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437Y1 - 수트 - Google Patents

수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437Y1
KR200464437Y1 KR2020110000294U KR20110000294U KR200464437Y1 KR 200464437 Y1 KR200464437 Y1 KR 200464437Y1 KR 2020110000294 U KR2020110000294 U KR 2020110000294U KR 20110000294 U KR20110000294 U KR 20110000294U KR 200464437 Y1 KR200464437 Y1 KR 200464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it
endothelial
weight
weare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284U (ko
Inventor
윤형식
유재천
박대남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0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43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2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2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4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트 착용자의 신체에 적절히 피팅이 되어 미려한 외관(Silhouette)을 가지며, 신체활동이 편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조가 개선되어 활동성이 향상된 수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의와 하의로 이루어지는 수트(suit)에 있어서, 상기 상의와 하의는 각각 외피와 내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수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트 착용자의 활동성이 개선되도록 상기 상의의 내피 중 적어도 일부는 신축성이 15 내지 65%인 소재인 신축내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의와 하의로 이루어지는 수트(suit)에 있어서, 상기 상의와 하의는 각각 외피와 내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수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트 착용자의 활동성이 개선되도록 상기 하의의 내피 중 적어도 일부는 신축성이 15 내지 30%인 소재인 신축내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수트에 사용되는 섬유에 비하여 신축성이 큰 섬유를 상의 또는 하의의 내피로 사용함으로써 미려한 외관(Silhouette)을 갖으면서도 수트 착용자의 활동성이 현저히 개선되어 운전이나 가벼운 운동을 하기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편안한 수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트{Suit}
본 고안은 수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트 착용자의 신체에 적절히 피팅이 되어 미려한 외관(Silhouette)을 가지며, 신체활동이 편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조가 개선되어 활동성이 향상된 수트에 관한 것이다.
수트 또는 정장(Fomal dress)이란 법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규제된 정식복장 또는 그렇게 복장을 갖추는 일을 의미한다. 캐주얼 또는 평상복(casual dress)과 구별되는 말이다. 복장이란 어떤 의미로든지 공적인 성격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지만, 공적 성격 정도의 강약이 정장과 캐주얼을 구분짓는데 기준이 된다. 정장은 시대나 민족에 따라 다르고 동일한 복장이 시대의 변화와 더불어 캐주얼에서 정장으로 바뀌는 경우도 있다. 19세기 서양의 시민복이었던 연미복이 20세기에는 정장이나 예장으로 바뀐 것이 그 예이다.
수트란 상의와 하의를 같은 천으로 만든 한 벌의 양복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남자의 경우는 상의, 조끼, 바지의 세 가지로 조합된 신사복이고, 여자의 경우는 재킷, 스커트, 블라우스의 한벌을 말한다.
이러한 수트의 디자인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가 고려된다. 신체에는 여러가지 굴곡들이 있는데 그 굴곡에 맞게 외피 디자인을 하고, 그 외피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내피 디자인을 하고 그 내피를 외피에 결합하게 된다.
현재까지의 정장의 디자인이나 소재의 선택에 있어서 수트 착용 자가 운전을 하거나 가벼운 운동을 하는 등의 활동성에 대한 고려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수트 상의의 내피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고, 도 7은 종래의 수트 하의의 내피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1의 사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의는 외피(3)와 내피(1, 2)로 구성되는데 내피는 등과 맞닿는 부분에 마련되는 내피(1)와 팔과 닿는 부분 즉 소매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피(2)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사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하의도 외피(4)와 내피(5)로 구분된다. 도 1 및 도 7에 표시된 사진의 수트는 소위 하복으로 불리우는 여름에 입도록 디자인된 수트이며, 봄/가을에 입는 제품이나 겨울에 입는 제품의 경우 내피의 형태가 조금 변경되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수트 외피에 많이 사용되는 소재로는 천연섬유가 있다. 천연섬유를 입음으로써 마치 제2의 피부와 같이 땀을 내보내고, 여름에는 시원하고 추운 겨울에는 온기를 품고 있을 수 있다. 계절별로는 추운 겨울에는 소모사 및 방모사로 된 플란넬(Flannel)이나 캐시미어(Cashmere)등이 많이 사용되며, 여름에는 트로피컬 울(Tropical Wool)이나, 모헤어, 면, 마, 견등이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섬유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정의 합성섬유 혼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수트에 적용되는 섬유는 어느 정도의 신축성이 있기는 하지만 거의 늘어나지 않는 정도이다.
수트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소재인 울(wool) 소재의 경우 2-5%의 신축성이 있는데 특정한 방향으로 힘을 가해도 2 내지 5%정도의 길이만 늘어난다는 의미이며 이는 매우 낮은 수준의 신축성이다.
