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122Y1 - 다기능 탄성 볼라드 - Google Patents

다기능 탄성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122Y1
KR200462122Y1 KR2020110011818U KR20110011818U KR200462122Y1 KR 200462122 Y1 KR200462122 Y1 KR 200462122Y1 KR 2020110011818 U KR2020110011818 U KR 2020110011818U KR 20110011818 U KR20110011818 U KR 20110011818U KR 200462122 Y1 KR200462122 Y1 KR 2004621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ounting
casing
bollard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홍
Original Assignee
(주)스페이스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페이스톡 filed Critical (주)스페이스톡
Priority to KR2020110011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1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1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1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 E01F15/065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the barrier members being made of essentially non-metallic materials, e.g. natural or synthetic fibres or webb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1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for column or post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6Signs formed of or incorporating reflecting elements or surfaces, e.g. warning signs having triangular or other geometrical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탄성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전,후,좌,우 등 사방으로 탄력적으로 가변되는 것은 물론, 복수개의 볼라드를 가로막이부재 등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기능 탄성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탄성 볼라드{MULTIFUNCTION ELASTIC BOLLARD}
본 고안은 다기능 탄성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부의 탄성에 의해 전,후,좌,우 등 사방으로 탄력적으로 가변되는 것은 물론, 복수개의 볼라드를 체인 등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기능 탄성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라드(Bollard)는 자동차가 인도에 진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차도와 인도의 경계면에 세우거나, 사람 등 통행 주체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볼라드는 석재나, 콘크리트 등과 같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동차 등과 충돌시 그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게 되면서 쉽게 파손되는 것은 물론, 그 충격이 직접 사람 등에 전달되면서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람 등 통행 주체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볼라드가 설치되고는 있으나, 볼라드 간의 사이 간격이 넓게 설치되면서 볼라드와 볼라드 사이로 자동차나, 사람 등이 침범하면서 제대로 제어가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동차 등과 충돌시 탄성부의 탄성에 의해 전,후,좌,우 등 사방으로 탄력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기능 탄성 볼라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복수의 볼라드를 체인 등으로 연결하여 사람 등 통행 주체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다기능 탄성 볼라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설치 대상면에 매립 설치되는 베이스부; 일단부는 베이스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타단부는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싱부; 케이싱부를 사방으로 탄력적으로 가변되도록 하는 탄성부; 및 케이싱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가로막이부재가 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는 탄성 볼라드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탄성부는 베이스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플레이트;
하부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하며, 케이싱부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 및 상,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탄성부는 베이스부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완충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싱부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 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거치부는 삽입홈 또는 삽입공에 전, 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거치부의 외주면과, 그 거치부가 고정되는 삽입홈 또는 삽입공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거치부는 일측면에 도구결합홈 또는 손잡이가 형성되거나, 삽입홈 또는 삽입공의 외측이 거치부의 일측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거치부에는 가로막이부재가 거치되는 거치공 또는 거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싱부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반사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 등과 충돌시 탄성부의 탄성에 의해 전,후,좌,우 등 사방으로 탄력적으로 가변됨으로써 충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 등과 충돌시 사람 등에 직접 전달될 수 있는 충격이 탄성부에 의해 일부 흡수됨으로써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복수개의 볼라드를 체인 등으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볼라드 간의 이격된 사이로 침범하는 자동차나, 사람 등 통행 주체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탄성 볼라드에 대한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탄성 볼라드에 대한 제1 실시예에서 탄성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및 분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탄성 볼라드에 대한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탄성 볼라드에 대한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7a, 도 7b 및 도 8a, 8b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탄성 볼라드에 대한 제 2실시예에서 거치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탄성 볼라드에 대한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탄성 볼라드에 대한 제1 실시예에서 탄성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및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다기능 탄성 볼라드(1)는 설치 대상면에 매립 설치되는 베이스부(10),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에 위치하며 타단부는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부가 개구되는 케이싱부(20), 상기 케이싱부(20)를 전,후,좌,우 등 사방으로 탄력적으로 가변되도록 하는 탄성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대상면은 도로나, 보도 등을 포함하는 지면이나, 지하 주차장 또는 야외 주차장 등을 포함하는 건물 각 층의 바닥면이나, 예술 작품이나 기념물 등을 포함하는 조경시설물 또는 공연장이나 야외무대 등을 포함하는 문화시설물 등의 주변 바닥면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그 전체가 설치대상면에 매립 설치되어도 무방하나 상단부가 설치 대상면 밖으로 노출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는 하부가 개구되면서 그 내측으로 토사나, 콘크리트 등이 유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원형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부(20)는 수직으로 형성되며, 사각 기둥을 포함하는 다면체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원형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싱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구되며, 그 내측으로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가 인입되어 위치하거나, 상기 케이싱부(20)의 하단부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단부가 설치대상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상기 케이싱부(20)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반사체(40)가 구비된다.
