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384Y1 - 패류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패류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384Y1
KR200460384Y1 KR2020100000217U KR20100000217U KR200460384Y1 KR 200460384 Y1 KR200460384 Y1 KR 200460384Y1 KR 2020100000217 U KR2020100000217 U KR 2020100000217U KR 20100000217 U KR20100000217 U KR 20100000217U KR 200460384 Y1 KR200460384 Y1 KR 200460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abalone
sorting
shellfish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2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129U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KR20201000002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38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1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1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3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90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복 등의 패류를 크기별로 선별하여, 각 크기별로 취합한 후 비슷한 크기의 개체군끼리 생장하도록 함으로써 큰 개체에 밀려 작은 개체가 도태되지 않도록 선별하기 위한 패류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복을 양식판에서 분리시켜 수집하는 이탈수단(2); 상기 이탈수단(2)에서 이탈된 전복을 드럼(42)에 넣고 회전시키면서 크기별로 수거하는 분류수단(4); 상기 드럼(42)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휘하는 동력장치(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패류 선별장치{SHELLFISH SORTING APPATATUS}
본 고안은 패류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복과 같은 패류를 크기별로 선별하여, 각 크기별로 취합한 후 비슷한 크기의 개체군끼리 생장하도록 함으로써 큰 개체에 밀려 작은 개체가 도태되지 않도록 선별하기 위한 패류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복은 전복과에 속하는 패류를 총칭하는 것으로 우리 나라의 전연안에 분포되어 있다.
전복은 식용으로 삼아 온 중요 수산물 중의 하나이다. 식용으로 쓰이는 연체부는 날것으로 먹는 이외에, 건제품인 명포(明鮑)나 회포(灰鮑)의 원료 또는 통조림의 원료로도 이용된다. 그리고 조가비는 빛깔이나 광택이 좋기 때문에 여러 공예품의 재료 및 액세서리 재료로 쓰이고 있다.
전복은 겨울의 저층수온이 12℃ 되는 등온선인 한국해협과 거문도 북쪽을 동서로 달리는 경계수역을 중심으로 한 북쪽 연안의 남해안과 동해안 및 서해안에 분포한다. 전복은 연간 천해에서 수확하는 양은 약 200M/T이고, 양식고는 약 80M/T인데, 1997년에는 7M/T를 수확하였다. 전복의 양식을 위해 우리 나라에서는 1960년대부터 국립수산진흥원의 수산종묘배양장에서 종묘를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1974년부터 생산한 종묘는 양식장에다 방양하여 바닥식 양식을 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채롱수하식 양식도 하기 시작하였다.
전복의 양식에서 생장을 향상시키려면 큰 개체와 작은 개체를 분리시켜 작은 개체가 큰 개체에 의한 약육강식의 사슬에서 벗어나도록 해야할 필요가 있다. 즉 큰 개체에 밀려 작은 개체는 먹이 섭취율이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생육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수확기에 근접한 큰 개체는 선별시켜 수확하고, 작은 개체들 중에서 크기 별로 선별하여 양식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현재까지는 별다른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확기의 큰 개체는 물론 작은 개체들 간에도 크기별로 선별함으로써 비슷한 크기의 개체들을 선별하여 각 개체군별로 따로 생장하도록 분리시켜 작은 개체가 도태됨을 예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생장율을 향상시켜 수확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패류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복을 양식판에서 분리시켜 수집하는 이탈수단;
상기 이탈수단에서 이탈된 전복을 드럼에 넣고 회전시키면서 크기별로 수거하는 분류수단; 상기 분류수단의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휘하는 동력장치;를 포함하는 패류 선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이탈수단은 상기 양식판이 안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장착되어 이탈된 전복을 수집하는 수집통; 상기 지지판 및 수집통에 고압으로 물을 공급하여 전복을 이탈 및 이송시키는 송수관; 상기 수집통의 일측과 상기 분류수단의 드럼을 연결하는 이송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은 경사지게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면에 부착되며 외면의 평활도가 높은 지지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류수단은 상기 타공을 갖는 드럼과, 상기 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드럼은 프레임에 양단부가 베어링으로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브라켓을 갖는 다수의 링편; 상기 링편의 외면에 부착되며 다수의 통공을 갖는 메쉬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럼의 메쉬망에는 통공의 크기를 상이하게 하여 된 다수의 