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251Y1 -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 - Google Patents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251Y1
KR200462251Y1 KR2020120003685U KR20120003685U KR200462251Y1 KR 200462251 Y1 KR200462251 Y1 KR 200462251Y1 KR 2020120003685 U KR2020120003685 U KR 2020120003685U KR 20120003685 U KR20120003685 U KR 20120003685U KR 200462251 Y1 KR200462251 Y1 KR 2004622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sp
door
handle
rota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준혁
Original Assignee
양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준혁 filed Critical 양준혁
Priority to KR2020120003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2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2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2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잡이를 회전시킨 후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여는 게 아니고 손잡이를 밀거나 당겨서 걸쇠뭉치부의 걸쇠가 풀리게 하여 한번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열 수 있도록 한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에 따르면 손잡이의 위부분이나 아래부분을 밀거나 당기는 한번의 동작으로 문을 열 수 있어 손에 물건을 들어 손잡이 회전이 어려운 경우나 손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 문을 쉽게 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Door Locking Device Opened by One Touch of Push or Pull Action}
본 고안은 건물의 실내문에 설치되는 도어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시킨 후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여는 게 아니고 손잡이를 밀거나 당겨서 걸쇠뭉치부의 걸쇠가 풀리게 하여 한번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열 수 있도록 한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출입문 손잡이는 크게 두 종류로 볼 수 있다. 원형 손잡이와 레버형 손잡이이다.
이 두 종류의 손잡이 모두 작동을 위해서는 손잡이를 출입문의 면(혹은 벽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일반적으로 출입문 여닫을 때 잠금장치를 해체하기 위하여 문 손잡이를 회전시켜 개폐하게 되는 데 양손에 짐이 들렸을 때나 장애인 등은 손잡이를 돌리는 일이 여간 힘들지 않은 것을 보게 되며, 두 손에 물건을 한 아름 들고 출입하고자 할 때 문손잡이를 돌리는 과정에서 손에 든 물건을 떨어뜨릴 수 있다.
가령 방안에서 거실로 나가고자 할 때 문손잡이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시키는 동작이 첫 번째이며, 회전한 상태에서 손잡이를 방 안쪽으로 당겨야 문이 열리게 되는 것이 두 번째의 동작이다. 반대로 거실에서 방안으로 들어가고자 할 때에는 문손잡이를 회전시킨 후 방 안쪽으로 밀어야 문이 열리게 된다.
양손에 아무것도 들지 않았다 하더라도 손잡이를 아래로 내리든지 돌리든지하는 번잡함은 빠르고 바쁘고 편리한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여간 불편하지 않다.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잠금장치가 없는 개폐식 현관문은 편리하기는 하나 잠금장치가 없을 뿐만 아니라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폐단을 볼 수 있다.
원형 문손잡이의 경우에는 내부 부품의 마모 등으로 고장이 날 수 있지만, 거의 고장률이 낮다. 하지만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레버형 문손잡이는 원형 문손잡이의 사용상 불편함을 조금은 해결하였지만 사용 중에 레버가 부러질 경우가 있다.
1. 특허등록공보 제10-0391803호(공고일자 : 2003. 07. 12) 2. 특허등록공보 제10-0455840호(공고일자 : 2004. 11.1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손잡이를 밀거나 당겨서 걸쇠뭉치부의 걸쇠가 풀리게 하여 한번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열 수 있도록 한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 즉 출입문의 턱이 없어 양쪽 모두 열리는 여닫이 도어에서는 손잡이의 윗부분을 잡아당김, 손잡이의 아래부분을 잡아당김, 손잡이의 윗부분을 밈 및 손잡이의 아랫부분을 미는 4가지 경우에 다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도어록장치는 문의 내부와 외부에 설치되며, 실내로 들어갈 때 사용하는 외부손잡이와 실내에서 나올 때 사용하는 내부손잡이로 구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조작하지 않을 때는 저절로 도어가 열리지 못하게 잠김 상태가 되게 하고, 누르거나 당기는 조작을 했을 때는 잠김 상태가 해제되는 걸쇠뭉치부와; 상기 손잡이부와와 걸쇠뭉치부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조작하는 힘에 의해 움직여서 상기 걸쇠뭉치부가 조작되게 하는 회동부와; 상기 도어록장치를 도어에 고정되게 하는 커버부와; 상기 회동부와 커버부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당기거나 밀었을 때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게 하는 리턴스프링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회동1축과; 상기 회동1축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밀거나 당길 때 지렛대의 지지점 역할을 하는 회동편과; 상기 회동편과 걸쇠뭉치부에 결합되어 상기 걸쇠뭉치부를 작동시키는 회동2축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부는 도어 내측과 외측의 측면과 접합하는 2개의 커버와 상기 커버와 커버를 결합시키는 결합볼트부로 구성된다.
