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428U -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 - Google Patents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428U
KR20190000428U KR2020170004160U KR20170004160U KR20190000428U KR 20190000428 U KR20190000428 U KR 20190000428U KR 2020170004160 U KR2020170004160 U KR 2020170004160U KR 20170004160 U KR20170004160 U KR 20170004160U KR 20190000428 U KR20190000428 U KR 201900004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body
nozzle
discharge tube
solenoid valve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475Y1 (ko
Inventor
김현옥
Original Assignee
김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옥 filed Critical 김현옥
Priority to KR2020170004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475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4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4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4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4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8Means for facilitating the transport of the receptacle, e.g. wheels, rolls
    • B65F1/1473Receptacles having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껍질 탈피기에 관한 것으로서, 파껍질 탈피유닛을 구비한 원통형 싸이클론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하부프레임, 및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컴프레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원통형 싸이클론 상부프레임의 원주접선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파껍질 탈피유닛은 상기 원통형 싸이클론 상부프레임 내측에 위치된 배출튜브와, 상기 배출튜브의 전방측에 결합된 노즐몸체1, 상기 노즐몸체1의 반경방향 외측에 결합되는 노즐몸체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배출튜브는 탈피될 파껍질 부분이 부착된 파뿌리 부분이 삽입되며 양방향으로 개방된 제1 직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몸체1은 상기 배출튜브의 전방측에 구비되며, 후방측에서 상기 배출튜브와 연통되고, 전방측으로는 개방되며, 상기 노즐몸체1은 적어도 전방측 일부는 상기 배출튜브보다 더 큰 제2 직경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몸체1의 후방측 일부는 상기 배출튜브와 동일한 제1 직경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노즐몸체2는 상기 배출튜브의 전방측에 구비되되 상기 노즐몸체1의 반경방향 외측에 결합되어, 후방측에서는 상기 배출튜브와 연통되지만 전방측은 노즐몸체1의 외주부와 기밀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출튜브의 전방단부와 연결되는 상기 노즐몸체2의 후방단부의 내주부는 상기 노즐몸체2의 원통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그 내경이 확장되도록 구비된 제2 노즐면(435)을 형성하며, 상기 노즐몸체1의 후방단부의 외주부는 상기 제2 노즐면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 노즐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노즐몸체2에 상기 노즐몸체1이 결합될 때에 상기 제1 노즐면과 제2 노즐면 사이에는 소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회오리 형성부가 형성되고, 이때, 상기 제1 노즐면에는 숫나사 형태의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중심점으로 경사진 리드홈이 2-3줄이 형성되도록 가공되고, 상기 제2 노즐면은 상기 제1 노즐면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노즐면의 상기 리드홈과 상기 제2 노즐면의 조합에 의해 상기 회오리 형성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Spring Onion Peeler with Insert Support Plate}
본 고안은 파의 껍질을 탈피할 수 있는 파껍질 탈피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거치대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파껍질 탈피기에 관한 것이다.
대파, 쪽파, 실파 등의 파 종류 농작물은 수확 후 출하를 위한 상품화 과정에서 뿌리 부근의 흙을 털어내는 동시에 뿌리 부근의 외측을 덮고 있는 껍질 부분을 탈피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종래 이러한 탈피작업은 수작업으로 행하여졌으나, 기술발달로 인해 편리성을 추구하는 동시에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하게 되었다. 통상적인 파껍질 탈피기는 공기압축기, 즉 컴프레서를 이용하여 생성한 압축공기를 노즐을 통하여 분사함으로써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공기압으로 파의 껍질을 탈피시키는 원리이다.
