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528Y1 - 자동차용 윈도우 시스템의 캐리어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윈도우 시스템의 캐리어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528Y1
KR200464528Y1 KR2020110002292U KR20110002292U KR200464528Y1 KR 200464528 Y1 KR200464528 Y1 KR 200464528Y1 KR 2020110002292 U KR2020110002292 U KR 2020110002292U KR 20110002292 U KR20110002292 U KR 20110002292U KR 200464528 Y1 KR200464528 Y1 KR 2004645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wire
compression spring
carrier body
low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686U (ko
Inventor
박래성
이승철
조훈주
Original Assignee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2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52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6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6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5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4Type of motion, e.g. braking lin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글래스의 하강 동작시 하강용 와이어의 완충작용을 하는 압축스프링이, 글래스와 캐리어 몸체의 자중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흡수할 수 있도록 상승용 와이어의 압축스프링보다 탄성계수를 크게 제작함으로써, 우기라든가 세차후 글래스가 하중에 의하여 아래로 미끄러지더라도 압축스프링에서 이를 흡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캐리어몸체에 항상 일정한 장력이 걸리게 하여 글래스가 부드럽게 열릴 수 있게 하고, 또한 부품의 마멸과 파손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윈도우 시스템의 캐리어 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윈도우 시스템의 캐리어 플레이트{CARRIER PLATE OF WINDOW SYSTEM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윈도우 시스템의 캐리어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강용 와이어의 완충작용을 하는 압축스프링이 상승용 와이어의 압축스프링보다 높은 탄성계수를 갖도록 구성하여 글래스와 캐리어 플레이트의 하중이 하강용 와이어에 가해지더라도 이를 흡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우천이나 세차 후에 글래스 하강시 글래스가 미끄러지더라도 이에 대한 하중을 흡수하여 소음의 발생이 없이 부드럽게 하강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윈도우 시스템의 캐리어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를 포함하여 탑승자의 편의를 위하여 글래스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윈도우 시스템이 구비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차용 윈도우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캐리어몸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장착구의 일부를 단면한 평면도이며 도 3은 종래 캐리어몸체가 글래스의 승하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캐리어몸체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윈도우 시스템은 글래스(G)를 2개의 캐리어몸체(10)로 지지하여 상하로 승하강하게 구성한다. 특히, 각 캐리어몸체(10)는 도어모듈(DM)에 상하로 길게 설치된 각 가이드레일(20)를 따라 움직인다.
또한, 캐리어몸체(10)에는 한쌍의 가이드레일(20) 사이에 설치된 윈도우레귤레이터(30)에 의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와이어가 연결된다. 와이어는 캐리어몸체(10)를 위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용 와이어(UW)와 반대로 하강시키기 위한 하강용 와이어(DW)가 구비된다. 이들 승강용 와이어(UW)와 하강용 와이어(DW)는 각 일단이 윈도우레귤레이터(30)에 감길 수 있게 연결되고, 각 타단이 각각 캐리어몸체(10)에 상하로 인장되게 설치된다.
이때, 캐리어몸체(10)에 장착되는 승강용 와이어(UW)와 하강용 와이어(DW)의 단부에는 글래스의 승하강으로 인하여 와이어의 수축과 인장시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압축스프링(11,12)이 구비된다.
압축스프링(11,12)은 승강용 와이어(UW) 또는 하강용 와이어(DW)에 장력이 가해짐에 따라 이를 흡수하여 완충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서, 윈도우레귤레이터(30)가 구동하여 글래스(G)를 하강시키게 되면, 하강용 와이어(DW)가 캐리어몸체(10)를 아래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때, 압축스프링(12)은 윈도우레귤레이터(30)의 초기회전과 같이 급격하게 하강용 와이어(DW)에 급격한 장력이 가해지면, 이 장력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다시 인장되면서 장력을 흡수하여 원활하게 글래스(G)가 하강하게 유도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캐리어 플레이트는 세차 후라든가 우천시와 같이 글래스의 하강 작동시 글래스가 아래로 미끌리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하강용 와이어를 지지하는 압축스프링은, 도 3의 (가)의 정상상태에서 글래스가 하강하게 되면 하강용 와이어(DW)의 장력을 받아 도 3의 (나)와 같이 압축된다. 이때, 글래스가 하중에 의하여 캐리어플레이트와 함께 미끄러짐에 따라, 도 3의 (다)와 같이, 순간적으로 하강용 와이어(DW)에 장력이 해제된다. 이어, 하강용 와이어(DW)에 장력이 가해짐에 따라 글래스가 "덜걱"거리듯이 매끄럽지 못한 동작을 일으키게 되어 고객의 불만족 사항으로 지적되었다.
