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016Y1 -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 - Google Patents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016Y1
KR200459016Y1 KR2020090004632U KR20090004632U KR200459016Y1 KR 200459016 Y1 KR200459016 Y1 KR 200459016Y1 KR 2020090004632 U KR2020090004632 U KR 2020090004632U KR 20090004632 U KR20090004632 U KR 20090004632U KR 200459016 Y1 KR200459016 Y1 KR 200459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electroluminescent sheet
electroluminescent
floo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547U (ko
Inventor
피완수
Original Assignee
(주)한국에빅스
피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에빅스, 피완수 filed Critical (주)한국에빅스
Priority to KR2020090004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016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5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5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0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8Ground signs, i.e. display signs fixed on the grou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3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in pavem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류 소모량이 적고, 위치에 상관없이 균일한 휘도로 발광되며, 발광 패턴별 개별 제어가 가능한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은 바닥에 매립되어, 피난 방향을 지시하는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에 있어서, 투명한 폴리 카보네이트 시트로 코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계 발광 시트;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패턴이 인쇄된 표시 시트; 상기 표시 시트의 상부에 적층되는 투명한 강화 유리층; 및 상기 적층된 강화 유리층, 표시 시트 및 전계 발광 시트의 측면부를 감싸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 카보네이트 시트는,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배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계 발광 시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과의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배면 일부를 노출시킨다.

Description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RECLAIMING TYPE EMERGENCY GUIDE LINE}
본 고안은 피난 유도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에 매립되어 유사시에 피난 경로를 안내하는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에 관한 것이다.
피난 유도등은 화재 발생 등의 유사시에 피난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조명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피난 유도등은 항시 점등 상태를 유지하거나, 화재 등으로 인한 정전시에만 점등된다. 이때, 피난 유도등은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게 되며, 정전시에는 UPS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게 된다.
보통 종래의 피난 유도등은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ourscent Lamp, CCFL) 등의 램프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이용하여 구성되는데, 이러한 조명들은 전류 소모량이 매우 크다. 따라서, 종래의 피난 유도등은 정전으로 인해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 경우, 한정된 배터리 용량 때문에 점 등 시간이 매우 짧을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LED는 직류(DC) 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원 드롭(drop) 현상으로 인해, 전원이 공급되는 시작단에 비해 끝단의 밝기가 어두워, 전체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발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CCFL의 경우, 교류(AC) 전원을 사용하기는 하지만, 소비 전력이 LED에 비해 더 높다.
한편, 축광을 이용하는 피난 유도등의 경우,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형광등 등의 빛을 축광하여 사용한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조명의 온/오프 제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피난 유도등으로서는 그 역할이 미미하다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피난 유도등은 주로 건물의 측벽에 설치되기 때문에, 유사시의 정전으로 인해 건물의 조명이 소등된 상태에서 다수의 사람들이 대피하는 경우, 바닥면을 안내할 수 없어 혼란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피난 유도등은 일괄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기 때문에, 설정된 하나의 피난 방향밖에 제공할 수 없어서, 피난 유도등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오히려 더 큰 인명 피해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전원 공급선에 단락 등이 발생하는 경우, 피난 유도등 전체의 점등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류 소모량이 적은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원 공급 시작 지점으로부터의 위치에 상관없이 균일한 휘도로 점등되는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발광 패턴별 개별 제어가 가능하여, 피난 방향을 유동적으로 지시할 수 있는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은 바닥에 매립되어, 피난 방향을 지시하는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에 있어서, 투명한 폴리 카보네이트 시트로 코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계 발광 시트;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패턴이 인쇄된 표시 시트; 상기 표시 시트의 상부에 적층되는 투명한 강화 유리층; 및 상기 적층된 강화 유리층, 표시 시트 및 전계 발광 시트의 측면부를 감싸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 카보네이트 시트는,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배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계 발광 시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과의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배면 일부를 노출시킨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은 바닥에 매립되 어, 피난 방향을 지시하는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에 있어서, 투명한 폴리 카보네이트 시트로 코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계 발광 시트;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상부에 적층되는 투명한 폴리 카보네이트 재질의 보호 시트; 및 상기 적층된 보호 시트 및 전계 발광 시트의 상부 및 측면부를 감싸고, 상부면에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노출부가 형성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 카보네이트 시트는,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배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계 발광 시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과의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배면 일부를 노출시킨다.
