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131B1 -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131B1
KR102262131B1 KR1020150142624A KR20150142624A KR102262131B1 KR 102262131 B1 KR102262131 B1 KR 102262131B1 KR 1020150142624 A KR1020150142624 A KR 1020150142624A KR 20150142624 A KR20150142624 A KR 20150142624A KR 102262131 B1 KR102262131 B1 KR 102262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door glass
door
fixed panel
carri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3691A (ko
Inventor
이범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2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131B1/ko
Publication of KR20170043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도어 캐리어 플레이트에 마련되고, 글라스 승강 모듈의 작동시 상하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안착된 도어 글라스를 이동시키는 클램프; 및 상기 도어 캐리어 플레이트에 마련되되 클램프가 최상단으로 이동시 클램프와 접촉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접촉된 클램프를 탄성 지지하는 댐퍼기구;를 포함하는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 {DEVICE FOR DOOR GLASS MOVE IMPROVING}
본 발명은 도어 글라스 이동시 타격음 발생 및 벨트 웨더스트립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외부에서 실내로 비 또는 바람의 유입을 차단하는 도어 글라스가 마련되며, 이 도어 글라스는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탑승자가 사용 여부에 따라 도어 글라스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도어 글라스는 소정의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되는데, 도어 글라스의 승하강시 도어 글라스와 도어 패널 사이의 갭을 차단하는 벨트 웨더스트립에 하중이 부하되어 벨트 웨더스트립이 변형된다.
즉, 도어 글라스는 글라스 승강 모듈의 구동 모터 작동에 의해 승하강 동작되는데, 도어 글라스가 최상측으로 승강된 상태에서, 도어 글라스에는 도어 패널의 하중과 도어 글라스의 이동이 제한됨에 따른 하중이 동시 작용됨으로써 도어 글라스에 밀림 힘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도어 글라스의 밀림 힘이 벨트 웨더스트립에 작용되어 벨트 웨더스트립이 변형되고, 이 밀림 힘이 지속적으로 벨트 웨더스트립에 작용시 벨트 웨더스트립이 영구 변형됨으로써 벨트 웨더스트립을 통한 도어 글라스의 닦임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아울러, 도어 글라스를 최상측으로 이동시켜 폐쇄시 도어 글라스가 안착되는 클램프가 도어 패널의 상측에 부딪힘에 따라 충격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4-0026085 A (2004.03.27)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도어 글라스 이동시 타격음 발생을 제거하고, 벨트 웨더스트립이 도어 글라스의 승하강 동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는 도어 캐리어 플레이트에 마련되고, 글라스 승강 모듈의 작동시 상하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안착된 도어 글라스를 이동시키는 클램프; 및 상기 도어 캐리어 플레이트에 마련되되 클램프가 최상단으로 이동시 클램프와 접촉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접촉된 클램프를 탄성 지지하는 댐퍼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댐퍼기구는, 도어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판넬;과 상기 고정판넬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관통 결합되고, 하단에 탄성 재질의 댐핑부가 마련된 이동댐퍼;와 상기 고정판넬과 이동댐퍼의 댐핑부 사이에 마련되어 댐핑부에 작용되는 하중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댐퍼는 상단이 고정판넬의 상측으로 관통된 후 소정면적으로 형성됨 따라 고정판넬의 상측에 걸리는 고정부와, 고정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고정판넬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연장부와, 연장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클램프 접촉시 탄성 변형되는 댐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핑부에는 소정 면적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는 댐핑기구에 접촉되는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에 따르면, 도어 글라스의 폐쇄 동작에 따른 승강시 도어 글라스에 작용되는 하중에 의해 벨트 웨더스트립이 변형되는 최소화하여, 벨트 웨더스트립을 통한 도어 글라스의 닦임 성능이 장기적으로 확보되도록 한다.
또한, 도어 글라스의 승강시 도어 글라스가 안착되는 클램프가 도어 캐리어 플레이트에 부딪혀 타격음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한다.
도 1은 도어 캐리어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글라스 승강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의 댐퍼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어 글라스에 작용되는 하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종래 기술과 본 기술의 효과의 차이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도어 캐리어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글라스 승강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의 댐퍼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어 글라스에 작용되는 하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종래 기술과 본 기술의 효과의 차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캐리어 플레이트(10)에 마련되는 글라스 승강 모듈(20)은 전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구동모터(22)가 구비되고, 구동모터(22)에는 구동휠(24)이 마련되며, 구동휠(24)에는 와이어(26)가 연결된다. 이 와이어(26)는 도어 글라스(30)의 하부에 설치된 클램프(100)에 연결되며, 도어 캐리어 플레이트(10) 상에 복수개로 배치된 가이드롤(40)에 감겨져 있다.
