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148Y1 -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의 로킹 제어구조 - Google Patents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의 로킹 제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148Y1
KR200459148Y1 KR2020100000742U KR20100000742U KR200459148Y1 KR 200459148 Y1 KR200459148 Y1 KR 200459148Y1 KR 2020100000742 U KR2020100000742 U KR 2020100000742U KR 20100000742 U KR20100000742 U KR 20100000742U KR 200459148 Y1 KR200459148 Y1 KR 200459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ball
lever
fire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530U (ko
Inventor
최보섭
Original Assignee
최보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보섭 filed Critical 최보섭
Priority to KR2020100000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14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5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5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1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2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e.g. rods,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화기에 부착 설치되어 화재 시에 자동으로 소화기의 작동레버를 가동시켜 소화액이나 분말을 분사시킴으로써 무인 건물에서 화재발생 시 자동으로 화재를 진화할 수 있도록 한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에 적용되어 소화기의 작동레버를 작동시켜주는 작동로드를 작동대기 상태로 로킹시켜주거나 언 로킹시켜주기 위한 로킹 제어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작동로드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관체 상의 볼 하우징을 고정 설치하고 이 내부에 하나의 로킹 볼과 이 로킹 볼을 작동로드의 로킹 홈 쪽으로 밀어주기 위한 볼 누름구를 유동 가능하게 설치하되 볼 누름구는 솔레노이드의 플런져에 끼워져 연동되는 상태에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축설되는 로킹 제어편과의 접촉 위치에 따라 로킹 볼에 누름력을 부여하여 작동로드를 로킹시키거나 누름력이 해제되어 언 로킹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로킹구조에 소요되는 부품수를 줄이고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조공정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과 작업 능률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장 발생률과 제조원가의 절감을 통해 제품의 신뢰성을 개선하고 실용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의 로킹 제어구조{THE LOCKING CONTROL STRUCTURE OF A AUTOMATIC OPERATING APPARATUS FOR A FIRE EXTINGUISHER}
본 고안은 소화기에 부착 설치되어 화재 시에 자동으로 소화기의 작동레버를 가동시켜 소화액이나 분말을 분사시킴으로써 무인 건물에서 화재발생 시 자동으로 화재를 진화할 수 있도록 한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에 적용되어 소화기의 작동레버를 작동시켜주는 작동로드를 작동대기 상태로 로킹시켜주거나 언 로킹시켜주기 위한 로킹 제어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작동로드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관체 상의 볼 하우징을 고정 설치하고 이 내부에 하나의 로킹 볼과 이 로킹 볼을 작동로드의 로킹 홈 쪽으로 밀어주기 위한 볼 누름구를 유동 가능하게 설치하되 볼 누름구는 솔레노이드의 플런져에 끼워져 연동되는 상태에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축설되는 로킹 제어편과의 접촉 위치에 따라 로킹 볼에 누름력을 부여하여 작동로드를 로킹시키거나 누름력이 해제되어 언 로킹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로킹구조에 소요되는 부품수를 줄이고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조공정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과 작업 능률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장 발생률과 제조원가의 절감을 통해 제품의 신뢰성을 개선하고 실용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기란 건물내부나 차량 내의 적당한 곳에 미리 비치하여 놓고 화재가 발생한 즉시 그 불을 끄는데 사용되는 기구를 말한다. 보통 금속으로 만든 원통으로 압착공기를 이용하는 분수소화기, 화학적으로 발생시킨 탄산가스를 분출시키는 탄산가스소화기, 중탄산소다(重炭酸soda)가루를 분출시키는 분말소화기, 탄산가스의 기포를 분출하는 포말소화기 등이 있다.
종래 이들 소화기는 통로의 적당 장소나 입구에 미리 설치하고, 많은 사람이 그 설치장소를 알 수 있도록 하여 화재발생이라고 하는 긴급 상황 하에서 신속하게 소화기를 이용하여 진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론 그 작동방식은 수동이다.
