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364Y1 -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364Y1
KR200461364Y1 KR2020120002197U KR20120002197U KR200461364Y1 KR 200461364 Y1 KR200461364 Y1 KR 200461364Y1 KR 2020120002197 U KR2020120002197 U KR 2020120002197U KR 20120002197 U KR20120002197 U KR 20120002197U KR 200461364 Y1 KR200461364 Y1 KR 2004613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pressure
inlet hole
tank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1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삼
Original Assignee
노재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재삼 filed Critical 노재삼
Priority to KR20201200021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3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3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3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대파 겹껍질의 탈피를 위한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는 컴프레셔의 에너지 효율을 현저히 개선하며 고압의 공기를 균일하게 집중분사하여 작업효율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내측에 전후방향을 관통하는 유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일측에 컴프레셔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내부에 압축공기가 저장되는 압축공기탱크; 상기 압축공기탱크의 전단부에 구획되어 연결되는 완충탱크; 상기 압축공기탱크와 상기 완충탱크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도록 연결된 공기공급조절부; 및 상기 완충탱크의 전단부에 공기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압축공기를 상기 유입홀 내측으로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apparatus for peeling vegetables}
본 고안은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파 겹껍질의 탈피를 위한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는 컴프레셔의 에너지 효율을 현저히 개선하며 고압의 공기를 균일하게 집중분사하여 작업효율이 개선된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파 등의 채소를 음식물로 조리하기 위해서는 뿌리를 제거하고 껍질을 벗겨야 하는데, 수작업으로 대파의 겹껍질을 벗겨내기 위해서는 외피에 묻어있는 흙이나 오물을 제거하고 여러 겹으로 이루어진 외피를 일일이 벗겨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여기서, 겹껍질은 농작물의 재배시 뿌리부분에 생성되는 여러겹의 껍질을 의미한다.
이에 근래 들어 대파 등의 채소 껍질 탈피의 편리성을 추구하기 위하여 공기를 압축하여 대파 등의 채소의 겹껍질로 분사하여 이러한 겹껍질을 간편하게 탈피시키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세히,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73094호에는 다수의 분사노즐이 각도 및 길이를 달리하여 일렬로 구비되되, 작업선을 따라 유입되는 대파 등의 채소를 향하여 상기 각 분사노즐로부터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대파의 겹껍질을 타격하여 탈피함으로써 겹껍질 탈피작업을 수행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를 이용하여 반자동화된 대파 탈피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각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대파의 겹껍질의 일면에만 집중적으로 분사되어 원주방향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동시에 겹껍질을 탈피할 수 없어 작업자가 일일이 대파 등의 채소를 회전시키는 등의 조작을 하여야 하였으며, 이로 인해 작업속도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각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탈피되는 겹껍질이 흩날려 수거함으로 모두 수거될 수 없으므로 작업자가 수거되지 않은 겹껍질을 재수거해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309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대파 겹껍질의 탈피를 위한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는 컴프레셔의 에너지 효율을 현저히 개선하며 고압의 공기를 균일하게 집중분사하여 작업효율이 개선된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측에 전후방향을 관통하는 유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일측에 컴프레셔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내부에 압축공기가 저장되는 압축공기탱크; 상기 압축공기탱크의 전단부에 구획되어 연결되는 