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124Y1 - 정수리 확인용 거울 - Google Patents

정수리 확인용 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124Y1
KR200475124Y1 KR2020140003802U KR20140003802U KR200475124Y1 KR 200475124 Y1 KR200475124 Y1 KR 200475124Y1 KR 2020140003802 U KR2020140003802 U KR 2020140003802U KR 20140003802 U KR20140003802 U KR 20140003802U KR 200475124 Y1 KR200475124 Y1 KR 200475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sides
fixed
support frame
adjus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8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화
Original Assignee
박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화 filed Critical 박인화
Priority to KR20201400038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1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1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4Appliances for adjus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into a desired position, especially inclin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2001/1673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having illumin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리 확인용 거울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에 걸이부(12)가 마련되고, 일측에는 거울(M) 면에 탈부착 가능한 흡착구(14)가 복수개 구비되며, 일측에 평판형의 고정플레이트(16)가 부착된 받침부재(1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6)에 일단이 고정되고, 각도조정가능하게 자유분방하게 구부리거나 펼 수 있는 연결 지지대(2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6)와 연결되는 연결 지지대(20)의 타단에 고정되고, 양측에 힌지부(31)를 갖는 ∩자형의 지지프레임(30)과; 상기 지지프레임(30)의 힌지부(31)에 양측이 연결되어 임의의 각도로 조정가능하며, 일측에는 빛을 조사하기 위한 라이트부(42)가 구비된 보조거울(40)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간단히 욕실용 거울, 벽걸이식 거울에 탈부착하여 자신의 정수리 및 후두부 측의 머리 결이나, 탈모상태를 관찰,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걸이식이나 바닥 거치식으로 위치시켜 일반적인 벽걸이식 거울, 탁상거울의 용도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수리 확인용 거울{Mirror for crown of the head confirmation}
본 고안은 정수리 확인용 거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일반 거울을 보면서 자신의 용모를 확인할 때 사용자의 정수리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일반 벽 부착식 거울, 화장대 거울 또는 욕실거울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장소에 구애됨 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지지대를 자연스럽게 구부러지도록 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거울 본체만을 회전시킬 수 있고, 라이트를 더 구비하여 좀 더 확실하게 정수리부분의 탈모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정수리 확인용 거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울은 모든 사물을 원형 그대로 반사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거울은 크기가 다양 즉, 크기가 소형로서 손으로 들고 볼 수 있는 거울, 크기가 다소 크게 되어 벽면에 부착시켜 놓은 상태에서 볼 수 있는 벽걸이용, 그리고 화장대에 부착되어 있는 화장대형의 거울 등으로 구분된다.
그러한 거울은 거울과 마주보이는 부분만을 반사시켜 줄수 있도록 되어 있어 사람이 자신의 뒷모습을 보고자 할 때는 자신의 뒷모습을 거울과 마주하도록 한 상태에서 머리를 뒤로 돌려주어야만 자신의 뒷모습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머리를 돌릴때 상기 머리가 약 90도 정도만 돌아가게 되어 자신의 뒷모습의 전체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자신의 뒷모습을 조금이나마 자세히 확인하기 위해 머리를 심하게 돌리게 되더라도 머리와 함께 어깨가 돌아가 확인을 할수 없으며, 머리를 억지로 돌려준 상태에서 뒷모습을 확인함으로써, 목 부분에 경련이 일어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어려움이 있어 이러한 번거로움을 없애고 자신의 뒷모습을 보기 위해서 대형의 거울 앞에서 소형의 손거울을 사용하여 자신의 뒷모습을 보고 있는 실정이다.
