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086Y1 - 에어 이젝터 - Google Patents

에어 이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086Y1
KR200460086Y1 KR2020100003947U KR20100003947U KR200460086Y1 KR 200460086 Y1 KR200460086 Y1 KR 200460086Y1 KR 2020100003947 U KR2020100003947 U KR 2020100003947U KR 20100003947 U KR20100003947 U KR 20100003947U KR 200460086 Y1 KR200460086 Y1 KR 200460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le
coupling
painting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9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977U (ko
Inventor
박인수
Original Assignee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39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08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9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9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086Y1/ko

Links

Images

Landscapes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 이젝터에 관한 것으로, 조선소의 각종 도장 현장 및 도장 공장, 페인트 공장, 자동차 도색 및 코팅 공장 등의 도장 및 코팅 작업시 작업 후에 도장 및 코팅 부위를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고 에어를 공급하는 호스이 꼬임과 손상을 방지하고 마그네틱을 이용한 스탠드를 유니버셜 플러그로 직접 연결하도록 설치 고정함으로서 현보한 공간에서의 착탈 및 사용이 편리하고 이동이 용이하며 에어의 유량을 빠르고 다량으로 공급함으로서 도장의 건조작업을 우수하게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 이젝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은 도장 작업시 도장의 건조작업을 호스를 통하여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이젝터에 있어서, 일측면부에 복수개의 통공(14)이 형성되어 에어를 흡입하는 니플(104)과 상기 니플(104)과 체결 결합되고 상기 통공(14)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고, 그 내측부에 에어를 호스로 공급하는 노즐(108)이 설치되며 결합공(48)이 형성된 배출부(106)로 이루어지는 바디(102)와; 상기 바디(102)에 형성된 결합공(48)에 체결 고정되고 일측단부에 반구형상의 결합구(54)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 체결 고정부(58)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에어가 통과하는 통공(56)이 형성되는 유니버셜 플러그(110)와; 상기 유니버셜 플러그(110)에 형성된 결합구(54)가 삽입 설치되어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내측부에 유동 결합부(74)가 형성되고 일측부 외주면에는 나사부(70)가 형성되고 에어가 통과하는 통로(76)와 체결공(78)이 형성되고 타측단 외측부에는 돌출 나사부(80)가 형성된 연결구(116)와, 상기 연결구(116)의 나사부(70)에 체결 고정되는 나사부(64)가 내측부에 형성되고 우측단 내측부에는 유동부(66)가 형성되어 상기 유니버셜 플러그(110)가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플러그 고정구(114)와, 상기 연결구(116)의 돌출 나사부(80)에 체결 고정되도록 체결공(86)이 형성되고 원판형상의 마그네틱(118)으로 구성되는 스탠드(112)와; 상기 연결구(116)의 체결공(78)에 체결 고정되는 나사부(94)가 일측단부에 형성되고 중앙으로 에어가 관통하는 통공(92)이 형성되며 호스가 끼워져서 설치되는 플러그(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에어 이젝터의 바디와 스탠드를 유니버셜 플러그로 직접 연결하여 구성을 단수화시키고 크기를 소형화함과 동시에 작업현장에서의 소음을 줄이고 도장작업면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에어 호스를 통하여 에어를 빠르게 공급함으로서 도장 건조 작업을 우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장의 건조작업시 협소한 공간에서 설치 등 작업부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자유롭게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서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에어 호스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여 건조작업을 우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에어 호스의 꼬임과 꺽임 등의 손상을 방지하여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에어 호스로 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손실을 줄이고 효과적으로 많은 공기를 투입하여 빠르게 건조함으로서 우수한 작업성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 이젝터{A AIR EJECTOR}
본 고안은 에어 이젝터에 관한 것으로, 조선소의 각종 도장 현장 및 도장 공장, 페인트 공장, 자동차 도색 및 코팅 공장 등의 도장 및 코팅 작업시 작업 후에 도장 및 코팅 부위를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고 에어를 공급하는 호스이 꼬임과 손상을 방지하고 마그네틱을 이용한 스탠드를 유니버셜 플러그로 직접 연결하도록 설치 고정함으로서 현보한 공간에서의 착탈 및 사용이 편리하고 이동이 용이하며 에어의 유량을 빠르고 다량으로 공급함으로서 도장의 건조작업을 우수하게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 이젝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도장공장 및 도색 공장, 조선소 선박 건조시 도장작업, 자동차 도장 및 코팅 공정 등 다양한 현장에서의 페인트 및 도장 공정시에 도장 후에 일정시간이 흐르도록 하여 도장을 건조시켜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였다.