상기 걸쇠뭉치부는 도어에서 튀어나와 도어프레임에 삽입되어 문을 잠그는 걸쇠부와; 상기 걸쇠부가 내부에서 들어가서 왔다 갔다 하는 걸쇠하우징과; 상기 걸쇠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걸쇠하우징의 말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걸쇠부와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에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는 상기 걸쇠부의 끝부분인 걸쇠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캐치에 걸려 문이 잠기는 상태가 되게 상기 걸쇠부를 밀어주고, 상기 손잡이부를 밀거나 당긴 후 힘을 제거했을 때 다시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캐치에 걸리게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는 걸쇠부복원스프링과; 상기 회동2축과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부를 밀거나 당겼을 때는 상기 걸쇠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걸쇠부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쇠가 도어 프레임에 걸린 것을 풀어주고, 상기 리턴스프링장치에 의해 다시 복원될 때는 상기 걸쇠하우징 내부에서 빠져서 상기 걸쇠부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걸쇠가 도어 프레임에 걸리게 하는 작동판과; 상기 걸쇠부의 걸쇠가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게 하는 캐치부로 구성된다.
상기 걸쇠부는 도어 프레임에 걸리는 걸쇠와, 일단은 상기 걸쇠부복원스프링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걸쇠와 결합되어 상기 걸쇠하우징 내에서 좌우 행정을 하는 걸쇠통으로 구성된다.
상기 걸쇠하우징과 걸쇠통에는 상기 작동판이 들어갔다 나왔다 하는 작동슬릿홈이 형성된다.
상기 캐치부는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걸쇠가 걸리게 하는 홈이 형성된 캐치와, 상기 걸쇠가 걸리는 홈의 케이스 역할을 하는 캐치박스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회동편은 ㅗ 형상으로 상기 회동1축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평바 형상의 상부회동편과, 상기 리턴스프링장치가 통과하고 지렛대의 지지점 역할을 하는 하부회동편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회동편에는 상기 회동1축과 결합되는 회동1축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회동편에는 상기 리턴스프링장치가 통과되는 스프링통과홀과, 상기 손잡이부를 밀고 당길 경우 상기 회동편의 1측이 들릴 때 상기 회동2축이 움직이는 공간 역할을 하는 회동2축운동홈과, 상기 회동2축과 핀 결합을 위한 회동2축결합홀과, 상기 회동편의 일측이 한쪽으로 들렸다 제자리에 왔다 하기 쉽도록 하부의 양측에 지지점이 되는 들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들림돌기의 말단은 들리기 쉽게 하고 지지선이 되게 라운드지게 반원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는 회동1축을 중심으로 상부나 하부를 밀거나 당길 수 있게 T(티) 형상인 구조이다.
상기 회동1축에는 상기 리턴스프링장치가 결합되는 리턴스프링장치결합구와, 상기 회동편이 결합되는 회동편결합구가 형성된다.
상기 작동판은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손잡이와 내부손잡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외부손잡이와 내부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각각으로 동작하고, 도어가 잠겨 있을 때 상기 걸쇠통 내부에 들어가 있는 직사각부와, 도어를 열 때 상기 걸쇠통과 걸쇠하우징의 안으로 들어가 상기 걸쇠통이 좌측으로 밀리게 하는 경사부로 구성되며, 상기 직사각부의 말단에는 상기 회동2축과 결합되는 회동2축결합구가 형성된다.
상기 작동슬릿홈의 내부에는 격판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판이 상하로 삽입된다.