완충탱크; 상기 압축공기탱크와 상기 완충탱크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도록 연결된 공기공급조절부; 및 상기 완충탱크의 전단부에 공기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압축공기를 상기 유입홀 내측으로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노즐부는 중공 원형으로 이루어지되, 그의 후면부에 상기 완충탱크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안내홈과 연결되어 상호 쌍을 이루어 대향 배치된 복수 쌍의 노즐구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각 노즐구는 상기 유입홀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탱크의 내부가 설정된 제1압력에 도달되면 상기 컴프레셔의 작동이 정지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조절부는 상기 압축공기탱크와 상기 완충탱크를 연결하는 배관라인과, 상기 배관라인 상에 연결되어 공기의 소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전자밸브를 통과한 공기의 압력을 설정된 제2압력으로 감압하는 압력조절밸브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노즐부의 전단에는 탈피대상 채소의 상기 유입홀 내측으로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되되, 상기 유입홀 내측으로의 진입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전자 밸브가 개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고안에 따른 채소 겹껍질 탈피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압축공기탱크는 실질적으로 이중관 형태의 구조를 이루어 대파 등의 채소가 유입되는 유입홀의 외주에 압축공기탱크가 형성되므로, 상기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의 전체적인 부피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둘째, 상기 노즐부는 중공 원형으로 이루어지되, 그의 후면부에 상기 완충탱크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안내홈과 연결되어 상호 쌍을 이루어 대향 배치된 복수 쌍의 노즐구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복수개소의 노즐에서 방사상으로 고압공기가 대향 분사되어 대파 등의 채소 겹껍질을 원주방향을 따라 균일하면서도 한꺼번에 탈피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상기 노즐부의 전단에는 탈피대상 채소의 유입홀 내측으로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유입홀 내측으로의 진입이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전자밸브가 개방되어 제2설정압력의 공기를 분출하며 그 이외의 시기에는 상기 전자밸브가 잠겨있어 비 작업시 불필요한 고압공기의 소모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상기 유입홀이 압축공기탱크 내에 관통하도록 배치되므로 대파 등의 채소의 제거된 겹껍질이 별도의 이송장치가 없어도 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과 원통형 유입홀에 의해 수거함으로 이송되므로 작업효율과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의 단면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에 적용되는 노즐부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에 적용되는 노즐부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의 작동과정 설명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의 단면 개요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는 압축공기탱크(1), 완충탱크(2), 공기공급조절부(3), 그리고 노즐부(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압축공기탱크(1)에는 내측에 전후방향을 관통하는 유입홀(5)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5)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일 측에 컴프레셔(9)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내부에 압축공기가 저장된다. 즉, 상기 압축공기탱크(1)는 실질적으로 이중관 형태의 구조를 이루므로 종래에 유입홀과 각각의 공기탱크들이 일렬 형태의 구조로 나열되어 이룬 것에 비하여, 대파 등의 채소가 유입되는 유입홀(5)의 외주에 압축공기탱크(1)가 형성되므로 전체적으로 부피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홀(5)은 상기 압축공기탱크(1) 내에 관통하도록 형성되므로, 대파 등의 채소의 제거된 겹껍질이 상기 유입홀의 일단부로부터 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공기에 의하여 타단부측으로 배출되므로, 이러한 탈피된 겹껍질의 후속처리가 간편한다. 