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505Y1 -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505Y1
KR200463505Y1 KR2020100006529U KR20100006529U KR200463505Y1 KR 200463505 Y1 KR200463505 Y1 KR 200463505Y1 KR 2020100006529 U KR2020100006529 U KR 2020100006529U KR 20100006529 U KR20100006529 U KR 20100006529U KR 200463505 Y1 KR200463505 Y1 KR 200463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ide handle
handle cap
cap
housing
vehic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932U (ko
Inventor
옥성삼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6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505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9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9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5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는, 인사이드 핸들 캡 및 인사이드 핸들 캡의 결합부가 체결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인사이드 핸들 캡의 일단이 진입할 수 있는 진입 공간이 형성된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탈거용 공구를 이용하여 인사이드 핸들 캡을 탈거함으로써 발생되는 제품 손상을 방지하고, 작업을 간편하게 함으로 인해 A/S 수행/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Car door inside handle assembly}
본 고안은 차량 내장 부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차량용 도어 트림(10)에 조립되어 있는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2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20)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20)는, 인사이드 핸들 도어 락(21), 인사이드 핸들 캡(22), 인사이드 핸들(23) 및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24)을 구비하고 있다.
인사이드 핸들 캡(22)은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20)를 도어 트림(10)에 조립하기 위한 바디 마운팅 스크루(미도시)를 가려주어 도어 내부의 외관을 수려하게 보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어 트림(10)에 대한 A/S를 수행하려면, 우선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20)의 인사이드 핸들 캡(22)을 분리해야 한다. 인사이드 핸들 캡(22)을 분리하려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20)에 형성되어 있는 인사이드 핸들 캡 탈거용 홀(25)에 일자 드라이버와 같은 끝이 날카로운 탈거욘 공구를 삽입하여 힘을 가하여야 한다.
하지만, 인사이드 핸들 캡(22)을 분리하기 위해 드라이버와 같은 끝이 뾰족한 탈거용 공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20)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인사이드 핸들 캡 탈거용 공구가 직접 닿는 부분인 인사이드 핸들 도어 락(21)은 일반적으로 크롬이나 페인트로 표면처리가 되어있어, 위 분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크래치에 의해 미관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사이드 핸들 캡(22)도 두께가 얇아 쉽게 변형이 되고 탈거용 공구가 닿는 부분이 파손될 여지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20)를 일점쇄선 AA'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는, 인사이드 핸들 캡 탈거용 공구(30)를 지렛대로 이용하여 인사이드 핸들 캡(22)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인사이드 핸들 도어 락(21)과 인사이드 핸들 캡(22)이 파손될 수 있음이 도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한편,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20)에 형성된 인사이드 핸들 캡 탈거용 홀(25)을 통해 도어 내부에 마련된 부품이 육안으로 보일 수 있는데, 이는 차량 도어의 미관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끝이 날카로운 인사이드 핸들 캡 탈거용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인사이드 핸들 캡을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의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인사이드 핸들 캡 분리시 타 부품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인사이드 핸들 캡 분리시 인사이드 핸들 캡 자체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는, 인사이드 핸들 캡; 및 상기 인사이드 핸들 캡의 결합부가 체결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사이드 핸들 캡의 일단이 진입할 수 있는 진입 공간이 형성된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을 포함한다.
그리고, 외부 힘에 의해 상기 인사이드 핸들 캡의 일단이 눌러지면, 상기 인사이드 핸들 캡의 일단은 상기 진입 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에는, 상기 인사이드 핸들 캡의 일단이 눌러져 상기 진입 공간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인사이드 핸들 캡이 회전 운동하여 상기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에 체결된 상기 결합부가 상기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인사이드 핸들 캡의 일 영역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인사이드 핸들 캡의 일 영역에 인접한 상기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의 돌출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사이드 핸들 캡의 일단은, A/S를 위해 상기 인사이드 핸들 캡을 상기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 눌러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탈거용 공구를 이용하여 인사이드 핸들 캡을 탈거함으로써 발생되는 제품 손상을 방지하고, 작업을 간편하게 함으로 인해 A/S 수행/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사이드 핸들 캡의 변형으로 인해 이를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추가적인 부품 소모를 사전에 방지하여, 소비자의 추가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인사이드 핸들 캡 탈거용 홀을 통해 보일 수 있는 인사이드 핸들 캡의 내부 부품들을 가려 차량 도어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차량용 도어 트림에 조립되어 있는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를 일점쇄선 AA'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의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외부 힘에 의해 인사이드 핸들 캡의 일단이 눌러지는 경우, 인사이드 핸들 캡의 이동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단면도는,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를 도 1에 나타난 일점쇄선 AA'과 동일하게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는, 인사이드 핸들 도어 락(110), 인사이드 핸들 캡(120) 및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130)을 구비한다.
