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659Y1 - 호스 직결식 오픈 타입 냉온수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호스 직결식 오픈 타입 냉온수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659Y1
KR200463659Y1 KR2020120007342U KR20120007342U KR200463659Y1 KR 200463659 Y1 KR200463659 Y1 KR 200463659Y1 KR 2020120007342 U KR2020120007342 U KR 2020120007342U KR 20120007342 U KR20120007342 U KR 20120007342U KR 200463659 Y1 KR200463659 Y1 KR 2004636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cold
water inlet
hous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엘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엘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엘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2020120007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6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6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6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11/07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with flat sealing 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스 직결식 오픈 타입 냉온수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냉온수의 출수와 관련된 다수의 부품들이 마련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시트; 및 상기 시트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시트를 통해 토출되는 혼합수가 그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혼합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혼합수 유출저지용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시트 바디; 상기 시트 바디에 마련되되 냉수 유입구와 온수 유입구를 형성하는 냉수 유입관과 온수 유입관; 및 수전 측의 냉수용 급수호스 및 온수용 급수호스와 나사 결합을 위해 상기 냉수 유입관 및 상기 온수 유입관에 일체로 마련되며,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인서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호스 직결식 오픈 타입 냉온수 카트리지{Open type cartridge having direct connection of hose}
본 고안은, 호스 직결식 오픈 타입 냉온수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전처럼 수전의 내부를 정밀 가공하지 않더라도 냉수용 급수호스와 온수용 급수호스를 누수 발생 없이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시 작업 소요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호스 직결식 오픈 타입 냉온수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수전은 주방의 싱크대나 욕실 등에 설치되어 물의 공급 및 차단을 조작하는 것으로서, 유량 조절 기능 외에도 냉수와 온수의 조절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수전에 의한 물의 공급 또는 차단의 출수 기능, 유량 조절 기능, 그리고 냉수와 온수의 조절 기능은 모두 수전 내의 냉온수 카트리지(cartridg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냉온수 카트리지는 수전에 연결되어 냉수와 온수, 혹은 혼합수가 토출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수전에 도시된 냉온수 카트리지(31)의 하면에는 다수의, 즉 3개의 구멍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카트리지(31)는 혼합수 토출구가 별도의 관(pipe) 형태로 마련되어 혼합수의 토출을 유도하는 클로즈드 타입(closed type)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냉온수 카트리지는 적용될 수전의 형상에 따라 혼합수 토출구가 관(pipe)으로 연장되지 않고 카트리지의 저면에서 오픈(open)된 형태를 가져 혼합수가 카트리지 저면에서 넓게 토출되는 오픈 타입(open type)으로 대체 적용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31)의 상부에는 카트리지 커버(34)에 의하여 핸들(33)이 결합된다. 카트리지(31) 하면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데, 각각 냉수 유입구(32a), 온수 유입구(32b) 및 혼합수 토출구(32c)이다.
냉수 유입구, 온수 유입구 및 혼합수 토출구는 수전 몸체(20a)내에 형성되는 구멍(23a, 23b, 23c)에 맞춰져 조립된 후에 냉수 유입구로는 냉수가, 온수 유입구로는 온수가 각각 유입되고 카트리지 내에 구비되는 하부 디스크 및 상부 디스크에 의하여 유입량을 가변시켜 원하는 온도의 혼합수가 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즉, 냉온수 카트리지의 냉수 유입구, 온수 유입구 및 혼합수 토출구에 대응되는 수전 몸체(20a)의 내부 구멍(23a, 23b, 23c)에는 냉수용 급수호스(26a), 온수용 급수호스(26b) 및 혼합수용 토출호스(27)가 결합볼트(25a, 25b, 25c)를 개재하여 결합된다.
호스 직결식 오픈 타입 냉온수 카트리지의 경우에는 혼합수 토출구(32c)에 대응하는 수전 몸체 내의 대응 구멍(23c)이 없고 혼합수용 토출호스(27)가 결합되지 않는 구조가 될 것이다.