이때, 상기 원형 유입홀(5)의 타단부측에는 제거된 겹껍질이 수거되는 수거함(15)이 연결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입홀(5)은 원형관 형태를 이루면서, 대파 등의 채소의 제거된 겹껍질이 상기 유입홀(5) 좌우방향 등의 외측으로 흩날리지 못하게 하여, 제거된 겹껍질을 모두 수거함(15)에 수거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입홀(5)은 하향 경사지게 관통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중력 작용에 의하여 상기 유입홀(5) 내에서 제거된 겹껍질이 일단부에서 타단부 까지 별도의 이송 장치 없이 원활한 흐름을 만들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탱크(2)는 상기 압축공기탱크(1)의 전단부에 구획되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공기탱크(1) 내에 분리판(4)을 설치하여 상기 압축공기탱크(1)와 상기 완충탱크(2)로 분리하되, 상기 완충탱크(2)는 상기 컴프레셔(9)로 부터 상기 압축공기탱크(1)에 유입된 고압공기가 상기 압력제어 밸브에 의해 완충되어 작업시 이송 저장되므로, 상기 완충탱크(2)의 체적이 크게 되면 작업시 상기 완충탱크(2)에 필요한 고압공기가 저장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또한, 상기 완충탱크(2)는 외부의 대기와 연결되어 있어, 저장된 완충고압공기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완충탱크(2)의 체적은 상기 압축공기탱크(1)의 체적과 압력, 그리고, 상기 완충탱크(2)가 대기압과의 반응에 의한 압력손실을 감안하여, 상기 완충탱크(2)의 체적을 최소화하여 분리판(14)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완충탱크(2)는 상기 압축공기탱크(1)의 전단부에 구획되어 컴프레셔로부터 상기 압축공기탱크(1)에 설정된 제1압력이 유입이 되면 상기 공기공급 조절부(3)를 통해 고압공기가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공급 조절부(3)는 배관라인, 전자밸브(8), 그리고 압력조절밸브(6)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배관라인은 상기 압축공기탱크(1)와 상기 완충탱크(2)를 연결하도록 중공형 파이프 내지 튜브의 조립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압공기의 배관시 파이프가 바람직하며 이러한 파이프는 압력별 관벽의 두께를 다르게 사용하므로 충분히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관라인에는 상기 컴프레셔(9)에 의해 흡입 압축될 때 고온의 마찰열에 의해 산화 또는 탄화현상이 화학적 반응으로 고형물이 생성되고 다량의 오일미스트가 발생되어, 이러한 압축공기는 배관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녹과 부식물 등이 발생하게 되므로, 깨끗하고 건조한 압축공기를 얻기 위해서 에어필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자밸브(8)는 상기 배관라인 상에 연결되어 공기의 소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전자식으로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밸브(8)는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흘러 자기장이 형성되면 근처의 철제 물체를 끌어당기는 성질을 이용하여, 밸브 내 관의 개폐를 전기적 신호로 제어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 조절부(3)는 상기 압력조절밸브(6)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탱크(2)에 상기 압축공기탱크(1)의 고압공기를 상기 완충탱크(2)로 이송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12)에서 대파 등의 채소의 유입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밸브(8)가 상기 제어부(12)에서 신호를 받아 열리게 되고, 상기 완충 탱크(2) 내의 제1압력이 상기 제습 필터(7)를 통해 상기 압력 조절 밸브(6)에서 설정한 제2압력으로 감압하여 완충하도록 상기 배관라인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2압력은 상기 압축공기탱크(1)에 저장되어 공기의 제1압력으로부터 감압되어 대파 등의 채소에 분사될 경우 채소 몸체의 절단 내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정된 상기 제1압력보다 낮은 압력을 의미한다. 즉, 상기 공기는 제2압력으로 노즐부를 통하여 분사되므로, 상기 제2압력은 대파 등의 채소 외피에 분사시 상기 채소가 절단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경험적으로 도출되는 범위대의 압력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세부적으로, 상기 압축공기탱크(1)는 컴프레셔(9)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압축공기탱크(1)에 설정된 제1압력을 저장하게 되고, 상기 압축공기탱크(1)가 제1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컴프레셔(9)는 정지되게 된다. 즉, 상기 압축공기탱크(1)에 필요한 설정된 제1압력이 유입되었을 경우 상기 컴프레셔(9)는 자동센서에 의해 작동이 정지된다.
그리고, 작업 중 상기 압축공기탱크(1)에 압력이 설정된 제1압력 보다 낮아졌을 경우 상기 컴프레셔(9)는 재가동 되게 되어 제1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작동하게 되므로 상기 컴프레셔(9)의 불필요한 가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컴프레셔(9)는 압축공기 중에 윤활제를 일절 사용하지 않는 드라이(건식)과, 오일 대신에 물을 분사하는 습식이 있다. 여기서, 효율면에 있어서는 습식이 드라이식에 비해 25 ~ 30% 많은 공기량을 얻을 수 있고, 초 청정 압축공기를 얻을 수 있어 습식 컴프레셔를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노즐부(4)는 상기 완충탱크(2)의 제2압력 압축공기를 상기 유입홀(5) 내측으로 분사한다.