2) 또한, 이와 같은 매끄럽지 못한 윈도우 시스템의 작동으로 인한 윈도우 시스템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로 이어지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글래스의 하강 동작시 하강용 와이어의 완충작용을 하는 압축스프링이, 글래스와 캐리어 몸체의 자중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흡수할 수 있도록 상승용 와이어의 압축스프링보다 탄성계수를 크게 제작함으로써, 우기라든가 세차후 글래스가 하중에 의하여 아래로 미끄러지더라도 압축스프링에서 이를 흡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캐리어몸체에 일정한 장력이 걸리게 하여 글래스가 부드럽게 열릴 수 있게 하고, 또한 부품의 마멸과 파손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윈도우 시스템의 캐리어 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시스템의 캐리어 플레이트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차량의 글래스를 승하강시켜 주는 캐리어몸체에 있어서, 캐리어몸체에는 승강용 와이어와 하강용 와이어의 단부를 지지해 주기 위하여 압축스프링이 구비되고, 하강용 와이어의 압축스프링은 상승용 와이어의 압축스프링보다 탄성계수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압축스프링은 글래스를 승하강시켜 주는 윈도우레귤레이터에 의해 가해지는 장력과 더불어서 글래스 및 이를 지지하는 캐리어몸체의 하중에 의한 압축력보다 큰 세기의 탄성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윈도우 시스템의 캐리어 플레이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우기나 세차 후와 같이 웨더스트립과 글래스의 마찰 감소로 글래스의 자중에 의하여 아래로 미끄러지더라도 이를 압축스프링에서 흡수하여 주기 때문에 글래스가 "덜걱"거리는 등의 작동에 방해를 받지 않고 하강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2) 이러한 글래스의 원활한 하강 동작으로 소음을 발생시키기 않고 부드럽게 동작한다.
3) 급작스런 윈도우 시스템의 작동을 방지함으로써 윈도우 시스템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하여 그 내구성의 향상으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차용 윈도우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캐리어몸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장착구의 일부를 단면한 평면도.
도 3은 종래 캐리어몸체가 글래스의 승하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캐리어몸체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캐리어몸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도 4는 본 고안의 캐리어몸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UW"는 캐리어몸체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용 와이어를, 화살표는 캐리어몸체의 작동방향을, 이중화살표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스프링(120)의 작동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 플레이트는, 통상적으로 승강용 와이어(UW)와 하강용 와이어(DW)를 이용하여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는 캐리어몸체(100)를 포함한다.
특히, 캐리어몸체(100)에는 하강 동작을 위하여 인장력을 전달하기 위해 하강용 와이어(DW)가 장착되게 되는데, 이 하강용 와이어(DW)의 단부는 캐리어몸체(100)에 압축스프링(120)에 의해 완충작용을 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때, 이 하강용 와이어(DW)의 압축스프링(120)은 상승용 와이어(DW)의 압축스프링보다 탄성계수가 큰 것을 이용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압축스프링(120)은, 글래스와 캐리어몸체(100)의 하중이 아래로 가해지는 상태에서,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초기 구동력과 같이 순간적으로 걸리는 강한 인장력에도 하강용 와이어(DW)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기의 탄성계수를 갖도록 제작한다.
즉, 상승용 와이어(UW)에 사용되는 압축스프링의 경우 글래스와 캐리어몸체(100)이 미끄러지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이들을 위로 승강시킬 때 필요한 장력을 흡수할 수 있을 정도의 탄성계수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압축스프링(120)은, 이처럼 글래스의 하강 동작에 필요한 힘(통상적으로, 이 힘은 상기 상승용 와이어의 압축스프링이 갖는 탄성계수와 동일) 뿐만 아니라 글래스와 캐리어몸체(100)의 하중이 더 가해졌을 때에 이를 흡수할 수 있을 만큼 더 큰 탄성계수를 갖도록 제작하는 것이다.
(동작)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 플레이트의 작동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 플레이트는 글래스를 하강시키기 위하여 윈도우레귤레이터가 작동하게 되면, 하강용 와이어(DW)에 의해 아래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압축스프링(120)은, 도 4의 (가)와 같이 정상상태에서 압축되면서 도 4의 (나)와 같이 글래스의 하강 동작이 이루어진다.