이로 인해, 탑승자가 도어 글라스(30)의 승하강 동작을 위해 제어하면, 구동모터(22)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구동휠(24)이 회전되고, 구동휠(24)의 회전과 함께 와이어(26)가 감김 또는 풀림 동작되어 도어 글라스(30)의 승하강 동작이 수행된다.
그러나, 도어 글라스(30)가 최상측으로 승강시 도어 글라스(30)에 하중이 작용되어 밀림에 따라 도어 글라스(30)가 삽입된 벨트 웨더스트립에 변형을 야기하며, 도어 글라스(30)가 안착되는 클램프(100)가 도어 캐리어 플레이트(10) 상측에 부딪혀 충격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도어 글라스(30) 유동 개선 장치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캐리어 플레이트(10)에 마련되고, 글라스 승강 모듈(20)의 작동시 상하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안착된 도어 글라스(30)를 이동시키는 클램프(100); 및 상기 도어 캐리어 플레이트(10)에 마련되되 클램프(100)가 최상단으로 이동시 클램프(100)와 접촉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접촉된 클램프(100)를 탄성 지지하는 댐퍼기구(200);를 포함한다.
즉, 클램프(100)가 글라스 승강 모듈(20)의 작동에 의해 승강 동작시, 도어 캐리어 플레이트(10)에 클램프(1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댐퍼기구(200)가 마련됨에 따라 클램프(100)가 도어 캐리어 플레이트(1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충격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도어 글라스(30)는 승강 동작이 완료되면, 도어 글라스(30)는 소정 곡률로 형성되고 도어 글라스(30)의 상측과 하측에 대해 하중이 작용됨에 따라 무게 중심을 기준으로 밀림 힘이 작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글라스(30)에는 상측이 차체에 고정됨에 따라 구속에 의한 하중(a)이 작용되고, 하측이 도어 캐리어 플레이트(10)에 지지됨에 따른 하중(b)이 작용됨으로써 도어 글라스(30)의 무게 중심(o)을 기준으로 회전력이 작용된다. 이에 따라, 도어 글라스(30)에는 차체 구속에 의한 하중과 도어 캐리어 플레이트(10)에 의한 하중이 동시에 작용됨으로써 도어 글라스(30)에는 특정 방향으로 밀림 힘(c)이 발생된다. 이렇게, 도어 글라스(30)에 발생된 밀림 힘(c)에 의해 벨트 웨더스트립이 변형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어 글라스(30)가 안착되는 클램프(100)가 댐퍼기구(200)에 의해 탄성 지지됨에 따라 도어 글라스(30)가 과도하게 승강되지 않고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도어 글라스(30)에 작용되는 하중을 최소화하여 밀림 힘에 의한 벨트 웨더스트립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댐퍼기구(2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기구(200)는, 도어 캐리어 플레이트(10)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판넬(220);과 상기 고정판넬(22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관통 결합되고, 하단에 탄성 재질의 댐핑부(246)가 마련된 이동댐퍼(240);와 상기 고정판넬(220)과 이동댐퍼(240)의 댐핑부(246) 사이에 마련되어 댐핑부(246)에 작용되는 하중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2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고정판넬(220)이 도어 캐리어 플레이트(10)에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판넬(220)에는 댐핑부(246)가 구비된 이동댐퍼(240)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클램프(100)가 승하강됨에 따라 댐핑부(246)에 접촉시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특히, 이동댐퍼(240)의 댐핑부(246)는 탄성스프링(260)에 의해 탄성 지지됨에 따라 클램프(100)가 댐핑부(246)에 접촉되면, 댐핑부(246)가 탄성적으로 변형됨과 동시에 탄성스프링(260)이 변형되어 클램프(100)가 접촉됨에 따른 소음 발생없이 클램프(100)의 위치를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이동댐퍼(2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고정판넬(220)의 상측으로 관통된 후 소정면적으로 형성됨 따라 고정판넬(220)의 상측에 걸리는 고정부(242)와, 고정부(24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고정판넬(220)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연장부(244)와, 연장부(244)의 하단에 결합되어 클램프(100) 접촉시 탄성 변형되는 댐핑부(246)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동댐퍼(240)는 고정부(242)가 고정판넬(220)의 상측에 걸리어 초기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연장부(244)가 고정판넬(220)을 상하관통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클램프(100)가 댐핑부(246)에 접촉시 이동댐퍼(240)가 원활히 상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댐핑부(246)에는 소정 면적의 관통홀(248)이 형성됨으로써 클램프(100)의 접촉시 댐핑부(246)가 더욱 원활히 탄성 변형되어 충격 흡수가 용이하며, 적정 수준의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댐핑부(246)에 접촉되는 클램프(100)는 댐핑기구(200)에 접촉되는 상면(120)이 평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충격 흡수가 더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도어 글라스(30) 유동 개선 장치에 따르면, 도어 글라스(30)의 폐쇄 동작에 따른 승강시 도어 글라스(30)에 작용되는 하중에 의해 벨트 웨더스트립이 변형되는 최소화하여, 벨트 웨더스트립을 통한 도어 글라스(30)의 닦임 성능이 장기적으로 확보되도록 한다.
