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682B1 - 락장치의 로드 길이 가변용 스프링이 장착된 창호장치 - Google Patents

락장치의 로드 길이 가변용 스프링이 장착된 창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682B1
KR101557682B1 KR1020140036115A KR20140036115A KR101557682B1 KR 101557682 B1 KR101557682 B1 KR 101557682B1 KR 1020140036115 A KR1020140036115 A KR 1020140036115A KR 20140036115 A KR20140036115 A KR 20140036115A KR 101557682 B1 KR101557682 B1 KR 101557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door
spring
fastening portion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석
Original Assignee
김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석 filed Critical 김순석
Priority to KR1020140036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3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two or more pivoted rods
    • E05C17/3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two or more pivoted rods with means for holding in more than on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장치가 장착된 가변문의 핸들을 돌려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에 문을 고정시키도록 된 창호장치에서, 가변문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락장치 작동 핸들을 회전시키더라도 로드(rod)에 장착된 스프링이 작동하여 문틀 또는 핸들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락장치의 로드 길이 가변용 스프링이 장착된 창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락장치의 로드 길이 가변용 스프링이 장착된 창호장치의 락장치는,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피니언과 피니언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면서 서로 치합하여 작동하는 래크가 형성된 한쌍의 작동편이 수납되며, 일측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 본체의 개구된 일면을 덮도록 체결되는 뚜껑; 일단이 작동편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문의 프레임 상부와 하부로 각각 출몰하게 되는 한쌍의 로드; 스프링의 신축에 의해 출몰하게 되는 로드의 길이를 조절해 줄 수 있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문의 프레임에 장착된 핸들을 돌려줌에 따라 로드가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돌출되면서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문이 고정되고, 로드의 선단이 문틀 표면에 접촉되면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로드의 길이를 짧게 하여 로드의 선단에 의해 문틀 표면이 긁히는 것을 방지해 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락장치의 로드 길이 가변용 스프링이 장착된 창호장치{Window/door system having spring apparatus for adjusting rod length}
본 발명은 락(lock)장치의 로드 길이 가변용 스프링이 장착된 창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락장치가 장착된 가변문의 핸들을 돌려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에 문을 고정시키도록 된 창호장치에서, 가변문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락장치 작동 핸들을 회전시키더라도 로드(rod)에 장착된 스프링이 작동하여 문틀 또는 핸들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락장치의 로드 길이 가변용 스프링이 장착된 창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친자연과 친환경 붐을 타고 전원주택과 펜션 등이 많은 호응을 받으면서 실내에서 자연을 관망하기 위해 거실에 대형 통유리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 경우 통유리를 개방할 수가 없기 때문에 일부는 통유리로 하고 나머지 부분은 개폐할 수 있는 미닫이 문을 설치했는데, 미닫이 문의 잠금장치는 일측에 고정 설치된 고정부와, 타측에 설치된 회동 또는 유동할 수 있는 작동부가 서로 맞물려서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런 잠금장치는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대형 통유리보다는 거실 한쪽 벽에 4짝 문을 설치하여 양쪽 끝에 설치되는 문은 고정문으로 하고, 가운데 2짝 문은 슬라이딩시켜 개방할 수 있는 문으로 설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2짝 문 중에서 한쪽 문은 슬라이딩 개폐하는 개폐문으로 하고, 다른쪽 문은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에 각각 고정시켰다가 필요할 때는 핸들을 돌려서 고정된 문을 해방시키면서 옆으로 밀어서 슬라이딩시켜 개방시킬 수 있는 가변문으로 구성하게 된다. 이 때에도 실용신안등록 제384265호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어 부착된 회동되는 잠금장치를 사용하여 슬라이딩 되는 문을 고정문에 고정시킬 경우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2014-13884호, 실용신안등록 제463670호와 같은 기술이 출현하였는데, 상기 기술들은 개폐문을 닫고 잠글 때 잠금장치를 개폐문과 가변문의 프레임에 매립시켜 잠금장치 자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고, 가변문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많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가변문을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에 고정시키는 구성을 보면, 가변문의 중간높이에 설치된 핸들을 돌리면 문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로 철제 봉인 로드(rod)가 돌출되면서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면서 가변문이 고정되게 된다. 