타공영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타공영역의 하부에는 각 타공영역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수거통이 더 형성되며, 상기 각 수거통에는 각 타공영역에서 배출된 전복들이 수집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장치는 드럼의 회전축에 일단부가 결합된 벨트와, 상기 벨트의 타단부가 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수확기의 큰 개체는 물론 작은 개체들 간에도 크기별로 선별함으로써 비슷한 크기의 개체들을 선별하여 각 개체군별로 따로 생장하도록 분리시켜 작은 개체가 도태됨을 예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생장율을 향상시켜 수확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패류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드럼'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A)는, 전복을 양식판에서 분리시켜 수집하는 이탈수단(2); 상기 이탈수단(2)에서 이탈된 전복을 드럼(42)에 넣고 회전시키면서 크기별로 수거하는 분류수단(4); 상기 드럼(42)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휘하는 동력장치(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탈수단(2)은, 양식판에 활착된 전복을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양식판이 안착되는 지지판(22); 상기 지지판(22)의 하부에 장착되어 이탈된 전복을 수집하는 수집통(24); 상기 지지판(22) 및 수집통(24)에 고압으로 물을 공급하여 전복을 이탈 및 이송시키는 송수관(26); 상기 수집통(24)의 일측과 상기 분류수단(4)의 드럼(42)을 연결하는 이송관(28);으로 구성된다.
상기 양식판(미도시)은 전복이 활착되어 자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골과 산이 교호형성되어 마치 슬레이트 형상으로 된 판상이며, 물의 순환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통수공이 형성되고, 표면은 약간 거칠게 형성된다.
따라서 양식판의 상,하면에 전복이 활착되어 자라게 되며, 특히 상,하면 중 어느 하나에는 파지가 용이하고, 이동이 간편하도록 하기 위해 손잡이 용도의 파이프가 더 부착된다.
상기 지지판(22)은 드럼(42)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면에 부착되며 외면의 평활도가 높은 지지면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면은 아크릴 또는 유리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매우 미끄러운 성질을 띄도록 하여 양식판에서 이탈된 전복이 미끄러져 곧바로 수집통(24)으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상기 수집통(24) 및 이송관(28)은 하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물과 전복이 드럼(42)으로 자연스레 흘러갈 수 있어 바람직하다.
분류수단(4)은, 수집통(24)으로 유입된 다수의 전복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수단으로써, 상기 타공을 갖는 드럼(42)과, 상기 드럼(4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1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드럼(42)은 프레임(100)에 양단부가 베어링으로 결합되는 회전축(422); 상기 회전축(422)에 연결되는 브라켓(423)을 갖는 다수의 링편(424); 상기 링편(424)의 외면에 부착되며 다수의 통공을 갖는 메쉬망(426);으로 구성되어 원통형으로 제작된다.
특히 도 1a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드럼(42)의 메쉬망(426)에는 통공의 크기를 상이하게 하여 된 다수의 타공영역(421,425)이 형성된다.
즉, 개체가 큰것과 중간것 및 작은 것으로 대략 3개 등급으로 분류되고, 중간것 및 작은 것이 통과되도록 타공영역(421,425)은 크기에 따라 2개로 분할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선별되는 전복의 크기를 더욱 세분하기 위해 타공영역(421,425)의 갯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또는 통공의 크기를 더욱 세분하여 선별능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타공영역(421,425)의 하부에는 각 타공영역(421,425)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슬라이더(S)와 수거통(3)이 더 구비되어, 상기 각 수거통(3)에는 각 타공영역(421,425)에서 배출된 전복들이 수집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드럼(42)은 하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도를 갖도록 프레임(100)에 설치됨으로써 상부에 설치된 이송관(28)을 통해 배출된 전복이 드럼(42)의 내주면을 선회하면서 각 타공영역(421,425)으로 배출되고, 타공영역(421,425)에 맞지 않는 개체들, 즉 가장 큰 개체들은 하부로 이송되어 드럼(42)의 하부 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물론 이렇게 배출된 큰 개체의 전복을 수집하기 위한 수거통이 별도로 설치됨은 당연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드럼'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42)의 내부에 결합된 회전축(422)의 외주면에 나선형의 분산돌기(52)가 형성됨으로써 투입된 전복들을 골고루 분산시켜 일측에 집중되는 폐단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42)의 내주면의 나선형의 분산돌기(54)를 형성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전복의 분산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나선형의 분산돌기(52,54)는 평철을 나선형태로 용접시켜 형성된 것이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42)의 입구에 장착되어 투입되는 전복을 곧바로 분산시킬 수 있는 분배기(56)가 더 구비된다.