즉, 대부분의 소화기는, 소화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소화기의 일부품인 안전핀을 뽑고 레버를 잡아당김으로써 내부의 뇌관장치가 파열되어 충전된 소화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의 이러한 구조의 소화기는 근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화재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일어나며 주로 건물에 사람이 없는 야간 시간대에 발생하게 된다. 종래의 소화기는 반드시 인위적으로 안전핀을 뽑아주어야 소화기로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무인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이른바 수동식 소화기는 아무런 역할을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화기를 화재 예상지역을 향하여 배치하여 놓고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통상의 연기감지 센서나 열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고 이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별도의 장치를 구동시켜 소화기의 작동레버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구조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403497호"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도 5 참조)에서 알려지고 있으며,
그 구조는, 하우징(1) 내의 작동 스프링(2)을 통해 일 방향으로의 탄발 이동력이 부여되고 단부에 소화기(F)의 작동레버(L)를 걸어 작동시키기 위한 레버 홀딩편(4)과 로킹 홈(3')을 구비하는 작동로드(3)를 설치하되 상기 작동로드(3)가 연기 발생 시 작동될 수 있도록 연기감지센서(S)와 이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5) 및 솔레노이드의 플런저(5') 몰입작동 시 작동로드(3)의 레버 홀딩편(4)을 당겨주기 위한 로킹 제어판(6)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작동로드(3)에는 작동 준비 즉 작동신호가 있을 때 까지 작동대기 위치를 고수할 수 있도록 로킹 수단(7)을 적용하고 있으며.
상기한 작동로드(3)의 로킹수단(7)은 도 6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의 일측단의 작동관(1')에 끼워지는 로킹 스프링(7A)과, 상기 하우징(1)의 작동관(1')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천공되는 다수의 볼 삽지구(7B)와, 상기 볼 삽지구(7B)에 끼워지는 로킹볼(7C)과, 상기 로킹 스프링(7A)과 접하여 일 방향으로의 상시 이동력이 부여되는 상태로 상기 작동관(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며 작동관(1')과 접하는 내주면(7D1)과 내주면에 비해 확장된 내경을 갖는 확경부(7D2)를 구비하는 로킹 제어구(7D)와, 상기 작동관(1')에 끼워져 설치되며 로킹 제어구(7D)의 후퇴 위치를 제한하고 이탈 분리를 차단하기 위한 위치 제한편(7E)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화재 발생 시에는 솔레노이드(5)가 구동되어 플런저(5')가 몰입되고 따라서 플런저(5')에 자유단이 결합된 로킹 제어판(6)에 의해 로킹 제어구(7D)가 눌려져 이동되면 내주면(7D1)이 로킹 볼(7C)에서 벗어나면서 내주면(7D1)보다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확경부(7D2)가 로킹 볼(7C)의 위치에 오게 되고 동시에 작동로드(3)는 작동 스프링(2)에 의해 상시 후단부 쪽으로 돌출되려는 힘이 부여되는 관계로 로킹 볼(7C)은 로킹 홈(3')에서 밀려나 확경부(7D2)쪽으로 이동되면서 로킹 홈(3')에서 빠져 나오게 됨과 동시에 작동로드(3)의 로킹이 해제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하지만 상기한 선 등록 고안의 구조에 적용된 작동로드의 로킹수단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노출하게 되는 것이었다.
? 도 7에서와 같이 하우징(1)의 작동관(1')에 등 간격으로 다수개의 볼 삽지구(7B)를 천공시킴과 동시에 각 볼 삽지구(7B)마다 로킹 볼(7C)을 수용시키며, 로킹 볼(7C)을 제어하기 위한 로킹 제어구(7D), 그리고 로킹 제어구(7D)에 탄성 이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작동 스프링(2)과, 로킹 제어구(7D)의 후퇴 위치를 제한하고 이탈 분리를 차단하기 위한 위치 제한편(7E)등 하나의 동작을 위해 다수의 작동부품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작동이 정밀하지 못할 뿐 더러 고장 발생율의 증가와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 또한 구조상 솔레노이드(5)의 플런져(5')의 몰입력으로 로킹 볼(7C)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전동 매체로서 로킹 제어구(7D)와 이를 유동시켜주기 위한 비교적 큰 체적의 로킹 제어판(6)이 구비되어야 하는 관계로 목적하는 동작까지 소요되는 작동부재가 많아지며 장치의 소형화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구조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로킹 제어 구조에 소요되는 부품수를 줄이고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조공정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과 작업 능률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장 발생률과 제조원가의 절감을 통해 제품의 신뢰성을 개선하고 실용성을 기할 수 있는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의 로킹 제어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우징 내에 