상기 걸쇠하우징의 일단은 막힘판이 형성되어 상기 걸쇠부복원스프링이 결합되고 상기 걸쇠부복원스프링이 더 이상 후진될 수 없도록 하는 구조이다.
상술한 본 고안으로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에 따르면 손잡이의 위부분이나 아래부분을 밀거나 당기는 한번의 동작으로 문을 열 수 있어 손에 물건을 들어 손잡이 회전이 어려운 경우나 손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 문을 쉽게 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에 따른 도어록장치 설치도
도 2는 본 고안의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에 따른 손잡이를 당기거나 밀었을 때의 손잡이 및 회동부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에 따른 걸쇠뭉치부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에 따른 회동편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에 따른 작동판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의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에 따른 문이 잠겼을 때의 걸쇠뭉치 작동도
도 7은 본 고안의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에 따른 외부에서 문을 열었을 때의 걸쇠뭉치 작동도
도 8은 본 고안의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에 따른 내부에서 문을 열었을 때의 걸쇠뭉치 작동도
먼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고안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고안에 따른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에 따른 도어록장치 설치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에 따른 손잡이를 당기거나 밀었을 때의 손잡이 및 회동부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에 따른 걸쇠뭉치부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에 따른 회동편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에 따른 작동판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에 따른 문이 잠겼을 때의 걸쇠뭉치 작동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에 따른 외부에서 문을 열었을 때의 걸쇠뭉치 작동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에 따른 내부에서 문을 열었을 때의 걸쇠뭉치 작동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고안의 도어록장치는 문의 내부와 외부에 설치되며, 실내로 들어갈 때 사용하는 외부손잡이(11)와 실내에서 나올 때 사용하는 내부손잡이(12)로 구성된 손잡이부(1)와; 상기 손잡이부(1)를 조작하지 않을 때는 저절로 도어가 열리지 못하게 잠김 상태가 되게 하고, 누르거나 당기는 조작을 했을 때는 잠김 상태가 해제되는 걸쇠뭉치부(2)와; 상기 손잡이부(1)와 걸쇠뭉치부(2)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1)를 조작하는 힘에 의해 움직여서 상기 걸쇠뭉치부(2)가 조작되게 하는 회동부(3)와; 상기 도어록장치를 도어에 고정되게 하며 상기 회동부(2)가 결합되는 커버부(4)와; 상기 회동부(3)와 커버부(4)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1)를 당기거나 밀었을 때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게 하는 리턴스프링장치(5)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3)는 상기 손잡이부(1)와 연결되는 회동1축(31)과; 상기 회동1축(31)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1)를 밀거나 당길 때 지렛대의 지지점 역할을 하는 회동편(32)과; 상기 회동편(32)과 걸쇠뭉치부(2)에 결합되어 상기 걸쇠뭉치부(2)를 작동시키는 회동2축(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부(4)는 도어 내측과 외측의 측면과 접합하는 2개의 커버(41)와 상기 커버와 커버를 결합시키는 결합볼트부(42)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는 회동1축(31)을 중심으로 상부나 하부를 밀거나 당길 수 있게 T(티)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1축(31)에는 상기 리턴스프링장치(5)가 결합되는 리턴스프링장치결합구(311)와, 상기 회동편(32)이 결합되는 회동편결합구(312)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도어록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상기 외부손잡이(11)이나 내부손잡이(12)의 중심에서 상부나 하부를 당기거나 밀면 당기거나 미는 힘이 상기 회동부(3)의 회동1축(31)을 통하여 회동편(32)으로 전달되고 상기 회동편(32)에서 상기 회동2축(33)로 전달되며 이때 당기거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회동부(3)의 회동편(32)의 하부 말단이 지렛대의 지지점 역할을 하여 상기 회동2축(33)을 잡아 당기는 힘으로 작용하여 상기 걸쇠뭉치부(2)의 작동판(24)을 당겨 걸쇠부(21)를 뒤측 즉 걸쇠부복원스프링(23) 측으로 밀어 캐치(251)에 걸려 있던 걸쇠(211)가 풀려 미는 힘 한번으로 문이 열리게 되며 당기거나 미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리턴스프링장치(5)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1)은 도어와 평형하게 원상태로 돌아오며, 이와 같은 작동은 문의 내부에서나 외부에서나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손잡이를 당기거나 밀었을 때의 손잡이 및 회동부 상태도로서 상기 외부손잡이(11)를 당기거나 밀면 상기 회동편(32)의 하부 말단이 지렛대의 지지점 역할을 하고 상기 리턴스프링장치(5)는 늘어나며 상기 회동편(32)의 회동2축결합홀(3223)에 결합된 회동2축(33)을 당기고, 당겨진 회동2축(33)에 연결된 작동판(24)을 당겨 작동판(24)에 의해 걸쇠부(21)이 좌측 즉 뒤로 밀리게 되어 캐치에 걸려 있던 걸쇠(211)가 빠져서 밀거나 당기는 힘 한번으로 도어가 열리게 되며, 외부손잡이(11)을 놓으면 리턴스프링장치(5)에 의해 상기 외부손잡이(11)는 다시 도어와 평형하게 된다.
