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651Y1 - 후사경을 구비한 셀프 이발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후사경을 구비한 셀프 이발 보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651Y1
KR200463651Y1 KR2020110003585U KR20110003585U KR200463651Y1 KR 200463651 Y1 KR200463651 Y1 KR 200463651Y1 KR 2020110003585 U KR2020110003585 U KR 2020110003585U KR 20110003585 U KR20110003585 U KR 20110003585U KR 200463651 Y1 KR200463651 Y1 KR 2004636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support member
self
mirror
hai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434U (ko
Inventor
김연중
Original Assignee
김연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중 filed Critical 김연중
Priority to KR2020110003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651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4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434U/ko
Priority to PCT/KR2012/002648 priority patent/WO2012148097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6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6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2/00Hand, pocket, or shaving mirrors
    • A45D42/18Manifold reflecting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36Hair straps; Hai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4Appliances for adjus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into a desired position, especially inclined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후사경을 구비한 셀프 이발 보조 기구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셀프 이발 보조 기구는, 사용자의 이마부위를 둘러싸도록 착용되는 헤어밴드; 상기 헤어밴드에 탈부착되는 뒷머리모양 틀; 및 지지부재의 일단에는 벽면 또는 거울에 흡착될 수 있는 흡착구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거울부를 구비한 후사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후사경을 구비한 셀프 이발 보조 기구{SELF HAIR CUTTING ASSISTIVE TOOL HAVING A REAR-VIEW MIRROR}
본 고안은 셀프 이발 보조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후사경을 통해 자신의 뒷머리를 보면서 스스로 머리를 이발하거나 손질할 수 있도록 하는 셀프 이발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가정 또는 미용실에 설치된 큰 거울을 보면서 머리 손질시, 사람의 전면 부분만 볼 수 있게 되므로 신체 뒷부분을 보기 위해서는 별도의 조그마한 손거울을 뒷부분에 대고 몸을 뒤틀어가면서 전면의 거울을 통하여 투시해야 하므로 뒷머리를 세밀하게 관찰할 수 없었다. 특히, 뒷머리를 손질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한 손에는 빗 등을 들고 한 손에는 손거울을 들고 손질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긴 머리가 일반화되어 있지 않은 남성의 경우 평균적으로 한 달에 한두번은 미용실이나 이발소를 방문하여 머리를 손질해야 하는데, 이발 비용이 만만치않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여행중에는 미용실이나 이발소를 방문하기가 어려우므로 자신의 뒷머리를 세밀하게 관찰하면서 손쉽게 뒷머리를 손질할 수 있는 기구가 필요하였다.
본 고안은 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후사경을 통해 자신의 뒷머리를 보면서 스스로 머리를 이발하거나 손질할 수 있도록 하는 셀프 이발 보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셀프 이발 보조 기구는, 사용자의 이마부위를 둘러싸도록 착용되는 헤어밴드; 상기 헤어밴드에 탈부착되는 뒷머리모양 틀; 및 지지부재의 일단에는 벽면 또는 거울에 흡착될 수 있는 흡착구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거울부를 구비한 후사경,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어밴드의 일면과, 상기 헤어밴드의 일면과 대면하는 뒷머리모양 틀의 일면 각각에 체결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후사경의 지지부재의 전단부가 자바라부재로 형성되어 원하는대로 절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재의 후단부가 자바라부재로 형성되어 원하는대로 절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재가 순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갖는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어, 작은 직경을 갖는 단이 이보다 큰 직경을 갖는 단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지지부재의 길이가 축소되고, 삽입되어 있던 단이 인출됨으로써 지지부재의 길이가 신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재가 둘 이상의 하위 지지부재들로 이루어지고, 하위 지지부재의 일단의 외주연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또 다른 하위 지지부재의 일단의 내주연에 형성된 암나사부가 서로 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뒷머리모양 틀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후사경을 통해 자신의 뒷머리를 관찰할 수 있으므로 양 손이 자유로워 뒷머리를 세밀하게 관찰하거나 손질하는 것이 가능하고, 뒷머리모양 틀을 따라 손쉽게 뒷머리를 이발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이발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사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사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뒷머리모양 틀과 헤어밴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사경을 구비한 셀프 이발 보조 기구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사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후사경(10)은, 지지부재(12)의 일단에는 벽면 또는 거울에 흡착될 수 있는 흡착구(11)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거울부(13)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12)는, 전단부(12a)가 자바라부재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 따라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뒷머리 손질시 뒷머리를 세심하게 관찰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거울부(13)가 위치하도록 상기 전단부(12a)의 자바라부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2)는, 후단부(12b) 역시 자바라부재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 따라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2)는, 순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갖는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어, 작은 직경을 갖는 단이 이보다 큰 직경을 갖는 단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지지부재(12)의 길이가 축소되고, 삽입되어 있던 단이 인출됨으로써 지지부재(12)의 길이가 신장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2)가 복수의 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지지부재(12)의 한쪽 끝을 잡아당기면 삽입되어 있던 단들이 인출되어 길이가 신장되고, 한쪽 끝을 밀면 작은 직경을 갖는 단이 이보다 큰 직경을 갖는 단의 내부로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길이가 축소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원하는대로 지지부재(12)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사용 종료시, 지지부재(12)의 길이를 축소시켜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사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지지부재(12)는 둘 이상의 하위 지지부재들(22, 23)로 이루어지고, 하위 지지부재(22)의 일단의 외주연에 형성된 수나사부(26)와 또 다른 하위 지지부재(23)의 일단의 내주연에 형성된 암나사부(27)가 서로 체결된다.
