기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519Y1 (ko) 2013-11-18 2015-10-14 최현지 다기능 때밀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0378B2 (en) Device for holding soap
KR200469657Y1 (ko) 다목적 때밀이 타월
JP6056109B2 (ja) タオル
US9339152B1 (en) Back and body washing device
US11066049B2 (en) Chamois drying device
KR101845680B1 (ko) 생리대 절취형 일회용 수건
KR200342784Y1 (ko) 다목적 때밀이 장갑
KR200453441Y1 (ko) 목욕 타월
KR200320404Y1 (ko) 때타월 구조
KR20090008574U (ko) 다목적 때밀이 타월
KR200187419Y1 (ko) 등밀이용 목욕타올
JP3003665U (ja) 袋状垢擦り
GB201115939D0 (en) Wet wipes
KR200442825Y1 (ko) 아크릴 합세사 목욕타월
JP2019136461A (ja) 掃除用具
KR200190232Y1 (ko) 목욕용 때밀이장갑
KR101354556B1 (ko) 청소용 장갑걸레
KR200331732Y1 (ko) 목욕용 때밀이 타월
KR0132315Y1 (ko) 때밀이포
JP3154043U (ja) 洗髪乾燥用手袋
JP4705981B2 (ja) 衣服の襟元よごれ防止具
JP2002272531A (ja) 化粧用パフ及びこの化粧用パフを用いた化粧方法
JP3176390U (ja) 洗剤含浸部付き炊事用手袋
JP2010284458A (ja) 三つ折りポケット付きあかすりタオル
KR960001856Y1 (ko) 때밀이 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