그런데, 실질적으로 그리 크지 않은 수전 몸체의 내부에 냉수용 급수호스(26a), 온수용 급수호스(26b) 및 혼합수용 토출호스(27)가 결합되도록 수전의 내부를 가공하는 작업은 상당히 복잡하며, 만약 정밀 가공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누수 발생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관을 수전에 결합하는 작업 역시 복잡하여 작업 소요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구조 개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특허 제10-1006884호
본 고안의 목적은, 종전처럼 수전의 내부를 정밀 가공하지 않더라도 냉수용 급수호스와 온수용 급수호스를 누수 발생 없이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시 작업 소요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호스 직결식 오픈 타입 냉온수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냉온수의 출수와 관련된 다수의 부품들이 마련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시트; 및 상기 시트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시트를 통해 토출되는 혼합수가 그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혼합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혼합수 유출저지용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시트 바디; 상기 시트 바디에 마련되되 냉수 유입구와 온수 유입구를 형성하는 냉수 유입관과 온수 유입관; 및 수전 측의 냉수용 급수호스 및 온수용 급수호스와 나사 결합을 위해 상기 냉수 유입관 및 상기 온수 유입관에 일체로 마련되며,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인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직결식 오픈 타입 냉온수 카트리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하우징에 이웃된 상기 시트 바디의 측면과 상기 혼합수 유출저지용 가이드 플레이트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오링(O-Ring)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이웃된 상기 시트 바디의 단부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전의 걸림홈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 돌기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전처럼 수전의 내부를 정밀 가공하지 않더라도 냉수용 급수호스와 온수용 급수호스를 누수 발생 없이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시 작업 소요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카트리지의 구조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트의 확대도,
도 4는 시트의 배면도,
도 5는 도 4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카트리지의 구조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트의 확대도, 도 4는 시트의 배면도, 그리고 도 5는 도 4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호스 직결식 오픈 타입 냉온수 카트리지(100)는 도시 않은 수전 내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호간 결합되는 하우징(110)과 시트(14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본 실시예의 냉온수 카트리지의 외관 상부를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시트(140)와 함께 냉온수의 출수와 관련된 다수의 부품들이 내장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하우징(110)과 시트(140) 사이에는 하부 세라믹 디스크(121, lower ceramic), 상부 세라믹 디스크(122, upper ceramic), 디스크 커버(123, disc cover), 슬라이딩용 조인(124, join)이 갖춰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세라믹 디스크 및 상부 세라믹 디스크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된다.
하부 세라믹 디스크(121)는 시트(140)의 상부에서 고정되는 부품이다.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부 세라믹 디스크(121)에는 시트(140)의 냉수 유입구(140a), 온수 유입구(140b) 및 혼합수 토출구(140c)에 대응되는 다수의 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하부 세라믹 디스크(121)와 시트(140) 사이에는 이너 패킹(125, inner packing)이 마련된다. 이너 패킹(125)은 하부 세라믹 디스크(121)에 형성되는 통공들에 각각 하나씩 결합될 수 있으며, 기밀 유지를 위하여 고무 패킹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부 세라믹 디스크(122)는 하부 세라믹 디스크(121)의 상부에 배치된다. 하부 세라믹 디스크(121)와 달리 상부 세라믹 디스크(122)는 레버(130)의 조작 시 레버(130)와 함께 동작되면서 하부 세라믹 디스크(121)의 통공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디스크 커버(123)는 상부 세라믹 디스크(122)와 연결되어 상부 세라믹 디스크(122)와 함께 동작되는 구조물이다. 그리고 슬라이딩용 조인(124)은 레버(60)와 연결되어 레버(60)의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한다.
하우징(110)의 상부 영역에는 레버(130)가 결합된다. 레버(130)는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때, 토출 유량을 조절할 때, 그리고 냉수와 온수를 조절할 때 조작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레버(130)는 회전축(131)을 축심으로 하여 동작될 수 있다. 레버(130)의 하부에는 핀 케이스(132, pin case)가 배치되며, 핀 케이스(132) 내에는 스프링(133)이 결합된다. 스프링(133)으로 인해 레버(130)는 정위치로의 복귀가 수월해진다.
한편,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그리 크지 않은 수전의 내부에 냉수용 급수호스와 온수용 급수호스가 결합되도록 수전의 내부를 가공해야 했기 때문에 가공 작업이 복잡해질 수밖에 없으며, 정밀 가공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누수 발생의 위험이 발생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아래와 같이, 시트(140) 영역의 구조 개선을 통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호스 직결식 오픈 타입 냉온수 카트리지(100)에 적용되는 시트(140)는 하부 세라믹 디스크(121)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하우징(110)과 결합된다.