이러한 종래 파껍질 탈피장치의 일례가 등록특허공보 제10-1607761호(2016.03.30.)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산개된 파뿌리를 감안하여 파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깔때기 형상의 흡입구와, 벤추리관 형상의 니플과, 노즐몸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노즐몸체 후단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공기분사홀의 분사 방향을 노즐몸체의 중심부 및 토출방향으로 경사각을 주어서 순간에어발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파껍질 탈피장치는 한번에 한 뿌리의 파만을 탈피할 수 있고, 또한 파껍질 탈피성능 향상을 위해 3~4개의홀을 배출쪽으로 경사을 주어서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공기분사홀에 경사각을 주어 배출쪽으로 에어분사 하는것만으로는 파껍질 탈피 능률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도는 아니고 중심점에서 상호 교차되는 것으로 대파의 손상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71898호(1998.10.26.)에 개시된 파껍질 탈피장치는 압축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 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를 구비하고 있다. 파껍질 탈피를 위하여 작업자가 발판스위치를 밟아서 분사노즐을 개방하면,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일정시간 경과 후에 솔레노이드밸브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압축공기의 낭비를 줄이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파의 껍질을 벗길 때마다 매번 발판스위치를 반복해서 밟아야 하므로 발에 피로도가 쉽게 증가하는 문제등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07761호(2016.03.30.) “파껍질 탈피장치”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71898호(1998.10.26.) “파껍질 벗기는 장치”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압축공기가 토출되는 에어홀을 2~3개의 나선홈으로 구성하고 노즐 끝단에서는 중심점으로 경사면의 원주면으로 회전력이 주어져 대파 등의 탈피시 비틀림이 주어짐으로써 한번에 2개 이상의 파의 껍질 탈피가 가능한 파껍질 탈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파껍질 탈피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더욱 강력한 원주면 회전력이 부가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파껍질 탈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압축공기의 사용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파껍질 탈피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압축공기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파껍질 탈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여러 개의 파를 동시에 탈피하고자 하는 때에 파 중 일부가 인입부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인입부 거치판이 구비된 파껍질 탈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분리사용할 수가 있으며, 상부프레임 형상을 원통형 싸이클론 형상으로 구성하여, 탈피된 껍질 등을 포집할 수가 있으며, 포집된 껍질 등은 하부프레임 본체 내에 바퀴가 달린 배출수거 손수레를 구비함으로써 수거 및 배출이 매우 편리한 파껍질 탈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는, 파껍질 탈피유닛을 구비한 원통형 싸이클론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하부프레임, 및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컴프레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원통형 싸이클론 상부프레임의 원주접선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파껍질 탈피유닛은 상기 원통형 싸이클론 상부프레임 내측에 위치된 배출튜브와, 상기 배출튜브의 전방측에 결합된 노즐몸체1, 상기 노즐몸체1의 반경방향 외측에 결합되는 노즐몸체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배출튜브는 탈피될 파껍질 부분이 부착된 파뿌리 부분이 삽입되며 양방향으로 개방된 제1 직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몸체1은 상기 배출튜브의 전방측에 구비되며, 후방측에서 상기 배출튜브와 연통되고, 전방측으로는 개방되며, 상기 노즐몸체1은 적어도 전방측 일부는 상기 배출튜브보다 더 큰 제2 직경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몸체1의 후방측 일부는 상기 배출튜브와 동일한 제1 직경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노즐몸체2는 상기 배출튜브의 전방측에 구비되되 상기 노즐몸체1의 반경방향 외측에 결합되어, 후방측에서는 상기 배출튜브와 연통되지만 전방측은 노즐몸체1의 외주부와 기밀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출튜브의 전방단부와 연결되는 상기 노즐몸체2의 후방단부의 내주부는 상기 노즐몸체2의 원통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그 내경이 확장되도록 구비된 제2 노즐면(435)을 형성하며, 상기 노즐몸체1의 후방단부의 외주부는 상기 제2 노즐면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 노즐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노즐몸체2에 상기 노즐몸체1이 결합될 때에 상기 제1 노즐면과 제2 노즐면 사이에는 소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회오리 형성부가 형성되고, 이때, 상기 제1 노즐면에는 숫나사 형태의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중심점으로 경사진 리드홈이 2-3줄이 형성되도록 가공되고, 상기 제2 노즐면은 상기 제1 노즐면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노즐면의 상기 리드홈과 상기 제2 노즐면의 조합에 의해 상기 회오리 