즉, 손거울을 한 손에 들고 있는 상태에서 벽걸이 또는 화장대의 대형 거울 앞에서 돌아선 상태에서 손거울을 들고 이의 손거울을 통해 대형의 거울에 비추어진 자신의 뒷모습을 확인하게 되는데, 이는 전자의 방법보다는 뒷모습의 확인이 쉽고 많은 부분을 확인할 수는 있으나, 소형의 손거울을 별도로 준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손거울을 한손으로 들고 있는 상태에서 뒷모습을 비추어 가면서 나머지 한 손만을 가지고 옷 메무새를 만져주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실용실안등록출원 제 20-1994-0006191호(명칭: 보조거울이 부착된 거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보조거울의 구성은, 소정의 크기를 갖고 있는 보조거울을 구성하고, 보조거울의 일측면에 이와 일체로 결합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고 임의의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관를 구성하며, 상기 연결관의 끝단부에 이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임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거울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편의 상단에 구성된 체결나사에 나선결합되도록 하는 체결관체로 구비되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별도로 거울의 후면에 고정편을 부착 구성하여야 하고, 여기에 보조거울을 장착하는 구조는 번거롭고, 한정된 거울에서만 보조거울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벽면부착식 거울인 욕실거울용으로 사용이 불가하고, 특히 일반적인 거울사용에는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일반 거울을 보면서 자신의 용모를 확인할 때 사용자의 정수리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일반 벽 부착식 거울, 화장대 거울 또는 욕실거울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장소에 구애됨 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지지대를 자연스럽게 구부러지도록 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거울 본체만을 회전시킬 수 있고, 라이트를 더 구비하여 좀 더 확실하게 정수리부분의 탈모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정수리 확인용 거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칸막이 또는 판넬 등의 물품에 걸어지는 걸이부가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걸이부의 일측에는 거울 면에 탈부착 가능한 흡착구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걸이부의 타측에는 평판형의 고정플레이트가 부착된 받침부재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일단이 고정되고 자유분방하게 각도조정가능하도록 구부리거나 펼 수 있는 연결 지지대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연결 지지대의 타단에 고정되고 양측에 힌지부를 갖는 ∩자형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힌지부에 양측이 연결되어 임의의 각도로 조정가능한 보조거울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의 걸이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흡착구가 설치된 높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절곡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는 거울면에 밀착될 때 거울면의 흠집을 방지하고 상기 받침부재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며 평평한 바닥에 밀착될 때 평평한 바닥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고무캡이 더 끼움결합되며, 상기 보조거울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밝게 비추어주도록 빛을 조사하기 위한 라이트부가 구비되고, 상기 라이트부는 LED램프 및 LED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보조거울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어유닛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른 정수리 확인용 거울은, 간단히 욕실용 거울, 벽걸이식 거울에 탈부착하여 자신의 정수리 및 후두부측의 머리 결이나, 탈모상태를 관찰,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걸이식이나 바닥 거치식으로 위치시켜 일반적인 벽걸이식 거울, 탁상거울의 용도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정수리 확인용 거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리 확인용 거울을 벽 부착식 거울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리 확인용 거울을 칸막이와 같이 두께를 갖는 판넬에 걸어 사용하는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리 확인용 거울을 평평한 곳에 거치시켜 사용하는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리 확인용 거울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정수리 확인용 거울은 첨부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걸이부(12)가 마련되고 상기 걸이부(12)의 일측에는 거울(M) 면에 탈부착 가능한 흡착구(14)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걸이부(12)의 타측에는 평판형의 고정플레이트(16)가 부착된 받침부재(1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6)에 일단이 고정되고, 각도조정가능하게 자유분방하게 구부리거나 펼 수 있는 연결 지지대(2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6)와 연결되는 연결 지지대(20)의 타단에 고정되고, 양측에 힌지부(31)를 갖는 ∩자형의 지지프레임(30)과, 상기 지지프레임(30)의 힌지부(31)에 양측이 연결되어 임의의 각도로 조정가능하며, 일측에는 빛을 조사하기 위한 라이트부(42)가 구비된 보조거울(40)이 부착된 구조이다.
상기 흡착구는 도면상에서 미도시 하였지만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이얼 가압식 또는 레버 가압식으로 부착하거나 탈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받침부재(10)의 걸이부(12) 일측은 흡착구(14)가 설치된 높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절곡부(11)가 더 형성되고, 절곡부(11)의 단부에는 고무캡(18)이 삽입된다.