이러한 시트(140)는, 하우징(110)과 결합되는 시트 바디(141)와, 시트 바디(141)에 마련되되 냉수 유입구(140a) 및 온수 유입구(140b)를 형성하는 냉수 유입관(145a) 및 온수 유입관(145b)과, 냉수 유입관(145a) 및 온수 유입관(145b)에 마련되는 인서트(143)를 포함한다.
시트 바디(141)에는 3개의 구멍이 형성된다. 3개의 구멍은 각각 냉수 유입구(140a), 온수 유입구(140b) 및 혼합수 토출구(140c)를 형성한다.
이때, 냉수 유입구(140a)와 온수 유입구(140b)는 각각 관(pipe) 형태의 냉수 유입관(145a)과 온수 유입관(145b)에 의해 마련되는데 반해, 혼합수 토출구(140c)는 시트 바디(141)의 하면이 단순하게 오픈(open)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혼합수는 단순한 구멍 형태의 혼합수 토출구(140c)를 통해 저면으로 넓게 토출되어 수전으로 나가는 형태를 취한다.
이와 같은 시트(140)의 구조에서 관(pipe) 형태로 마련되는 냉수 유입관(145a)과 온수 유입관(145b)의 내벽 모두에는 암나사부(143a)를 구비하는 인서트(143)가 마련된다. 인서트(143)는 수전 측의 냉수용 급수호스와 온수용 급수호스와의 나사 결합을 위해 마련되며, 시트(140) 제조 시 일체로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의 냉온수 카트리지(100)를 수전에 결합시킬 때는 시트(140)의 냉수 유입구(140a)와 온수 유입구(140b)에 대응되는 수전의 내부 구멍에 도시 않은 냉수용 급수호스와 온수용 급수호스를 결합시켜야 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냉수 유입구(140a)와 온수 유입구(140b)에 대응되는 냉수 유입관(145a)과 온수 유입관(145b)의 내벽 모두에 암나사부(143a)를 구비하는 인서트(143)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냉수용 급수호스와 온수용 급수호스를 그에 대응되는 인서트(143)의 암나사부(143a)에 직접 나사 결합시키기만 하면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 냉수용 급수호스와 온수용 급수호스를 그에 대응되는 인서트(143)의 암나사부(143a)에 나사 결합시키기만 하면 냉온수 카트리지(100)를 수전에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 공정이 간편해져 설치시 작업 소요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냉온수 카트리지(100)에 인서트(143)가 일체로 마련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종전처럼 수전 내부의 정밀 가공을 수행할 필요 없이 효율적으로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혼합수 토출구(140c)는 관(pipe)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이곳에는 별도의 관(pipe)이 연결되지 않는다. 즉 수전 측에서 혼합수 토출관이 연결될 필요는 없다.