형성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노즐몸체1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비된 평면형 또는 곡면형의 인입부 거치판을 더 포함하여, 인입되는 파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컴프레서와 상기 파껍질 탈피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압축공기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압축공기 공급요청신호를 보내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발스위치; 상기 노즐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노즐몸체에 투입된 파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투입신호를 전달하는 센서;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스위치의 공급요청신호 또는 상기 센서의 투입신호를 수신한 때에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켜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스위치의 공급요청신호 또는 상기 센서의 투입신호를 수신한 때에 상기 선택입력부의 입력선택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상태로 유지하여 압축공기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연속공급모드,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솔레노이드밸브를 폐쇄하는 타이머모드,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솔레노이드밸브의 개방과 폐쇄를 반복하여 압축공기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형 싸이클론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본체 좌우측에 절첩형 좌우프레임을 구성하여 작업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하부프레임 본체의 후면은 바퀴가 달린 배출수거손수레가 인입되어 반밀폐 상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탈피된 파껍질이 상기 배출수거손수레에 의해 수거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에 의하면, 한번에 다수개의 파를 인입부에 투입할 때에 일부 파가 낙하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동시에 작업자의 팔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줄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강력한 회전력이 부가된 압축공기의 분사에 의해 다수개의 파를 동시에 탈피할 때에도 문제없이 탈피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낭비되는 압축공기를 줄여서 압축공기의 사용효율을 높이는 한편 파껍질 탈피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축공기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에너지 저감과 작업능률 향상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의 원통형싸이클론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및 배출수거손수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의 원통형싸이클론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및 배출수거손수레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의 상부프레임의 상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의 파껍질 탈피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의 제어부와 제어부에 연결되는 주변장치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의 원통형싸이클론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및 배출수거손수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의 원통형싸이클론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및 배출수거손수레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의 상부프레임의 상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의 파껍질 탈피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100)는, 파껍질 탈피유닛(400)을 구비한 원통형싸이클론 상부프레임(200), 하부프레임 본체(300) 및 배출수거손수레(330)를 포함하고, 또한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컴프레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파껍질 탈피유닛(400)은 원통형 싸이클론 상부프레임(200)에 원주접선위치에 조립되어질 수 있고, 상부프레임(200)은 하부프레임 본체(300) 상단에 위치되어 하부프레임 본체(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원통형 싸이클론 상부프레임(200)과 하부프레임 본체(300)는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본 고안에 따른 파껍질 탈피기(100)의 운반과 보관이 보다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하부프레임 본체(300)의 후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바퀴(337)가 달린 배출수거손수레(330)가 인입되어 하부프레임 본체(300)가 반밀폐되도록 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수거손수레(330)의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밀폐스톱퍼(335)가 구비된다. 즉, 상기 밀폐스톱퍼(335)는 배출수거손수레(330)가 하부프레임 본체(300) 내부에 인입된 때에 하부프레임 본체(300)의 개방된 후면 가장자리와 맞닿아 하부프레임 본체(300)가 반밀폐되도록 하는 한편 배출수거손수레(330)가 더이상 하부프레임 본체(300)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의도된 위치에 고정배치되도록 한다. 