작은 현장에서는 크게 차이가 없지만 규모가 크거나 빠르게 건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직접 호스를 들고 다니면서 에어를 불어주어서 건조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위와 같이 작업자가 직접 호스를 들고 다니면서 에어를 뿜어서 건조시키려면 긴 에어호스를 들고 다녀야 하므로 에어호스의 중간 부분이 도장 작업면과 닿거나 끌리면서 도장 작업의 불량을 초래하였고, 작업자도 에어 호스를 다루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긴 에어호스를 끌고 다니는 경우 에어호스가 꼬이거나 비틀리고 꺽이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에어 호스에 구멍이 생기고 현장에서 작업시에 발생한 이물질 또는 버어가 에어 호스등으로 빨려들어가서 도장의 불량을 야기하고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상기 도장작업시 에어호스의 취급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에어 이젝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에어 이젝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할하고 빠르게 함과 동시에 작업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하게 줄여줌으로서 도장작업의 건조작업을 빠르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 이젝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장 작업이 이루어지는 현장에서의 이물질 및 버어 등이 에어 호스에 투입되어 발출되면서 도장자업이 이루어진 표면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의 신뢰성과 우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 이젝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에어 이젝터에 연결되는 에어 호스의 꼬임과 비틀림 및 꺽임을 방지하여 에어 호스의 손상을 방지하고 에어 호스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에어를 불필요한 소비없이 효과적으로 공급함으로서 건조작업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에어 이젝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에어 이젝터를 이용하여 협소한 작업 공간, 넓은 작업 공간 등 필요한 위치에 자유롭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바디와 직접 연결되는 일체형 스탠드를 설치하고, 상하좌우 360도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도장 작업시 도장의 건조작업을 호스를 통하여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이젝터에 있어서,
일측면부에 복수개의 통공(14)이 형성되어 에어를 흡입하는 니플(104)과 상기 니플(104)과 체결 결합되고 상기 통공(14)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고, 그 내측부에 에어를 호스로 공급하는 노즐(108)이 설치되며 결합공(48)이 형성된 배출부(106)로 이루어지는 바디(102)와;
상기 바디(102)에 형성된 결합공(48)에 체결 고정되고 일측단부에 반구형상의 결합구(54)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 체결 고정부(58)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에어가 통과하는 통공(56)이 형성되는 유니버셜 플러그(110)와;
상기 유니버셜 플러그(110)에 형성된 결합구(54)가 삽입 설치되어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내측부에 유동 결합부(74)가 형성되고 일측부 외주면에는 나사부(70)가 형성되고 에어가 통과하는 통로(76)와 체결공(78)이 형성되고 타측단 외측부에는 돌출 나사부(80)가 형성된 연결구(116)와, 상기 연결구(116)의 나사부(70)에 체결 고정되는 나사부(64)가 내측부에 형성되고 우측단 내측부에는 유동부(66)가 형성되어 상기 유니버셜 플러그(110)가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플러그 고정구(114)와, 상기 연결구(116)의 돌출 나사부(80)에 체결 고정되도록 체결공(86)이 형성되고 원판형상의 마그네틱(118)으로 구성되는 스탠드(112)와;