또한, 도어 글라스(30)의 승강시 도어 글라스(30)가 안착되는 클램프(100)가 도어 캐리어 플레이트(10)에 부딪혀 타격음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경우 도어 글라스(30)가 최상단으로 이동시 타격음이 크게 발생되지만, 본 기술의 경우 도어 글라스(30)가 최상단으로 이동되는 시점에서 타격음이 종래기술 대비 현저히 저하된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클램프 200:댐퍼기구
220:고정판넬 240:이동댐퍼
242:고정부 244:연장부
246:댐핑부 248:관통홀
260:탄성스프링

Claims (5)

  1. 도어 캐리어 플레이트에 마련되고, 글라스 승강 모듈의 작동시 상하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안착된 도어 글라스를 이동시키는 클램프; 및
    상기 도어 캐리어 플레이트에 마련되되 클램프가 최상단으로 이동시 클램프와 접촉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접촉된 클램프를 탄성 지지하는 댐퍼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기구는, 도어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판넬과, 상기 고정판넬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관통 결합되고, 하단에 탄성 재질의 댐핑부가 마련된 이동댐퍼와, 상기 고정판넬과 이동댐퍼의 댐핑부 사이에 마련되어 댐핑부에 작용되는 하중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댐핑부에는 소정 면적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댐퍼는 상단이 고정판넬의 상측으로 관통된 후 소정면적으로 형성됨 따라 고정판넬의 상측에 걸리는 고정부와, 고정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고정판넬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연장부와, 연장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클램프 접촉시 탄성 변형되는 댐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댐핑기구에 접촉되는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
KR1020150142624A 2015-10-13 2015-10-13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 KR102262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624A KR102262131B1 (ko) 2015-10-13 2015-10-13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624A KR102262131B1 (ko) 2015-10-13 2015-10-13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691A KR20170043691A (ko) 2017-04-24
KR102262131B1 true KR102262131B1 (ko) 2021-06-10

Family

ID=58704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624A KR102262131B1 (ko) 2015-10-13 2015-10-13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1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915B1 (ko) * 2020-11-26 2022-07-22 (주)광진기계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6516U (ja) * 1991-12-05 1993-06-22 盟和産業株式会社 車両用窓ガラス開閉機構
KR100226287B1 (ko) * 1996-12-13 1999-10-15 정몽규 후드의 오버슬램 완충장치
KR20040026085A (ko) 2002-09-17 2004-03-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글라스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691A (ko) 201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02093A1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CN211390907U (zh) 在车门玻璃上升/下降期间减小撞击声的车门玻璃组件
JP6423319B2 (ja) 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102262131B1 (ko) 도어 글라스 유동 개선 장치
KR20130068542A (ko) 차량용 파노라마 선루프의 슬라이딩 구조
KR101724827B1 (ko)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이동장치
KR20080052738A (ko)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톱퍼
KR20130065010A (ko)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CN106985646B (zh) 在汽车的可封闭的天窗部分上的挡风装置
JP2010150864A (ja) 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
KR102463049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KR20130129532A (ko) 자동차용 윈도우 글래스의 캐리어 플레이트
KR101991778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JP6654810B2 (ja) 養生装置の設置構造
KR100551837B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파워윈도우의 레귤레이터 장치
CN104369638A (zh) 一种带有自动复位的车辆避震硬度调节装置
KR100587936B1 (ko) 도어 윈도우 글래스의 승강 완충장치
KR200369173Y1 (ko) 내구성이 향상된 듀얼 레일형 레귤레이터
JP2014069615A (ja) 車両用デフレクタ装置
KR100980948B1 (ko)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승하강 장치
KR20080055007A (ko) 도어의 윈도우 리프팅 장치
KR20090094542A (ko) 자동차의 선루프 디플렉터
KR101282694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
KR101014515B1 (ko) 이단 테이크업 장치
KR20050093470A (ko) 듀얼 레일 윈도우 레귤레이터 시스템의 듀얼 스톱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