그런데, 가변문이 고정되는 위치에서 가변문의 일단(즉, 개폐문과 접하게 되는 부분) 부분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에만 각각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른 위치에서는 가변문을 고정시킬 수가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문틀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즉, 가변문을 고정시킬 수 없는 부분)에서 가변문의 핸들을 돌릴 경우가 많고, 이때 가변문의 프레임 상부와 하부로 철제 봉인 로드가 돌출되면서 문틀의 표면을 긁어서 스크라치를 내게 되어 문틀이 손상될 뿐만 아니라 손상된 표면은 미관에도 좋지 않게 되고, 핸들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서 핸들과 로드를 작동시키는 락(lock)장치(현장에서는 '오도시장치'라고 호칭하고 있다)가 파손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락(lock)장치가 장착된 가변문의 핸들을 돌려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에 각각 가변문을 고정시키도록 된 창호장치에서, 가변문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락장치 작동 핸들을 회전시켜 락장치가 작동하더라도 길이조절부에 장착된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로드의 길이를 가변시켜 문틀 또는 핸들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락장치의 로드 길이 가변용 스프링이 장착된 창호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락장치의 로드 길이 가변용 스프링이 장착된 창호장치는, 문의 프레임에 장착된 핸들을 돌림에 따라 락(lock)장치가 작동하여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에 문이 고정되도록 된 창호장치에 적용되는데, 상기 락장치는,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피니언(pinion)과 상기 피니언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면서 서로 치합(齒合)하여 작동하는 래크(rack)가 형성된 한쌍의 작동편이 수납되며, 일측이 개구(開口)된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면을 덮도록 체결되는 뚜껑; 일단(一端)이 상기 작동편의 단부(端部)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他端)이 문의 프레임 상부와 하부로 각각 출몰하게 되는 한쌍의 로드(rod); 스프링의 신축에 의해 출몰하게 되는 상기 로드의 길이를 조절해 줄 수 있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문의 프레임에 장착된 핸들을 돌려줌에 따라 상기 로드가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돌출되면서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문이 고정되고, 상기 한쌍의 로드의 단부는 본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핸들을 돌려 로드의 선단(先端)이 문틀 표면에 접촉되면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로드의 길이를 짧게 하여 로드의 선단에 의해 문틀 표면이 긁히는 것을 방지해 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로드를 분할하여 분할된 제1 및 제2로드 사이에 설치되는 길이조절부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이고, 폐쇄된 면에는 상기 제1로드의 단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구비한 제1체결부; 상기 제1체결부의 원통 형상 내에 수납되는 스프링; 판상(板狀)의 상부에 상기 스프링이 얹혀지게 되고, 상기 제1체결부의 내주면에 위치하게 되며, 판상의 하부로는 상기 제2로드의 단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구비한 제2체결부;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이고, 폐쇄된 면의 중앙부분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체결부의 돌출부가 통공에 관통되고, 내주면이 상기 제1체결부의 개방된 쪽의 단부 외주면과 나사결합되는 뚜껑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길이조절부는 각 로드를 분할하여 분할된 제1 및 제2로드 사이에 설치하거나, 락장치의 작동편 단부와 로드 사이 또는 락장치의 로드 단부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락장치의 로드 길이 가변용 스프링이 장착된 창호장치는, 개폐문은 슬라이드되면서 개폐되고, 개폐문과 짝을 이루면서 개폐되게 하거나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에 각각 고정시키도록 된 가변문으로 구성된 창호장치에 적용되는데, 가변문이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가변문의 중간높이 부분에 장착된 락(lock)장치를 작동시키는 핸들을 돌리더라도 락장치의 상부와 하부 로드(rod)에 각각 장착된 길이조절부의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로드의 길이를 짧아지게 하기 때문에 로드 단부(端部)가 문틀 표면을 긁으면서 스크러치(scratch)를 내서 문틀이 손상된다거나, 핸들을 돌리기 위해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서 락장치를 작동시키는 핸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락(lock)장치가 작동하여 가변문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락장치가 작동하여 가변문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가변문이 열린 상태에서 핸들을 돌렸을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 ⒝, ⒞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부가 장착된 락장치의 작동상태 각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락장치의 로드 길이 가변용 스프링이 장착된 창호장치의 기술적 특징은, 락(lock)장치의 로드(rod)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를 장착하여, 가변문이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락장치를 작동시키는 핸들을 무리하게 돌리더라도 길이조절부에 장착된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압축된 길이만큼 로드의 길이를 짧아지게 하여 문틀 또는 락장치를 작동시키는 핸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했다는 점이다.