상기 연결구(116)의 체결공(78)에 체결 고정되는 나사부(94)가 일측단부에 형성되고 중앙으로 에어가 관통하는 통공(92)이 형성되며 호스가 끼워져서 설치되는 플러그(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에어 이젝터의 바디와 스탠드를 유니버셜 플러그로 직접 연결하여 구성을 단수화시키고 크기를 소형화함과 동시에 작업현장에서의 소음을 줄이고 도장작업면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에어 호스를 통하여 에어를 빠르게 공급함으로서 도장 건조 작업을 우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장의 건조작업시 협소한 공간에서 설치 등 작업부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자유롭게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서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에어 호스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여 건조작업을 우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에어 호스의 꼬임과 꺽임 등의 손상을 방지하여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에어 호스로 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손실을 줄이고 효과적으로 많은 공기를 투입하여 빠르게 건조함으로서 우수한 작업성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에어 이젝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에어 이젝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에어 이젝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에어 이젝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
본 고안은 도장 작업시 도장의 건조작업을 호스를 통하여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이젝터에 있어서, 일측면부에 복수개의 통공(14)이 형성되어 에어를 흡입하는 니플(104)과 상기 니플(104)과 체결 결합되고 상기 통공(14)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고, 그 내측부에 에어를 호스로 공급하는 노즐(108)이 설치되며 결합공(48)이 형성된 배출부(106)로 이루어지는 바디(102)와; 상기 바디(102)에 형성된 결합공(48)에 체결 고정되고 일측단부에 반구형상의 결합구(54)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 체결 고정부(58)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에어가 통과하는 통공(56)이 형성되는 유니버셜 플러그(110)와; 상기 유니버셜 플러그(110)에 형성된 결합구(54)가 삽입 설치되어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내측부에 유동 결합부(74)가 형성되고 일측부 외주면에는 나사부(70)가 형성되고 에어가 통과하는 통로(76)와 체결공(78)이 형성되고 타측단 외측부에는 돌출 나사부(80)가 형성된 연결구(116)와, 상기 연결구(116)의 나사부(70)에 체결 고정되는 나사부(64)가 내측부에 형성되고 우측단 내측부에는 유동부(66)가 형성되어 상기 유니버셜 플러그(110)가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플러그 고정구(114)와, 상기 연결구(116)의 돌출 나사부(80)에 체결 고정되도록 체결공(86)이 형성되고 원판형상의 마그네틱(118)으로 구성되는 스탠드(112)와; 상기 연결구(116)의 체결공(78)에 체결 고정되는 나사부(94)가 일측단부에 형성되고 중앙으로 에어가 관통하는 통공(92)이 형성되며 호스가 끼워져서 설치되는 플러그(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노즐(108)은 내측부에 통공(30)이 형성되는 좌측몸체(22)와, 상기 좌측몸체(22)와 연속해서 형성되고 상기 좌측몸체(22)와 만나는 연결부위에 복수 개의 노즐공(26)이 형성되고 내측부에 경사부(38)가 형성된 통공(34)을 구비하는 우측몸체(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에어 이젝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에어 이젝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에어 이젝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에어 이젝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이다.