한편, 섬유의 신축성은 시료 30cm(가로) X 5 cm(세로)를 이용하여 속도 200mm/분으로 1.5kg의 힘으로 당긴후 더 이상 늘어나지 않는 지점에서 최초 시료로부터 늘어남 길이를 측정하여 %로 표기하게 된다. 즉 늘어난 갈이가 33cm이라면 섬유의 신축성은 10%가 되는 것이다. 한편, 잔류 신축성도 중요한데 상기와 동일한 조건으로 5회 시험을 하여 힘을 모두 제거하고 원단상태로 방치 한후 최초 길이(30cm)에서 변화된 길이를 측정으로 %로 표기한다.
수트 내피는 수트 외피의 지탱하고 보호막 역할을 하면서 땀의 흡수성 및 보온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며, 통상적으로 외피로 사용되는 울 등의 신축성과 큰 차이가 없는 큐프라, 비스코스로 등의 소재로 이루어져로 있다. 그리고 때와 장소에 따라서 정장이 필요해서 입기는 하지만 정장은 본질적으로 그 활동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장 상의를 입고 운전을 하는 것조차 불편하지만 그러한 불편은 감수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고안은 배경기술에서 제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려한 외관(Silhouette)을 갖으면서도 운전이나 운동 등의 신체활동이 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활동성이 개선된 수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상의와 하의로 이루어지는 수트(suit)에 있어서,
상기 상의와 하의는 각각 외피와 내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수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트 착용자의 활동성이 개선되도록 상기 상의의 내피 중 적어도 일부는 신축성이 15 내지 65%인 소재인 신축내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를 제공한다.
상기 신축내피는 상기 신축 내피는 나일론 70 내지 90 중량%, , 폴리에스터 10 내지 30 중량%인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고, 나일론 60 내지 90 중량%, , 폴리에스터 9 내지 30 중량%, 폴리우레탄 0.1 내지 10 중량%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신축내피는 수트 착용자의 어깨와 등의 위쪽에 맞닿는 부분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축내피는 상기 상의의 소매쪽 내부중 가장 몸쪽에 가까운 팔에 닿는 부분부터 팔꿈치가 닿는 부분 전까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의의 외피는 신축성이 8 내지 20%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또한, 상의와 하의로 이루어지는 수트(suit)에 있어서,
상기 상의와 하의는 각각 외피와 내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수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트 착용자의 활동성이 개선되도록 상기 하의의 내피 중 적어도 일부는 신축성이 15 내지 30%인 소재인 신축내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를 제공한다.
상기 신축내피는 망사형태로 직조된 섬유가 사용되며, 폴리에스터 100 중량%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폴리에스터 80 내지 90중량%, 나일론 10 내지 20 중량%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폴리에스터 80 내지 90중량%, 나일론 0.1 내지 19 중량%, 폴리우레탄 0.1 내지 10 중량%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신축내피는 하의의 상단부로부터 착용자의 무릎 아랫부분까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의의 외피는 신축성이 8 내지 20%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수트에 사용되는 섬유에 비하여 신축성이 큰 섬유를 상의 또는 하의의 내피로 사용함으로써 미려한 외관(Silhouette)을 가지면서도 수트 착용자의 활동성이 현저히 개선되어 운전이나 가벼운 운동을 하기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편안한 수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트 상의의 내피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2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수트의 내피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3은 도 2에 표시된 내피 중 등쪽 부분의 내피를 확대한 사진.
도 4는 도 2에 표시된 내피 중 소매쪽 부분의 내피를 확대한 사진.
도 5 및 도 6은 도 2에 표시된 내피의 신축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7은 종래의 수트 하의의 내피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8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수트의 내피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9는 도 8에 표시된 내피를 확대한 사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수트의 상의 및 하의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기로 한다.
우선 수트 상의의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수트의 내피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3은 도 2에 표시된 내피 중 등쪽 부분의 내피를 확대한 사진, 도 4는 도 2에 표시된 내피 중 소매쪽 부분의 내피를 확대한 사진, 도 5 및 도 6은 도 2에 표시된 내피의 신축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트의 상의는 일반적인 수트의 상의와 마찬가지로 외피(10)와 내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피(10)는 신축성이 8 내지 20%인 소재의 섬유로 이루어진다. 신축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이미 배경기술에 설명되어 있으므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외피(10)에 보다 큰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은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첫번째로 신축성이 좋은 고무사(보통 LYCRA가 사용됨)를 사용하여 일반사와 고무사를 반복적으로 배열한 상태로 직조를 하는 방법과 두 번째로 제직과정에서 복지비를 넓게 작업하여 가공 공정에서 수축을 시킨 후 고정하여 신축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있다. 후자를 일반적으로 내츄럴 스트레치(Natural Stretch)라고 하며, 두 가지 방법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피는 신축성이 15 내지 65%인 소재인 신축내피(20)를 사용한다. 신축내피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는 아니며 본 명세서에서 신축성이 15 내지 65%인 소재로 정의한 말이며, 설명상의 편의를 위한 정의이다.
