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784Y1 - 다목적 때밀이 장갑 - Google Patents

다목적 때밀이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784Y1
KR200342784Y1 KR20030036531U KR20030036531U KR200342784Y1 KR 200342784 Y1 KR200342784 Y1 KR 200342784Y1 KR 20030036531 U KR20030036531 U KR 20030036531U KR 20030036531 U KR20030036531 U KR 20030036531U KR 200342784 Y1 KR200342784 Y1 KR 2003427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
elastic pad
wheat flour
fa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365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효종
Original Assignee
남효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효종 filed Critical 남효종
Priority to KR200300365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7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7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7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54Abrasive cosmetic skin peeling or scrubb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47L13/18Gloves; Glove-like clo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목적 때밀이 장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때밀이 장갑은, 외측에 비스코스사로 직조되어 있는 때밀이천과, 때밀이천 내측에 위치하는 탄성패드A와, 탄성패드A 내측에 위치하고, 때밀이천에 덧대여져 있는 안감A로 구성된 때밀이부와; 때밀이부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 초극세사로 직조되어 있는 세안천과, 세안천 내측에 위치하는 탄성패드B와, 탄성패드B 내측에 위치하고, 세안천에 덧대여져 있는 안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손투입구가 형성되고, 손투입구 양측에 손가락이탈구A와 손가락이탈구B가 형성되도록 상기 때밀이부의 테두리에 고정되어 있는 세안부; 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해 목욕이나 샤워시 세척효과를 높이고, 화장을 지울 때도 사용할 수 있으며, 탄성패드가 설치되어 있어 세제를 낭비하지 않게 되고, 테두리가 바이어스 또는 파이핑 처리되어 있어 피부가 손상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다목적 때밀이 장갑{THE WASHING GLOVE OF MULTIPURPOSE}
본 고안은 다목적 때밀이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욕시 때를 밀기 위해 양면에 비스코사사가 직조되어 있는 포켓형의 때밀이 타월을 사용해왔다.
그런데, 위와 같이 양면에 비스코스사가 직조되어 있는 타월은 표면이 거칠어 목욕 중 비누칠을 할 때나 세수를 할 때 피부를 손상시켜 별도의 부드러운 타월을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앞면은 일반 때밀이천으로 형성하고, 뒷면은 연한 타월로 형성한 '양면 때 타올'(한국 실용신안공개 88-19204호)이 안출되었다.
또, 위와 같이 양면을 다른 재질로 형성하고, 각각의 손가락주머니(90)가 형성되어 있고 손목 부분에 탄성밴드(100)가 형성되어 있어 손에서 겉돌음이 없도록 '한 목욕용 때밀이 장갑'(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90232호)이 안출되기도 하였다.
위와 같은 고안에서 때밀이천의 반대편은 수건과 같이 면이나 나일론 등으로 되어 있었는데, 면이나 나일론은 때밀이천으로 사용되는 비스코스사보다 부드럽고, 비누거품을 잘 생성시키기는 하지만 목욕이나 샤워시 여성들의 화장기를 제거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화장한 여성들은 화장을 지울 때 화장기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클린징크림으로 화장기를 일차로 제거한 후 세제로 클린징크림의 유분을 제거하는 이중세안을 해야 하는데, 위와 같은 면이나 나일론에 세제를 묻혀 세안할 경우 화장기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해 여러번 반복 세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피부가 민감한 유아의 경우에도 면이나 나일론 소재가 적합하지 못했다.
또, 때밀이천과 연한 타월이 고정되는 테두리부분이 일반적인 박음질로 되어 있어 때를 밀거나 타월로 비눗칠을 할 때 박음질된 부분이 피부를 손상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의 다목적 때밀이 장갑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면은 일반 때밀이천과 같이 비스코스사로 형성하되 반대쪽 면은 섬유조직이 부드럽고, 세제를 묻혀 거품을 형성하면 극히 미세한 거품이 생겨 세안효과를 높여주는 초극세사로 형성해 목욕이나 샤워시 세척효과를 높이고, 여성들의 화장을 지울 때도 사용할 수 있게 하려는 목적이 있다.