가변문(22)은 문의 프레임에 장착된 핸들을 돌림에 따라 락(lock)장치(30)가 작동하여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에 문이 고정되도록 된 것으로, 상기 락장치(30)는 이미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공지되어 있는 구성인데, 직육면체 형상으로 개구(開口)된 일면에 체결되는 뚜껑을 포함한 본체(31)와, 본체(31)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게 결합된 로드(34, 34')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구비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10은 상부문틀과 하부문틀 및 측면문틀로 구성된 문틀 전체를 지칭한다.
본체(31)는 일측이 개구(開口)된 직육면체 형상인데, 개구된 면에는 뚜껑이 체결되게 되며, 직육면체 형상 내부에는 피니언(pinion)(32)과 한쌍의 작동편(33)이 수납되어 구성된다. 피니언(32)은 본체(31) 내부의 중앙부분에 위치하고, 피니언(32)의 양측으로는 한쌍의 작동편(33)이 위치하게 된다.
로드(rod)(34, 34')는 일단(一端)이 한쌍의 작동편(33)의 단부(端部)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他端)이 문의 프레임 상부와 하부로 각각 출몰하게 되는데, 작동편(33)에는 피니언(32)과 치합(齒合)하여 작동하는 래크(rack)가 형성되어 있어서, 핸들을 돌림에 따라 피니언(32)이 회동하면서 피니언(32)과 치합된 한쌍의 래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로 움직이게 되고, 작동편(33)의 단부에 각각 결합된 로드(34, 34')가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돌출되면서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에 형성된 구멍(11, 11')에 삽입되어 문이 고정 또는 고정이 해제되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은, 위에서 설명한 락장치(30)에 로드(34, 3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35)를 장착했다는 점이다. 길이조절부(35)는 로드(34, 34')를 분할하여 중간에 설치할 수도 있고, 락장치(30)의 작동편(33) 단부와 로드(34, 34')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로드(34, 34')의 끝부분에 장착 설치하여 길이조절부(35)의 일단이 직접 구멍(11, 11')에 삽입되게 할 수도 있다.
도 4의 ⒜는 락장치가 개방되어 가변문을 열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는 락장치가 작동하여 가변문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4의 ⒞는 문틀에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 락장치의 핸들을 돌릴 경우 스프링(353)이 압축되면서 로드(34, 34')의 길이를 가변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길이조절부(35)는 제1 및 제2체결부(351, 354)와 스프링(353) 및 뚜껑(352)을 구비하게 되는데, 먼저, 길이조절부(35)는 로드(34, 34')를 제1 및 제2로드(341, 342)로 분할하여 제1 및 제2로드(341, 342) 사이에 설치할 경우를 설명한다.
제1체결부(351)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이고, 폐쇄된 면에는 제1로드(341)의 단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스프링(353)은 제1체결부(351)의 원통 형상 내에 수납되게 된다. 제1체결부(351)는 반드시 원통 형상이 아니고 다각형 형상으로 하더라도 문제는 없으나, 다각형 형상일 경우에는 뚜껑(352)과의 결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나사결합 되는 부분만을 원형으로 할 수도 있다.