상세히,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에 적용되는 노즐부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에 적용되는 노즐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노즐부(4)는 중공 원형으로 이루어지되, 그의 후면부에는 상기 완충탱크(2)와 연통되도록 링 형상으로 안내홈(17)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17)의 내측 테두리에는 상호 쌍을 이루어 대향 배치된 복수 쌍의 노즐구(10)가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조절부(3)를 거쳐 완충탱크(2)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2압력으로 감압되어 상기 안내홈(17)으로 공급된다. 이후, 상기 공기는 상기 안내홈(17)을 따라 원주방향 내측에 각각 대향 형성된 상기 노즐구들(10)을 통하여 상기 유입홀(5) 내측을 향하여 집중분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즐부(4)는 대향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은 대파 등의 채소의 겹껍질 탈피시 고압공기에 의해 정확히 대파 등의 채소 겹껍질을 탈피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각도가 대향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채소가 회전되거나 비틀리게 하는 와류가 형성되어 손상될 수 있으나 본원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부(4)의 전단에는 탈피 대상 채소의 상기 유입홀(5) 내측으로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상기 센서 감지기(13)가 구비되되, 상기 유입홀(5) 내측으로 대파 등의 채소의 진입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전자밸브(8)가 개방되어 노즐에서 압축공기를 상기 유입홀(5) 내측으로 분사하며, 상기 센서 감지기(13)는 적외선이 물체에 반사되어 나온 빛을 감지하여 물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감지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노즐구(10)는 상기 유입홀(5) 내측으로 향하게 하여 각 노즐에서 분사되되, 각 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공기의 분사각을 정확히 조절하여 각 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공기가 일정 지점에 집중 분사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대파 겹껍질 탈피 장치는 상기 컴프레셔(9)의 고압의 공기에 대한 전력손실을 줄 일수 있고, 고압의 공기압을 대파 등의 채소에 원주방향으로 동시에 집중분사 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높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컴프레셔(9)를 구동하여, 상기 컴프레셔(9)와 상기 압축공기탱크(1) 외측에 연결된 배관을 통해 상기 압축공기탱크(1) 내에 고압공기가 이송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공기탱크(1) 내 압력이 제1설정 압력 근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압축공기탱크(1) 측면에 구비된 압력게이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공기탱크(1) 내에 압력이 기설정된 제1압력에 도달되면 상기 컴프레셔(9)의 구동이 자동으로 정지되어 에너지 절감구조를 이룬다.
한편, 상기 공급조절부(3)를 통과하여 완충탱크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은 상기 완충탱크(2)에서 팽창되면서 노즐부를 통한 분사시, 대파 등의 채소의 겹껍질만을 탈피하고 채소 몸채의 손상은 최소화하는 제2압력으로 설정되어 토출됨이 바람직하다.
이후, 대파 등의 채소를 상기 유입구(16)로 유입하였을 경우, 유입구에 설치된 상기 제어센서(11)가 진입 유무를 감지하게 되고, 진입이 감지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12)에 의하여 상기 전자밸브(8)의 개방을 위한 신호가 송신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밸브(8)가 개방되면서, 상기 전자밸브(8)로부터 상기 압축공기탱크(1) 내에 제1압력으로 저장된 압축공기가 상기 공급조절부(3) 및 완충탱크(2)를 거치면서 설정된 제2압력으로 완충되어 상기 노즐부(4)를 통해 유입홀로 유입된 채소를 향해 분사된다.
이때, 상기 노즐부(4)에서 공기는 상호 대향되는 방향에서 분사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소에서 방사상으로 분사되므로 채소의 손상없이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고 한꺼번에 겹껍질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홀(5)에서 정상적으로 탈피된 대파 등의 채소의 겹껍질은 원통형 유입홀을 따라 상기 유입구(16)에서 대파 등의 채소로부터 탈피된 겹껍질이 이송되어 타단부에 설치된 수거함(15)으로 자동으로 공기에 의해 날려 수거된다.