도 2는 일 예로서 두 개의 하위 지지부재(22, 23)를 도시하였으나, 지지부재(12)가 셋 이상의 하위 지지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지지부재(12)가 셋 이상의 하위 지지부재로 이루어진다면, 지지부재(12)의 양 단에 위치하는 두 개의 하위 지지부재를 제외하고 중간에 위치하는 하위 지지부재들은 일단의 외주연에는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타단의 내주연에는 암나사부를 형성할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체결되는 하위 지지부재들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지지부재(1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사용 종료시에는 체결구를 분리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따른 뒷머리모양 틀과 헤어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뒷머리모양 틀(30)의 측면 라인과 하부 라인은 사용자의 뒷머리 라인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라인 모양은 사용자의 취향 및 제작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뒷머리모양 틀(30)을 뒷머리에 대고, 상기 틀(30)을 벗어나도록 자라난 뒷머리를 손질할 수 있다. 뒷머리모양 틀(3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뒷머리모양 틀(30)을 사용자의 뒷머리에 대었을 때, 상기 틀(30) 안쪽의 머리모양을 확인해가며 손질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헤어밴드(34)는 사용자의 이마부위를 둘러싸도록 착용되며,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알맞게 신축될 수 있도록 신축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도 3의 왼쪽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어밴드(34)의 일면과, 상기 헤어밴드(34)의 일면과 대면하는 뒷머리모양 틀(30)의 일면 각각에 체결부(31, 35)가 형성된다. 체결부(31, 35)는 벨크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31, 35)에 의해 헤어밴드(34)와 뒷머리모양 틀(30)의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헤어밴드(34)와 뒷머리모양 틀(30)을 서로 분리하여 세척이 가능하다.
도 3의 오른쪽 그림은 헤어밴드(34)와 뒷머리모양 틀(30)이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예로서 헤어밴드(34)의 내면과 뒷머리모양 틀(30)의 외면에 체결부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헤어밴드(34)의 외면과 뒷머리모양 틀(30)의 내면에 체결부가 구비되어, 뒷머리모양 틀(30)이 헤어밴드(34)의 외면에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셀프 이발 보조 기구 사용방법>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사경을 구비한 셀프 이발 보조 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사용자가 흡착구(11)를 잡고 흡착구(11)의 배면이 욕실 거울(40)에 맞닿게 하여 압력을 가하면 흡착구(11)의 배면이 욕실 거울(40)에 흡착됨으로써 후사경(10)이 욕실 거울(40)에 부착-고정된다. 도 4에 의하면 후사경(10)의 흡착구(11)가 욕실 거울(40)에 흡착되어 있으나, 거울의 크기가 작은 가정에서는 욕실 타일과 같은 벽면에 흡착구(11)를 흡착하여 후사경(10)을 고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욕실 거울(40)을 보면서 욕실 거울에 반사되어 뒷머리 부분이 잘 보이는 위치에 거울부(13)가 위치하도록 자바라부재로 이루어진 전단부 및 후단부(12a, 12b)를 손으로 절곡-조작하여 후사경(10)의 각도를 조절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12)의 길이도 원하는대로 조절할 수 있다.