우선,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에어 이젝터(100)는 일측부에 에어가 흡입되는 니플(104)와 상기 니플(104)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배출부(106)와 상기 배출부(106)의 내측부에 결합 설치되어 흡입되고 유입된 에어를 분사하도록 삽입 설치된 노즐(108)로 구성되는 바디(10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100)의 일측부에 끼워져서 설치되고 상기 바디(1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그네틱(118)을 구비한 스탠드(112)가 설치되고 상기 바디(102)와 스탠드(112)의 사이에는 상기 바디(102)와 스탠드(112)를 연결 고정하고 자유자재로 회전 가능하도록 유니버셜 플러그(1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탠드(112)의 일측부에는 에어를 유입하기 위해 연결되는 미도시된 호스가 끼워지는 플러그(120)가 체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디(100)는 에어가 흡입되는 니플(104)과 상기 니플(104)과 결합되어 공급된 에어를 배출하는 배출부(106)로 구성되고 상기 니플(104)과 배출부(106)의 내측부에는 노즐(10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에어 이젝터(10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 바디(100)를 이루고 있는 니플(104)과 배출부(106) 중 상기 배출부(106)에 체결 고정되는 니플(104)은 원통형상으로 몸체(10)가 이루어져 있고 상기 몸체(10)의 내측에는 진공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0)의 일측면부에는 소구경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통공(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0)의 외주면에는 널링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0)의 우측부 외주면에는 상기 배출부(106)와 체결 고정되도록 나사부(1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부에는 대구경의 통공(20)이 상기 배출부(106)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니플(10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8)에는 상기 배출부(106)가 체결 고정되고 상기 배출부(106)는 원통형상의 몸체(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40)의 내측부에는 좌우로 관통되어 상기 니플(104)의 통공(14)을 통해 유입된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40)의 좌측부 내주면에는 나사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부(44)는 상기 니플(104)의 나사부(18)와 대응하여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106)의 몸체(40) 내측의 나사부(44)와 배출구(42)의 중간부분에는 노즐(108)이 결합되는 결합부(4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46)의 수직한 상부면에는 나사부(50)가 형성된 결합공(4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니플(104)과 배출부(106)가 체결 결합되는 내측부에는 노즐(108)이 결합 설치되어 지는바, 상기 노즐(108)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좌측몸체(22)와 상기 좌측몸체(22)와 연결 형성되어 있는 우측몸체(3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노즐(108)의 좌측몸체(22)에는 상기 니플(104)의 우측면부와 접촉되는 접촉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104)의 중간부분에는 우하향하여 구배가 이루어진 복수개의 노즐공(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몸체(22)의 외주면에는 상기 배출부(106)의 결합부(46)의 내주면과 맞닿도록 플랜지(2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측몸체(22)의 내측부에는 에어가 흐르도록 좌우로 관통하는 통공(30,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108)의 우측몸체(32)에는 우하향하여 구배가 이루어지는 통공(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몸체(32)의 외측부에는 상기 배출부(106)의 결합부(46) 내주면과 맞닿도록 플랜지(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몸체(32)의 중간부분에는 상기 노즐공(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34)은 일측방향으로 구배가 형성된 경사부(38)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바디(102)의 결합공(48)에는 상기 유니버셜 플러그(110)가 체결 고정되는바, 상기 유니버셜 플러그(110)는 몸체(52)의 일단부에 반구형상의 결합구(5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52)에는 에어가 통과하도록 중앙부를 관통하는 통공(5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52)의 타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체결 고정부(5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52)의 중간부분에는 결합부(5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 고정부(58)는 전술된 상기 배출부(106)의 결합공(48)에 결합되고 상기 나사부(50)와 체결 고정되어 진다.
상기 유니버셜 플러그(110)의 결합구(54)는 상기 스탠드(112)에 결합되어 지고 상기 스탠드(112)는 고정되고 상기 유니버셜 플러그(110)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결합됨으로서 상기 바디(102)의 위치를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112)는 상기 유니버셜 플러그(110)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플러그 고정구(114)와, 상기 유니버셜 플러그(112)가 삽입 설치되는 연결구(116)와, 상기 연결구(116)의 일측 하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마그네틱(118)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러그 고정구(114)는 원형의 몸체(60)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부에 결합부(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62)의 내주면에는 나사부(6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부에는 상기 유니버셜 플러그(112)의 결합부(59)와 접촉하는 유동부(6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플러그 고정구(114)는 상기 유니버셜 결합구(112)가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연결구(116)에 체결 고정되어 진다.
상기 연결구(116)는 원통형상의 몸체(68)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68)의 우측단부 외주면에는 나사부(7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부(70)는 상기 고정구(114)의 나사부(64)와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68)의 우측단부 내측면에는 오링홈(72) 및 유동 결합부(74)가 형성되어 있고 에어가 유입되어 흐르도록 통로(7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76)와 수직하도록 상방향을 향하여 관통된 체결공(7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68)의 일측단 외측부에는 돌출 형성된 돌출 나사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동 결합부(74)에는 전술된 유니버셜 플러그(112)의 결합구(54)가 결합 설치되어지고 상기 오링홈(72)에는 오링이 삽입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구(54)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상기 고정구(114)를 체결 고정하여 상기 결합구(54)가 이탈되지 않고 움직일 수 있도록 체결 설치한다.
