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761B1 - 파껍질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파껍질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761B1
KR101607761B1 KR1020140108150A KR20140108150A KR101607761B1 KR 101607761 B1 KR101607761 B1 KR 101607761B1 KR 1020140108150 A KR1020140108150 A KR 1020140108150A KR 20140108150 A KR20140108150 A KR 20140108150A KR 101607761 B1 KR101607761 B1 KR 101607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ction body
wave
suction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2518A (ko
Inventor
이황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부
Priority to KR1020140108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761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2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for stemming, piercing, or stripping fruit; Removing sprouts of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껍질 탈피의 효율성을 높이면서도 간단한 구조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탈피된 파껍질 및 흙 등의 부산물을 용이하게 수거 후 폐기할 수 있는 파껍질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전후가 개방되어 중공인 내부를 가지며, 일측 외주면에 내부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유입홀이 관통 형성된 석션바디와, 원통 형상으로 상기 석션바디의 전방 내부로 삽입 결합되고, 상기 석션바디의 공기유입홀과 연통되도록 외주면에 환형의 공기전달홈이 함몰 형성되며, 후단에 상기 공기전달홈과 각각 연통되도록 방사상으로 복수의 공기분사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석션바디의 전방 내부로 삽입된 파의 파껍질을 탈피하는 노즐몸체와, 상기 석션바디의 후단에 니플을 매개로 결합되어 탈피된 파껍질을 후방으로 배출하는 배출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니플은, 전방 내부의 축경부와 후방 내부의 확경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벤추리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껍질 탈피장치{APPARATUS FOR PEELING WELSH ONION}
본 발명은 파껍질 탈피의 효율성을 높이면서도 간단한 구조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탈피된 파껍질 및 흙 등의 부산물을 용이하게 수거 후 폐기할 수 있는 파껍질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welsh onion 또는 spring onion)는 학명으로 'allium fistulosum'이고, 외떡잎식물인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초이다. 키는 60cm 정도 자라는데, 비늘줄기는 약간 길고 볼록하며, 많은 수염뿌리가 달린다. 잎은 5~6장이 2줄로 달리는데, 기부는 다른 잎의 기부를 감싸며 속은 텅 비어 있다. 이러한 잎을 날로 먹거나 김치나 나물 또는 양념으로 먹는다. 잎의 아래쪽과 비늘줄기 말린 것을 총백이라고 하여 한방에서 강장제, 흥분제, 이뇨제, 발한제 및 구충약으로도 쓴다.
상기와 같은 파는 잎들이 서로 감싸고 있어 마치 줄기처럼 보이는 엽초부(주로 땅속에 들어 있어 흰색을 띰)와 잎이 펼쳐져 있는 엽신부(땅 위에 나와 있어 초록색을 띰)로 나누는데, 엽초부와 엽신부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엽초부가 긴 것을 줄기파, 엽초부가 짧고 옆신부가 긴 것을 잎파로 나눈다. 국 같은 음식에 넣어 먹는 대파는 줄기파에 속하고, 양념장에 넣는 쪽파는 잎파에 속한다.
이러한 파는 하나씩 판매하지 않고 복수개를 묶어 한단씩 판매를 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작지에서 최초 채취한 파(10)는 엽초부를 둘러싸는 파껍질(11)이 있다. 파껍질(11)은 질기고, 흙 등의 이물이 묻어 있어 이를 벗겨내어야만 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상품 가치가 그만큼 하락하게 된다. 따라서, 보통 마트나 시장에서 한단씩 묶어 판매하는 파(10)를 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껍질(11)이 탈피된 상태로 판매된다.