도어는 턱이 있어 한쪽으로만 열리는 여닫이문과 턱이 없어 양쪽 모두 열리는 여닫이문이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한쪽으로만 열리는 여닫이문의 경우에는 실내에서 출입문을 열 때 내부손잡이의 윗부분을 잡아 당김과 내부손잡이의 아랫부분을 잡아 당기는 것이 가능하며, 실외에서 출입문을 열 때 외부손잡이의 윗부분을 밀어 줌과 외부손잡이의 아랫부분을 밀어 줌이 가능하다.
턱이 없어 양쪽 모두 열리는 여닫이문의 경우에는 내부손잡이나 외부손잡이 공히 손잡이의 윗부분을 잡아 당김, 손잡이의 아랫부분을 잡아 당김, 손잡이의 윗부분을 밀어 줌 및 손잡이의 아랫부분을 밀어 줌 모두가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걸쇠뭉치부(2)는 도어에서 튀어나와 도어프레임에 삽입되어 문을 잠그는 걸쇠부(21)와; 상기 걸쇠부(21)가 내부에서 들어가서 왔다 갔다 하는 걸쇠하우징(22)과; 상기 걸쇠하우징(22)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걸쇠하우징(22)의 말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걸쇠부(21)와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1)에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는 상기 걸쇠부(21)의 끝부분인 걸쇠(211)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캐치(251)에 걸려 문이 잠기는 상태가 되게 상기 걸쇠부(21)를 밀어주고, 상기 손잡이부(1)를 밀거나 당긴 후 힘을 제거했을 때 다시 상기 캐치(251)에 걸리게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는 걸쇠부복원스프링(23)과; 상기 회동2축(33)과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부(1)를 밀거나 당겼을 때는 상기 걸쇠하우징(22)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걸쇠부(21)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쇠(211)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캐치(251)에 걸린 것을 풀어주고, 상기 리턴스프링장치(5)에 의해 다시 복원될 때는 상기 걸쇠하우징(22) 내부에서 빠져서 상기 걸쇠부(21)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쇠(211)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캐치(251)에 걸리게 하는 작동판(24)과; 상기 걸쇠부의 걸쇠(211)가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게 하는 캐치부(25)로 구성된다.
상기 걸쇠부(21)는 도어 프레임에 걸리는 걸쇠(211)와, 일단은 상기 걸쇠부복원스프링(23)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걸쇠(211)와 결합되어 상기 걸쇠하우징(22) 내에서 좌우 행정을 하는 걸쇠통(212)으로 구성되며, 상기 걸쇠하우징(22)의 일단은 막힘판(222)이 형성되어 상기 걸쇠부복원스프링(23)이 결합되고 상기 걸쇠부복원스프링(23)이 더 이상 후진될 수 없도록 하는 구조이다.
상기 걸쇠하우징(22)과 걸쇠통(212)에는 상기 작동판(24)이 들어갔다 나왔다 하는 작동슬릿홈(221, 2121)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슬릿홈(2121)의 내부에는 격벽(21211))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판(24)이 상하로 삽입된다.