또, 때밀이천과 세안천의 결합부위를 바이어스나 파이핑 처리를 함으로써 결합부분이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게 하려는 목적도 있다.
또한, 때밀이천과 세안천 내측에 흡수력이 좋고, 거품 생성력이 좋은 스폰지 등의 탄성패드를 설치해 세제를 낭비하지 않도록 하려는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때밀이 장갑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목적 때밀이 장갑의 부분 절단 사시도.
도 3은 때밀이천을 사용하기 위해 본 고안의 때밀이 장갑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세안천을 사용하기 위해 본 고안의 때밀이 장갑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때밀의 장갑의 테두리 부분의 또다른 고정방법을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때밀이부 11 : 때밀이천
12 : 탄성패드A 13 : 안감A
14 : 밸크로테이프A 20 : 세안부
21 : 세안천 22 : 탄성패드B
23 : 안감B 30 : 바이어스천
40 : 손투입구 50a : 손가락이탈구A
50b : 손가락이탈구B 60 : 손목고정밸트
61 : 밸크로테이프B 70 : 파이핑천
71 : 파이핑심 80 : 손목
81 : 엄지손가락 90 : 손가락주머니
100 : 탄성밴드
본 고안은 다목적 때밀이 장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때밀이 장갑은 일측면은 비스코스사로 직조되어 있고, 타측면은 초극세사로 직조되어 있어 목욕이나 샤워시 세척효과가 높아지고, 여성들의 화장을 지울 때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테두리부분을 바이어스 처리하거나 파이핑 처리해 때를 밀 때 피부가 손상되지 않게 된다.
또한, 내측에 스폰지 등의 탄성패드가 설치되어 있어 세제를 낭비하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다목적 장갑은, 외측에 비스코스사로 직조되어 있는 때밀이천과, 때밀이천 내측에 위치하는 탄성패드A와, 탄성패드A 내측에 위치하고, 때밀이천에 덧대여져 있는 안감A로 구성된 때밀이부와; 때밀이부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 초극세사로 직조되어 있는 세안천과, 세안천 내측에 위치하는 탄성패드B와, 탄성패드B 내측에 위치하고, 세안천에 덧대여져 있는 안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손투입구가 형성되고, 손투입구 양측에 손가락이탈구A와 손가락이탈구B가 형성되도록 상기 때밀이부의 테두리에 고정되어 있는 세안부;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때밀이부(10)는 외측으로 비스코스사가 직조되어 있는 때밀이천(11)이 위치하고, 그 안쪽으로 스폰지 등의 탄성패드A(12)가 설치되어 있고, 탄성패드A(12) 내측으로 안감A(13)가 위치하고, 안감A(13)는 때밀이천(11)에 덧대여져 있다.
비스코스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때밀이 타월의 주재료로써 루프조직으로 직조되어 있어 평소에는 부드러우나 수분이 함유되면 올이 빳빳하게 일어나서 단단해진다.
이로 인해 때를 밀 때, 울퉁불퉁한 피부표면의 구석까지 비누거품과 함께 밀려들어가 때와 노폐물을 제거해주게 된다.
때밀이천(11)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스폰지 등의 탄성패드A(12)는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때밀이천(11)에 비누 등의 세제를 바르면 세제가 물에 섞여 흡수되어 많은 거품을 형성하게 된다.
안감A(13)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천을 직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때밀이천(11)과 같은 비스코스사로 직조된 천을 사용하여 때밀이부(10)가 손에서 헛돌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부드러운 천을 사용하여 손의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세안부(20)는 때밀이부(10)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테두리가 때밀이부(10)에 고정되어 있다.
세안부(20)는 외측에 초극세사로 직조된 세안천(21)이 위치하고, 그 내측에는 때밀이부(10)와 마찬가지로 스폰지 등의 탄성패드B(22)와, 안감B(23)가 세안천(21)에 덧대여져 있다.