상기와 같은 파(10)의 파껍질(11)을 탈피하기 위해서 종래부터 다양한 파껍질 탈피장치가 있어 왔다. 예컨대, 공기압 분사를 통한 탈피방식 또는 수압을 이용한 탈피방식 등이 있다. 다만, 이러한 파껍질 탈피장치들 중 다량의 파(10)를 투입하여 파껍질(11)을 탈피하는 대형장치들은 대량생산을 위해 사용되고 있지만, 소규모의 농가에서는 여전히 수작업으로 파껍질(11)을 탈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소규모 농가들을 위한 소형장치들도 종래 특허나 실용신안을 통해 출원 및 등록되어 있지만, 대부분의 장치가 복잡하거나 파껍질(11)의 탈피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탈피된 파껍질(11)이 제대로 수거되지 못해 주위를 더럽히는 등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파껍질 탈피의 효율성을 높이면서도 간단한 구조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둘째 무게가 가볍고 크기가 작아 이동이 용이하며, 셋째 탈피된 파껍질 및 흙 등의 부산물을 용이하게 수거 후 폐기할 수 있는 파껍질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파껍질 탈피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전후가 개방되어 중공인 내부를 가지며, 일측 외주면에 내부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유입홀이 관통 형성된 석션바디와, 원통 형상으로 상기 석션바디의 전방 내부로 삽입 결합되고, 상기 석션바디의 공기유입홀과 연통되도록 외주면에 환형의 공기전달홈이 함몰 형성되며, 후단에 상기 공기전달홈과 각각 연통되도록 방사상으로 복수의 공기분사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석션바디의 전방 내부로 삽입된 파의 파껍질을 탈피하는 노즐몸체와, 상기 석션바디의 후단에 니플을 매개로 결합되어 탈피된 파껍질을 후방으로 배출하는 배출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니플은, 전방 내부의 축경부와 후방 내부의 확경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벤추리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석션바디의 전방에 결합되고, 전광후협의 깔때기 형상으로 된 흡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튜브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배출튜브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파껍질을 수거하여 저장하는 수거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가 저장된 컴프레서로부터 상기 석션바디의 공기유입홀을 연결하는 공압튜브와, 상기 공압튜브상에 설치되어 상기 컴프레서로부터 상기 석션바디의 공기유입홀로 상기 압축공기를 연결 및 차단하는 공압개폐밸브와, 상기 공압개폐밸브와 상기 컴프레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압튜브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지시하는 압력게이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세척수가 저장된 물탱크로부터 상기 석션바디의 공기유입홀에 근접하게 상기 공압튜브에 연결되는 세척수배관과, 상기 세척수배관상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공압튜브로 상기 세척수를 연결 및 차단하는 세척수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껍질 탈피장치는, 원통형의 노즐몸체로부터 벤추리관 형상의 니플을 지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파껍질 탈피의 효율성을 높이면서도 프레임, 석션바디, 노즐몸체 및 배출튜브의 단순한 구성과 간단한 구조로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무게가 가볍고 크기가 작아 이동이 용이하다.
또한, 깔때기 형상의 흡입구를 통해 석션바디의 전방 내부로 파의 삽입이 용이해 편의성을 높이고, 배출튜브와 수거저장부를 통해 탈피된 파껍질 및 흙 등의 부산물을 용이하게 수거 후 폐기할 수 있다.
또한, 장치에 별도로 공압튜브와 공압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압축공기의 낭비를 줄이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압력게이지를 통해 컴프레서 내부에 저장된 압축공기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물탱크, 세척수배관 및 세척수개폐밸브를 통하여 압축공기가 분사될 때 세척수가 함께 분사됨으로써 삽입된 파의 파껍질 뿐만 아니라 파의 엽초부와 뿌리를 깨끗하게 세척하여 상품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파껍질이 붙은 파를 도시한 실제 사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로부터 파껍질이 탈피된 파를 도시한 실제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껍질 탈피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 중 프레임이 제거된 작동부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8은 도 4의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 내지 11은 도 5의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파껍질 탈피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파껍질 탈피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실시예의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파껍질 탈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껍질 탈피장치는 도 3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 석션바디(200), 노즐몸체(300), 배출튜브(400) 및 니플(410)을 포함하고, 흡입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2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저장부(600), 컴프레서(700)로부터 연결된 공압튜브(710), 공압개폐밸브(720) 및 압력게이지(7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물탱크(800)로부터 연결된 세척수배관(810) 및 세척수개폐밸브(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가 취부 및 결합되기 위한 외관으로서, 도면상 프레임(100)에 설치된 각 구성요소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개방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폐쇄된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디자인적으로 개량될 수도 있다.