계속해서, 상기 연결구(116)의 돌출 나사부(80)에는 상기 마그네틱(118)이 체결 고정되어진다.
상기 마그네틱(118)은 원판형상의 마그네틱 몸체(82)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그네틱 몸체(82)의 외측부에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84)가 씌워져 있으며 상기 마그네틱 몸체(82)의 중앙부에는 체결공(8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86)에는 나사부(8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체결공(86)에는 전술한 돌출 나사부(80)가 체결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에어 이젝터(100)는 일측부에 복수개의 통공(14)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4)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배출부(106)의 내측부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노즐(108)을 통해서 유입하여 상기 플러그(120)의 통공(92)을 통하여 유입하고 상기 미도시된 플러그에 끼워지는 호스에 의해 작업 현장에 분사된다.
상기 통공(14)은 상기 니플(104)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니플(104)의 타단부에는 배출구(42)가 형성된 배출부(106)가 체결되어 있는바, 상기 통공(14)으로 유입된 에어는 상기 배출구(4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진공부(12)에서 발생되는 부압(-)에 의해 빠르게 이동하면서 다량의 에어를 현장에 공급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고안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10 : 몸체 12 : 진공부
14 : 통공 16 : 널링부
18 : 나사부 20 : 통공
22 : 좌측몸체 24 : 접촉부
26 : 노즐공 28 ; 플랜지
30 : 통공 32 : 우측몸체
34 : 통공 36 : 플랜지
38 : 경사부 40 : 몸체
42 : 배출구 44 : 나사부
46 : 결합부 48 : 결합공
50 : 나사부 52 : 몸체
54 : 결합구 56 : 통공
58 : 체결 고정부 60 : 몸체
62 : 결합부 64 : 나사부
66 : 유동부 68 : 몸체
70 : 나사부 72 : 오링홈
74 : 유동 결합부 76 : 통로
78 : 체결공 80 : 돌출 나사부
82 : 마그네틱 몸체 84 : 커버
86 : 체결공 88 : 나사부
100 : 에어 이젝터 102 : 바디
104 : 니플 106 : 배출부
108 : 노즐 110 : 유니버셜 플러그
112 : 스탠드 114 : 플러그 고정구
116 : 고정구 118 : 마그네틱
120 : 플러그

Claims (2)

  1. 도장 작업시 도장의 건조작업을 호스를 통하여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이젝터에 있어서,
    일측면부에 복수개의 통공(14)이 형성되어 에어를 흡입하는 니플(104)과 상기 니플(104)과 체결 결합되고 상기 통공(14)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고, 그 내측부에 에어를 호스로 공급하는 노즐(108)이 설치되며 결합공(48)이 형성된 배출부(106)로 이루어지는 바디(102)와;
    상기 바디(102)에 형성된 결합공(48)에 체결 고정되고 일측단부에 반구형상의 결합구(54)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 체결 고정부(58)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에어가 통과하는 통공(56)이 형성되는 유니버셜 플러그(110)와;
    상기 유니버셜 플러그(110)에 형성된 결합구(54)가 삽입 설치되어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내측부에 유동 결합부(74)가 형성되고 일측부 외주면에는 나사부(70)가 형성되고 에어가 통과하는 통로(76)와 체결공(78)이 형성되고 타측단 외측부에는 돌출 나사부(80)가 형성된 연결구(116)와, 상기 연결구(116)의 나사부(70)에 체결 고정되는 나사부(64)가 내측부에 형성되고 우측단 내측부에는 유동부(66)가 형성되어 상기 유니버셜 플러그(110)가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플러그 고정구(114)와, 상기 연결구(116)의 돌출 나사부(80)에 체결 고정되도록 체결공(86)이 형성되고 원판형상의 마그네틱(118)으로 구성되는 스탠드(112)와;
    상기 연결구(116)의 체결공(78)에 체결 고정되는 나사부(94)가 일측단부에 형성되고 중앙으로 에어가 관통하는 통공(92)이 형성되며 호스가 끼워져서 설치되는 플러그(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이젝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108)은 내측부에 통공(30)이 형성되는 좌측몸체(22)와,
    상기 좌측몸체(22)와 연속해서 형성되고 상기 좌측몸체(22)와 만나는 연결부위에 복수 개의 노즐공(26)이 형성되고 내측부에 경사부(38)가 형성된 통공(34)을 구비하는 우측몸체(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이젝터.