상기 신축내피는 나일론과 폴리에스터의 혼합물 또는 나일론, 폴리에스터 및 폴리우레탄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나일론과 폴리에스터의 혼합물일 경우 나일론 70 내지 90 중량%, 폴리에스터 10 내지 30중량%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나일론,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의 혼합물인 경우 나일론 60 내지 90 중량%, 폴리에스터 10 내지 30 중량%, 폴리우레탄 0.1 내지 10 중량%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나일론과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 합성섬유이며 그 혼합비는 나일론 78% 폴리에서터 22%의 혼합비로 이루어진 섬유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조합을 취한 경우 신축성이 58%이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신축내피의 신축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5의 사진에서와 같이 인장력을 가하기 전에는 2cm이었던 길이가 도 6의 사진에서와 같이 인장력을 가한 후에는 약 2.7cm 정도로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 5 및 도 6의 사진은 신축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인력을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이며 정확한 신축성 테스트 결과는 의류 시험연구소에서 검사한 결과 58%이다.
상기 신축내피(20)는 수트 착용자의 어깨와 위쪽 등부분에 맞닿는 부분에 마련되는 제1내피(21)와 소매쪽 내부 중 가장 몸쪽에 가까운 팔에 닿는 부분부터 팔꿈치가 닿는 부분 전까지 마련되는 제2내피(22)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트의 상의는 내피를 신축내피(20)로 사용함으로써 수트 착용자가 운전을 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두 팔을 앞으로 뻗어서 팔과 팔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제1내피(21)와 제2내피(22)가 수트 착용자의 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늘어남으로써 수트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별다른 저항감 없이 운동을 할 수 있는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외피(10)의 경우에도 신축성이 8 내지 20%인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그러한 활동성의 증가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수트 하의의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수트의 내피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고, 도 9는 도 8에 표시된 내피를 확대한 사진이다.
본 실시예의 하의도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피(30)는 신축성이 8 내지 20%인 소재로 이루어진다. 하의용 외피(30)의 소재는 상의용 외피(10)의 소재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직조 방법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에서 외피는 도면부호 30으로 내피인 신축내피는 도면부호 40으로 표기하였으며, 이는 상의의 외피 및 내피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함이다. 도 8에 도면부호 50으로 표시된 구성은 주머니이다.
상기 내피는 신축성이 15 내지 30%인 소재로 이루어지며 망사형태로 직조된 신축내피(40)가 사용된다.
상기 신축내피(40)는 폴리에스터 100%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폴리에스터와 나일론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폴리에스터, 나일론 및 폴리우레탄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폴리에스터와 나일론의 혼합물인 경우 폴리에스터 80 내지 90중량%, 나일론 10 내지 20중량%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우레탄의 조합인 경우 폴리에스터 80 내지 90중량%, 나일론 0.1 내지 20중량%, 폴리우레탄 0.1 내지 10중량%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의용 신축내피(40)는 폴리에스터 100%로 이루어 져 있으며, 도 9의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망사형태로 직조된 섬유가 사용된다. 한편 주머니(50)의 소재 역시 신축내피(40)의 소재와 동일한 소재가 사용된다.
상기 신축내피(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의의 상단부쪽부터 수트 착용자의 무릎아랫 부분까지 마련된다. 수트 착용자가 의자에 앉거나 바닥에 양반다리로 앉는 등의 운동을 할 때 신축성이 가장 많이 요구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트 하의를 착용하는 경우 수트 착용자가 움직일때 신축내피가 늘어남에 따라 섬유의 저항감이 훨씬 덜한 상태로 움직일 수 있어 수트 착용자의 활동성이 훨씬 개선되는 작용, 효과가 발생하며 신축내피를 망사 형태로 직조한 상태로 사용함으로써 피부와의 접촉면을 줄여 착용감이 개선되는 작용,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의의 경우 실내에서는 벗는 경우도 있지만 하의의 경우 수트를 착용하고 있는 시간에는 계속해서 입고 있어야 하므로 땀이 차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내피가 피부에 붙어서 감기는 등의 느낌이 불쾌감으로 작용할 수 있는데 망사형태로 직조된 신축내피(40)를 사용함으로써 그러한 불쾌감을 최소한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된 수트 상의의 실시예의 경우 신축내피로 나일론 78%, 폴리에스터 22%이루어진 소재를 사용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혼용율로 이루어진 소재를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신축내피의 정의에 맞는 섬유소재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수트 하의의 실시예의 경우 망사형태로 직조된 섬유가 사용되었으나 반드시 망사형태로 직조되거나 폴리에스터 100%로 이루어진 소재를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신축내피의 정의에 맞는 섬유소재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트로 구체화될 수 있다.