석션바디(200)는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 설치되고, 전후가 개방되어 중공인 내부를 가지며, 일측 외주면에 내부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유입홀(210)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석션바디(200)에 관통 형성된 공기유입홀(210)을 통해 석션바디(200)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유입된다. 이렇게 석션바디(200)의 내부로 유입된 압축공기를 특정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분사하여 석션바디(200) 내부로 삽입되는 파(10)의 파껍질(11)이 탈피되도록 후술하는 노즐몸체(300)가 설치된다.
노즐몸체(300)는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상기 석션바디(200)의 전방 내부로 삽입 결합되고, 상기 석션바디(200)의 공기유입홀(210)과 연통되도록 외주면에 환형의 공기전달홈(310)이 함몰 형성되며, 후단에 상기 공기전달홈(310)과 각각 연통되도록 방사상으로 복수의 공기분사홀(320)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석션바디(200)의 전방 내부로 삽입된 파(10)의 파껍질(11)을 탈피한다. 석션바디(200)의 공기유입홀(210)을 통해 압축공기가 유입되면 노즐몸체(300)의 공기전달홈(310)에 채워진다. 공기전달홈(310)은 환형으로 함몰되어 있으므로 석션바디(200)의 내주면과 노즐몸체(300)의 외주면 사이가 긴밀하게 접촉되어 있을 경우 공기전달홈(310)에 압축공기가 환형으로 채워지게 된다. 이때, 노즐몸체(300)의 후단에는 상기 공기전달홈(310)과 연통되도록 복수의 공기분사홀(320)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기전달홈(310)에 채워진 압축공기는 복수의 공기분사홀(320)을 통해 후방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공기분사홀(320)을 통해 압축공기가 분사되면 석션바디(200) 내부의 공기는 후방으로 밀려 진공상태가 되고, 석션바디(200)의 전방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석션바디(20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공기의 급속한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즉, 석션바디(200)의 전방으로 외부의 공기가 진공흡입되는 것으로서, 진공청소기와 같이 외기를 빨아들이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부터 도 6 내지 8 및 9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션바디(200)의 전방 내부로 파껍질(11)이 부착된 파(10)를 삽입하면 노즐몸체(300)의 공기분사홀(320)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석션바디(200)의 전방 외기가 석션바디(200)의 전방 내부로 급속하게 유입되고, 이러한 외기의 흡입력에 의해 파(10)에 부착된 파껍질(11)은 탈피되어 석션바디(200)의 후방으로 이동한다. 파(10)의 파껍질(11)과 함께 파(10)에 묻은 흙과 같은 이물질 등도 함께 석션바디(200)의 후방으로 분리되어 이동하고, 파껍질(11)이 탈피된 파(10)는 다시 석션바디(200)의 전방으로부터 취출된다. 즉, 작업자는 파껍질(11)이 부착된 파(10)의 엽신부를 파지한 상태로 엽초부를 석션바디(200)의 전방 내부로 삽입시키면, 노즐몸체(300)의 압축공기 흐름에 따라 외기의 흡입력에 의해 엽초부가 삽입된 파(10)의 파껍질(11)이 탈피되고, 작업자는 파껍질(11)이 탈피된 파(10)를 석션바디(200)의 전방으로부터 다시 취출하면 파껍질(11)의 탈피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석션바디(200)의 내부 공기가 압축공기의 흐름에 따라 후방으로 밀려 가면서 석션바디(200)의 전방으로 흡입력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배출튜브(400)가 필요하다. 즉, 노즐몸체(300)의 공기분사홀(320)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외기로 흩어지면 석션바디(200) 전방으로 흡입력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인데, 따라서 석션바디(200)의 후단에 배출튜브(400)가 결합되면 배출튜브(400)의 내부공간을 따라 압축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고, 압축공기의 흐름으로 석션바디(200)의 전방에는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배출튜브(400)는 석션바디(200)의 전방으로부터 외기의 흡입과 동시에 파(10)로부터 탈피된 파껍질(11)이 배출튜브(400)를 통해 배출튜브(400)의 후방으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튜브(400)의 후방을 길게 늘여 이물질 등을 저장하는 창고의 입구나 박스 등에 고정시켜 탈피된 파껍질(11) 및 이물질 등을 수거 및 저장하기에도 편리하다.
