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456Y1 - 설명서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설명서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456Y1
KR200460456Y1 KR2020090011599U KR20090011599U KR200460456Y1 KR 200460456 Y1 KR200460456 Y1 KR 200460456Y1 KR 2020090011599 U KR2020090011599 U KR 2020090011599U KR 20090011599 U KR20090011599 U KR 20090011599U KR 200460456 Y1 KR200460456 Y1 KR 2004604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al
product
unit
fram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464U (ko
Inventor
장진원
한기성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90011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45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4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4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4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4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 B65B35/18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50Stacking one article, or group of articles, upon another before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제품박스가 공급되는 제품박스공급부와, 상기 제품박스공급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품박스에 제품용기를 투입하는 제품용기공급부와, 복수 개의 제품 설명서가 적층된 상태로 기울어진 설명서공급부와, 상기 설명서공급부에 적층된 제품 설명서 중 최하부에 적층된 제품 설명서를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설명서이송부와, 상기 설명서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제품 설명서를 컨베이어에 의하여 상기 제품박스공급부를 통해 이송되는 제품박스로 운반하는 설명서운반부와, 상기 제품 설명서와 상기 제품용기가 동시에 상기 제품박스에 투입되도록 상기 설명서운반부의 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설명서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설명서, 제품용기, 제품박스

Description

설명서 투입장치{Catalog Supplying Apparatus}
본 고안은 설명서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은 제품용기와 설명서를 제품상자에 삽입할 때 설명서를 구김없이 제품상자에 투입할 수 있는 설명서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제품용기와 설명서를 제품상자에 삽입할 수 있는 설명서 투입장
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 설명서가 동봉되는 화장품 등은 내용물 또는 조성물이 충진된 제품용기와 설명서를 포장상자에 함께 투입하여 구매자에게 제공된다. 제품 설명서는 여러 번 접힌 상태로 절곡되어 제품용기 바닥면 근방에 안착된다.
따라서, 제품을 구입한 구매자는 제품 설명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
품 용기를 꺼내고, 포장상자 바닥면에 절곡된 상태로 투입된 설명서를 꺼내고, 절곡상태를 해소한 뒤 다시 특정방향으로 여러 번 접힌 제품 설명서를 펴는 번거로운 과정을 수행한다.
즉, 제품 설명서를 투입하는 과정을 제품용기를 포장상자에 투입하는 과정과 함께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여러 번 접힌 상태의 제품 설명서를 포장상자 상부에 얹은 상태에서 제품용기를 삽입하면, 제품용기에 의하여 제품 설명서가 포장상자 속으로 절곡되면서 강제로 삽입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제품 설명서 투입과정은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나, 구매자는 제품용기의 하부 형상에 따라 절곡되고, 여러 번 접힌 설명서를 열람하는 과정에서 불쾌감을 줄 수 있다. 특히, 제한된 지면에 작은 글씨로 다량의 정보가 기재된 경우, 전술한 방법에 의하여 투입된 제품 설명서는 완전히 전개되어도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접히거나 절곡되어 인쇄된 제품정보를 판독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 고안은 제품용기와 설명서를 제품상자에 삽입할 때 설명서를 구김없이 제품상자에 투입할 수 있어 사용자가 제품구매 후 제품상자를 개방하여 설명서를 살펴볼 때 구김없는 설명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제품박스가
공급되는 제품박스공급부와, 상기 제품박스공급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품박스에 제품용기를 투입하는 제품용기공급부와, 복수 개의 제품 설명서가 적층된 상태로 기울어진 설명서공급부와, 상기 설명서공급부에 적층된 제품 설명서 중 최하부에 적층된 제품 설명서를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설명서이송부와, 상기 설명서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제품 설명서를 컨베이어에 의하여 상기 제품박스공급부를 통해 이송되는 제품박스로 운반하는 설명서운반부와, 상기 제품 설명서와 상기 제품용기가 동시에 상기 제품박스에 투입되도록 상기 설명서운반부의 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설명서 투입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설명서운반부는 상기 제품용기와 함께 제품박스가 투입되는 제품 설명서가 경사진 상태로 상기 포장상자에 투입되도록 