분배기(56)는 원추형상이며 드럼(42)의 입구에 결합되는 대구경의 입구링(562)과, 그 후방에 배치된 소구경의 출구링(564) 및 상기 입구링(562)과 출구링(564)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편(566)으로 구성됨으로써 연결편(566)들 사이의 공간(568)을 통해 전복의 이동이 용이하고, 연결편(566) 및 출구링(564)에 의해 전복을 분산시킬 수 있는 기능이 발휘된다.
한편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해보면, 동력장치(6)는, 드럼(42)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드럼(42)의 일측에 돌출된 회전축(422)에 결합된 풀리(68); 외부에 장착된 구동모터(62)의 축에 결합된 스프로켓(64); 상기 풀리(68)와 스프로켓(64)을 상호 연결하는 벨트(66)로 구성된다.
즉 벨트(66)의 일단부는 풀리(68)의 외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스프로켓(64)의 외부에 결합된다.
물론 벨트(66) 외에 체인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동력장치(6)를 가동시켜 드럼(42)을 회전시킨다.
이후 양식판을 지지판(22)에 대고, 송수관(26)을 통해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전복이 이탈되도록 한다.
이후 이탈된 전복은 지지판(22)을 타고 하강하여 수집통(24)으로 유입된 후 이송관(28)을 통해 드럼(42)의 입구로 유입된다.
이후 회전되는 드럼(42)의 입구를 통해 투입된 다량의 전복은 입구에 장착된 분배기(56) 또는 분산돌기(52,54)에 의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이렇게 드럼(42)으로 분산되면서 투입된 전복은 크기에 따라 타공영역(421,425)에서 선별되고, 가장 큰 개체는 드럼(42)의 출구로 배출되며 각각의 수거통(3)으로 수집된다.
이러한 선별과정을 통해 크기별로 신속하면서 간단하게 분류할 수 있고, 분류된 전복은 크기별로 각 양식장에 보내어진다.
따라서 대형 개체와, 중형 및 소형 개체가 선별되어 자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사율을 줄이고 생산량 증대와 품질 향상이 가능해진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이탈수단 4 : 분류수단
6 : 동력장치 22 : 지지판
24 : 수집통 26 : 이송관
42 : 드럼

Claims (6)

  1. 양식판이 안착되는 지지판(22), 상기 지지판(22)의 하부에 장착되어 이탈된 전복을 수집하는 수집통(24), 상기 지지판(22) 및 수집통(24)에 고압으로 물을 공급하여 전복을 이탈 및 이송시키는 송수관(26), 및 상기 수집통(24)의 일측과 분류수단(4)의 드럼(42)을 연결하는 이송관(28)을 포함하는 전복을 양식판에서 분리시켜 수집하는 이탈수단(2);
    상기 이탈수단(2)에서 이탈된 전복을 넣고 회전시키는 드럼(42), 상기 드럼(4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100)을 포함하며, 상기 드럼(42)은 하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도를 갖도록 설치된 분류수단(4); 및
    상기 드럼(42)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휘하는 동력장치(6);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42)은 다수의 통공을 갖는 메쉬망(426)으로 이루어진 외면을 갖고, 상기 메쉬망(426)의 크기를 상이하게 하여 된 다수의 타공영역(421,4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2)은 상기 드럼(42)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면에 부착되며 아크릴 또는 유리재질로 이루어진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선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42)은 상기 프레임(100)에 양단부가 베어링으로 결합되는 회전축(422);
    상기 회전축(422)에 연결되는 브라켓(423)을 갖는 다수의 링편(424); 및
    상기 링편(424)의 외면에 부착되며 다수의 통공을 갖는 메쉬망(4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선별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타공영역(421,425)의 하부에는 다수의 슬라이더(S)와 수거통(3)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선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42)의 내부에 결합된 회전축(422)의 외주면에 나선형의 분산돌기(52) 또는 드럼(42)의 내주면의 나선형의 분산돌기(54)를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선별장치.