이러한 배출튜브(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석션바디의 후단에 니플(410)을 매개로 결합되는데, 상기 니플(410)은 전방 내부의 축경부(411)와 후방 내부의 확경부(412)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벤추리관 형상이다. 벤추리관은 배관의 굵기가 서서히 축소되었다가 확대되는 관 형상으로서, 유체가 벤추리관을 통해 흐르는 경우 베르누이 법칙에 따라 배관의 통로가 넓은 곳에서는 압력이 높고 유체의 흐름속도가 느리나, 배관이 좁은 통로에서는 유체의 압력은 낮고 흐름속도는 빨라진다. 따라서, 노즐몸체(300)의 공기분사홀(320)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는 배출튜브(400)로 배출되기 전에 벤추리관 형상의 니플(410)을 지나게 되는데, 니플(410)의 축경부(411)와 확경부(412) 사이의 압력차이로 인해 압축공기가 축경부(411) 방향으로 급속하게 빨려 들어가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공기분사홀(320)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니플(410)을 통해 급속하게 빨려 들어가게 되면, 석션바디(200)의 전방으로부터 흡입되는 외기의 흡입력이 폭발하듯이 증대되기 때문에 삽입된 파(10)의 파껍질(11) 탈피효과가 더욱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노즐몸체(300)의 후단에 관통 형성된 공기분사홀(320)은 복수가 방사상으로 구비되는데, 공기분사홀(320)의 분사 방향을 노즐몸체(300)의 중심부 및 내측방향으로 비틀림각을 주게 되면, 복수의 공기분사홀(320)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배출튜브(400)의 후방으로 회오리를 형성하게 된다. 그에 따라, 석션바디(200)의 전방으로부터 흡입되는 외부의 공기 역시 회오리를 형성하면서 석션바디(200)의 중앙부에 진공이 발생하여 흘러들어오게 되고, 석션바디(200)의 전방으로 삽입된 파(10)에 부착된 파껍질(11)의 탈피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석션바디(200)의 전방을 통해 석션바디(200)의 내부로 파(10)를 삽입하게 되면 파(10)의 파뿌리가 산개되어 있어 석션바디(200)의 전방 개구가 좁을 경우 파(10)의 삽입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보다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석션바디(200)의 전방에 결합되고, 전광후협의 깔때기 형상으로 된 흡입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깔때기 형상의 흡입구(500)로 파(10)를 삽입시켜 석션바디(200)의 전방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더욱이 석션바디(200)의 전방으로부터 흡입되는 외부 공기의 흐름을 더욱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배출튜브(400)의 후단을 길게 늘여 배출튜브(400)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파껍질(11) 및 흙 등의 이물질을 논이나 밭 등에 고정시켜 뿌려도 좋지만, 실내에서 작업할 경우 별도의 수거저장부(600)를 통해 용이하게 수거 및 저장할 수도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튜브(400)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배출튜브(400)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파껍질을 수거하여 저장하는 수거저장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거저장부(6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대자루와 같이 공기는 통과시키고 이물질 등은 수거 및 저장할 수 있는 자루나 망 등을 설치하여 충분히 이물질 등이 모아지면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석션바디(200)의 공기유입홀(210)을 통해 유입되는 압축공기는 도 12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프레서(700)로부터 공급되는데, 컴프레서(70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필요시 개폐하고, 압축공기의 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즉, 공압튜브(710)는 압축공기가 저장된 컴프레서(700)로부터 상기 석션바디(200)의 공기유입홀(210)을 연결하고, 공압개폐밸브(720)는 상기 공압튜브(71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컴프레서(700)로부터 상기 석션바디(200)의 공기유입홀(210)로 상기 압축공기를 연결 및 차단하며, 압력게이지(730)는 상기 공압개폐밸브(720)와 상기 컴프레서(7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압튜브(7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지시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컴프레서(700)를 열어 놓은 상태에서 압력게이지(730)에 표시되는 압력을 보면서 압축공기의 유무를 확인하고, 파껍질(11)의 탈피작업시에는 공압개폐밸브(720)를 열어 석션바디(200)의 전방으로 흡입력을 발생시켜 탈피작업을 수행하면 될 것이다. 