상기 전계 발광 시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전계 발광 시트는 상기 전계 발광 시트별로 개별적인 전원 공급 경로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발광 패턴은 상기 발광 패턴별로 개별적인 전원 공급 경로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발광 패턴은 제1 방향을 지시하는 제1 화살표 패턴, 및 상기 제1 방향과 서로 다른 제2 방향을 지시하는 제2 화살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살표 패턴은 제1 제어 신호-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제1 화재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발생됨-를 이용하여 공급된 제1 구동 신호에 의해 점등되며, 상기 제1 화살표 패턴은 제2 제어 신호-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제2 화재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발생됨-를 이용하여 공급된 제2 구동 신호에 의해 점등된다.
상기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은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배면에 부착되는 방수 테이프; 및 상기 방수 테이프의 하부면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 사이에 도포되어, 상기 방수 테이프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코킹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은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배면에 도포되는 코킹막을 포함하고, 상기 코킹막은 상기 전계 발광 시트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밀폐한다.
상기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은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배면에 부착되는 방수 테이프; 및 상기 방수 테이프의 배면에 도포되는 코킹막을 포함하고, 상기 코킹막은 상기 방수 테이프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밀폐한다.
상기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은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백업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계 발광 시트를 사용하여 광을 발생하기 때문에, 전류 소모량이 매우 적어 유사시 배터리 전원만으로도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고, 전기적으로도 안전하며, 위치에 상관없이 균일한 휘도의 발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르면, 각각 별도의 전원 공급선을 통해 발광 패턴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발광 패턴별 개별 제어가 가능하여, 유사 상황에 따라 피난 방향을 유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르면, 강화 유리, 코킹, 스테인리스 스틸 프레임 구조를 통해 바닥 매립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유사시 피난 유도에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은 강화 유리층(110), 표시 시트(120), 및 폴리 카보네이트 시트(140)로 코팅된 전계 발광 시트(13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먼저, 전계 발광(ElectroLuminescence, EL) 시트(130)는 두 전극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면 유전체를 매체로 하여 변위 전류가 생성됨으로써 형광체에서 빛이 발생하는 자발광형 시트로서, 주파수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과 휘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즉, 본 고안은 CCFL이나 LED 대신 EL 시트(130)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류 소모가 최소화되어, 정전시 배터리 전원만으로도 장시간의 발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기적으로 안전한 효과가 있다. 또한, EL 시트(130)는 교류(AC) 전원을 통해 구동되기 때문에, 전원이 공급되는 시작단과 끝단의 밝기가 균일하여, 위치에 상관없이 균일한 휘도를 발생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전원 공급선의 연장을 통해 다수의 EL 시트(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에도, 위치에 따른 밝기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러한 EL 시트(13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시트(140)를 이용하여 코팅됨으로써 난연성이 향상된다. 한편, PC 시트(140)의 배면에는 EL 시트(1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선이 배치되며, PC 시트(140)는 전원 공급선과의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EL 시트(130)의 배면 일부를 노출시킨다.
EL 시트(130)는 개별 구동이 가능한 다수개의 발광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발광 패턴별로 분리 형성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피난 유도선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EL 시트(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EL 시트(130)는 피난 유도선의 전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발광시키고자 하는 발광 패턴으로만 부분 형성될 수도 있다. EL 시트(130)의 발광 패턴은 피난 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화살표 또는 비상구까지의 거리 수치 등으로 형성 가능하다. EL 시트(130)의 발광 패턴이 화살표로 형성되는 경우, 화살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을 표시하도록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화살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별 구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사 상황에 대응하여 유동적으로 피난 방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을 지시하는 복수의 화살표 중 일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를 동시에 점등하거나, 일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점등할 수 있다.
도 3은 패턴별 개별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전원 공급선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EL 시트(130)의 배면부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각각의 발광 패턴(130a 내지 130d)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EL 시트(130) 내에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분리된 EL 시트(130)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각 발광 패턴(130a 내지 130d)들은 서로 다른 전원 공급선(11 내지 14)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개별 구동이 가능하다.