예컨대, 상기 케이싱부(20)는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2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21)에는 상기 반사체(40)가 설치된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케이싱부(20)의 내부에는 LDE 등을 포함하는 광원 및 그 광원을 점등이나, 소등할 수 있는 전원장치 등이 구비되면서 상기 반사체(40)를 통해 광원의 빛이 외부로 투영되도록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탄성부(30)는 상기 케이싱부(20)의 내측에 위치하며, 하부는 상기 베이스부(10)에 고정되고, 상부는 상기 케이싱부(20)에 고정된다.
예컨대, 상기 탄성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31)으로 이루어지며, 하부 및 상부는 각각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 및 상기 케이싱부(30)의 내주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코일스프링(31)의 상부가 상기 케이싱부(20)의 내주면에 용접 등에 의해 직접 연결되어도 무방하나 상기 코일스프링(31)의 상부에 지지판(32)이 고정 설치되고, 그 지지판(32)이 상기 케이싱부(20)의 내주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탄성부(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싱부(20)에 고정되는 상부프레임(33), 상기 상부프레임(33)과 상기 베이스부(10) 사이에 위치하는 코일스프링(31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프레임(33)은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어 그 외주면이 상기 케이싱부(20)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결합되며, 리벳 등의 결속구(34)에 의해 상기 케이싱부(20)에 고정된다.
상기 코일스프링(31a)의 상,하부에는 각각 중앙부에 볼트 등의 결합구(35)가 구비된 상,하부플레이트(36,37)가 너트 등의 결합부재(38)에 의해 상기 상부프레임(33)의 하부 및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프레임(33)의 하부 및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 표면에는 상기 결합구(35)가 인입되는 결합공(35a)이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플레이트(36,37)의 외주면에는 상기 코일스프링(31a)이 체결되는 체결홈(36a,37a)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36a,37a)은 상기 코일스프링(31a)이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하부플레이트(36,37)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다기능 탄성 볼라드(1)는 상기 상부프레임(33)이 상기 케이싱부(20)의 개구된 하부를 밀폐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36)는 상기 상부프레임(33)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37)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상,하부플레이트(36,37)는 각각 외주면에 상기 체결홈(36a,37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코일스프링(31a)의 상,하부가 인입되어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다기능 탄성 볼라드(1)는 상기 탄성부(30)가 상기 케이싱부(20)와 상기 베이스부(10) 사이에 간편하고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코일스프링(31a)은 상,하부가 각각 상기 상,하부플레이트(36,37)에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외부 등의 충격에 의해 이탈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기능 탄성 볼라드(1)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전,후,좌,우 등 사방으로 탄력적으로 가변됨으로써 충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다기능 탄성 볼라드(1)는 자동차 등과 충돌시 사람 등에 직접 전달될 수 있는 충격이 상기 탄성부(30)에 의해 일부 흡수됨으로써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 외주면에는 우레탄이나 고무 등을 포함하는 완충재(5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다기능 탄성 볼라드(1)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전,후,좌,우 등 사방으로 탄력적으로 가변될 때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 가장자리와 상기 케이싱부(20)의 내주면이 접촉하게 되면서 상호 접촉되는 부분이 마모되거나 파손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기능 탄성 볼라드(1)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 외주면에 상기 완충재(50)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 가장자리와 상기 케이싱부(20)의 내주면이 접촉하게 되면서 발생되는 마모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탄성 볼라드에 대한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탄성 볼라드에 대한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다기능 탄성 볼라드(1)는 상기 케이싱부(20)의 외주면에 가로막이부재(2)가 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부(60)가 더 포함된다.
