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737Y1 -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 - Google Patents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737Y1
KR200458737Y1 KR2020090007950U KR20090007950U KR200458737Y1 KR 200458737 Y1 KR200458737 Y1 KR 200458737Y1 KR 2020090007950 U KR2020090007950 U KR 2020090007950U KR 20090007950 U KR20090007950 U KR 20090007950U KR 200458737 Y1 KR200458737 Y1 KR 2004587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fixed shaft
lower body
adsorp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920U (ko
Inventor
김국환
Original Assignee
김국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환 filed Critical 김국환
Priority to KR2020090007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737Y1/ko
Publication of KR201000129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9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7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7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6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the suction cups being activated by the rotation of a cranked lever ar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8Accessories for toilet tables, e.g. glass plates, supports therefor
    • A47K1/09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 brushes, hair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A47K10/025Holders;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8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for both soap and toothpaste or the like; in combination with 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brushes, or the like ; Toothpaste dispensers; Dental care centers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는 연질재로 된 흡착판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축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축의 외측에 스프링이 구비되며, 관통공을 형성하고 패킹이 끼움된 하부몸체가 상기 고정축에 삽입되어 상기 흡착판의 상면에 밀착된다.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에 위치되어 원터치로 회전되는 상부몸체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몸체에 거치가능한 거치구를 결합시켜 캡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상부몸체를 원터치(One Touch)로 회전시키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강한 진공압이 발생하여 피착면에 견고하고 지속적으로 부착되는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를 제공한다.
흡착구,흡착판,고정축,스프링,나선홈,결합돌기,거치구,캡

Description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ABSORPTIVE APPARATUS DETACHED BY ONE-TOUCH MODE}
본 고안은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터치(One Touch)로 회전되면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강한 진공압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피착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착구는 매끄러운 면에 흡착되는 것으로서 눌러서 압축하는 제품과 볼트를 돌려 진공압축시키는 제품으로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흡착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흡착구(100)는 피착면(110)에 밀착력을 갖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된 흡착부재(120)와, 상기 흡착부재(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캡(130)과, 상기 지지캡(130)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지지축(140)과, 상기 지지축(140)의 상단에 피벗결합되는 작동레버(1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착부재(120)를 피착면(11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작동레버(150)를 선회시키면 상기 작동레버(150)에 의해 흡착부재(120)가 들어 올려져 피착면(110)과 흡착부재(120) 사이가 진공상태가 되어 흡착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흡착구(100)는 작동레버(150)를 반복하여 오래도록 사용하다 보면 상기 작동레버(150)가 마모가 되고, 이러한 마모현상으로 인해 흡착력이 약해져 물건을 지지하는 하중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2는 종래의 다른 흡착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흡착구(200)는 중앙에 상,하로 관통공(212)이 형성된 캡형상의 케이스(210)와, 상기 관통공(212)에 정렬되는 나사축(222)이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210) 하측에 구비되는 연질소재로 된 흡착판(220)과, 상기 나사축(222)의 선단에 나사결합되는 조임구(230)와, 저면 일부가 상기 흡착판(220)의 둘레부 상면에 겹쳐지도록 상기 케이스(210)의 저면 둘레부에 끼워지는 가압링(240)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링(240)은 상기 흡착판(220) 보다 경도가 낮은 연질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흡착구(200)를 피착면(미도시)에 가압시킨 후, 상기 조임구(230)를 조이면 상기 흡착판(220)의 중앙부가 상향으로 들어 올려지며, 상기 흡착판(220)의 중앙부가 들리면 피착면과 흡착판(220) 사이에 형성되는 밀폐공간에 진공압이 발생하여 흡착구(200)가 부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흡착구(200)는 피착면에 부착될 때 조임구(230)를 풀어 놓은 상태에서 피착면에 가압시킨 후, 상기 조임구(230)를 여러 번 돌려 조이면서 일정한 외력이 가해져야만 상기 흡착구(200)가 피착면에 부착되었기 때문에 흡착구(200) 설치시 상기 조임구(230)를 세게 조이지 않으면 일정한 외력에 의해 피착면과 흡착판(220) 사이에 진공압의 발생이 미흡하였다.