한편, 우기나 세차 후와 같이, 물이 웨더스트립과 글래스 사이에 침투함으로써 웨더스트립과 글래스 사이의 마찰이 감소하여 글래스의 하중이 통상의 경우보다 하방으로 크게 작용하는 경우, 도 4의 (다)와 같이, 압축스프링(120)은 그대로인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캐리어몸체(100)가 아래로 미끄러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압축되었던 압축스프링(120)이, 2중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위로 인장되면서 하강용 와이어(DW)를 위로 당겨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즉, 글래스와 캐리어몸체(100)가 아래로 미끄러짐에 따라 그 하중에 의하여 상승용 와이어(UW)의 압축스프링은 압축되게 되어, 순간적으로 하강용 와이어(DW)에 장력이 제거된 상태가 되게 된다.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압축스프링(120)의 탄성계수가 상승용 와이어(UW)의 압축스프링보다 탄성계수가 크기 때문에, 하강용 와이어(DW)의 장력이 제거되기 전에 상승용 와이어(UW)의 압축스프링이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하강용 와이어(DW)가 항상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글래스의 하강시 하강용 와이어를 지지해 주는 압축스프링에서 글래스와 캐리어몸체의 하중이라든가 윈도우레귤레이터의 비정상적인 동작이 발생하더라도 압축스프링에서 이를 흡수함으로써, 소음의 저감 및 글래스의 원활한 승하강 동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각 부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100 : 캐리어몸체 120 : 압축스프링
DW : 하강용 와이어

Claims (2)

  1. 와이어를 이용하여 차량의 글래스를 승하강시켜 주는 캐리어몸체에 있어서,
    캐리어몸체(100)에는 승강용 와이어(UW)와 하강용 와이어(DW)의 단부를 지지해 주기 위하여 압축스프링(120)이 구비되고,
    상기 하강용 와이어(DW)의 압축스프링(120)은 상승용 와이어(DW)의 압축스프링보다 탄성계수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시스템의 캐리어 플레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120)은 글래스를 승하강시켜 주는 윈도우레귤레이터에 의해 가해지는 장력과 더불어서 글래스 및 이를 지지하는 캐리어몸체의 하중에 의한 압축력보다 큰 세기의 탄성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시스템의 캐리어 플레이트.
KR2020110002292U 2011-03-21 2011-03-21 자동차용 윈도우 시스템의 캐리어 플레이트 KR2004645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292U KR200464528Y1 (ko) 2011-03-21 2011-03-21 자동차용 윈도우 시스템의 캐리어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292U KR200464528Y1 (ko) 2011-03-21 2011-03-21 자동차용 윈도우 시스템의 캐리어 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686U KR20120006686U (ko) 2012-10-02
KR200464528Y1 true KR200464528Y1 (ko) 2013-01-08

Family

ID=47503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292U KR200464528Y1 (ko) 2011-03-21 2011-03-21 자동차용 윈도우 시스템의 캐리어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52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024A (ko) * 1997-11-15 1999-06-05 정몽규 자동차 도어 레귤레이터의 케이블 엔드부 이탈방지장치
KR20020089050A (ko) * 2001-05-22 2002-1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유동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024A (ko) * 1997-11-15 1999-06-05 정몽규 자동차 도어 레귤레이터의 케이블 엔드부 이탈방지장치
KR20020089050A (ko) * 2001-05-22 2002-1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유동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686U (ko) 201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390907U (zh) 在车门玻璃上升/下降期间减小撞击声的车门玻璃组件
CN106966254A (zh) 一种电梯缓冲机构
KR200464528Y1 (ko) 자동차용 윈도우 시스템의 캐리어 플레이트
CN102101620A (zh) 电梯设备
CN203545399U (zh) 一种背包式电梯结构
KR20190060404A (ko)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위한 캐리어 플레이트
JP6138513B2 (ja) エレベータロープ揺れ抑制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CN205472123U (zh) 一种高速电梯涨紧轮装置
CN112227861B (zh) 一种站台门防变形撑杆
CN201103325Y (zh) 无上部支撑的全高式安全门
CN107401116A (zh) 索径自适应机构
KR20100011725A (ko) 윈도우 레귤레이터 장치
CN106081780A (zh) 一种电梯防剪切坠落方法及装置
CN209687176U (zh) 一种外接控制器式防夹玻璃升降器
CN216141078U (zh) 一种便于对货物进行限位的货梯
CN207315100U (zh) 一种玻璃升降器钢丝绳张紧结构
KR102262131B1 (ko)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
KR100802792B1 (ko) 자동차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안내구조
CN220449479U (zh) 电梯轿厢横向振动抑制装置
CN110984765A (zh) 一种用于汽车车窗的电机下置式摇窗机系统
CN213449948U (zh) 一种导向架、导向架机构、汽车玻璃升降器及汽车
JPH11294008A (ja) 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
CN114314250B (zh) 电梯轿厢阻尼装置和电梯系统
CN214616040U (zh) 车辆玻璃升降器结构
CN209143460U (zh) 一种无对重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