제2체결부(354)는 판상(板狀)의 부재 상부에 스프링(353)이 얹혀지게 되고, 판상의 부재는 제1체결부(351)의 내주면에 위치하게 되며, 판상의 부재 하부로는 제2로드(342)의 단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뚜껑(352)은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인데, 폐쇄된 면의 중앙부분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2체결부(354)의 돌출부가 통공에 관통되게 되며, 원통 형상의 내주면이 제1체결부(351)의 개방된 쪽의 단부 외주면과 나사결합 되어 체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길이조절부(35)는 스프링(353)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문틀(10)에 형성된 구멍(11, 11')이 없는 부분에서 핸들을 돌릴 경우, 로드의 선단(先端)이 문틀(10) 표면에 접촉되어 더이상 움직일 수 없는 상태에서 핸들을 무리하게 돌리더라도 스프링(353)이 압축되면서 압축된 길이만큼 로드의 길이를 짧게 해주기 때문에 문틀 표면이 로드의 선단에 긁히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길이조절부(35)를 락장치(30)의 작동편(33) 단부와 로드(34, 34') 사이에 설치할 경우를 설명하면, 이때는 제1체결부(351)의 돌출부가 로드(34, 34')의 단부와 결합되고, 제2체결부(354)의 돌출부가 작동편(33)의 단부와 결합되게 되며, 나머지 구성은 길이조절부(35)를 로드(34, 34')를 분할하여 그 사이에 설치한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길이조절부(35)를 락장치(30)의 로드(34, 34') 단부에 설치할 경우를 설명하면, 이때는 제1체결부(351)의 돌출부가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에 형성된 구멍(11)에 삽입되면서 문을 고정하게 되고, 제2체결부(354)의 돌출부가 로드(34, 34')의 단부와 결합되고, 나머지 구성은 길이조절부(35)를 로드(34, 34')를 분할하여 그 사이에 설치한 경우와 동일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1체결부(351)와 제2체결부(352)는 서로 위치가 바뀌게 설치하더라도 아무 상관없다. 또한 로드(34, 34')의 외주면에는 나선을 형성하여 제1 및 제2체결부(351, 354)의 돌출부 또는 작동편(33)과 결합할 때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문틀 11 : 구멍
21 : 개폐문 22 : 가변문
30 : 락(lock)장치 31 : 본체
32 : 피니언 33 : 작동편
34, 34' : 로드(rod) 35 : 길이조절부
351 : 제1체결부 352: 뚜껑
353 : 스프링 354 : 제2체결부

Claims (4)

  1. 문의 프레임에 장착된 핸들을 돌림에 따라 락(lock)장치가 작동하여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에 문이 고정되도록 된 창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락장치는,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피니언(pinion)과 상기 피니언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면서 서로 치합(齒合)하여 작동하는 래크(rack)가 형성된 한쌍의 작동편이 수납되며, 일측이 개구(開口)된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면을 덮도록 체결되는 뚜껑;
    일단(一端)이 상기 작동편의 단부(端部)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他端)이 문의 프레임 상부와 하부로 각각 출몰하게 되는 한쌍의 로드(rod);
    스프링의 신축에 의해 출몰하게 되는 상기 로드의 길이를 조절해 줄 수 있는 길이조절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문의 프레임에 장착된 핸들을 돌려줌에 따라 상기 로드가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돌출되면서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문이 고정되고,
    상기 한쌍의 로드의 단부는 본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핸들을 돌려 로드의 선단(先端)이 문틀 표면에 접촉되면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로드의 길이를 짧게 하여 로드의 선단에 의해 문틀 표면이 긁히는 것을 방지해 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장치의 로드 길이 가변용 스프링이 장착된 창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각 로드를 분할하여, 분할된 제1 및 제2로드 사이에 설치되는데, 상기 길이조절부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이고, 폐쇄된 면에는 상기 제1로드의 단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구비한 제1체결부;
    상기 제1체결부의 원통 형상 내에 수납되는 스프링;
    판상(板狀)의 상부에 상기 스프링이 얹혀지게 되고, 상기 제1체결부의 내주면에 위치하게 되며, 판상의 하부로는 상기 제2로드의 단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구비한 제2체결부;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이고, 폐쇄된 면의 중앙부분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체결부의 돌출부가 통공에 관통되고, 내주면이 상기 제1체결부의 개방된 쪽의 단부 외주면과 나사결합되는 뚜껑;
    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장치의 로드 길이 가변용 스프링이 장착된 창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락장치의 작동편 단부와 로드 사이에 설치되는데, 상기 길이조절부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이고, 폐쇄된 면에는 상기 로드의 단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구비한 제1체결부;
    상기 제1체결부의 원통 형상 내에 수납되는 스프링;
    판상(板狀)의 상부에 상기 스프링이 얹혀지게 되고, 상기 제1체결부의 내주면에 위치하게 되며, 판상의 하부로는 상기 작동편의 단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구비한 제2체결부;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이고, 폐쇄된 면의 중앙부분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체결부의 돌출부가 통공에 관통되고, 내주면이 상기 제1체결부의 개방된 쪽의 단부 외주면과 나사결합되는 뚜껑;
    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장치의 로드 길이 가변용 스프링이 장착된 창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락장치의 로드 단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길이조절부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이고, 폐쇄된 면에는 상기 상부문틀과 하부문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제1체결부;
    상기 제1체결부의 원통 형상 내에 수납되는 스프링;
    판상(板狀)의 상부에 상기 스프링이 얹혀지게 되고, 상기 제1체결부의 내주면에 위치하게 되며, 판상의 하부로는 상기 로드의 단부와 결합되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제2체결부;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이고, 폐쇄된 면의 중앙부분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체결부의 돌출부가 통공에 관통되고, 내주면이 상기 제1체결부의 개방된 쪽의 단부 외주면과 나사결합되는 뚜껑;
    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장치의 로드 길이 가변용 스프링이 장착된 창호장치.