작동로드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관체 상의 볼 하우징을 고정 설치하고 이 내부에 하나의 로킹 볼과 이 로킹 볼을 작동로드의 로킹 홈 쪽으로 밀어주기 위한 볼 누름구를 유동 가능하게 설치하되 볼 누름구는 솔레노이드의 플런져에 끼워져 연동되는 상태에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축설되는 로킹 제어편의 접촉 위치에 따라 로킹 볼에 누름력을 부여하여 작동로드를 로킹시키거나 누름력이 해제되어 언 로킹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로킹 볼과 이를 수용하는 볼 하우징이 단일 개수로 만족하며 볼 누름구와 로킹 볼은 단일 형태의 부품으로 구성하여도 작동 상 무방한 것이어서 전동 부품수의 감소효과를 가져오게 되며, 또한 로킹 제어편이 기존의 로킹 제어판과 로킹제어구의 기능을 겸하게 됨으로써 플런져의 몰입력을 로킹 제어편을 거쳐 바로 로킹 볼로 전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전동 매체수의 감소가 가능하며, 볼 누름구와 접촉되는 로킹 제어편은 별도의 스프링과 같은 탄발 부재가 없더라도 로킹 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구조이며, 또한 위치 제한편과 같은 로킹 제어구의 이탈방지구조가 없더라도 로킹 제어편의 이 또한 전동 부품수의 감소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으로, 기존의 로킹 구조에 비하여 소요되는 부품수를 크게 줄여줌으로써 전체적인 구조의 단순화를 기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조공정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과 작업 능률을 향상할 수 있으며, 고장 발생률과 제조원가의 절감을 통해 제품의 신뢰성을 개선하고 실용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적용 상태를 보이는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소화기 작동 대기 상태의 본 고안 로킹 제어구조를 보이는 요부 확대도.
도 4는 소화기를 분사시키는 상태의 본 고안 로킹 제어구조를 보이는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이는 도면.
도 6은 기존의 로킹 구조가 적용된 소화기 자동작동장치를 보이는 예시도.
도 7은 도 6에 적용된 기존 로킹 구조의 단면 예시도.
도 8은 도 6에 적용된 기존 로킹 구조의 횡단면 예시도.
도 1은 본 고안의 적용 상태를 보이는 정면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분리 사시도로서,
소화기(F)와 결합 설치되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레버 홀딩편(13)과 로킹홈(12)을 구비하는 작동로드(11)를 작동 스프링(S)을 이용하여 탄발 가능하게 설치하며 화재 시 하우징(10)의 내, 외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감지센서를 통하여 몰입 동작되는 솔레노이드(14)의 플런져(14') 및 플런져(14')의 몰입력을 이용하여 작동 대기 위치의 작동로드(11)를 작동시키거나 작동로드(11)를 작동 대기위치로 로킹시켜주기 위한 로킹 제어구조(20)를 포함하는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킹 제어구조(20)는,
상기 하우징(10)내에 작동로드(1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구성되는 볼 하우징 삽지홈(21A)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단에 이탈 방지용 단턱(21B)을 구비하는 관체 상의 볼 하우징(21)과;
상기 볼 하우징(21)의 내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로킹 볼(22)과;
상기 로킹 볼(22)과 상시 접촉 상태로 볼 하우징(21)의 내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몸통부(23A)와 외부로 노출되는 머리부(23B)를 구비하며 상기 로킹 볼(22)을 작동로드(11)의 로킹 홈(12) 쪽으로 밀어주기 위한 볼 누름구(23)와;
상기 하우징(10)내에 고정 핀(25)을 통하여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축설되며 본체(24A)의 전면에 각각 볼 누름구(23)와 접촉 시 작동로드(11)를 로킹시키는 로킹면(24B)과 작동로드(11)를 언 로킹시키는 언 로킹면(24C)을 구비하며 본체(24A)의 후단에는 레버(24D)를 일체로 구비하는 로킹 제어편(24)과;
상기 로킹 제어편(24)의 레버(24D)가 관통 상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14)의 플런져(14')에 길이 방향으로 절결 구성되는 레버 수용홈(26)과;
상기 솔레노이드(14)의 플런져(14')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플런져(14')의 레버 수용홈(26)에 끼워진 레버(24D)의 이탈방지와 플런져(14')의 몰입 시 레버(24D)를 언 로킹 방향으로 회동시켜 주기 위한 레버 작동 핀(27)을 각각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 예로서, 상기한 볼 누름구(23)와 로킹 볼(22)의 기능을 하나의 부품에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볼 누름구(23)의 몸통부(23A)의 말단에 반구형의 로킹 단부(23C)를 두어 이 로킹 단부(23C)가 로킹 볼(22)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
(L)은 작동레버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하우징(10)에는 덮개판(미도시 함)이 씌워지게 되며 도 1에서와 같이 작동로드(11)의 레버 홀딩편(13)이 소화기(F)의 작동레버(L)를 걸어 지지시키는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밴드를 통해 소화기(F)에 부착 설치하되 관리자의 관찰이 용이한 적정 장소에 비치하게 되며, 소화기의 비치장소와 별도로 화재의 발생이 우려되는 장소에는 별도의 연기나 열 등의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하우징(10)내부의 솔레노이드(14)와 연계 작동하도록 한다.