배출수거손수레(330)는 또한 운반, 취급의 편의를 위해 손잡이(33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본 고안의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100)는 파껍질을 싸이클론방식으로 포집하여 배출수거손수레(330)에 포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원통형 싸이클론 상부프레임(200)에서 탈피되어 포집된 파껍질을 하부프레임 본체(300) 내에 인입된 배출수거손수레(330)를 향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싸이클론 하부콘(320)이 하부프레임 본체(300) 상측에 부착될 수 있으나,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하부프레임 본체(300)의 양측에는 절첩형 좌우프레임(313,315)이 구비되고, 상기 절첩형 좌우프레임(313,315)은 좌우로 각각 펼쳐져 수평으로 고정되면 하부프레임 본체(300) 양측에 배치된 작업다이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첩형 좌우프레임(313,315)의 상면에 탈피작업할 파 뭉치와 탈피작업이 완료된 파 뭉치 등을 올려둘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절첩형 좌우프레임(313,315)의 하측에 상기 절첩형 좌우프레임(313,315)의 수평고정 및 지지를 위한 고정다리 또는 삼각지지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원통형 싸이클론 상부프레임(200)이 하부프레임 본체(300)에서 분리된 때에, 상기 절첩형 좌우프레임(313,315)은 각각 하측으로 접혀서 하부프레임 본체(300)의 양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 본체(300)가 이와 같이 구성된 경우, 절첩형 좌측프레임(313) 및 절첩형 우측프레임(315) 각각은 삼각지지대(310)의 외측 위치에 1개 또는 2개의 수직지지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구비함으로써 절첩형 좌측프레임(313) 및 절첩형 우측프레임(315)이 전체적으로 더욱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싸이클론 상부프레임(200)은 전방측에 결합된 파껍질 탈피유닛(400)을 구비한다. 상기 파껍질 탈피유닛(400)은 전방측에 위치하며 파껍질 탈피유닛(400)을 상기 원통형 싸이클론 상부프레임(200)에 고정하기 위한 제어부고정판넬(250)에 끼워지고 탭구멍에 고정볼트로 고정됨으로써 원통형 싸이클론 상부프레임(200)에 조립된다. 내측으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압축공기 배출튜브(410)는 원통형 싸이클론 상부프레임(200)의 싸이클론통과 밀폐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파껍질 탈피유닛(400)은 원통형 싸이클론 상부프레임(200) 내측에 위치된 배출튜브(410)와, 상기 배출튜브(410)의 전방측에 결합된 노즐몸체1(420), 상기 노즐몸체1(420)의 반경방향 외측에 결합되는 노즐몸체2(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배출튜브(410)는 파뿌리 부분 중에서 탈피되어 배출수거손수레(330)로 배출될 파껍질이 부착된 부분이 삽입되는 곳이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양방향으로 개방된 제1 직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파껍질 탈피기(100)는 종래의 파껍질 탈피장치와 달리 한 번에 여러 개의 파를 동시에 탈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상기 배출튜브(410)는 종래의 파껍질 탈피장치에 구비된 대응 구성에 비해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노즐몸체1(420)은 상기 배출튜브(410)의 전방측, 즉 원통형 싸이클론 상부프레임(200)의 전방에 보다 가까운 쪽에 구비되며, 후방측에서 상기 배출튜브(410)와 연통되고, 전방측으로는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노즐몸체1(420)은 적어도 전방측 일부가 상기 배출튜브(410)보다 더 큰 제2 직경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 노즐몸체1(420)의 후방측 일부는 상기 배출튜브(410)와 동일한 제1 직경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노즐몸체2(430)는 노즐몸체1(420)과 마찬가지로 상기 배출튜브(410)의 전방측에 구비되되 노즐몸체1(420)의 반경방향 외측에 결합되어, 후방측에서는 상기 배출튜브(410)와 연통되지만 전방측은 노즐몸체1(420)의 외주부와 기밀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노즐몸체1(420)과 노즐몸체2(430) 전방측의 기밀결합을 위해 O링 등의 실링부재(450)가 구비될 수 있다.
노즐몸체2(430)의 원주둘레 일측에는 압축공기 연결구(433)가 형성되어, 컴프레서에서 오는 압축공기가 투입될 수 있다. 압축공기 연결구(433)는 압축회전공기의 균일한 공급 등의 필요성에 의해 2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배출튜브(410)의 전방단부와 연결되는 노즐몸체2(430)의 후방단부의 내주부는 상기 노즐몸체2(430)의 원통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제2 노즐면(435)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즉, 제2 노즐면(435)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그 내경이 확장되도록 구비되며, 제2 노즐면(435)의 후방단부는 상기 배출튜브(410)의 전방단부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배출튜브(410)와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다.
노즐몸체1(420)의 후방단부의 외주부는 상기 제2 노즐면(435)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 노즐면(425)으로 이루어지되, 노즐몸체2(430)에 노즐몸체1(420)이 결합될 때에 제1 노즐면(425)과 제2 노즐면(435) 사이에는 소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회오리 형성부(44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노즐면(425)에는 숫나사 형태의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중심점으로 경사진 리드홈이 가공된다. 상기 리드홈은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깊이 1.5㎜로 1-3줄이 형성되도록 가공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3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노즐면(435)은 상기 제1 노즐면(425)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형태이므로, 상기 제1 노즐면(425)의 상기 리드홈과 상기 제2 노즐면(435)의 조합에 의해 상기 회오리 형성부(440)가 형성된다.