그 후, 뒷머리모양 틀(30)이 체결된 헤어밴드(34)를 이마부위에 쓰고, 한 손으로는 뒷머리모양 틀(30)을 미세조정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이발기(41)나 가위를 이용하여 뒷머리모양 틀(30)의 라인을 벗어나 자란 머리 부분(42)을 손질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7)

  1. 사용자의 이마부위를 둘러싸도록 착용되는 헤어밴드;
    상기 헤어밴드에 탈부착되는 뒷머리모양 틀; 및
    지지부재의 일단에는 벽면 또는 거울에 흡착될 수 있는 흡착구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거울부를 구비한 후사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이발 보조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어밴드의 일면과, 상기 헤어밴드의 일면과 대면하는 뒷머리모양 틀의 일면 각각에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이발 보조 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후사경의 지지부재의 전단부가 자바라부재로 형성되어 원하는대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이발 보조 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후단부가 자바라부재로 형성되어 원하는대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이발 보조 기구.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순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갖는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어, 작은 직경을 갖는 단이 이보다 큰 직경을 갖는 단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지지부재의 길이가 축소되고, 삽입되어 있던 단이 인출됨으로써 지지부재의 길이가 신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이발 보조 기구.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둘 이상의 하위 지지부재들로 이루어지고, 하위 지지부재의 일단의 외주연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또 다른 하위 지지부재의 일단의 내주연에 형성된 암나사부가 서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이발 보조 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뒷머리모양 틀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이발 보조 기구.





KR2020110003585U 2011-04-26 2011-04-26 후사경을 구비한 셀프 이발 보조 기구 KR2004636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585U KR200463651Y1 (ko) 2011-04-26 2011-04-26 후사경을 구비한 셀프 이발 보조 기구
PCT/KR2012/002648 WO2012148097A2 (ko) 2011-04-26 2012-04-06 후사경을 구비한 셀프 이발 보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585U KR200463651Y1 (ko) 2011-04-26 2011-04-26 후사경을 구비한 셀프 이발 보조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434U KR20110006434U (ko) 2011-06-24
KR200463651Y1 true KR200463651Y1 (ko) 2012-11-20

Family

ID=47072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585U KR200463651Y1 (ko) 2011-04-26 2011-04-26 후사경을 구비한 셀프 이발 보조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63651Y1 (ko)
WO (1) WO201214809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124Y1 (ko) * 2014-05-19 2014-11-10 박인화 정수리 확인용 거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279B1 (ko) * 2017-12-07 2018-09-28 박상아 후시경 봉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214A (ko) * 2001-09-12 2001-11-09 조시대 후방관찰용 후사경
JP4166547B2 (ja) * 2002-10-22 2008-10-15 香 大和田 頭髪染色用バックミラー
JP2010057889A (ja) * 2008-08-08 2010-03-18 Ko Owada 頭髪用バックミラ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124Y1 (ko) * 2014-05-19 2014-11-10 박인화 정수리 확인용 거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48097A2 (ko) 2012-11-01
WO2012148097A3 (ko) 2013-03-14
KR20110006434U (ko) 201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43185A1 (en) Hair accessory
KR200463651Y1 (ko) 후사경을 구비한 셀프 이발 보조 기구
US10219602B2 (en) Hair lifting, retention, and styling device including accessories
US20140261509A1 (en) Hairband and method for using thereof
JP6918335B2 (ja) 美容用マスク
US9427059B2 (en) Hair lifting, retention, and styling device
US20210100331A1 (en) Barber hair comb with section to attach elastic band
US9486049B2 (en) Hair lifting, retention, and styling device
JP6976517B1 (ja) マスク装着補助具
KR102030978B1 (ko) 패션 귀마개
KR200437115Y1 (ko) 헤어밴드
JP3129651U (ja) 美容補助眼鏡及び美容補助具
KR100848327B1 (ko) 물흐름방지구
US20090229038A1 (en) Cushioning pressure-relieving device for headbands
US20180027953A1 (en) Face wrinkle remover
WO2023190305A1 (ja) 散髪用補助具及びこれを用いた散髪方法
JP3159526U (ja) 盛り髪補助具
JP3238172U (ja) 頭部装着具の装着補助具
KR200444853Y1 (ko) 얼굴 주름 제거기
JP2009261890A (ja) 理美容用フェースカバー
JP2023061875A (ja) 補助具付マスク及び補助具
JP2013248365A (ja) 理美容用フェースカバー
KR101663263B1 (ko) 머리카락 커팅 가이드
JP3152741U (ja) 散髪用補助具
JP2002291530A (ja) 眉描き用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