하는 경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서이송부는 흡착된 제품 설명서가 수평 상태가 되도록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설명서운반부의 컨베이어로 공급될 수 있도록 수평이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설명서이송부는 적층된 제품 설명서를 흡착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가 지지되되, 상기 압착부에 흡착된 제품 설명서를 상기 설명서공급부에서 분리시키는 이송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서이송부는 상기 이송부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프레임지지부와, 상기 이송부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지지부를 관통하되 상기 이송부프레임이 고정되는 프레임회전축과, 상기 프레임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서이송부는 상기 프레임지지부를 수평이송하여 상기 제품 설명서를 상기 설명서운반부까지 이송하는 지지부이송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설명서이송부에서 공급되는 제품 설명서를 상기 제품박스 방향으로 이송하는 상부 벨트와 하부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벨트와 하부 벨트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벨트와 하부벨트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상부벨트는 상기 설명서이송부에서 제품 설명서가 공급될 때 상기 하부벨트와 접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설명서 투입장치에 의하면, 제품용기와 설명서를 제품상자에 삽입할 때 설명서를 구김없이 제품상자에 투입할 수 있어 사용자가 제품구매 후 제 품상자를 개방하여 설명서를 살펴볼 때 구김없는 설명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설명서 투입장치에 의하면, 설명서의 구김을 최소화 또는 예방할 수 있으므로 제품 사용자의 감성적 만족감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설명서 투입장치에 의하면, 제품용기와 설명서를 제품상자에 동시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
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 설명서 투입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1을 참고하여 본 고안 설명서 투입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서 투입장치(1)는 제품용기(C)가 수용된 트레이(T)가 공급되는 제품용기 공급부(80)와, 상기 제품용기 공급부(80)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트레이(T)에 수용된 제품용기(C)를 픽업(Pick Up)하는 제품용기 이송부(70)와, 상기 제품용기 이송부(70)의 하부에 구비되되 제품박스(61)가 공급되는 제품박스 공급부(60)와, 상기 제품박스(61)에 제품 설명서(P)를 공급하는 설명서운반부(50)와, 설명서가 적층 되어 구비되는 설명서공급부(10)와, 설명서공급부에 적층된 제품 설명서를 상기 설명서운반부로 이송하는 설명서이송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제품용기 공급부(80)는 제품용기(C)가 수용된 트레이(T)를 컨베이어(미도시)로 상기 제품용기 이송부(70)의 암(71) 하부로 공급한다.
상기 제품용기 이송부(70)는 사각형상의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다수의 암(71)과, 상기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샤프트(S)와, 상기 샤프트에 토크를 제공하는 모터(M)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S)는 상기 모터(M)에 의해 소정각도로 회전함과 동시에 피스톤(미도시)에 의해 상하운동할 수 있다.
상기 암(71)은 상기 피스톤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트레이방향으로 하강하면 트레이에 수용된 제품용기(C)를 픽업하고, 스프링(72)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상방향으로 복귀한 후 모터(M)와 샤프트(S)에 의해 제품박스(61)의 상부로 상기 제품용기(C)를 이송하게 된다.
이후 상기 암(71)은 상기 피스톤(미도시)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제품박스(61)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품용기(C)를 제품박스(61)에 투입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 설명서 투입장치의 설명서공급부의 사시도이다. 도2를 참고하여 설명서공급부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설명서공급부(10)는 제품 설명서(P)가 적층되는 구성으로 측면지지대(11)와, 상기 측면지지대 사이에 구비되는 하부지지대(13)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지지대(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지지대(11)는 L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품 설명서(P)의 외주 면이 안착 될 수 있도록 제품설명서의 좌우 양단에 구비된다.
상기 하부지지대(13)는 상기 측면지지대에 의해 안착된 제품 설명서의 하단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상부지지대(15)는 상기 하부지지대(13)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하부지지대에 접촉하고 있는 제품 설명서의 타단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측면지지대(11)의 말단에는 상기 제품 설명서(P)의 도면 상 좌우양단을 지지하는 플랜지(111)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품 설명서는 상기 측면지지대, 하부지지대 및 상부지지대가 형성하는 공간에 적층된 상태로 저장된다.