상기 거치부(6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원형봉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막이부재(2)는 끈이나, 체인 등을 포함하는 줄 또는 막대 등을 포함하는 봉 형태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케이싱부(2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22a) 또는 삽입공(22b)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60)는 일측이 상기 삽입홈(22a) 또는 상기 삽입공(22b)에 결합되며, 타측에는 가로막이부재(2)가 거치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6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막이부재(2)가 관통하여 거치되는 거치공(61)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홈(62)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공(61) 또는 상기 거치홈(62)은 상기 거치부(6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다기능 탄성 볼라드(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상면에 복수 설치되고, 그 복수의 다기능 탄성 볼라드(1)에 각각 가로막이부재(2)가 거치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다기능 탄성 볼라드(1)가 설치대상면에 복수로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다기능 탄성 볼라드(1)에 구비된 거치부(60)의 거치공(61) 또는 거치홈(62)에 가로막이부재(2)가 거치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도로나, 보도 또는 예술 작품이나 기념물 등을 포함하는 조경시설물 또는 공연장이나 야외무대 등을 포함하는 문화시설물 등의 주변을 통행하는 자동차나, 사람 등 통행 주체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a, 도 7b 및 도 8a, 8b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탄성 볼라드에 대한 제 2실시예에서 거치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보면, 다기능 탄성 볼라드(1)는 상기 거치부(60)가 상기 삽입홈(22a) 또는 상기 삽입공(22b)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60)의 전, 후 이동은 상기 거치부(60)가 상기 삽입홈(22a) 또는 상기 삽입공(22b)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케이싱부(20)의 외측으로 노출되거나, 상기 거치부(60)가 상기 삽입홈(22a) 또는 상기 삽입공(22b)으로 인입되어 상기 거치부(60)가 상기 케이싱부(2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거치부(60)의 외주면과, 그 거치부(60)가 고정되는 상기 삽입홈(22a) 또는 상기 삽입공(22b)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부(60)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외주면 전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상기 거치공(61) 또는 상기 거치홈(62)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싱부(20)의 내측 방향인 타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60)가 상기 삽입공(22b)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거치부(60)의 일측 단부는 상기 거치부(60)의 인입에 따라 상기 삽입공(22b)을 통과하여 상기 케이싱부(20) 내부로 낙하하지 않도록 상기 삽입공(22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거치부(60)의 타측 단부는 상기 거치부(60)의 인출에 따라 상기 삽입공(22b)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공(22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공(22b)의 외측은 상기 거치부(60)의 일측 단부가 인입되도록 그 타측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특히, 상기 거치부(60)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도구결합홈(63)이 형성되거나,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6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치부(60)의 일측과 상기 삽입홈(22a) 또는 상기 삽입공(22b)의 외측 사이로 손가락 등이 들어갈 수 있도록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22a) 또는 상기 삽입공(22b)의 외측이 상기 거치부(60)의 일측 단부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거치부(60)를 도구나, 손 등으로 간편하게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상면에 설치된 복수의 다기능 탄성 볼라드(1)에 가로막이부재(2)의 설치가 필요한 경우 복수의 다기능 탄성 볼라드(1)에 각각 구비된 거치부(60)를 회전시켜 거치공(61) 또는 거치홈(62)이 케이싱부(20)의 외주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복수의 거치공(61) 또는 복수의 거치홈(62)이 외부로 노출되면 가로막이부재(2)를 그 복수의 거치공(61) 또는 복수의 거치홈(62)에 각각 거치한다.
이로 인하여,상기 다기능 탄성 볼라드(1)는 복수의 다기능 탄성 볼라드(1)에 가로막이부재(2)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복수의 다기능 탄성 볼라드(1)에 가로막이부재(2)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복수의 다기능 탄성 볼라드(1)에 각각 구비된 거치부(60)를 회전시켜 거치부(60)가 삽입홈(22a) 또는 삽입공(22b)으로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거치부(60)가 케이싱부(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기능 탄성 볼라드(1)는 상기 거치부(60)를 조작하여 상기 다기능 탄성 볼라드(1)에 간편하게 상기 가로막이부재(2)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다기능 탄성 볼라드(1)는 상기 거치부(60)에 가로막이부재(2)를 미설치하는 경우 상기 거치부(60)를 상기 케이싱부(20)의 외측으로 인입하여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다기능 탄성 볼라드(1)의 미려함을 부각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충돌에 의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탄성 볼라드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볼라드 2 : 가로막이부재
10 : 베이스부 20 : 케이싱부
21 : 고정홈 22a : 삽입홈
22b : 삽입공 30 : 탄성부
31,31a : 코일스프링 32 : 지지판
33 : 상부프레임 36 : 상부플레이트
36a : 체결홈 37 : 하부플레이트
37a : 체결홈 38 : 결합부재
40 : 반사체 50 : 완충재
60 : 거치부 61 : 거치공

Claims (8)

  1. 설치 대상면에 매립 설치되는 베이스부;
    일단부는 개구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타단부는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를 사방으로 탄력적으로 가변되도록 하는 탄성부; 및
    상기 케이싱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가로막이부재가 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싱부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 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삽입홈 또는 상기 삽입공에 전, 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싱부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탄성 볼라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완충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탄성 볼라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일측면에 도구결합홈 또는 손잡이가 형성되거나, 상기 삽입홈 또는 상기 삽입공의 외측이 상기 거치부의 일측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탄성 볼라드.