노즐몸체2(430)에 구비된 압축공기 연결구(433)를 통해 압축공기가 투입되면, 상기 회오리 형성부(440를 거쳐서 강력한 압축회전공기로 형성되고, 이 압축회전공기가 배출튜브(450) 내로 투입됨으로써 강력한 파 탈피 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노즐면(435)과 상기 제1 노즐면(425)의 조립공차를 잘 관리하여 압축공기 연결구(433)로 투입된 압축공기가 누설없이 모두 배출튜브(450) 내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상기 제1 노즐면(425) 및 제2 노즐면(435)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회오리 형성부(440)의 간격은 파껍질 탈피유닛(400)의 조립방법에 따라 미세조절가능하며, 상기 간격을 미세조절해서 배출튜브(410)를 향하여 토출되는 압축회전공기, 즉 회오리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회오리의 강약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오리 형성부(440)에 의해 노즐몸체2(430)의 압축공기 연결구(433)로 투입된 압축공기는 강한 회전력이 부가된 회오리로 변환되고, 압축공기의 압력과 회오리의 회전력에 의해 강력하고 신속하게 파껍질의 탈피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원주면으로 비틀리는 강력한 회전력에 의해 여러 개의 파를 동시에 투입한 경우에도 신속하게 모든 파의 껍질을 탈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축공기 연결구(433)를 2개 이상 구비하는 경우, 제1 노즐면(425)과 제2 노즐면(435) 사이에 형성되는 회오리 형성부(440)에 압축공기가 고르게 투입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써 여러 개의 파가 탈피를 위해 투입된 때에도 투입된 모든 파가 고르게 탈피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파껍질 탈피유닛(400)은 상기 노즐몸체1(420)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비된 평면형 또는 곡면형의 인입부 거치판(470)을 더 포함하여, 인입되는 파를 거치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입부 거치판(470)을 구비함으로써, 한 번에 여러 개의 파를 인입부에 투입할 때에 일부 파가 낙하하는 일이 없이 지지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작업자의 팔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의 탈피 동작 제어장치와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의 제어부와 제어부에 연결되는 주변장치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100)는 컴프레서(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노즐몸체2(430) 사이에 구비되어 압축공기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밸브(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10)는 제어부(500)에 연결되어 작동이 제어된다.
제어부(500)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발스위치(520)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발스위치(520)를 밟아서 압축공기 공급요청신호를 제어부(500)로 보낼 수 있고, 제어부(500)는 이에 따라 필요한 제어동작을 수행하여 솔레노이드밸브(510)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파껍질 탈피유닛(400)에 파의 투입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530)를 구비할 수 있다. 파의 투입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는 근접센서, 적외선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센서(530)는 파껍질 탈피유닛(400)의 노즐몸체1(420) 또는 배출튜브(4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밸브(510) 작동에 걸리는 지연시간을 감안할 때 배출튜브(41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500)에는 사용자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10)의 동작모드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는 선택입력부(550)가 또한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른 파껍질 탈피기(100)는,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발스위치(520)의 공급요청신호 또는 상기 센서(530)의 투입신호를 수신한 때에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10)를 작동시켜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작동한다.