상기 캐치부(25)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걸쇠(211)가 걸리게 하는 홈이 형성된 캐치(251)와, 상기 걸쇠(211)가 걸리는 홈의 케이스 역할을 하는 캐치박스(252)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회동편(32)은 ㅗ 형상으로 상기 회동1축(31)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평바 형상의 상부회동편(321)과, 상기 리턴스프링장치(5)가 통과하고 지렛대의 지지점 역할을 하는 하부회동편(3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회동편(321)에는 상기 회동1축(31)과 결합되는 회동1축결합구(3211)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회동편(322)에는 상기 리턴스프링장치(5)가 통과되는 스프링통과홀(3221)과, 상기 손잡이부(1)를 밀고 당길 경우 상기 회동편(32)의 1측이 들릴 때 상기 회동2축(33)이 움직이는 공간 역할을 하는 회동2축운동홈(3222)과, 상기 회동2축(33)과 핀 결합을 위한 회동2축결합홀(3223)과, 상기 회동편(32)의 일측이 한쪽으로 들렸다 제자리에 왔다 하기 쉽도록 하부의 양측에 지지점이 되는 들림돌기(3224)가 형성된다.
상기 들림돌기(3224)의 말단은 들리기 쉽게 하고 지지선이 되게 라운드지게 반원(32241)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편(32)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상기 외부손잡이(11)를 당기거나 밀면 상기 회동편(32)의 들림돌기(3224)가 지렛대의 지지점 역할을 하고 상기 리턴스프링장치(5)는 늘어나며 상기 회동편(32)의 회동2축결합홀(3223)에 결합된 회동2축(33)을 당기고, 당겨진 회동2축(33)에 연결된 작동판(24)을 당겨 작동판(24)에 의해 걸쇠부(21)이 좌측 즉 뒤로 밀리게 되어 캐치에 걸려 있던 걸쇠(211)가 빠져서 밀거나 당기는 힘 한번으로 도어가 열리게 되며, 외부손잡이(11)을 놓으면 리턴스프링장치(5)에 의해 상기 외부손잡이(11)는 다시 도어와 평형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작동판(24)은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손잡이(11)와 내부손잡이(12)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외부손잡이(11)와 내부손잡이(12)의 작동에 의해 각각으로 동작하고, 도어가 잠겨 있을 때 상기 걸쇠통(312) 내부에 들어가 있는 직사각부(241)와, 도어를 열 때 내부로 들어가 상기 걸쇠통(212)이 좌측으로 밀리게 하는 경사부(242)로 구성된다.
상기 경사부(242)는 상기 외부손잡이(11)와 내부손잡이(12)를 당기거나 밀 때 상기 외부손잡이(11)와 내부손잡이(12)에 연결된 상기 회동부(3)의 회동1축(31)를 통해 힘이 상기 회동편(32)으로 전달되고, 상기 회동편(32)의 하부 말단이 지렛대의 지지점 역할을 하고 상기 리턴스프링장치(5)는 늘어나며 상기 회동편(32)의 회동2축결합홀(3223)에 결합된 회동2축(33)을 당기고, 당겨진 회동2축(33)에 연결된 작동판(24)를 당겨 상기 걸쇠통(212)과 걸쇠하우징(23) 내부로 들어간다.
이렇게 경사부(242)가 상기 걸쇠통(212)과 걸쇠하우징(23) 내부로 들어가면 걸쇠부(21)가 좌측 즉 뒤로 밀리게 되어 캐치에 걸려 있던 걸쇠(211)이 빠지서 밀거나 당기는 힘 한번으로 도어가 열리게 되며, 외부손잡이(11)을 놓으면 리턴스프링장치(5)에 의해 상기 외부손잡이(11)는 다시 도어와 평형하게 된다.
상기 직사각부(241)의 말단에는 상기 회동2축(33)과 결합되는 회동2축결합구(2411)가 형성된다.
상기 외부손잡이(11)와 내부손잡이(12)용 상기 작동판(24)은 격판(21211)에 의해 분리되어지고 작동 시 서로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문이 잠겼을 때의 걸쇠뭉치 작동도로서 외부나 내부에서 상기 손잡이부(1)에 힘을 가하지 않을 때는 상기 작동판(24)의 직사각부(241)만 걸쇠통(212)과 걸쇠하우징(22)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상기 걸쇠부복원스프링(23)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걸쇠통(212)의 끝단에 결합된 걸쇠(211)가 상기 캐치(251)에 들어가 있는 상태가 된다.