한편, 상기 과정이 반복되어 상기 압축공기탱크(1) 내부의 압력이 제1압력으로부터 하강되어 제2압력 근방에 도달되면, 상기 컴프레셔(9)가 자동으로 재구동되어 압축공기를 상기 압축공기탱크(1)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컴프레셔(9)의 빈번한 온-오프 구동을 방지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1: 압축공기탱크 2: 완충 탱크
3: 공기공급조절부 4: 노즐부
5: 유입홀 6: 압력조절밸브
7: 제습 필터 8: 전자밸브
9: 컴프레셔 10: 노즐구
11: 제어센서 12: 제어부
13: 센서 감지기 14: 분리판
15: 수거함 16: 유입구
17: 안내홈

Claims (5)

  1. 내측에 전후방향을 관통하는 유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일측에 컴프레셔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내부에 압축공기가 저장되는 압축공기탱크;
    상기 압축공기탱크의 전단부에 구획되어 연결되는 완충탱크;
    상기 압축공기탱크와 상기 완충탱크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도록 연결된 공기공급조절부; 및
    상기 완충탱크의 전단부에 공기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압축공기를 상기 유입홀 내측으로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중공 원형으로 이루어지되, 그의 후면부에 상기 완충탱크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안내홈과 연결되어 상호 쌍을 이루어 대향 배치된 복수 쌍의 노즐구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각 노즐구는 상기 유입홀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탱크의 내부가 설정된 제1압력에 도달되면 상기 컴프레셔의 작동이 정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조절부는
    상기 압축공기탱크와 상기 완충탱크를 연결하는 배관라인과,
    상기 배관라인 상에 연결되어 공기의 소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전자밸브를 통과한 공기의 압력을 설정된 제2압력으로 감압하는 압력조절밸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의 전단에는 탈피대상 채소의 상기 유입홀 내측으로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되되, 상기 유입홀 내측으로의 진입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전자밸브가 개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
KR2020120002197U 2012-03-20 2012-03-20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 KR2004613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197U KR200461364Y1 (ko) 2012-03-20 2012-03-20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197U KR200461364Y1 (ko) 2012-03-20 2012-03-20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364Y1 true KR200461364Y1 (ko) 2012-07-09

Family

ID=47138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197U KR200461364Y1 (ko) 2012-03-20 2012-03-20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36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761B1 (ko) * 2014-08-20 2016-03-30 주식회사 남부 파껍질 탈피장치
KR20190000428U (ko) * 2017-08-07 2019-02-15 김현옥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
KR20200061571A (ko) * 2018-11-26 2020-06-03 양석천 수동 투입 대파 탈피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417Y1 (ko) 2005-09-27 2005-12-2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줄기뿌리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포토센서 감지식 양파탈피기
KR100835507B1 (ko) 2007-11-29 2008-06-09 보령시농업기술센터 쪽파 자동 탈피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417Y1 (ko) 2005-09-27 2005-12-2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줄기뿌리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포토센서 감지식 양파탈피기
KR100835507B1 (ko) 2007-11-29 2008-06-09 보령시농업기술센터 쪽파 자동 탈피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761B1 (ko) * 2014-08-20 2016-03-30 주식회사 남부 파껍질 탈피장치
KR20190000428U (ko) * 2017-08-07 2019-02-15 김현옥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
KR200490475Y1 (ko) * 2017-08-07 2019-12-04 김현옥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
KR20200061571A (ko) * 2018-11-26 2020-06-03 양석천 수동 투입 대파 탈피 장치
KR102132337B1 (ko) * 2018-11-26 2020-07-09 양석천 수동 투입 대파 탈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1364Y1 (ko)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
CN202958197U (zh) 一种新型挖藕机
CN211012320U (zh) 一种中药加工用水洗烘干一体机
CN104921623A (zh) 一种家用洗菜消毒机及消毒方法
CN209077363U (zh) 一种气体输送管道的清洁消防装置
CN202667183U (zh) 一种脉冲真空泵自动清洗系统
JP5792604B2 (ja) 長根菜の引抜き補助装置
CN206576250U (zh) 蔬菜清洗风干一体装置
CN206682970U (zh) 一种高温烟气急冷装置
CN201880621U (zh) 一种炼钢渣处理的喷嘴装置
CN210302477U (zh) 蒸汽冷凝设备
CN202246640U (zh) 发酵罐
CN210141207U (zh) 一种水泵
CN202270593U (zh) 自吸式自排水高效雾化喷嘴
CN104431847A (zh) 气泡清洗、漂烫、挑选和输送一体机
CN204142440U (zh) 用于气密性检测装置的专用接头
CN203896926U (zh) 自旋式洒水器
CN207438593U (zh) 一种生活垃圾焚烧电厂的冬季垃圾解冻装置
CN220512159U (zh) 一种食用菌清洗装置
CN207146361U (zh) 一种锅炉蒸汽吹管系统用降噪排汽管
CN207952239U (zh) 一种热轧坯料除氧化皮装置
CN204979847U (zh) 一种储料罐防堵塞装置
CN206194778U (zh) 发光二极管自动化焊接清洗装置
CN104322428A (zh) 一种鱼池排污装置
JP4724846B2 (ja) 果実に付着した微小害虫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