또한, 종래 흡착구(200)는 상기 조임구(230)를 조이고 푸는 과정에서 상기 조임구(230)는 나사축(222)에 빠져서 상기 케이스(210)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흡착구(200)는 설치후 오랜시간 경과하면 상기 조임구(230)가 느슨해져 흡착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몸체를 원터치로 회전시키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강한 진공압이 일정 압력으로 유지되어 피착면에 견고하고 지속적으로 부착되는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하부몸체의 둘레벽을 패킹의 걸림턱에 밀착시켜 압착되도록 한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패킹의 환형홈에 의해 매끄럽지 않은 피착면에도 압착되도록 한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바닥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는 연질재의 흡착판; 상기 흡착판의 상면 중앙부에 고정되며, 상부에 요홈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서로 대향되게 나선홈이 형성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외측에 끼워지는 스프링;상기 흡착판의 상부에 밀착되며, 중앙에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며, 저면 둘레에 패킹이 끼움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에 회전가능 하게 위치하며, 상기 고정축의 나선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갖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끼움홀을 갖는 거치구; 및 상기 거치구를 커버하는 캡;을 포함하는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를 제공한다.
상기 흡착판의 상면 중앙부에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흡착판의 둘레부에 돌출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축의 나선홈 상단에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몸체의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몸체의 패킹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몸체의 패킹 저면 둘레에 환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몸체의 관통공 둘레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 둘레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바닥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는 연질재의 흡착판; 상기 흡착판의 상면 중앙부에 고정되며, 상부에 요홈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서로 대향되게 나선홈이 형성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외측에 끼워지는 스프링; 상기 고정축의 요홈에 삽입되는 보조스프링; 상기 흡착판의 상부에 밀착되며, 중앙에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며, 저면 둘레에 패킹이 끼움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고정축의 나선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갖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스프링지지보스를 갖는 거치구; 및 상기 거치구를 커버하는 캡;을 포함하는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상부몸체를 원터치로 회전시키면 고정축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나선홈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됨으로써, 상기 고정축과 일체로 고정된 흡착판은 중앙부가 들어 올려져 강한 진공압이 발생되므로 피착면에 흡착구를 탈착하고자 할 때 원터치 조작에 의해 쉽고 간편하게 탈착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압착시 상기 하부몸체의 둘레벽이 상기 패킹의 걸림턱을 압착하기 때문에 흡착판과 피착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진공압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패킹의 환형홈에 의해 매끄럽지 않은 피착면에도 압착되면서 밀폐되어 탈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구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구가 피착면에 부착되기 전의 종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부몸체(50)를 원터치로 회전시키면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강한 진공압이 발생하여 매끄러운 벽면이나 물체의 표면(이하 '피착면'이라 한다.)에 탈착되는 흡착구(1)이다.
상기 흡착구(1)를 보면, 연질재로 된 흡착판(10)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 축(20)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축(20)의 외측에 스프링(30)이 구비되며, 관통공(42)이 형성되는 하부몸체(40)가 상기 고정축(20)에 삽입되어 상기 흡착판(10)의 상면에 밀착된다.
상기 고정축(20)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몸체(40)의 상면에 원터치 회전되는 상부몸체(50)가 위치되고, 상기 상부몸체(50)의 상부에 거치가능한 거치구(60)가 결합되며 상기 거치구(60)를 커버하는 캡(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착판(10)은 일정한 직경을 갖으며 피착면(W)에 부착되기 위하여 바닥면이 평평하고 매끄럽게 형성된다.
상기 흡착판(10)의 상면은 경사져 형성되며 상기 흡착판(10)의 중앙부는 고정부(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착판(10)의 둘레에는 소정높이로 돌출테(14)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테(14)는 상기 흡착판(10)의 중앙부가 들어 올려지면 상기 흡착판(10)의 둘레부를 견고히 지지하며, 기밀이 유지된다.