상세히 하면, 제1 발광 패턴(130a)은 제1 전원 공급선(11)과의 전기적 접점(11a)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제2 발광 패턴(130b)은 제2 전원 공급선(12)과의 전기적 접점(12a)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제3 발광 패턴(130c)은 제3 전원 공급선(13)과의 전기적 접점(13a)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제4 발광 패턴(130d)은 제4 전원 공급선(14)과의 전기적 접점(14a)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를 통 해, 본 고안에서는 하나의 전원 공급선에 접속되는 발광 패턴의 개수가 줄어들어 배선 저항이 감소함으로써 과열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 배선이 단락되는 경우에도 전체적으로 점등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염려가 없다. 이때, 각각의 전원 공급선(11 내지 14)을 통한 전원 공급은 UPS 내부의 인버터 등을 통해 제어됨으로써, 각각의 발광 패턴(130a 내지 130d)들에 대한 개별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발광 패턴(130a 내지 130d)들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두 방향을 가리키도록 형성되는 실시 예에서, 동일한 방향을 가리키는 패턴들끼리는 동일한 전원 공급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3 발광 패턴(130a, 130c)이 동일한 전원 공급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고, 제2 및 제4 발광 패턴(130b, 130d)이 동일한 전원 공급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함으로써, 전원 공급선의 배선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동일한 전원 공급선을 통해 발광 패턴 그룹 단위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도 3의 도면에서는 표시상의 구분을 위해 전원 공급선을 1개의 선으로 도시하였으나, 각각의 발광 패턴에는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고전위 전원과 저전위 전원이 함께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피난 유도선은 각각의 발광 패턴에 대한 개별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 따라 대피 방향을 유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화살표를 순차적으로 점등함으로써, 피난 방향을 시각적으로도 효과적이게 지시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EL 시트(130) 가 평상시에는 소등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정전시나 화재 신호 수신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점등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별도의 오퍼레이터 등을 작동하는 경우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서로 다른 방향의 화살표 발광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 방향 제어 스위치를 통해 특정 방향의 화살표가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EL 시트(130)의 발광 패턴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을 가리키는 화살표 패턴과 우측을 가리키는 화살표 패턴으로 구성되는 경우, 각 화살표 패턴은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의 화재 감지 신호를 통해 각각 제어될 수 있다.
상세히 하면, 피난 유도선의 좌측 방향에 위치하는 제1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제1 화재 감지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UPS의 제어부 또는 별도의 제어부는 제1 화재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UPS 등의 전원 공급부는 제1 제어 신호에 따른 제1 구동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우측을 가리키는 화살표 패턴이 점등되도록 한다.
반대로, 피난 유도선의 우측 방향에 위치하는 제2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제2 화재 감지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UPS의 제어부 또는 별도의 제어부는 제2 화재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제2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UPS 등의 전원 공급부는 제2 제어 신호에 따른 제2 구동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좌측을 가리키는 화살표 패턴이 점등되도록 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화재가 감지된 방향을 피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피난 유도등을 자동 점등할 수 있다.
표시 시트(120)는 EL 시트(130)의 상부에 적층되고, 피난 유도선이 주변 환경과 조화될 수 있도록 패턴이 인쇄될 수 있다. 이때, 인쇄 패턴은 EL 시트(130)의 발광 영역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반투명 또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EL 시트(130)에서 발생한 광이 외부로 표출되도록 할 수도 있고, EL 시트(130)와 대응되는 부분은 투명하게 형성되고 그 외의 부분은 불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하다.
강화 유리층(110)은 표시 시트(120)의 상부에 적층되어, 피난 유도선이 바닥 매립형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며, 표시 시트(120)의 패턴 및 EL 시트(130)로부터의 광이 외부로 표출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된다.
EL 시트(130)의 하부에는 EL 시트(130) 및 전원 공급선들의 방수를 위하여 방수 테이프(150)가 부착될 수 있으며, 방수 효과 및 보호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방수 테이프(150)의 하부에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의 코킹막(160)이 더 도포될 수 있다. 방수 테이프(150)와 코킹막(160)은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다 사용되는 경우에는 EL 시트(130), 방수 테이프(150), 코킹막(160) 순으로 구성된다.
프레임(17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적층된 강화 유리층(110), 표시 시트(120) 및 EL 시트(130)의 측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피난 유도선을 지지 및 고정하며, 본 고안의 피난 유도선이 바닥 매립형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된다.