초극세사는 마이크로파이버(MICROFIBER)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두께1 denier 이하 즉 매우 가는 섬유를 말하며 이것은 0.012mm 이하의 직경과 같다.
초극세사는 초극세성의 원사를 사용하고, 비스코스사와 같이 때를 미끄러지면서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흡수하듯이 제거함으로써 얼룩이나 잔 찌꺼기가 남지 않고, 닦고 난 뒤에 얼룩이나 긁힌 자국이 남지 않는다.
세안부(20)와 때밀이부(10)가 고정될 때, 일측에 손투입구(40)가 형성되도록 개방되고, 손투입구(40)의 양측에는 엄지손가락(81)이 밖으로 돌출되도록 손가락이탈구A(50a)와 손가락이탈구B(50b)가 형성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세안부(20)와 때밀이부(10)를 맞대 테두리 부분을 박음질할 때 손투입구(40)와 손가락이탈구A(50a), 손가락이탈구B(50b)를 형성하고자 하는 부분은 박음질하지 않음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세안부(20)와 때밀이부(10)의 테두리가 고정되는 방법은 종래의 때밀이 타월과 같이 포개어 놓고 박음질함으로써 고정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이 박음질할 경우 때를 밀때 박음질한 부분이 피부를 긁어 여성이나 어린이와 같이 피부가 민감한 사람은 피부가 상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드러운 소재의 바이어스천(30)을 구비해 박음질한 부분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바이어스 처리를 할 수 있다.
또,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이핑심(71)과, 파이핑심(71)을 덮으면서 세안부(20)와 때밀이부(10)에 고정되는 파이핑천(70)을 구비해 박음질한 부분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파이핑된 부분에 의해 때를 잘 밀도록 파이핑 처리를 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손투입구(40) 외측의 세안천(21)이나 때밀이천(11)에 밸크로테이프A(14)를 고정시키고, 일측에 밸크로테이프A(14)에 고정되도록 밸크로테이프B(61)가 형성되어 있는 손목고정밸트(6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손목고정밸트(60)를 조여 밸크로테이프B(61)에 고정시킴으로써때밀이 장갑이 손으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때, 비눗칠을 하거나 화장을 지울 때 피부에 상처를 최소화 시키기 위해 손목고정밸트(60)와 밸클고테이프A(14)는 세안부(21)에 고정시키는 것보다 때밀이부(10)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때밀이 장갑을 착용하여 때를 밀고자 할 때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손투입구(40)로 손을 집어넣되 때밀이부(10)가 손바닥면을 향하도록 손을 집어넣는다.
동시에 엄지손가락(81)은 손가락이탈구A(50a)를 통해 밖으로 나오도록 착용하여 때를 밀면 된다.
손목고정밸트(60)가 형성어 있는 경우 손목고정밸트(60)를 손목(80)에 맞게 조여 때밀이 장갑이 손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한다.
화장을 지우거나 비눗칠을 할 경우에는 위와는 반대로 도 4와 같이 세안부(20)가 손바닥면을 향하도록 하고, 엄지손가락(81)이 손가락이탈구B(50b)를 통해 밖으로 나오도록 착용한다.
본 고안에 의해, 때밀이 장갑의 일측면은 비스코스사로 직조된 천을 사용하고, 타측면은 초극세사로 직조된 천을 사용하여 목욕이나 샤워시 세척효과를 높이고, 화장을 지울 때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때밀이천과 세안천의 결합부위가 바이어스 처리되거나 파이핑 처리되어 있어 결합부분이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때밀이천과 세안천 내측에 탄성패드가 설치되어 있어 세제를 묻혀 세안시 거품이 잘 생겨 세제를 낭비하지 않게 된다.