인사이드 핸들 캡(120)에는 하우징 결합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130)에는 인사이드 핸들 캡 결합공(131)이 형성되어 있다.
인사이드 핸들 캡(120)에 형성된 하우징 결합부(125)는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130)에 형성된 인사이드 핸들 캡 결합공(131)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인사이드 핸들 캡(120)이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130)에 결합되게 된다.
한편,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130)에는 인사이드 핸들 캡 지지부(135)가 형성되어 있다. 인사이드 핸들 캡 지지부(135)는,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130)의 돌출 영역으로, 인사이드 핸들 캡(120)의 일 영역에 인접하여 있다.
그리고, 돌출된 형상의 핸들 캡 지지부(135)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에는 인사이드 핸들 캡 진입 공간(140)이 마련된다. 인사이드 핸들 캡 진입 공간(140)은 인사이드 핸들 캡(120)의 일단이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에 의해 발생된 외부 힘에 의해 인사이드 핸들 캡(120)의 일단이 눌러지는 경우, 인사이드 핸들 캡(120)의 일단은 도 5의 화살표 "①" 방향에 따라 인사이드 핸들 캡 진입 공간(140)으로 진입하게 된다.
한편, 인사이드 핸들 캡(120)의 일단이 눌러져 핸들 캡 진입 공간(140)으로 진입하면, 인사이드 핸들 캡 지지부(135)를 축으로 인사이드 핸들 캡(120)이 회전 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사이드 핸들 캡(120)의 타단은 도 5의 화살표 "②" 방향에 따라 회전 운동하여,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130)의 핸들 캡 결합공(131)에 체결된 하우징 결합부(125)가 핸들 캡 결합공(131)에서 벗어나, 인사이드 핸들 캡(120)이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130)에서 분리되게 된다.
위 과정은,
1) 인사이드 핸들 캡(120)이 지렛대로 기능하고,
2) 인사이드 핸들 캡 진입 공간(140)에 의해, 작업자의 압력이 인사이드 핸들 캡(120)의 일단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3) 인사이드 핸들 캡 지지부(135)가 지렛대인 인사이드 핸들 캡(120)의 받침대로 기능하게 되어 있어, 인사이드 핸들 캡(120)의 일단에 작용한 작업자의 압력이 인사이드 핸들 캡 지지부(135)를 축으로 인사이드 핸들 캡(120)의 타단은 물론, 하우징 결합부(125)에 회전력으로 전달되어 가능한 것이다.