상기 제어부(500)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510) 동작모드 선택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선택입력부(550)는 예를 들어 연속공급모드, 타이머모드, 펄스모드의 3가지 입력선택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발스위치(520)의 공급요청신호 또는 상기 센서(530)의 투입신호를 수신하면, 먼저 상기 선택입력부(550)의 입력선택을 확인한다. 이와 달리, 선택입력부(550)의 입력선택을 미리 확인하거나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저장해둔 후에, 상기 공급요청신호 또는 투입신호가 오면 저장된 입력선택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510)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선택된 입력이 연속공급모드이면, 제어부(500)는 솔레노이드밸브(510)를 개방상태로 유지하여 압축공기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탈피할 파가 많거나, 탈피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이 여러 사람이어서 거의 연속적으로 탈피할 파를 노즐부(400)에 투입할 수 있는 경우에 연속공급모드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타미머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어부(500)는 솔레노이드밸브(510)를 개방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때 솔레노이드밸브(510)를 폐쇄하여 압축공기를 차단하도록 작동한다. 작업자가 1인이거나, 몸놀림이 상대적으로 느린 노인인 경우에는 탈피완료된 파 다발을 제거하고 다음 탈피할 파 다발을 투입할 때까지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타이어모드를 선택하여 압축공기의 낭비를 막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펄스모드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솔레노이드밸브(510)의 개방과 폐쇄를 반복하여 압축공기를 단속적으로 송출함으로써 압축공기의 펄스를 발생시키는 모드이며, 연속공급모드와 비교할 때 펄스의 매주기마다 가속력 내지 충격력이 부가된 압축공기가 공급되게 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파껍질의 탈피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그럼에도 탈피효율 대비 압축공기 자원의 사용량은 연속공급모드에 비해 줄어들게 되므로,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도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의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오직 하기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하여지는 것임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0 : 파껍질 탈피기 200 : 원통형 싸이클론 상부프레임
210 : 공기배출구 250 : 제어부고정판넬
300 : 하부프레임 본체 310 : 삼각지지대
313 : 절첩형 좌측프레임 315 : 절첩형 우측프레임
320 : 싸이클론 하부콘 330 : 배출수거손수레
333 : 손잡이 335 : 밀폐스톱퍼
337 : 바퀴
400 : 파껍질 탈피유닛 410 : 배출튜브
420 : 노즐몸체1 425 : 제1 노즐면
430 : 노즐몸체2 433 : 압축공기 연결구
435 : 제2 노즐면 440 : 회오리 형성부
470 : 인입부 거치판 500 : 제어부
510 : 솔레노이드밸브 520 : 발스위치
530 : 센서 550 : 선택입력부

Claims (5)

  1. 파껍질 탈피기에 있어서,
    파껍질 탈피유닛을 구비한 원통형 싸이클론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하부프레임, 및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컴프레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원통형 싸이클론 상부프레임의 원주접선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파껍질 탈피유닛은 상기 원통형 싸이클론 상부프레임 내측에 위치된 배출튜브와, 상기 배출튜브의 전방측에 결합된 노즐몸체1, 상기 노즐몸체1의 반경방향 외측에 결합되는 노즐몸체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배출튜브는 탈피될 파껍질 부분이 부착된 파뿌리 부분이 삽입되며 양방향으로 개방된 제1 직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몸체1은 상기 배출튜브의 전방측에 구비되며, 후방측에서 상기 배출튜브와 연통되고, 전방측으로는 개방되며, 상기 노즐몸체1은 적어도 전방측 일부는 상기 배출튜브보다 더 큰 제2 직경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몸체1의 후방측 일부는 상기 배출튜브와 동일한 제1 직경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노즐몸체2는 상기 배출튜브의 전방측에 구비되되 상기 노즐몸체1의 반경방향 외측에 결합되어, 후방측에서는 상기 배출튜브와 연통되지만 전방측은 노즐몸체1의 외주부와 기밀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출튜브의 전방단부와 연결되는 상기 노즐몸체2의 후방단부의 내주부는 상기 노즐몸체2의 원통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그 내경이 확장되도록 구비된 제2 노즐면(435)을 형성하며,
    상기 노즐몸체1의 후방단부의 외주부는 상기 제2 노즐면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 노즐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노즐몸체2에 상기 노즐몸체1이 결합될 때에 상기 제1 노즐면과 제2 노즐면 사이에는 소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회오리 형성부가 형성되고,
    이때, 상기 제1 노즐면에는 숫나사 형태의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중심점으로 경사진 리드홈이 2-3줄이 형성되도록 가공되고, 상기 제2 노즐면은 상기 제1 노즐면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노즐면의 상기 리드홈과 상기 제2 노즐면의 조합에 의해 상기 회오리 형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몸체1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비된 평면형 또는 곡면형의 인입부 거치판을 더 포함하여, 인입되는 파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서와 상기 파껍질 탈피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압축공기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압축공기 공급요청신호를 보내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발스위치;