다만, 혼합수 토출구(140c)가 단순히 뚫린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토출되는 혼합수가 그대로 유출되지 않도록 시트(140)의 하부에는 시트(140)를 통해 토출되는 혼합수가 그대로 유출되지 않도록 혼합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혼합수 유출저지용 가이드 플레이트(150)가 마련된다. 이때, 혼합수 유출저지용 가이드 플레이트(150)는 시트(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하우징(110)에 이웃된 시트 바디(141)의 측면과 혼합수 유출저지용 가이드 플레이트(150)의 측면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오링(O-Ring, OR1, OR2)이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에 이웃된 시트 바디(141)의 단부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수전의 걸림홈(미도시)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 돌기부(146)가 더 형성된다. 걸림 돌기부(146)로 인해 카트리지(100)의 결합 위치를 잡기가 편리해진다. 따라서 수전 내부에는 종래와 같이 다수의 구멍(도 1의 23a, 23b, 23c)이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수전의 일부 구간에 걸림홈만을 가공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카트리지(100)를 간단히 결합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 수전 내부 가공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의 경우, 종전처럼 수전의 내부를 정밀 가공하지 않더라도 냉수용 급수호스와 온수용 급수호스를 누수 발생 없이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하우징 121 : 하부 세라믹 디스크
122 : 상부 세라믹 디스크 123 : 디스크 커버
124 : 슬라이딩용 조인 125 : 이너 패킹
130 : 레버 131 : 회전축
132 : 팬 케이스 133 : 스프링
140 : 시트 140a : 냉수 유입구
140b : 온수 유입구 140c : 혼합수 토출구
141 : 시트 바디 143 : 인서트
143a : 암나사부 145a : 냉수 유입관
145b : 온수 유입관 146 : 걸림 돌기부
150 : 혼합수 유출저지용 가이드 플레이트

Claims (3)

  1.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냉온수의 출수와 관련된 다수의 부품들이 마련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시트; 및
    상기 시트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시트를 통해 토출되는 혼합수가 그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혼합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혼합수 유출저지용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시트 바디;
    상기 시트 바디에 마련되되 냉수 유입구와 온수 유입구를 형성하는 냉수 유입관과 온수 유입관; 및
    수전 측의 냉수용 급수호스 및 온수용 급수호스와 나사 결합을 위해 상기 냉수 유입관 및 상기 온수 유입관에 일체로 마련되며,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인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직결식 오픈 타입 냉온수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이웃된 상기 시트 바디의 측면과 상기 혼합수 유출저지용 가이드 플레이트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오링(O-Ring)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직결식 오픈 타입 냉온수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이웃된 상기 시트 바디의 단부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전의 걸림홈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 돌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직결식 오픈 타입 냉온수 카트리지.
KR2020120007342U 2012-08-20 2012-08-20 호스 직결식 오픈 타입 냉온수 카트리지 KR2004636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342U KR200463659Y1 (ko) 2012-08-20 2012-08-20 호스 직결식 오픈 타입 냉온수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342U KR200463659Y1 (ko) 2012-08-20 2012-08-20 호스 직결식 오픈 타입 냉온수 카트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659Y1 true KR200463659Y1 (ko) 2012-11-16

Family

ID=47565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342U KR200463659Y1 (ko) 2012-08-20 2012-08-20 호스 직결식 오픈 타입 냉온수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65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1762A (ja) 2009-06-19 2011-01-06 Inax Corp シングルレバー混合水栓
KR101006884B1 (ko) 2010-06-24 2011-01-12 (주) 대화이에스 수전금구용 몸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1762A (ja) 2009-06-19 2011-01-06 Inax Corp シングルレバー混合水栓
KR101006884B1 (ko) 2010-06-24 2011-01-12 (주) 대화이에스 수전금구용 몸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9039B2 (en) Faucet for switching between multiple water sources
US9464415B2 (en) Faucet
US20210356048A1 (en) Valve cartridge housing assembly
US9464416B1 (en) Unibody thermostatic rim or deck mount faucet assembly
JP6080089B2 (ja) 湯水混合水栓装置
KR200463659Y1 (ko) 호스 직결식 오픈 타입 냉온수 카트리지
JP6804038B2 (ja) 湯水混合水栓
KR101090519B1 (ko) 관붙이용 앵글밸브
KR200463660Y1 (ko) 호스 직결식 클로즈드 타입 냉온수 카트리지
KR101323625B1 (ko) 토출구 교체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JP2013249687A (ja) 湯水混合水栓装置
KR101546573B1 (ko) 관붙이용 앵글밸브
JP4238878B2 (ja) 湯水混合水栓
JP5958879B2 (ja) 湯水混合水栓装置
CN211285849U (zh) 一种阀组件与出水本体的安装结构和具有该安装结构的出水装置
US9879407B2 (en) Faucet handle fitting
CN111022706A (zh) 多功能浴室控制盒及卫浴系统
AU2016100646A4 (en) Plumbing installation using an isolating stop cock valve
JP2008115668A (ja) 分岐止水栓
JP5954689B2 (ja) 湯水混合水栓装置
JP5958880B2 (ja) 湯水混合水栓装置
CN210397810U (zh) 一种龙头出水构件
KR200488794Y1 (ko) 수전용 역류 방지장치
JP2018053454A (ja) 湯水混合水栓
JP2000096643A (ja) 止水機能付シャワーヘッドを備えた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