이러한, 상기 흡착판(10)의 재질은 탈착이 용이하도록 연질의 우레탄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축(20)의 하단은 상기 흡착판(10)의 고정부(12)에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고정축(20)의 상부에는 요홈(2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축(20)의 외측면에는 서로 대향되게 상단부에서부터 하단부까지 나선홈(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축(20)의 상단에 대응되게 가이드홈(2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6)은 상기 나선홈(24)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50)가 가압되면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흡착판(10)과 고정축(20)은 견고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축(20)의 외측에는 스프링(30)이 끼워져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30)은 흡착판(10)의 상면에 위치되며, 탄력이 강한 코일스프링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몸체(40)는 상기 흡착판(10)의 상부에서 밀착되도록 상면 중앙부에 상기 고정축(20)이 삽입되는 관통공(4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몸체(40)의 저면에는 스프링지지홈(43)과 상기 하부몸체(40)의 저면 둘레에 수개의 내측벽(46)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하부몸체(40)의 하방에서 상기 스프링지지홈(43)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고정된다.
상기 하부몸체(40)의 저면 둘레에는 패킹(47)이 끼움된다.
상기 패킹(47)의 외주면에는 걸림턱(48)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40)의 둘레벽(44)이 상기 걸림턱(48)에 걸림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40)의 둘레벽(44)이 압착시 상기 패킹(47)의 걸림턱(48)을 압착하면서 흡착판(10) 내부 공간의 진공압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패킹(47)의 저면 둘레에 환형홈(49)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킹(47)의 환형홈(49)에 의해 매끄럽지 않은 피착면(미도시)에도 유동성있게 밀착될 뿐만 아니라, 밀페홈(49)을 기준으로 내,외부 중 어느 하나가 피착 면과 접하지 않거나 장기간 사용으로 일부가 피착면과 떨어지는 경우에도 진공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패킹(47)의 환형홈(49)를 기준으로 피착면에 접하는 부위가 이중으로 밀폐하는 구조로 되어, 매끄럽지 않은 피착면에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피착면과의 밀착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패킹(47)의 직경은 상기 흡착판(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흡착판(10)이 상기 패킹(49) 속으로 밀착된다.
상기 하부몸체(40)에 단턱지게 형성되는 관통공(42)의 둘레와 상기 하부몸체(40)의 상면 둘레에 각각 안착홈(45)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상부몸체(50)가 원터치 회전되면서 압착될 때 상기 상부몸체(50)는 안착홈(45)에 안정되게 안착되고 밀착된다.
상기 상부몸체(50)는 상기 하부몸체(4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부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몸체(50)의 중앙부 저면에는 내벽(52)이 하방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벽(52)의 내측면 하단에 마주보게 결합돌기(5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50)의 상면에는 단턱홈(56)을 갖는 단턱부(57)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홈(56)에 거치구(60)가 걸림되면서 회전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50)는 상기 하부몸체(40)에 설치할 때 상기 내벽(52)에 형성된 결합돌기(54)를 상기 고정축(20)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홈(26)에 가압시켜 나선홈(24)에 결합된다.
상기 거치구(60)는 상면에 구획되게 절개부(62)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단턱진 끼움홀(64)을 갖는다.
상기 절개부(62)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부(63)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62)로는 각종 생활용구의 거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거치구(60)의 외측둘레부 내면 하단에 단턱(65)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65)은 상부몸체(50)의 단턱홈(56)에 결합된다.
상기 거치구(60)의 상부에 씌워지는 캡(70)은 중앙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캡(70)의 저면에는 끼움구(72)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구(72)가 거치구(60)의 끼움홀(64)에 끼움된다.
이때, 상기 캡(70)의 저면 둘레에 돌출편(74)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편(74)이 절개부(62)에 삽입된다.
상기 캡(70)은 거치구(60)를 커버하고, 미관을 미려하게 할 뿐 아니라 회전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1)가 구성된다.
도 5는 흡착구가 피착면에 부착되기 전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흡착구(1)가 피착면(W)에 부착 전에는 상기 상부몸체(5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54)가 고정축(20)의 외측에 형성된 나선홈(24)의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50)는 하부몸체(40)의 상면에 형성되는 안착홈(45)에 소정간격 떨어져서 형성된다.