    상기 노즐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노즐몸체에 투입된 파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투입신호를 전달하는 센서;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스위치의 공급요청신호 또는 상기 센서의 투입신호를 수신한 때에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켜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스위치의 공급요청신호 또는 상기 센서의 투입신호를 수신한 때에 상기 선택입력부의 입력선택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상태로 유지하여 압축공기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연속공급모드,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솔레노이드밸브를 폐쇄하는 타이머모드,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솔레노이드밸브의 개방과 폐쇄를 반복하여 압축공기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싸이클론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본체 좌우측에 절첩형 좌우프레임을 구성하여 작업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하부프레임 본체의 후면은 바퀴가 달린 배출수거손수레가 인입되어 반밀폐 상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탈피된 파껍질이 상기 배출수거손수레에 의해 수거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
KR2020170004160U 2017-08-07 2017-08-07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 KR2004904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160U KR200490475Y1 (ko) 2017-08-07 2017-08-07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160U KR200490475Y1 (ko) 2017-08-07 2017-08-07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428U true KR20190000428U (ko) 2019-02-15
KR200490475Y1 KR200490475Y1 (ko) 2019-12-04

Family

ID=65364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160U KR200490475Y1 (ko) 2017-08-07 2017-08-07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475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1898A (ko) 1998-06-16 1998-10-26 문한용 파껍질 벗기는 장치
KR100954634B1 (ko) * 2009-08-28 2010-04-27 최병국 대파 탈피장치
KR20110010348A (ko) * 2009-07-24 2011-02-01 고찬규 파 탈피장치
KR200461364Y1 (ko) * 2012-03-20 2012-07-09 노재삼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
KR101607761B1 (ko) 2014-08-20 2016-03-30 주식회사 남부 파껍질 탈피장치
KR20160057696A (ko) * 2014-11-14 2016-05-24 주식회사 파란농원 우엉 탈피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1898A (ko) 1998-06-16 1998-10-26 문한용 파껍질 벗기는 장치
KR20110010348A (ko) * 2009-07-24 2011-02-01 고찬규 파 탈피장치
KR100954634B1 (ko) * 2009-08-28 2010-04-27 최병국 대파 탈피장치
KR200461364Y1 (ko) * 2012-03-20 2012-07-09 노재삼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
KR101607761B1 (ko) 2014-08-20 2016-03-30 주식회사 남부 파껍질 탈피장치
KR20160057696A (ko) * 2014-11-14 2016-05-24 주식회사 파란농원 우엉 탈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475Y1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60090B1 (en) Robot cleaner station
US4373228A (en) Vacuum cleaning appliances
EP2173226B1 (en) Handheld portable devices for touchless particulate matter removal
CN107105951B (zh) 能构造成处于储存位置的表面清洁设备
AU2021266191A1 (en) Cleaning apparatus
EP1737326B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03239191A (zh) 真空吸尘器
EP3530411B1 (en) Docking station
US20030037403A1 (en) Portable vacuum cleaner with charging and discharging functions
JP2005161091A (ja) 掃除機
EP2721985B1 (en) Device for connecting vacuum cleaner bag
US11191408B2 (en) Docking station for cleaning robots with roller brush
CN104055457B (zh) 吸尘器
US20040231093A1 (en) Handle tube and cyclone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the same
US20240164602A1 (en) detachable robotic vacuum dustbin
US20080289657A1 (en) Removing dust using a hand pump
US20050081891A1 (en) Removing dust using a hand pump
EP4298975A1 (en) Cleaner
KR20190000428U (ko)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
CA2445563A1 (en) Dirt collection assembly with volcanic airflow
KR20180049913A (ko) 블로워
CN212234300U (zh) 手持吸尘器
CN212118031U (zh) 手持吸尘器
CN212165714U (zh) 手持吸尘器
CN208591945U (zh) 一种块状颜料处理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