반대로, 탈피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공압개폐밸브(720)를 닫아 압축공기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의 흐름에 의해 파껍질(11)을 탈피할 때, 압축공기와 함께 세척수가 뿌려진다면 파(10)에 묻은 흙과 같은 이물질 등이 더욱 깨끗하게 씻겨나갈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 14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800), 세척수배관(810) 및 세척수개폐밸브(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세척수가 저장된 물탱크(800)로부터 상기 석션바디(200)의 공기유입홀(210)에 근접하게 상기 공압튜브(810)에 연결된 세척수배관(810)과, 상기 세척수배관(810)상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800)로부터 상기 공압튜브(810)로 상기 세척수를 연결 및 차단하는 세척수개폐밸브(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파껍질(11)만 탈피하고자 할 때에는 세척수개폐밸브(820)를 잠그고, 세척수의 공급을 중단한 채 압축공기만으로 파껍질(11)을 탈피하고, 세척수에 의해 파껍질(11)과 세척도 함께하고자 할 경우에는 세척수개폐밸브(820)를 열어 압축공기와 함께 세척수를 공급하여 석션바디(200)의 전방으로 삽입된 파(10)의 파껍질(11) 탈피와 세척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껍질 탈피장치는, 원통형의 노즐몸체(300)로부터 벤추리관 형상의 니플(410)을 지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파껍질(11) 탈피의 효율성을 높이면서도 프레임(100), 석션바디(200), 노즐몸체(300) 및 배출튜브(400)의 단순한 구성과 간단한 구조로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무게가 가볍고 크기가 작아 이동이 용이하다.
또한, 깔때기 형상의 흡입구(500)를 통해 석션바디(200)의 전방 내부로 파(10)의 삽입이 용이해 편의성을 높이고, 배출튜브(400)와 수거저장부(600)를 통해 탈피된 파껍질(11) 및 흙 등의 부산물을 용이하게 수거 후 폐기할 수 있다.
또한, 장치에 별도로 공압튜브(710)와 공압개폐밸브(720)가 설치되어 압축공기의 낭비를 줄이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압력게이지(730)를 통해 컴프레서 (700)내부에 저장된 압축공기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물탱크(800), 세척수배관(810) 및 세척수개폐밸브(820)를 통하여 압축공기가 분사될 때 세척수가 함께 분사됨으로써 삽입된 파(10)의 파껍질(11) 뿐만 아니라 파(10)의 엽초부와 뿌리를 깨끗하게 세척하여 상품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파 11 : 파껍질
100 : 프레임
200 : 석션바디 210 : 공기유입홀
300 : 노즐몸체
310 : 공기전달홈 320 : 공기분사홀
400 : 배출튜브 410 : 니플
411 : 축경부 412 : 확경부
500 : 흡입구
600 : 수거저장부
700 : 컴프레서 710 : 공압튜브
720 : 공압개폐밸브 730 : 압력게이지
800 : 물탱크
810 : 세척수배관 820 : 세척수개폐밸브

Claims (5)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전후가 개방되어 중공인 내부를 가지며, 일측 외주면에 내부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유입홀이 관통 형성된 석션바디와, 원통 형상으로 상기 석션바디의 전방 내부로 삽입 결합되고, 상기 석션바디의 공기유입홀과 연통되도록 외주면에 환형의 공기전달홈이 함몰 형성되며, 후단에 상기 공기전달홈과 각각 연통되도록 방사상으로 복수의 공기분사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석션바디의 전방 내부로 삽입된 파의 파껍질을 탈피하는 노즐몸체와, 상기 석션바디의 후단에 니플을 매개로 결합되어 탈피된 파껍질을 후방으로 배출하는 배출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니플은,
    전방 내부의 축경부와 후방 내부의 확경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벤추리관 형상이고,
    상기 석션바디의 전방에 결합되고, 전광후협의 깔때기 형상으로 된 흡입구와,