KR2020100003947U 2010-04-15 2010-04-15 에어 이젝터 KR200460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947U KR200460086Y1 (ko) 2010-04-15 2010-04-15 에어 이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947U KR200460086Y1 (ko) 2010-04-15 2010-04-15 에어 이젝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977U KR20110009977U (ko) 2011-10-21
KR200460086Y1 true KR200460086Y1 (ko) 2012-05-02

Family

ID=46607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947U KR200460086Y1 (ko) 2010-04-15 2010-04-15 에어 이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08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376B1 (ko) * 2012-08-09 2014-01-22 (주)현보 내부식성을 향상한 윤활유 정량 공급 인젝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013U (ko) * 1998-04-24 1998-07-25 이재석 고압 공기를 이용한 이젝터 장치
JP2002031100A (ja) 2000-07-18 2002-01-31 Yutaka Sangyo Kk 水流エゼクタ
KR20040072573A (ko) * 2004-07-28 2004-08-18 한국뉴매틱(주) 진공 이젝터 펌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013U (ko) * 1998-04-24 1998-07-25 이재석 고압 공기를 이용한 이젝터 장치
JP2002031100A (ja) 2000-07-18 2002-01-31 Yutaka Sangyo Kk 水流エゼクタ
KR20040072573A (ko) * 2004-07-28 2004-08-18 한국뉴매틱(주) 진공 이젝터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977U (ko) 201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0885C2 (ru) Узел головки распылителя со встроенной крышкой пневмоцилиндра/форсунки для жидкостного распылителя
US9480997B2 (en) Multifunctional electric spray gun
US20080251603A1 (en) Nozzle for pressure washer or liquid sprayer
KR20140005292A (ko) 다중-분무 비데
US11052418B2 (en) Pressure-fed accessories adapter for an airless spray gun
JP5189051B2 (ja) 洗浄ガン、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洗浄方法
KR200460086Y1 (ko) 에어 이젝터
KR20160036925A (ko) 약액 분사장치
KR200457869Y1 (ko) 슬라이드 밸브가 구비된 에어 이젝터
KR200460087Y1 (ko) 에어 이젝터
JP2011101854A (ja) ノズル洗浄システム
CN215544801U (zh) 一种喷涂延长雾化装置
EP3610953A1 (en) Paint sprayer and adapter for a paint sprayer
CN111013846A (zh) 一种汽车塑料配件清洗装置
KR100820485B1 (ko) 공조설비의 스프레이 존 노즐 장착구조
KR101663242B1 (ko) 도장부스 내부의 이물질 제거용 스크레퍼
CN207370312U (zh) 喷头结构以及喷枪
KR102137662B1 (ko) 수중코팅용 다중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수중 피도물 코팅방법
KR200356545Y1 (ko) 페인트 분사식 도장장비의 재료 공급용 분기관
CN110694527B (zh) 用于水基涂料的搅拌装置及其方法
KR102275066B1 (ko) 공기압을 이용한 브러시 장착 수중 코팅 장치
KR102396498B1 (ko) 아파트 벽면 도장을 위한 듀얼 에어커튼 방식 비산방지 도료분사장치
CN218330532U (zh) 一种喷涂机器人外喷空气环检测工具
JPH0624766U (ja) 塗装装置
KR20120001868U (ko) 샤워 헤드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