Claims (4)

  1. 때밀이 장갑에 있어서,
    외측에 비스코스사로 직조되어 있는 때밀이천(11)과, 때밀이천(11) 내측에 위치하는 탄성패드A(12)와, 탄성패드A(12) 내측에 위치하고, 때밀이천(11)에 덧대여져 있는 안감A(13)로 구성된 때밀이부(10)와;
    상기 때밀이부(10)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 초극세사로 직조되어 있는 세안천(21)과, 세안천(21) 내측에 위치하는 탄성패드B(22)와, 탄성패드B(22) 내측에 위치하고, 세안천(21)에 덧대여져 있는 안감(23)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손투입구(40)가 형성되고, 손투입구(40) 양측에 손가락이탈구A(50a)와 손가락이탈구B(50b)가 형성되도록 상기 때밀이부(10)의 테두리에 고정되어 있는 세안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목적 때밀이 장갑.
  2. 제 1항에 있어서,
    손투입구(40) 외측에 밸크로테이프A(14)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밸크로테이프A(14)에 부착되도록 밸크로테이프B(61)가 일측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때밀이부(10) 또는 세안부(20)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손목고정밸트(6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때밀이 장갑.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때밀이부(10)와 세안부(20) 테두리는 바이어스 처리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때밀이 장갑.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때밀이부(10)와 세안부(20) 테두리는 파이핑 처리에 의해 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때밀이 장갑.
KR20030036531U 2003-11-22 2003-11-22 다목적 때밀이 장갑 KR2003427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6531U KR200342784Y1 (ko) 2003-11-22 2003-11-22 다목적 때밀이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6531U KR200342784Y1 (ko) 2003-11-22 2003-11-22 다목적 때밀이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784Y1 true KR200342784Y1 (ko) 2004-02-18

Family

ID=42291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36531U KR200342784Y1 (ko) 2003-11-22 2003-11-22 다목적 때밀이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78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22856A1 (en) * 2004-06-15 2005-12-29 Kyeung Jai Jang Bath glove towel
KR200447784Y1 (ko) 2007-12-04 2010-02-22 최재욱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
WO2020213940A1 (ko) * 2019-04-19 2020-10-22 (주) 비비또 거치대가 구비된 샤워타월세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22856A1 (en) * 2004-06-15 2005-12-29 Kyeung Jai Jang Bath glove towel
KR200447784Y1 (ko) 2007-12-04 2010-02-22 최재욱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
WO2020213940A1 (ko) * 2019-04-19 2020-10-22 (주) 비비또 거치대가 구비된 샤워타월세트
US11950730B2 (en) 2019-04-19 2024-04-09 Bbtto Corporation Shower towel set equipped with h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56261A1 (en) Cleaning cloth assembly
EP0273977B1 (en) Cleansing puff
KR101035140B1 (ko) 클렌징 패드
KR200342784Y1 (ko) 다목적 때밀이 장갑
US20090019656A1 (en) Multi-phase hygienic cleansing system and skin care device
KR200470132Y1 (ko) 때밀이 타월
KR200411369Y1 (ko) 목욕용 양면타올
KR200190232Y1 (ko) 목욕용 때밀이장갑
KR200336546Y1 (ko) 핑거타월
KR960001856Y1 (ko) 때밀이 구
KR200453441Y1 (ko) 목욕 타월
KR200320404Y1 (ko) 때타월 구조
KR200333381Y1 (ko) 양면 때밀이 거품 타월
KR200232489Y1 (ko) 때밀이 타월
JP2003275127A (ja) 自動発泡性垢すり
JP3066554U (ja) 泡立ち垢スリタオル
KR101280654B1 (ko) 초극세사를 이용한 때밀이 타월
KR200201958Y1 (ko) 때밀이 타월
JP2525901Y2 (ja) 擦洗具
JP3006084U (ja) 垢すり具
JP2006141915A (ja) 洗顔用布
JP3055186U (ja) 手拭い
JP2001157646A (ja) 手袋状垢すり
KR200184659Y1 (ko) 다기능 때밀이 타올
KR200331732Y1 (ko) 목욕용 때밀이 타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