프레임(170)과 상술한 적층 구성의 표면 사이에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으로 형성된 코킹(180)이 도포되어, 프레임(170)과 적층 구성의 표면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이격 공간을 밀폐함으로써, 적층 구성에 대한 프레임(170)의 접착력을 강화함과 아울러, 방수 효과를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코킹(180)은 프레임(170)의 상부와 강화 유리층(110)의 상부면 사이에 도포되고, EL 시트(130)의 배면에 방수 테이프(150)만 형성된 경우에는 프레임(170)의 하부와 방수 테이프(150)의 하부면 사이에 도포된다. 한편, EL 시트(130)의 배면 또는 방수 테이프(150) 배면에 코킹막(160)이 도포되는 경우에는 코킹막(160)이 코킹(180)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프레임(170) 내부에는 코킹(180) 및 적층에 사용되는 접착제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17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백업재(190)가 배치되어, EL 시트(130)의 누전 등을 예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은 EL 시트(130)의 발광면 상에 위치하는 색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색필름은 PC 재질의 썬팅지 등으로 형성 가능하며, EL 시트(130)에서 발생하는 광이 지나치게 확산되어 피난 유도선의 화살표 등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필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EL 시트(130)의 발광 방향이면 어느 부분에 적층되어도 상관없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의 사시 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은 보호 시트(210), 및 PC 시트(230)로 코팅된 EL 시트(220)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때, PC 시트(230) 코팅을 비롯한 EL 시트(220)의 구성, 전원 공급선의 배치, 및 방수 테이프(240), 코킹막(250), 코킹(270), 백업재(280)의 구조는 상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과 동일하다.
보호 시트(210)는 EL 시트(220)의 상부에 적층되어 외부로부터 EL 시트(220)를 보호하고, EL 시트(220)에서 발생한 광이 외부로 표출될 수 있도록 투명한 PC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프레임(260)은 적층 구성의 상부 및 측면부를 감싸도록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어 피난 유도선을 지지 고정하며, EL 시트(220)의 발광 영역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노출부(260a)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노출부(260a)는 상술한 일 실시 예의 표시 시트(120)와 마찬가지로 화살표 등의 패턴을 가지게 된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와 비교했을 때, 강화 유리층(110), 표시 시트(120) 및 측면 프레임(170) 구조가 상부 및 측면 프레임(260) 구조로 대체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이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 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 신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의 사시도,
도 3은 EL 시트 배면에 배치되는 전원 공급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 내지 14 : 전원 공급선 110 : 강화 유리층
120 : 표시 시트 130, 220 : EL 시트
140, 230 : PC 시트 150, 240 : 방수 테이프
160, 250 : 코킹막 170, 260 : 프레임
180, 270 : 코킹 190, 280 : 백업재
210 : 보호 시트

Claims (10)

  1. 바닥에 매립되어, 피난 방향을 지시하는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에 있어서,
    투명한 폴리 카보네이트 시트로 코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계 발광 시트;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패턴이 인쇄된 표시 시트;
    상기 표시 시트의 상부에 적층되는 투명한 강화 유리층; 및
    상기 적층된 강화 유리층, 표시 시트 및 전계 발광 시트의 측면부를 감싸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 카보네이트 시트는,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배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계 발광 시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과의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배면 일부를 노출시키며,
    상기 전계 발광 시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패턴은 상기 발광 패턴별로 서로 다른 전원 공급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
  2. 바닥에 매립되어, 피난 방향을 지시하는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에 있어서,
    투명한 폴리 카보네이트 시트로 코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계 발광 시트;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상부에 적층되는 투명한 폴리 카보네이트 재질의 보호 시트; 및
    상기 적층된 보호 시트 및 전계 발광 시트의 상부 및 측면부를 감싸고, 상부면에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노출부가 형성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 카보네이트 시트는,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배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계 발광 시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과의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배면 일부를 노출시키며,
    상기 전계 발광 시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전계 발광 시트는 상기 전계 발광 시트별로 서로 다른 전원 공급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
  3. 삭제
  4. 바닥에 매립되어, 피난 방향을 지시하는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에 있어서,
    투명한 폴리 카보네이트 시트로 코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계 발광 시트;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패턴이 인쇄된 표시 시트;
    상기 표시 시트의 상부에 적층되는 투명한 강화 유리층; 및
    상기 적층된 강화 유리층, 표시 시트 및 전계 발광 시트의 측면부를 감싸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 카보네이트 시트는,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배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계 발광 시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과의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배면 일부를 노출시키며,