10 : 상의용 외피
20 : 상의용 내피
30 : 하의용 외피
40 : 하의용 내피

Claims (12)

  1. 상의와 하의로 이루어지는 수트(suit)에 있어서,
    상기 상의와 하의는 각각 외피와 내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수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트 착용자의 활동성이 개선되도록 상기 상의의 내피 중 적어도 일부는 신축성이 15 내지 65%인 소재인 신축내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축내피는 상기 상의의 소매쪽 내부중 가장 몸쪽에 가까운 팔에 닿는 부분부터 팔꿈치가 닿는 부분 전까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내피는 나일론 70 내지 90 중량%, 폴리에스터 10 내지 30 중량%인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내피는 나일론 60 내지 90 중량%, 폴리에스터 9 내지 30 중량%, 폴리우레탄 0.1 내지 10 중량%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내피는 수트 착용자의 어깨와 등의 위쪽에 맞닿는 부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의 외피는 신축성이 8 내지 20%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7. 상의와 하의로 이루어지는 수트(suit)에 있어서,
    상기 상의와 하의는 각각 외피와 내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수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트 착용자의 활동성이 개선되도록 상기 하의의 내피 중 적어도 일부는 신축성이 15 내지 30%인 소재인 신축내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의의 외피는 신축성이 8 내지 20%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내피는 망사형태로 직조된 섬유가 사용되며, 폴리에스터 10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내피는 망사형태로 직조된 섬유가 사용되며, 폴리에스터 80 내지 90중량%, 나일론 10 내지 20 중량%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내피는 망사형태로 직조된 섬유가 사용되며, 폴리에스터 80 내지 90중량%, 나일론 0.1 내지 19 중량%, 폴리우레탄 0.1 내지 10 중량%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내피는 하의의 상단부로부터 착용자의 무릎아랫 부분까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트.
  12. 삭제
KR2020110000294U 2011-01-11 2011-01-11 수트 KR200464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294U KR200464437Y1 (ko) 2011-01-11 2011-01-11 수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294U KR200464437Y1 (ko) 2011-01-11 2011-01-11 수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284U KR20120005284U (ko) 2012-07-19
KR200464437Y1 true KR200464437Y1 (ko) 2013-01-02

Family

ID=4685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294U KR200464437Y1 (ko) 2011-01-11 2011-01-11 수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43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796Y1 (ko) * 2004-08-11 2004-11-17 조남영 방염복 바지
JP3155704U (ja) * 2009-09-16 2009-11-26 株式会社タカキュー 着心地と活動に好適なファッション性に優れたスーツ
KR100982248B1 (ko) * 2010-02-12 2010-09-14 캠브리지코오롱 주식회사 슈트 상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796Y1 (ko) * 2004-08-11 2004-11-17 조남영 방염복 바지
JP3155704U (ja) * 2009-09-16 2009-11-26 株式会社タカキュー 着心地と活動に好適なファッション性に優れたスーツ
KR100982248B1 (ko) * 2010-02-12 2010-09-14 캠브리지코오롱 주식회사 슈트 상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284U (ko)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34695A1 (en) Elastic fabric and process of preparation
JP7153121B2 (ja) 衣服及びその生産方法
JP6824612B2 (ja) 衣服
KR200464437Y1 (ko) 수트
CN206941091U (zh) 织物及服装
CN211092048U (zh) 一种服饰
JP3163375U (ja) 上着及びスーツ
CN213804218U (zh) 一种具有美容功能的面料及服饰
JP6651288B2 (ja) 織物
TWI669424B (zh) 彈性圓形編織物
JP2018083996A (ja) 裏地付きズボンの製造方法
JP2016130378A (ja) レッグウエア
CN206213330U (zh) 一种高尔夫紧身衣
CN213639689U (zh) 一种防静电耐磨羊毛衫
JP2015030933A (ja) 上半身用衣類
CN210696012U (zh) 一种保暖高领毛衣
CN213486991U (zh) 一种紧身衣以及应用于人体数据采集的紧身衣
Bera et al. Knitted active wears
CN211747084U (zh) 一种跆拳道服
CN210329411U (zh) 一种防皱复合纤维裤
CN106263142A (zh) 一种防滑袖套
JP3187300U (ja)
CN104720942A (zh) 一种袖套
CN204428716U (zh) 防肌肉萎缩手部肌肉练习衣
TWI653945B (zh) 具有穿著壓產生部之衣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