KR2020100000217U 2010-01-11 2010-01-11 패류 선별장치 KR200460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217U KR200460384Y1 (ko) 2010-01-11 2010-01-11 패류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217U KR200460384Y1 (ko) 2010-01-11 2010-01-11 패류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129U KR20110007129U (ko) 2011-07-19
KR200460384Y1 true KR200460384Y1 (ko) 2012-05-21

Family

ID=45597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217U KR200460384Y1 (ko) 2010-01-11 2010-01-11 패류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38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9229B (zh) * 2018-11-19 2023-09-26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螺蛳收集器
CN109691496A (zh) * 2019-02-28 2019-04-30 林孔焰 贝类浮选机
KR102300798B1 (ko) 2019-07-31 2021-09-13 주식회사 태성이엔지 젓갈용 해산물 선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234Y1 (ko) * 1986-09-16 1990-07-12 백정오 밤 선별기
JP3034553U (ja) 1996-08-09 1997-02-25 角長水産株式会社 貝殻除去筒及びそれを具備した貝殻除去装置並びに貝の選別装置
JP2003158943A (ja) 2001-11-29 2003-06-03 Masayoshi Ogata 養殖貝用洗浄選別装置
JP3105533U (ja) 2004-05-27 2004-11-18 株式会社北村鉄工所 貝類の洗浄選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234Y1 (ko) * 1986-09-16 1990-07-12 백정오 밤 선별기
JP3034553U (ja) 1996-08-09 1997-02-25 角長水産株式会社 貝殻除去筒及びそれを具備した貝殻除去装置並びに貝の選別装置
JP2003158943A (ja) 2001-11-29 2003-06-03 Masayoshi Ogata 養殖貝用洗浄選別装置
JP3105533U (ja) 2004-05-27 2004-11-18 株式会社北村鉄工所 貝類の洗浄選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129U (ko) 201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482519U (zh) 一种牧草饲料筛选除杂装置
CN206676520U (zh) 一种水稻种子筛选装置
KR200460384Y1 (ko) 패류 선별장치
CN101711514A (zh) 粪尿养蛆的流水线设备
CN110369287A (zh) 一种辣椒分拣生产线及其分拣方法
KR101070252B1 (ko)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
CN109757223A (zh) 一种葵花盘脱籽机
KR101238561B1 (ko) 콩 탈곡기용 선별장치
KR102361809B1 (ko) 어망에 혼획된 새우류 자동 선별 장치
CN111742717A (zh) 种籽脱粒清选装置
CN207978745U (zh) 一种利用黑水虻幼虫处理餐厨垃圾用虫粪分离装置
CN206981199U (zh) 一种农业种子扬场除杂设备
CN210580752U (zh) 一种水产品清洗筛分装置
CN206963688U (zh) 一种罗非鱼养殖用筛选装置
KR100330319B1 (ko) 어류 자동선별장치
CN111744660A (zh) 一种农业种植用种子筛分装置
CN207461340U (zh) 一种贝壳脱壳的加工线
CN202655220U (zh) 底栖水产品筛分装置
CN206413405U (zh) 一种油莎豆收获机
CN108770500B (zh) 一种大白菜种子脱粒分选机
CN110720414B (zh) 一种海上贻贝养殖收取装置
CN208739633U (zh) 一种大白菜种子脱粒分选机
CN209862267U (zh) 一种新型莲蓬剥莲机
CN210001732U (zh) 基于水体生物链的厨余处理装置
CN209047421U (zh) 一种油茶果壳籽脱离与壳籽分离集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