    상기 전계 발광 시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전계 발광 시트는 상기 전계 발광 시트별로 서로 다른 전원 공급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
  5. 바닥에 매립되어, 피난 방향을 지시하는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에 있어서,
    투명한 폴리 카보네이트 시트로 코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계 발광 시트;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상부에 적층되는 투명한 폴리 카보네이트 재질의 보호 시트; 및
    상기 적층된 보호 시트 및 전계 발광 시트의 상부 및 측면부를 감싸고, 상부면에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노출부가 형성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 카보네이트 시트는,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배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계 발광 시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과의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배면 일부를 노출시키며,
    상기 전계 발광 시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패턴은 상기 발광 패턴별로 서로 다른 전원 공급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
  6.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패턴은 제1 방향을 지시하는 제1 화살표 패턴, 및 상기 제1 방향과 서로 다른 제2 방향을 지시하는 제2 화살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살표 패턴은 제1 제어 신호-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제1 화재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발생됨-를 이용하여 공급된 제1 구동 신호에 의해 점등되며,
    상기 제1 화살표 패턴은 제2 제어 신호-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제2 화재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발생됨-를 이용하여 공급된 제2 구동 신호에 의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
  7.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배면에 부착되는 방수 테이프; 및
    상기 방수 테이프의 하부면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 사이에 도포되어, 상기 방수 테이프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코킹
    을 포함하는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
  8.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배면에 도포되는 코킹막을 포함하고,
    상기 코킹막은 상기 전계 발광 시트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
  9.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 발광 시트의 배면에 부착되는 방수 테이프; 및
    상기 방수 테이프의 배면에 도포되는 코킹막
    을 포함하고,
    상기 코킹막은 상기 방수 테이프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
  10.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백업재를 포함하는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
KR2020090004632U 2009-04-17 2009-04-17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 KR200459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632U KR200459016Y1 (ko) 2009-04-17 2009-04-17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632U KR200459016Y1 (ko) 2009-04-17 2009-04-17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547U KR20100010547U (ko) 2010-10-27
KR200459016Y1 true KR200459016Y1 (ko) 2012-03-22

Family

ID=44200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632U KR200459016Y1 (ko) 2009-04-17 2009-04-17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0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237B1 (ko) * 2022-11-08 2023-09-13 유재열 바닥 설치용 정보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884Y1 (ko) * 2016-05-11 2020-01-16 윤남기 피난유도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862Y1 (ko) * 2003-07-24 2003-10-10 김오영 비상 발광표시 디스플레이
KR200390209Y1 (ko) * 2005-05-04 2005-07-20 김미진 발광기능을 구비한 바닥 통로 유도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862Y1 (ko) * 2003-07-24 2003-10-10 김오영 비상 발광표시 디스플레이
KR200390209Y1 (ko) * 2005-05-04 2005-07-20 김미진 발광기능을 구비한 바닥 통로 유도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237B1 (ko) * 2022-11-08 2023-09-13 유재열 바닥 설치용 정보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547U (ko) 201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2123B2 (en) Flat illumination device for illumination and backlighting with integrated emergency power supply
JP4797682B2 (ja) 照明装置
GB2451955A (en) Electronic illuminated sign with image memory, in particular for emergency escape route indication.
US10679528B2 (en) Hybrid illuminated indicator sign
JP2007294630A (ja) 太陽電池発電装置
KR20160039397A (ko) 비상구 유도 기능을 갖는 안내표지판
JP2011243894A (ja) 有機el照明装置
KR200459016Y1 (ko) 바닥 매립형 피난 유도선
KR20100129414A (ko) 발광시트
JP4176624B2 (ja) 自発光式誘導装置及び災害時誘導システム
KR200459017Y1 (ko) 측벽용 난연성 피난 유도선
JP2008165337A (ja) 洞道内における誘導灯
JPWO2020080132A1 (ja) 発光装置および車両用灯具の発光装置シリーズ
JP2005116252A (ja) 建物の構造物に取り付けられる電気機器のカバー及び電気機器の組立体
JP2015012156A (ja) 照明器具
KR20120005584A (ko) 전자동 비상조명피난유도 홍보판
JP2008158057A (ja) 発光表示装置
JP2012129478A (ja) Elモジュールおよび照明装置
JP2015012155A (ja) 発光パネル及び照明器具
KR200346669Y1 (ko) 비상 유도등
JP2007331875A (ja) エレベータの照明装置。
KR20080109551A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구동 드라이버
JP7481679B2 (ja) 表示装置
CN209114358U (zh) 一种主动发光型交通指示牌
KR200346782Y1 (ko) 위병소 야간조명 입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