    상기 배출튜브의 후단에 연결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배출튜브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파껍질을 수거하여 저장하도록 공기는 통과시키되 이물질은 수거 및 저장할 수 있는 망상의 자루로 된 수거저장부와,
    상기 압축공기가 저장된 컴프레서로부터 상기 석션바디의 공기유입홀을 연결하는 공압튜브와,
    상기 공압튜브상에 설치되어 상기 컴프레서로부터 상기 석션바디의 공기유입홀로 상기 압축공기를 연결 및 차단하는 공압개폐밸브와,
    상기 공압개폐밸브와 상기 컴프레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압튜브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지시하는 압력게이지와,
    세척수가 저장된 물탱크로부터 상기 석션바디의 공기유입홀에 근접하게 상기 공압튜브에 연결되는 세척수배관과,
    상기 세척수배관상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공압튜브로 상기 세척수를 연결 및 차단하는 세척수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껍질 탈피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08150A 2014-08-20 2014-08-20 파껍질 탈피장치 KR101607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150A KR101607761B1 (ko) 2014-08-20 2014-08-20 파껍질 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150A KR101607761B1 (ko) 2014-08-20 2014-08-20 파껍질 탈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518A KR20160022518A (ko) 2016-03-02
KR101607761B1 true KR101607761B1 (ko) 2016-03-30

Family

ID=5558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150A KR101607761B1 (ko) 2014-08-20 2014-08-20 파껍질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7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428U (ko) 2017-08-07 2019-02-15 김현옥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
KR20200061571A (ko) * 2018-11-26 2020-06-03 양석천 수동 투입 대파 탈피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364Y1 (ko) * 2012-03-20 2012-07-09 노재삼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364Y1 (ko) * 2012-03-20 2012-07-09 노재삼 채소 겹껍질 탈피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428U (ko) 2017-08-07 2019-02-15 김현옥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
KR200490475Y1 (ko) * 2017-08-07 2019-12-04 김현옥 거치판 부착형 파껍질 탈피기
KR20200061571A (ko) * 2018-11-26 2020-06-03 양석천 수동 투입 대파 탈피 장치
KR102132337B1 (ko) 2018-11-26 2020-07-09 양석천 수동 투입 대파 탈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518A (ko)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671195U (zh) 玉米人工辅助授粉机
KR101607761B1 (ko) 파껍질 탈피장치
CN108093881A (zh) 一种玉米去皮脱粒机
CN2501293Y (zh) 一种拾枣机
CN207430136U (zh) 一种涂料用高效调漆釜
CN202603219U (zh) 一种花椒采摘机
CN108720051B (zh) 多功能蔬菜清洗设备
CN105076340A (zh) 一种新型翻肠器
CN204817289U (zh) 苹果清洗机
CN106805726B (zh) 一种带在线清洗功能的榨汁机下杯座
CN114885827A (zh) 一种玉米花粉取粉器
CN205093420U (zh) 一种快速采集烟粉虱成虫的收纳器
CN207288050U (zh) 大米除尘装置
CN204455099U (zh) 一种用于植物叶片专性寄生菌的收集装置
CN105532192A (zh) 油菜脱粒风选一体机
CN110447428A (zh) 中药材黄精和玉竹林下立体种植用育苗装置
CN216931797U (zh) 一种生姜清洗机
CN216943863U (zh) 一种中药饮片用真空包装机
CN218260845U (zh) 一种适用于粮食加工的吸稻壳装置
CN214440068U (zh) 花生壳无尘处理设备
CN204157307U (zh) 油菜脱粒风选一体机
CN210808675U (zh) 一种农业用瓜类种植人工授粉装置
CN207929658U (zh) 一种花瓣清洗装置
CN205835942U (zh) 用于挤出机的真空室
CN211838056U (zh) 一种新型农用小麦脱壳精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