도 7은 외부에서 문을 열었을 때의 걸쇠뭉치 작동도로서 상기 외부손잡이(11)를 당기거나 밀면 상기 회동편(32)의 하부 말단이 지렛대의 지지점 역할을 하고 상기 리턴스프링장치(5)는 늘어나며 상기 회동편(32)의 회동2축결합홀(3223)에 결합된 회동2축(33)을 당기고, 당겨진 회동2축(33)에 연결된 상부에 있는 즉 외부손잡이(11)와 연결된 작동판(24)을 당겨 작동판(24)의 경사부(242)가 상기 걸쇠통(212)과 걸쇠하우징(22) 안으로 들어가며, 상기 경사부(242)가 상기 걸쇠통(212)과 걸쇠하우징(22) 안으로 들어가면 상기 걸쇠부복원스프링(23)이 좁아지면서 상기 걸쇠통(212)이 도면에서 좌측으로 후퇴 즉 뒤로 후퇴하여 상기 걸쇠(211)이 상기 캐치(251)에서 빠지게 되어 상기 외부손잡이(11)을 당기거나 밀면 한번에 도어가 열리가 된다.
도 8은 내부에서 문을 열었을 때의 걸쇠뭉치 작동도로서 상기 내부손잡이(12)를 당기거나 밀면 상기 회동편(32)의 하부 말단이 지렛대의 지지점 역할을 하고 상기 리턴스프링장치(5)는 늘어나며 상기 회동편(32)의 회동2축결합홀(3223)에 결합된 회동2축(33)을 당기고, 당겨진 회동2축(33)에 연결된 상부에 있는 즉 내부손잡이(12)와 연결된 작동판(24)을 당겨 작동판(24)의 경사부(242)가 상기 걸쇠통(212)과 걸쇠하우징(22) 안으로 들어가며, 상기 경사부(242)가 상기 걸쇠통(212)과 걸쇠하우징(22) 안으로 들어가면 상기 걸쇠부복원스프링(23)이 좁아지면서 상기 걸쇠통(212)이 도면에서 좌측으로 후퇴 즉 뒤로 후퇴하여 상기 걸쇠(211)이 상기 캐치(251)에서 빠지게 되어 상기 외부손잡이(11)을 당기거나 밀면 한번에 도어가 열리게 된다.
본 고안의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에 따르면 손잡이의 위부분이나 아래부분을 밀거나 당기는 한번의 동작으로 문을 열 수 있어 손에 물건을 들어 손잡이 회전이 어려운 경우나 손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 문을 쉽게 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손잡이부
11 : 외부손잡이 12 : 내부손잡이
2 : 걸쇠뭉치부
21 : 걸쇠부
211 : 걸쇠 212 : 걸쇠통
2121 : 작동슬릿홈 21211 : 격판
22 : 걸쇠하우징
221 : 작동슬릿홈 222 : 막힘판
23 : 걸쇠부복원스프링
24 : 작동판
241 : 직사각부 2411 : 회동2축결합구
242 : 경사부 2421 : 경사면
25 : 캐치부
251 : 캐치 2511 : 고정볼트
252 : 캐치박스
3 : 회동부
31 : 회동1축
311 : 리턴스프링장치결합구 312 : 회동편결합구
32 : 회동편
321 : 상부회동편 3211 : 회동1축결합구
322 : 하부회동편 3221 : 스프링통과홀
3222 : 회동2축운동홈 3223 : 회동2축결합홀
3224 : 들림돌기 32241 : 반원
33 : 회동2축
4 : 커버부
41 : 커버 42 : 결합볼트부
5: 리턴스프링장치

Claims (2)

  1. 건물의 내부 실내도어에 설치되어 도어를 닫고 여는 역할을 하는 도어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장치는 문의 내부와 외부에 설치되며, 실내로 들어갈 때 사용하는 외부손잡이(11)와 실내에서 나올 때 사용하는 내부손잡이(12)로 구성된 손잡이부(1)와;
    상기 손잡이부(1)를 조작하지 않을 때는 저절로 도어가 열리지 못하게 잠김 상태가 되게 하고, 누르거나 당기는 조작을 했을 때는 잠김 상태가 해제되는 걸쇠뭉치부(2)와;
    상기 손잡이부(1)와 걸쇠뭉치부(2)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1)를 조작하는 힘에 의해 움직여서 상기 걸쇠뭉치부(2)를 조작하는 회동부(3)와;
    상기 도어록장치를 도어에 고정되게 하는 커버부(4)와;
    상기 회동부(3)와 커버부(4)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1)를 당기거나 밀었을 때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게 하는 리턴스프링장치(5)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부(3)는 상기 손잡이부(1)와 연결되는 회동1축(31)과;
    상기 회동1축(31)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1)를 밀거나 당길 때 지렛대의 지지점 역할을 하는 회동편(32)과;
    상기 회동편(32)과 걸쇠뭉치부(2)에 결합되어 상기 걸쇠뭉치부(2)를 작동시키는 회동2축(33)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부(4)는 도어 내측과 외측의 측면과 접합하는 2개의 커버(41)와 상기 커버와 커버를 결합시키는 결합볼트부(42)로 구성되며,
    상기 걸쇠뭉치부(2)는 도어에서 튀어나와 도어프레임에 삽입되어 문을 잠그는 걸쇠부(21)와;
    상기 걸쇠부(21)가 내부에서 들어가서 왔다 갔다 하는 걸쇠하우징(22)과;