도 3은 본 고안 설명서 투입장치의 설명서이송부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3을 참고하여 설명서이송부(30)를 설명하면, 상기 설명서이송부(30)는 상기 설명서공급부(10)에 적층된 제품 설명서(P) 중 최하단에 위치한 제품 설명서(P)를 압착하는 압착부(32)와, 대략 n-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이송부프레임(31)과, 상기 이송부프레임의 개방된 하부에 구비되는 프레임지지부(34)와, 상기 이송부프레임과 프레임지지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이송부프레임(31)이 고정되는 프레임회전축(33)과, 상기 프레임지지부를 병진운동시키는 지지부이송축(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착부(32)는 압착부지지부(311)에 의해 상기 이송부프레임(31)에 의해 고정되므로 상기 이송부프레임(31)의 운동 시 동일한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이송부프레임(31)의 운동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이송부프레임(31)은 상기 프레임회전축(33)에 구비되는 모터(331)에 의해 회전운동 가능하고, 상기 지 지부이동축(35)의 병진운동에 의해 도1의 설명서공급부(10)와 설명서운반부(30) 사이에서 수평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이송축(35)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지지부(34)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송축힌지(36)에 연결된다. 상기 이송축힌지(36)은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운동하며, 상기 지지부이송축(35)은 상기 이송축힌지에 의해 상기 프레임지지부(34)의 병진운동을 가능케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지지부(34)의 병진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이송축(35)의 맞은편에 이송축가이드(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 설명서 투입장치의 설명서운반부의 사시도이다. 도4를 참고하여 설명서운반부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설명서운반부(50)는 제품박스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제품박스(61)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품 설명서(P)를 투입하는 장치이다.
상기 설명서운반부(50)는 외형을 형성하는 운반부프레임(51)과, 상기 운반부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피스톤고정부(52)과, 상기 피스톤고정부에 고정되는 피스톤(53)과, 상기 피스톤(53)에 의해 상하운동 가능한 상부고정틀(54)과, 상기 운반부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컨베이어(55, 56, 도5참고)와, 상기 제품박스(61)의 상단에 구비되는 경사판(5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고정부(52)에는 상부벨트 고정틀(54)을 상하운동시키는 피스톤(53)이 고정된다. 상기 피스톤(53)은 진퇴운동 가능한 샤프트(531)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벨트 고정틀은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므로 상기 샤프트가 피스톤에 의해 진퇴운동을 하면 상기 상부벨트 고정틀이 상하운동하게 된다.
상기 상부벨트 고정틀(54)은 하부면과 전후방면이 개방된 n-형상의 구성으로, 개방된 하부면에는 후술할 컨베이어의 운동벨트(553)가 지지된다.
도 5는 설명서운반부의 단면도이다. 도5를 참고하여 상기 컨베이어(55, 56)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컨베이어는 상부벨트(55)와 하부벨트(56)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벨트(55)는 후술할 하부벨트(56)와 나란하게 구비되되, 하부벨트(56)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이송벨트(551)와, 상기 하부벨트(56)의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상부고정틀(54)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운동벨트(553)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벨트(56)는 상기 운반부프레임(51)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상부벨트(55)와 하부벨트(56)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상기 벨트들의 회전과 정지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설명서이송부(30)에서 제품 설명서(P)가 설명서운반부(50)의 하부벨트(56)의 상부에 공급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스톤의 샤프트(531)를 상기 하부벨트(56) 방향으로 운동시킨다. 상기 샤프트가 하부벨트 방향으로 운동하면 상기 상부벨트 고정틀(54)이 하강하게 되며, 상기 상부벨트 고정틀에 의해 지지되는 운동벨트(553)이 하부벨트(56)와 접하게 된다.
따라서, 제품 설명서(P)는 상기 하부벨트(56)와 운동벨트(553)에 의해 상부면과 하부면이 동시에 가압된다. 또한, 상기 하부벨트(56)와 운동벨트(553)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압착된 제품 설명서(P)는 이송벨트(551)와 하부벨트(56) 에 의해 도면 상 우측말단으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품 설명서가 상기 제품박스(61)의 상단에 소정시간 대기할 수 있도록 이송벨트(551)와 하부벨트(56)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이송벨트(551)와 하부벨트(56)가 접하는 말단에는 제품 설명서(P)를 제품박스(61)에 경사지게 투입하기 위한 경사판(57, 도6참고)이 구비되므로 상기 제품 설명서는 상기 제품박스(61)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진 채 대기하게 된다.