상기 고무캡(18)은 거울(M) 면에 밀착될 시 흠짐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받침부재(10)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고, 평평한 바닥에 밀착되는 상태에서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받침부재(10)는 부식이 적은 스테인레스 소재의 환봉을 절곡 및 일자형의 환봉을 부착한 것이다.
상기 라이트부(42)는 LED램프(42a) 및 LED램프(4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보조거울(40)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어유닛(42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유닛(42b)은 LED램프(42a)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가 마련되고, 수은전지(배터리)를 실장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라이트부(40)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조명으로 비추어주기 위한 수단으로 후두부를 밝게 비추어 줌으로서 상대측 거울(M)에 비추어진 자신의 정수리부분이나 머리 뒷부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정수리 확인용 거울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가정에서 준비되어 있는 거울(M)은 욕실의 거울, 화장대거울, 벽걸이식 부착거울 등에 본 고안인 정수리 확인용 거울을 구성하고 있는 받침부재측 흡착구를 통해 손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연결 지지대(20)는 플렉시블한 형태로 자유분방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는 자신의 후두부를 비추어주기 좋은 각도로 임의로 조정해 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보조거울(40)은 지지프레임(30)의 힌지부(31)를 축으로 각도 조정하여 자신의 후두부 및 정수리부분을 상대측 거울(M)에 반사되어 비추어 줄 수 있어 기존의 손거울 사용에 비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탈부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사용에 있어, 상기 보조거울(40)에 구비된 라이트부(42)를 통해 LED램프(41)를 온 상태로 제어유닛(42b)에 마련된 스위치 조정으로 점등시켜 정수리 및 후두부를 비추어 줌으로서, 상대측 거울(M)을 통해 머리 결의 흐트러짐, 탈모 상태 등등을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 칸막이 혹은 판넬과 같이 일정 두께를 갖는 물품에 받침부재(10)의 걸이부(12)를 걸어 일반적인 거울로 사용할 수 있으며, 첨부된 도 4는 평평한 바닥, 탁상과 같은 곳에 받침부재(10)를 거치시켜 보조거울을 일반 거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에 받침부재(10)측의 흡착구(14)와 고무캡(18)이 결합된 절곡부(11)의 단부는 평평한 곳에 미끄러짐 없이 안정된 거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정수리 확인용 거울은 상술한 바와 같이, 거울 부착식, 걸이식, 바닥 거치식용도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받침부재 11 : 절곡부
12: 걸이부 14: 흡착구
16: 고정플레이트 20: 연결 지지대
30: 지지프레임 31: 힌지부
40: 보조거울 42: 라이트부
42a: LED램프 42b: 제어유닛
M: 거울

Claims (3)

  1. 칸막이 또는 판넬 등의 물품에 걸어지는 걸이부(12)가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걸이부(12)의 일측에는 거울(M) 면에 탈부착 가능한 흡착구(14)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걸이부(12)의 타측에는 평판형의 고정플레이트(16)가 부착된 받침부재(1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6)에 일단이 고정되고 자유분방하게 각도조정가능하도록 구부리거나 펼 수 있는 연결 지지대(2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6)와 연결되는 연결 지지대(20)의 타단에 고정되고 양측에 힌지부(31)를 갖는 ∩자형의 지지프레임(30)과,
    상기 지지프레임(30)의 힌지부(31)에 양측이 연결되어 임의의 각도로 조정가능한 보조거울(40)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10)의 걸이부(12)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흡착구(14)가 설치된 높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절곡부(11)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11)의 단부에는 거울(M)면에 밀착될 때 거울면(M)의 흠집을 방지하고 상기 받침부재(10)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며 평평한 바닥에 밀착될 때 평평한 바닥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고무캡(18)이 더 끼움결합되며,
    상기 보조거울(40)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밝게 비추어주도록 빛을 조사하기 위한 라이트부(42)가 구비되고,
    상기 라이트부(42)는 LED램프(42a) 및 LED램프(4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보조거울(40)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어유닛(42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리 확인용 거울.