  7. 제 1, 3,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에는 가로막이부재가 거치되는 거치공 또는 거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탄성 볼라드.
  8. 제 1, 3,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반사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탄성 볼라드.
KR2020110011818U 2011-12-30 2011-12-30 다기능 탄성 볼라드 KR2004621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818U KR200462122Y1 (ko) 2011-12-30 2011-12-30 다기능 탄성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818U KR200462122Y1 (ko) 2011-12-30 2011-12-30 다기능 탄성 볼라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122Y1 true KR200462122Y1 (ko) 2012-08-27

Family

ID=47074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818U KR200462122Y1 (ko) 2011-12-30 2011-12-30 다기능 탄성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12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6631A1 (en) * 2013-04-30 2014-11-06 World Sports International Pty Ltd Bollard mounting assembly
KR101515578B1 (ko) * 2014-08-20 2015-04-28 주식회사 에니에스 오뚝이 볼라드
EP3124701A1 (fr) * 2015-07-29 2017-02-01 Néophilix Sàrl Borne, son procédé de pose et dispositif d'ancrage
CN108867464A (zh) * 2018-07-18 2018-11-23 芜湖职业技术学院 缓冲撞道路隔离桩
CN111560890A (zh) * 2020-06-11 2020-08-21 潘家祥 一种电线杆的柔性防撞护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4914A (ja) * 2001-07-24 2003-02-07 Kaneso Co Ltd 車止め支柱のチェーン連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4914A (ja) * 2001-07-24 2003-02-07 Kaneso Co Ltd 車止め支柱のチェーン連結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6631A1 (en) * 2013-04-30 2014-11-06 World Sports International Pty Ltd Bollard mounting assembly
KR101515578B1 (ko) * 2014-08-20 2015-04-28 주식회사 에니에스 오뚝이 볼라드
EP3124701A1 (fr) * 2015-07-29 2017-02-01 Néophilix Sàrl Borne, son procédé de pose et dispositif d'ancrage
FR3039569A1 (fr) * 2015-07-29 2017-02-03 Eurobornes Borne, son procede de pose et dispositif d'ancrage
CN108867464A (zh) * 2018-07-18 2018-11-23 芜湖职业技术学院 缓冲撞道路隔离桩
CN108867464B (zh) * 2018-07-18 2020-09-18 芜湖职业技术学院 缓冲撞道路隔离桩
CN111560890A (zh) * 2020-06-11 2020-08-21 潘家祥 一种电线杆的柔性防撞护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2122Y1 (ko) 다기능 탄성 볼라드
KR101042293B1 (ko) 제어부 일체형 가로등주
KR101229250B1 (ko) 펜스의 파일형 지주장치
KR101315808B1 (ko) 분전반 내장형 내진 가로등주
KR101007728B1 (ko) 가드레일
KR101546524B1 (ko) 유지관리 효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가로등 지주
KR100789693B1 (ko) 전신주 보호 구조물
KR100873011B1 (ko) 다기능 탄성 볼라드
KR101174355B1 (ko) 완충스프링을 이용해 외장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교량 외장재 체결용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 시공방법
KR101824140B1 (ko) 지지구조물의 충격완화장치
KR101566711B1 (ko) 자동 수납형 볼라드
KR101148172B1 (ko) 등주매립형 기초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가로등 등주의 설치방법
CN210264182U (zh) 一种道路边坡施工防护围栏
KR102244715B1 (ko) 후면지지형 방호장치
KR100906411B1 (ko) 시선 유도봉
KR200467526Y1 (ko) 도로용 볼라드 조립구조
KR20120014397A (ko) 분리대
KR20110013832A (ko) 가로등 지주 교체장비
KR100878761B1 (ko) 충격흡수가 용이한 지중배전의 지상기기함 보호장치
CN109798021A (zh) 一种地铁站内的安全防护栅栏
KR101400627B1 (ko) 볼라드
KR20160082184A (ko) 휴대용 도로용 지주
KR101197137B1 (ko) 주차용 카 스토퍼
CN218345946U (zh) 一种道路桥梁用可快速连接拼装的防护栏
KR101536707B1 (ko) 프레임 양면에 분할 제어반을 가지는 가로등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