한편 도 1과 도 2는 작동로드(11)의 레버 홀딩편(13)이 작동레버(L)를 당기기 전의 작동 대기상태로서 작동로드(11)의 선단은 돌출되어 있으며 후단은 몰입되어 도 3에서와 같이 로킹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로킹된 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14)의 플런져(14')는 최대한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며, 볼 누름구(23)가 볼 하우징(21)의 내부로 최대한 몰입되도록 한 상태이며 볼 누름구(23)의 몸통부(23A)의 단부에 접하는 로킹 볼(22)은 작동로드(11)의 로킹 홈(12)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레버(24D)가 플런져(14')의 레버 수용홈(26)에 끼워진 로킹 제어편(24)의 로킹면(24B)은 플런져(14')의 돌출로 인해 볼 누름구(23)의 머리부(23B)와 맞닿아 접촉됨으로써 볼 누름구(23)와 로킹 볼(22)이 무단으로 후퇴되어 로킹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로드(11)가 작동 스프링(S)에 의해 상시 후단부 쪽으로 돌출되려는 힘이 부여되지만 로킹 볼(22)이 로킹홈(12)에서 밀려날 수 없어 로킹 제어편(24)의 로킹면(24B)이 볼 누름구(23)의 머리부(23B)에서 이탈되어 벗어나지 않는 한 작동로드(11)의 후단부 쪽으로의 진출은 억제된다.
이와 같은 작동 대기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연기나 열이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감지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14)가 구동되어 플런저(14')가 몰입되면서 상승하게 되고 따라서 플런저(14')의 레버 수용홈(26)에 끼워진 레버(24D)는 레버 작동핀(27)에 걸려져 도 4에서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상향 회동하게 되고 따라서 볼 누름구(23)의 머리부(23B)와 접촉하고 있던 로킹 제어편(24)의 로킹면(24B)은 머리부(23B)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언 로킹면(24C)이 위치되어 볼 누름구(23)의 머리부(23B)와의 사이에 이격 간격을 형성하여 볼 누름구(23)와 로킹 볼(22)의 가동 여유 공간이 마련되게 된다.
이와 같이 로킹 볼(22)이 몰입 후퇴될 여유 간격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시 작동로드(11)를 후단부 쪽으로 돌출시키려는 작동 스프링(S)의 탄발력에 의해 로킹 볼(22)은 로킹 홈(12)에서 밀려나 볼 하우징(21)의 내부로 몰입되면서 로킹 홈(12)에서 빠져 나오게 되면서 작동로드(3)의 로킹이 해제됨과 동시에 빠져나오는 로킹 볼(22)은 볼 누름구(23)의 몸통부(23A)를 밀어내어 머리부(23B)가 언 로킹면(24C) 사이의 가동 공간으로 밀려 나와 로킹 제어편(24)의 언 로킹면(24C)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로킹이 해제되면 작동로드(11)는 작동 스프링(S)의 탄발력으로 순간적으로 발사되듯 후단부 쪽으로의 진출되어 결국 반대편의 선단부에 고정된 레버 홀딩편(13)을 당겨주게 됨으로써 소화기(F)의 작동레버(L)를 당겨 소화액이나 분말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내지 도 4에서는 로킹 볼(22)과 볼 누름구(23)를 별개로 구성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도 5에서와 같이 몸통부(23A)의 후단에 로킹 볼(22)의 기능을 하는 반구형의 로킹 단부(23C)를 일체로 구성하면 단일 형상의 부품으로도 동일한 기능과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10:하우징 11:작동로드
12:로킹홈 13:레버 홀딩편
14:솔레노이드 14':플런져
20:로킹 제어구조 21:볼 하우징
21A: 볼 하우징 삽지홈 21B:이탈 방지용 단턱
22:로킹 볼 23:볼 누름구
23A:몸통부 23B:머리부
24:로킹 제어편 24A:본체
24B:로킹면 24C:언 로킹면
24D:레버 25:고정 핀
26:레버 수용홈 27:레버 작동 핀

Claims (2)

  1. 소화기(F)와 결합 설치되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레버 홀딩편(13)과 로킹홈(12)을 구비하는 작동로드(11)를 유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화재 시 하우징(10)의 내, 외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감지센서를 통하여 몰입 동작되는 솔레노이드(14)의 플런져(14') 및 플런져(14')의 몰입력을 이용하여 작동 대기 위치의 작동로드(11)를 작동시키거나 작동로드(11)를 작동 대기위치로 로킹시켜주기 위한 로킹 제어구조(20)를 포함하는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킹 제어구조(20)는,
    상기 하우징(10)내에 작동로드(1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구성되는 볼 하우징 삽지홈(21A)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단에 이탈 방지용 단턱(21B)을 구비하는 관체 상의 볼 하우징(21)과;
    상기 볼 하우징(21)의 내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로킹 볼(22)과;
    상기 로킹 볼(22)과 상시 접촉 상태로 볼 하우징(21)의 내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몸통부(23A)와 외부로 노출되는 머리부(23B)를 구비하며 상기 로킹 볼(22)을 작동로드(11)의 로킹 홈(12) 쪽으로 밀어주기 위한 볼 누름구(23)와;