    상기 걸쇠하우징(22)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걸쇠하우징(22)의 말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걸쇠부(21)와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1)에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는 상기 걸쇠부(21)의 끝부분인 걸쇠(211)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캐치(251)에 걸려 문이 잠기는 상태가 되게 상기 걸쇠부(21)를 밀어주고, 상기 손잡이부(1)를 밀거나 당긴 후 힘을 제거했을 때 다시 상기 캐치(251)에 걸리게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는 걸쇠부복원스프링(23)과;
    상기 회동2축(33)과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부(1)를 밀거나 당겼을 때는 상기 걸쇠하우징(22)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걸쇠부(21)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쇠(211)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캐치(251)에 걸린 것을 풀어주고, 상기 리턴스프링장치(5)에 의해 다시 복원될 때는 상기 걸쇠하우징(22) 내부에서 빠져서 상기 걸쇠부(21)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쇠(211)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캐치(251)에 걸리게 하는 작동판(24)과;
    상기 걸쇠부의 걸쇠(211)가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게 하는 캐치부(25)로 구성되고,
    상기 걸쇠부(21)는 도어 프레임에 걸리는 걸쇠(211)와, 일단은 상기 걸쇠부복원스프링(23)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걸쇠(211)와 결합되어 상기 걸쇠하우징(22) 내에서 좌우 행정을 하는 걸쇠통(212)으로 구성되며,
    상기 걸쇠하우징(22)과 걸쇠통(212)에는 상기 작동판(24)이 들어갔다 나왔다 하는 작동슬릿홈(221, 2121)이 형성되고,
    상기 캐치부(25)는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걸쇠(211)가 걸리게 하는 홈이 형성된 캐치(251)와, 상기 걸쇠(211)가 걸리는 홈의 케이스 역할을 하는 캐치박스(252)로 구성되는 구조인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편(32)은 ㅗ 형상으로 상기 회동1축(31)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평바 형상의 상부회동편(321)과, 상기 리턴스프링장치(5)가 통과하고 지렛대의 지지점 역할을 하는 하부회동편(322)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회동편(321)에는 상기 회동1축(31)과 결합되는 회동1축결합구(321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회동편(322)에는 상기 리턴스프링장치(5)가 통과되는 스프링통과홀(3221)과, 상기 손잡이부(1)를 밀고 당길 경우 상기 회동편(32)의 1측이 들릴 때 상기 회동2축(33)이 움직이는 공간 역할을 하는 회동2축운동홈(3222)과, 상기 회동2축(33)과 핀 결합을 위한 회동2축결합홀(3223)과, 상기 회동편(32)의 일측이 한쪽으로 들렸다 제자리에 왔다 하기 쉽도록 하부의 양측에 지지점이 되는 들림돌기(3224)가 형성되고,
    상기 들림돌기(3224)의 말단은 들리기 쉽게 하고 지지선이 되게 라운드지게 반원(32241)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1)는 회동1축(31)을 중심으로 상부나 하부를 밀거나 당길 수 있게 T(티) 형상이고,
    상기 회동1축(31)에는 상기 리턴스프링장치(5)가 결합되는 리턴스프링장치결합구(311)와, 상기 회동편(32)이 결합되는 회동편결합구(312)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판(24)은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손잡이(11)와 내부손잡이(12)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외부손잡이(11)와 내부손잡이(12)의 작동에 의해 각각으로 동작하고, 도어가 잠겨 있을 때 상기 걸쇠통(212) 내부에 들어가 있는 직사각부(241)와, 도어를 열 때 상기 걸쇠통(212)과 걸쇠하우징(22)의 안으로 들어가 상기 걸쇠통(212)이 좌측으로 밀리게 하는 경사부(242)로 구성되며,
    상기 직사각부(241)의 말단에는 상기 회동2축(33)과 결합되는 회동2축결합구(2411)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슬릿홈(2121)의 내부에는 격판(21211)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판(24)이 상하로 삽입되고,