그 결과, A/S 등을 위해 작업자는 인사이드 핸들 캡(120)의 일단을 누르는 것 만으로, 인사이드 핸들 캡(120)을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13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위 실시예에서, 인사이드 핸들 캡 진입 공간(140)은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의 후미(즉, 인사이드 핸들 도어 락(110)에서 먼 위치)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인사이드 핸들 캡 진입 공간(140)이 인사이드 핸들 도어 락(110)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하우징 결합부(125) & 인사이드 핸들 캡 결합공(131)의 위치'와 '인사이드 핸들 캡 지지부(135)의 위치'가 바뀌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인사이드 핸들 캡(120)의 표면에는 인사이드 핸들 캡(120)을 분리하여야 하는 경우에 눌러야 할 부분을 안내하기 위한 마크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인사이드 핸들 캡(120)의 미관을 해치지 않기 위해, 인사이드 핸들 캡(120)에 표시되는 안내 마크의 크기는 일반 사용자들은 알아볼 수 없고 작업자만이 알아 볼 수 있는 기호를 아주 작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에서는, 인사이드 핸들 캡 탈거용 홀(25)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인사이드 핸들 도어 락(110)과 인사이드 핸들 캡(120) 간의 간격을 최소로 설계하여도 무방하다. 오히려, 인사이드 핸들 도어 락(110)과 인사이드 핸들 캡(120) 간의 간격을 최소로 함이,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의 미관을 높이는데 일조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차량 도어용트림
20 :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21 : 인사이드 핸들 도어 락 22 : 인사이드 핸들 캡
23 : 인사이드 핸들 24 :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
25 : 인사이드 핸들 캡 탈거용 홀
30 : 인사이드 핸들 캡 탈거용 공구
110 : 인사이드 핸들 도어 락 120 : 인사이드 핸들 캡
125 : 하우징 결합부 130 :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
131 : 인사이드 핸들 캡 결합공 135 : 인사이드 핸들 캡 지지부
140 : 인사이드 핸들 캡 진입 공간

Claims (5)

  1. 인사이드 핸들 캡; 및
    상기 인사이드 핸들 캡의 결합부가 체결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사이드 핸들 캡의 일단이 진입할 수 있는 진입 공간이 형성된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을 포함하고,
    외부 힘에 의해 상기 인사이드 핸들 캡의 일단이 눌러지면, 상기 인사이드 핸들 캡의 일단은 상기 진입 공간으로 진입하며,
    상기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에는,
    상기 인사이드 핸들 캡의 일단이 눌러져 상기 진입 공간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인사이드 핸들 캡이 회전 운동하여 상기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에 체결된 상기 결합부가 상기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인사이드 핸들 캡의 일 영역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진입 공간의 측면에 마련된 상기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의 돌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사이드 핸들 캡의 일단은,
    A/S를 위해 상기 인사이드 핸들 캡을 상기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 눌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KR2020100006529U 2010-06-21 2010-06-21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KR200463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529U KR200463505Y1 (ko) 2010-06-21 2010-06-21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529U KR200463505Y1 (ko) 2010-06-21 2010-06-21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932U KR20110011932U (ko) 2011-12-28
KR200463505Y1 true KR200463505Y1 (ko) 2012-11-07

Family

ID=4556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529U KR200463505Y1 (ko) 2010-06-21 2010-06-21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50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7834A (ja) * 2000-06-05 2001-12-18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ドアトリム
JP2003246247A (ja) * 2002-02-25 2003-09-02 Nissan Motor Co Ltd 開口部カバー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7834A (ja) * 2000-06-05 2001-12-18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ドアトリム
JP2003246247A (ja) * 2002-02-25 2003-09-02 Nissan Motor Co Ltd 開口部カバー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932U (ko)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59051B (zh) 具有电刷电动机的手持式工具机
US7104575B2 (en) Inside door handle device of automobile
EP3169953B1 (en) Refrigerator having a door
USD606474S1 (en) Molding for sealing a motor vehicle windshield with a cowl panel
USD606473S1 (en) Molding for sealing a motor vehicle windshield with a cowl panel
US10215473B2 (en) Refrigerator
KR200463505Y1 (ko)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CA2998000A1 (en) Non-marring panel remover
CN102392551B (zh) 一种汽车门把手
USD598351S1 (en) Molding for sealing a motor vehicle windshield panel with a cowl panel
US8578655B2 (en) Door structure with easy assembly
KR200385974Y1 (ko) 매립형 문손잡이
CN209750101U (zh) 可收纳触控笔的行动装置保护套
JP2009083543A (ja) 自動車
CN104477311A (zh) 用于摩托车的新型的刹车装置
CN103921733B (zh) 一种用于车辆内饰的螺丝盖组装机构
JP6229487B2 (ja) 保護部材及び時計
CN215255213U (zh) 一种移动门隐藏式拉手及其安装门
KR200476213Y1 (ko)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TWM579674U (zh) Multi-function cover
JP2008273223A (ja) スペアタイヤ固定構造
CN112423534A (zh) 一种可拆卸的一体化模块起拔机构
CA2557991A1 (en) Key head cover
CN106948682B (zh) 锁芯的安装结构
JP3136002U (ja) 収納機能付き手道具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