이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품용기 이송부(70)에서 공급되는 제품용기(C)가 제품박스(61)로 투입될 때 상기 제품 설명서(P)가 제품박스(61)로 투입될 수 있도록 이송벨트(551)와 하부벨트(56)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설명서 투입장치는 제품용기와 제품 설명서를 동시에 상기 제품박스(61)에 투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7은 설명서 이송장치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7(a)는 설명서공급부(10)에 제품 설명서(P)가 적층된 상태이고, 설명서이송부(30)의 압착부(32)는 적층된 제품 설명서의 최하단 제품 설명서에 압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후, 설명서이송부(30)의 모터(331)가 회전하면 프레임회전축(33)이 이송부프레임(31)을 도면 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이송부프레임(31)은 압착부지지부(331)에 의해 상기 압착부(32)를 지지하므로 제품 설명서(P)를 흡착한 상기 압착부(32)는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설명서공급부(10)에서 제품 설명서(P)를 취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송부프레임(31) 및 압착부(32)의 회전각도는 상기 설명서운반부(50)의 운송벨트(553)와 하부벨트(56)에 삽입될 수 있는 각도까지 회전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도7(b)는 흡착된 제품 설명서가 바닥면과 수평하게 위치하도록 회전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후, 상기 지지부이송축(35)에 결합된 이송축힌지(36)가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이송축(35)은 상기 프레임지지부(34)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지지부(34)는 상기 이송축힌지(36)의 운동에 따라 도면 상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지지부(34)는 상기 이송부프레임(31)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이송부프레임(31)도 도면 상 우측으로 이동하여 압착부에 흡착된 제품 설명서를 설명서운반부(50)의 하부벨트(56)와 운동벨트(553) 사이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후,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운동벨트(553)가 하부벨트(56)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피스톤의 샤프트(531)를 전진운동시키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제품 설명서는 운동벨트(553)와 하부벨트(56)에 의해 압착된다.
상기 운동벨트(553)와 하부벨트(56)가 제품 설명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품 설명서는 설명서운반부(5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송벨트(551)와 하부벨트(56)에 의해 제품박스(61)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어부(미도시)는 제품 설명서가 상기 경사판(37)에 위치하면 상기 벨트들의 회전을 정지시켜 제품 설명서가 소정시간 대기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제품박스에 제품용기가 투입될 때 상기 이송벨트(551)와 하부벨트(56)를 회전시켜 제품용기와 제품 설명서가 동시에 투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제품용기와 설명서를 제품상자에 삽입할 때 설명서를 구김없이 제품상자에 투입할 수 있어 사용자가 제품구매 후 제품상자를 개방하여 설명서를 살펴볼 때 구김없는 설명서를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감성적 만족감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 설명서 투입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 설명서 투입장치의 설명서공급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 설명서 투입장치의 설명서이송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 설명서 투입장치의 설명서운반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설명서운반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 설명서 투입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 설명서 투입장치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1 : 설명서 투입장치 10 : 설명서공급부
11 : 측면지지대 111 : 플랜지
13 : 하부지지대 15 : 상부지지대
30 : 설명서이송부 31 : 이송부프레임
311 : 압착부지지부 32 : 압착부
33 : 프레임회전축 331 : 모터
34 : 프레임지지부 35 : 지지부이송축
36 : 이송축힌지 37 : 이송축가이드
50 : 설명서운반부 51 : 운반부프레임
52 : 피스톤고정부 53 : 피스톤
531 : 샤프트 54 : 상부고정틀
541 : 회전축 55 : 상부벨트
551 : 이송벨트 553 : 운동벨트
56 : 하부벨트 57 : 경사판
60 : 제품박스 공급부 70 : 제품용기 이송부
80 : 제품용기 공급부

Claims (8)

  1.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제품박스가 공급되는 제품박스공급부;
    상기 제품박스공급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품박스에 제품용기를 투입하는 제품용기공급부;
    복수 개의 제품 설명서가 적층된 상태로 기울어진 설명서공급부;
    상기 설명서공급부에 적층된 제품 설명서 중 최하부에 적층된 제품 설명서를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설명서이송부;
    상기 설명서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제품 설명서를 컨베이어에 의하여 상기 제품박스공급부를 통해 이송되는 제품박스로 운반하는 설명서운반부;