    상기 걸쇠하우징(22)의 일단은 막힘판(222)이 형성되어 상기 걸쇠부복원스프링(23)이 결합되고 상기 걸쇠부복원스프링(23)이 더 이상 후진될 수 없도록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
KR2020120003685U 2012-05-04 2012-05-04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 KR2004622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685U KR200462251Y1 (ko) 2012-05-04 2012-05-04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685U KR200462251Y1 (ko) 2012-05-04 2012-05-04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251Y1 true KR200462251Y1 (ko) 2012-09-10

Family

ID=47074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685U KR200462251Y1 (ko) 2012-05-04 2012-05-04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2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8325A (zh) * 2018-12-16 2019-07-02 广东名门锁业有限公司 室内推拉门锁
CN116388019A (zh) * 2023-06-05 2023-07-04 牧铭智能制造(山东)有限公司 一种抗爆型母线槽插接开关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7810A (en) 1987-06-24 1988-10-18 Webster Desmond E C Latching assembly with panic relea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7810A (en) 1987-06-24 1988-10-18 Webster Desmond E C Latching assembly with panic releas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8325A (zh) * 2018-12-16 2019-07-02 广东名门锁业有限公司 室内推拉门锁
CN116388019A (zh) * 2023-06-05 2023-07-04 牧铭智能制造(山东)有限公司 一种抗爆型母线槽插接开关箱
CN116388019B (zh) * 2023-06-05 2023-08-29 牧铭智能制造(山东)有限公司 一种抗爆型母线槽插接开关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44665A1 (zh) 适用大型容器的锁定系统
JP2015517615A (ja) ドアロック装置
KR20160000788A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TW201901005A (zh) 裝設於雙扇門的鎖具構造
KR200462251Y1 (ko)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
US2702204A (en) Door latch
KR101557682B1 (ko) 락장치의 로드 길이 가변용 스프링이 장착된 창호장치
KR20180060394A (ko) 푸시풀 전환이 용이한 푸시풀 도어락
KR101956107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0748712B1 (ko)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KR200457119Y1 (ko)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200483631Y1 (ko) 래치회동식 도어락 모티스
KR20160003513A (ko)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KR20190028581A (ko)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KR101847986B1 (ko) 도어의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록 장치
JP2004353378A (ja) 戸先錠解除機構付き開口部装置
KR101545180B1 (ko) 좌우 양측으로 개폐가능한 도어시스템
US20110025175A1 (en) Lock for a vending machine, cabinet, or the like
JP2013083054A (ja) クレセント錠
KR20090071506A (ko) 미닫이문의 잠금부 록킹 해제기능을 갖는 손잡이
JP2002038806A (ja) 扉の開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ペットケージ
KR200458458Y1 (ko)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잠금장치
TWM367955U (en) Latch-interconnected mechanism
JP3134039U (ja) 両開きドア装置
KR20100010220A (ko) 자석손잡이를 이용한 자동식 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