    상기 하우징(10)내에 고정 핀(25)을 통하여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축설되며 본체(24A)의 전면에 각각 볼 누름구(23)와 접촉 시 작동로드(11)를 로킹시키는 로킹면(24B)과 작동로드(11)를 언 로킹시키는 언 로킹면(24C)을 구비하며 본체(24A)의 후단에는 레버(24D)를 일체로 구비하는 로킹 제어편(24)과;
    상기 로킹 제어편(24)의 레버(24D)가 관통 상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14)의 플런져(14')에 길이 방향으로 절결 구성되는 레버 수용홈(26)과;
    상기 솔레노이드(14)의 플런져(14')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플런져(14')의 몰입 시 레버 수용홈(26)에 끼워진 레버(24D)를 당겨 언 로킹 방향으로 회동시켜 주기 위한 레버 작동 핀(27)을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의 로킹 제어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 누름구(23)의 몸통부(23A) 말단에 로킹 볼(22)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반구형의 로킹 단부(23C)를 일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의 로킹 제어구조.
KR2020100000742U 2010-01-22 2010-01-22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의 로킹 제어구조 KR200459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742U KR200459148Y1 (ko) 2010-01-22 2010-01-22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의 로킹 제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742U KR200459148Y1 (ko) 2010-01-22 2010-01-22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의 로킹 제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530U KR20110007530U (ko) 2011-07-28
KR200459148Y1 true KR200459148Y1 (ko) 2012-03-21

Family

ID=45596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742U KR200459148Y1 (ko) 2010-01-22 2010-01-22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의 로킹 제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14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276B1 (ko) * 2020-04-09 2022-09-27 주식회사 아산정밀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498Y1 (ko) * 2005-09-16 2005-12-09 최지영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498Y1 (ko) * 2005-09-16 2005-12-09 최지영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530U (ko)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6855B2 (en) Dynamic fire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i'hereof
KR200403498Y1 (ko)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
EP2638935B1 (en) Automatic actuation of a general purpose hand extinguisher
JP6258631B2 (ja) 消防用設備及び消火栓装置
US4079862A (en) Chemical dispensing anti-burglary booby trap device
KR200459148Y1 (ko)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의 로킹 제어구조
TWI505851B (zh) 抑制劑致動器總成
JP2001340485A (ja) 差圧式開放弁および開放式スプリンクラー設備
KR100679675B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JP2017086202A (ja) 消火器ユニット
JP5744565B2 (ja) 消火栓装置
JP5371815B2 (ja) 扉の解錠装置
US3967757A (en) Anti-burglary irritant spraying device
KR200327645Y1 (ko) 소화기
KR20040015847A (ko) 질소가스에 의해 포말액이 방출되는 이동 가능한 긴급화재진압용 소화장치
KR102059585B1 (ko) 자동소화설비의 밸브 기동 장치 및 자동소화설비
CN211158291U (zh) 主被动灭火装置的总成
LU505281B1 (en) Self-protection method for firefighting box and firefighting box
JP5020166B2 (ja) 消火ガス噴射器
CN110841233A (zh) 一种间接式探火管灭火系统专用的手动启动装置
JP2011147589A (ja) 放水ノズル
CN210044739U (zh) 一种具有击穿功能的灭火器
KR102306477B1 (ko)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CN213049120U (zh) 一种具有快速开启功能的室内消防栓
KR102447276B1 (ko)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