KR1020140036115A 2014-03-27 2014-03-27 락장치의 로드 길이 가변용 스프링이 장착된 창호장치 KR101557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115A KR101557682B1 (ko) 2014-03-27 2014-03-27 락장치의 로드 길이 가변용 스프링이 장착된 창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115A KR101557682B1 (ko) 2014-03-27 2014-03-27 락장치의 로드 길이 가변용 스프링이 장착된 창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682B1 true KR101557682B1 (ko) 2015-10-06

Family

ID=54345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115A KR101557682B1 (ko) 2014-03-27 2014-03-27 락장치의 로드 길이 가변용 스프링이 장착된 창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6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757B1 (ko) * 2016-12-02 2017-04-03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배전반 도어의 잠금장치
KR20170056156A (ko) * 2015-11-13 2017-05-23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하드웨어 조립체
KR20210017031A (ko) * 2019-08-06 2021-02-17 김순석 환기 및 추락방지를 위한 창문의 안전 잠금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156A (ko) * 2015-11-13 2017-05-23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하드웨어 조립체
KR102003102B1 (ko) * 2015-11-13 2019-07-23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하드웨어 조립체
KR101722757B1 (ko) * 2016-12-02 2017-04-03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배전반 도어의 잠금장치
KR20210017031A (ko) * 2019-08-06 2021-02-17 김순석 환기 및 추락방지를 위한 창문의 안전 잠금장치
KR102221275B1 (ko) * 2019-08-06 2021-02-26 김순석 환기 및 추락방지를 위한 창문의 안전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682B1 (ko) 락장치의 로드 길이 가변용 스프링이 장착된 창호장치
WO2013044665A1 (zh) 适用大型容器的锁定系统
WO2008088157A1 (en) Casement type window comprising locking device
CN105197380A (zh) 一种翻转锁止结构
KR102002311B1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US20150159423A1 (en) Assembly having liftable lid and movable hinge module thereof
KR20100102017A (ko)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
ITUB20159274A1 (it) Cerniera a perno unico perfezionata e metodo di funzionamento di tale cerniera
WO2012080856A1 (en) Antipanic handle
EP2526245B1 (en) Door leaf system for closing and/or opening an entrance
KR200448986Y1 (ko) 스프링이 형성된 미닫이문 고정장치
KR20090081802A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190028581A (ko)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EP1684039B1 (en) Refrigerated cabinet with an apparatus for keeping the door ajar
RU95353U1 (ru) Люк сантехнический
KR101230119B1 (ko) 도어락장치
KR200462251Y1 (ko) 밀거나 당기는 동작 한번에 열리는 출입문 도어록장치
KR200461773Y1 (ko) 미닫이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장치
JP2023507967A (ja) 建具用ハンドル組立体およびこれを含む建具
RU59685U1 (ru) Люк
CN105952292B (zh) 淋浴门系统及其组件
KR20130098599A (ko) 사물함의 경첩
KR101474307B1 (ko) 도어 스토퍼
CN204091872U (zh) 一种用于安装马桶盖板的铰链组件
JP7207729B2 (ja) 開き扉の施解錠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