    상기 제품 설명서와 상기 제품용기가 동시에 상기 제품박스에 투입되도록 상기 설명서운반부의 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설명서 투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서운반부는 상기 제품용기와 함께 제품박스에 투입되는 제품 설명서가 경사진 상태로 상기 제품박스에 투입되도록 하는 경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명서 투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서이송부는 흡착된 제품 설명서가 수평 상태가 되도록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설명서운반부의 컨베이어로 공급될 수 있도록 수평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명서 투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서이송부는 적층된 제품 설명서를 흡착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가 지지되되, 상기 압착부에 흡착된 제품 설명서를 상기 설명서공급부에서 분리시키는 이송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명서 투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서이송부는
    상기 이송부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프레임지지부와, 상기 이송부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지지부를 관통하되 상기 이송부프레임이 고정되는 프레임회전축과,
    상기 프레임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명서 투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서이송부는
    상기 프레임지지부를 수평이송하여 상기 제품 설명서를 상기 설명서운반부까지 이송하는 지지부이송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명서 투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설명서이송부에서 공급되는 제품 설명서를 상기 제품박스 방향으로 이송하는 상부 벨트와 하부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벨트와 하부 벨트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명서 투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벨트는
    상기 하부벨트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설명서이송부에서 제품 설명서가 공급될 때 상기 하부벨트와 접하도록 이동하는 운동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명서 투입장치.
KR2020090011599U 2009-09-03 2009-09-03 설명서 투입장치 KR2004604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599U KR200460456Y1 (ko) 2009-09-03 2009-09-03 설명서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599U KR200460456Y1 (ko) 2009-09-03 2009-09-03 설명서 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464U KR20110002464U (ko) 2011-03-09
KR200460456Y1 true KR200460456Y1 (ko) 2012-05-25

Family

ID=4420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599U KR200460456Y1 (ko) 2009-09-03 2009-09-03 설명서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45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792Y1 (ko) * 2012-08-06 2014-03-26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설명서 투입장치
KR102516558B1 (ko) * 2021-01-08 2023-03-31 주식회사 진영코퍼레이션 비닐 패킹 제품과 케익의 자동 포장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627U (ko) * 1996-03-27 1997-10-13 종이상자 포장기의 포장물 및 설명서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627U (ko) * 1996-03-27 1997-10-13 종이상자 포장기의 포장물 및 설명서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464U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4968B2 (ja) 平坦な筒状小包を使用した製品梱包方法および機械
KR200492099Y1 (ko) 팝콘 자판기를 위한 상품 수송 및 마이크로파 장치
KR200460456Y1 (ko) 설명서 투입장치
JP2008007116A (ja) パック詰め品の包装装置
CN113581507A (zh) 一种食品自动包装设备
JP5378047B2 (ja) 筒状食品の包装装置
KR200407151Y1 (ko) 화장품 용기 이송장치
KR102294935B1 (ko) 다열 제함기
KR101117492B1 (ko) 비누 포장기
JPH09249201A (ja) カートンの蓋閉装置
CN114275450A (zh) 一种包装盒的组装装置
JPH0532227A (ja) 容器の横転装置
JP3949798B2 (ja) 海苔シート供給装置
CN110997502A (zh) 食品容器用密封包装机
WO2012165035A1 (ja) 製函・梱包装置
JP6401099B2 (ja) 容器取出し装置
KR20190009192A (ko) 포장상자 자동제조장치
CN215514362U (zh) 一种六分子饮用水批量打包装置
JPH0712363Y2 (ja) 箱移載装置
CN215437167U (zh) 灯条生产包装线
CN215753300U (zh) 一种盒装饮品装箱机构
JP2007008475A (ja) 自動首掛装着装置、ボトル箱詰装置及び首掛装着方法
CN212333094U (zh) 一种玻璃瓶打包机
JP4109353B2 (ja) 葉菜類の袋詰め装置における袋供給装置
JPS5855121Y2 (ja) 立型ラツプラウンドケ−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