  2. 삭제
  3. 삭제
KR2020140003802U 2014-05-19 2014-05-19 정수리 확인용 거울 KR200475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802U KR200475124Y1 (ko) 2014-05-19 2014-05-19 정수리 확인용 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802U KR200475124Y1 (ko) 2014-05-19 2014-05-19 정수리 확인용 거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124Y1 true KR200475124Y1 (ko) 2014-11-10

Family

ID=52287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802U KR200475124Y1 (ko) 2014-05-19 2014-05-19 정수리 확인용 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1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799B1 (ko) * 2015-09-14 2017-02-27 최병강 정수리를 보는 반사거울장치
KR20170139475A (ko) * 2017-12-07 2017-12-19 박상아 후시경 봉
US11019910B2 (en) 2019-01-24 2021-06-01 bLkPiNa, LLC Perspective adjustable viewing apparatus with base suction device for locking to surfa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2596U (ko) * 1996-08-23 1998-06-05 이천락 벽걸이형 보조거울장치
KR200291612Y1 (ko) 2002-07-02 2002-10-11 정신균 자바라식의 다용도 거울
KR200393819Y1 (ko) * 2005-05-30 2005-08-31 트윈럭인터내셔널(주) 벽면 고정식 빨래 건조대
KR200463651Y1 (ko) * 2011-04-26 2012-11-20 김연중 후사경을 구비한 셀프 이발 보조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2596U (ko) * 1996-08-23 1998-06-05 이천락 벽걸이형 보조거울장치
KR200291612Y1 (ko) 2002-07-02 2002-10-11 정신균 자바라식의 다용도 거울
KR200393819Y1 (ko) * 2005-05-30 2005-08-31 트윈럭인터내셔널(주) 벽면 고정식 빨래 건조대
KR200463651Y1 (ko) * 2011-04-26 2012-11-20 김연중 후사경을 구비한 셀프 이발 보조 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799B1 (ko) * 2015-09-14 2017-02-27 최병강 정수리를 보는 반사거울장치
KR20170139475A (ko) * 2017-12-07 2017-12-19 박상아 후시경 봉
US11019910B2 (en) 2019-01-24 2021-06-01 bLkPiNa, LLC Perspective adjustable viewing apparatus with base suction device for locking to surfa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8807B2 (ja) 物掛け用パネルを用いた掛け装置
US7832697B2 (en) Wall mounted appliance holder
US20140319083A1 (en) Shower Mounted Tablet Computer Holding Device
KR200475124Y1 (ko) 정수리 확인용 거울
US20080087619A1 (en) Space saving hat and purse storage device
US20130320173A1 (en) Robot Mobile Phone Jacket Support Frame
CN102384348A (zh) 可壁挂式电视底座
US10722052B2 (en) Articulating vanity mirror assembly
CN204206269U (zh) 便携式手机支架
US11980303B2 (en) Adjustable vanity mirror with hanger bracket and suction cup
KR20180050495A (ko)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컵 손잡이
US20100144198A1 (en) Support Assembly
KR101498922B1 (ko)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
EP3813346A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case
WO2016082736A1 (zh) 一种新型人体手机支架
KR101044749B1 (ko) 벽걸이 거치대
KR200452979Y1 (ko) 보조거울장치
US10820678B2 (en) Portable apparatus for supporting a hand held hair dryer
USD498782S1 (en) Camera for liquid crystal projector
USD613077S1 (en) Hanger
US106819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rting wearable ornaments to displays
KR102293813B1 (ko) 샤워기 거치홀더
CN210130528U (zh) 一种具有暖气功能的电脑台
KR101187774B1 (ko) 싱크대 선반 탈부착용 거울판 장식대
CN215891783U (zh) 一种折叠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