상기 흡착판(10)도 상기 하부몸체(40)에 형성되는 패킹(47)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도 6은 흡착구가 피착면에 부착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흡착판(10)을 피착면(W)에 밀착시킨 후, 상부몸체(50)를 원터치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50)의 결합돌기(54)가 나선홈(24)을 따라 고정축(2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결합돌기(54)는 상기 고정축(20)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선홈(24)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흡착판(10)은 스프링(30)의 탄성력과 상기 고정축(20)이 상승하여 작동되기 때문에 상기 흡착판(10)은 패킹(47)에 완전히 밀착된다.
또한, 상기 흡착판(10)의 중앙부가 들어 올려져 강한 진공압이 발생되면서 상기 흡착판(10)과 피착면(W) 사이에는 진공상태된다.
이 진공상태가 유지되면서 상기 흡착구(1)는 밀폐력을 가지면서 견고하게 피착면에 부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부착된 상태에서 흡착구(1)를 피착면(W)에서 이탈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상부몸체(50)를 반대방향으로 원터치 회전시키면 된다.
전술된 상기 결합돌기(54)가 나선홈(24)을 따라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슬라이드되면서 하부몸체(40)는 흡착판(10)과 밀착되지 않고, 상기 흡착판(10)에 발생되는 진공압이 없어져 이탈이 용이한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흡착구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술된 본 고안의 구성과 동일하며 진공압을 높이고 부착력을 더 세게하기 위하여 보조스프링(30')이 더 추가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축(20)에 형성되는 요홈(22)에 보조스프링(30')을 내재시키고, 상기 거치구(60) 중앙부에 형성되는 스프링지지보스(66)에 상기 보조스프링(30')이 지지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흡착구(1')는 상부몸체(50)가 원터치로 회전시키면 스프링(30)과 상기 보조스프링(30')의 탄력에 의해 상기 흡착판(10)에 강한 진공압이 발생하여 상기 흡착판(10)은 피착면(W)에 더 견고하게 부착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흡착구의 사용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고안의 흡착구(1)(1')를 이용하여 피착면(W)에 선반(S)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 상기 흡착구(1)(1')의 절개부(62)에 선반(S)을 이루는 철심을 끼워 결합한 후, 벽면(W)에 밀착시킨다.
상기 흡착구(1)(1')가 피착면(W)에 밀착된 후, 상기 상부몸체(50)를 원터치 회전시키면 상기 흡착구(1)(1')가 피착면(W)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흡착구(1)(1')는 피착면(W)에 쉽고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이 선반(S)을 설치하여 도시하였으나, 바람직하게는 치약칫솔구나 수건받침대, 컵걸이 등과 같이 다양하게 적용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원터치에 의한 진공력을 이용해 피착면(W)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각종 생활용구를 결합시켜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하게 기술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과 도2는 종래 흡착구의 구성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구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구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구가 피착면에 부착되기 전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구가 피착면에 부착된 후의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착구를 보인 종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흡착구의 사용예를 보인 도면.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흡착구 10: 흡착판
12: 고정부 14: 돌출테
20: 고정축 22: 요홈
24: 나선홈 26: 가이드홈
30,30': 스프링 40: 하부몸체
42: 관통공 43: 스프링지지홈
44: 둘레벽 45: 안착홈
46: 내측벽 47: 패킹
48: 걸림턱 49: 환형홈
50: 상부몸체 52: 내벽
54: 결합돌기 56: 단턱홈
57: 단턱부 60: 거치구
62: 절개부 63: 걸림돌부
64: 끼움홀 65: 단턱
66: 스프링지지보스 70: 캡
72: 끼움구 74: 돌출편
W: 피착면 S: 선반

Claims (7)

  1. 바닥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는 연질재의 흡착판;
    상기 흡착판의 상면 중앙부에 고정되며, 상부에 요홈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서로 대향되게 나선홈이 형성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외측에 끼워지는 스프링;
    상기 흡착판의 상부에 밀착되며, 중앙에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며, 저면 둘레에 패킹이 끼움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고정축의 나선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갖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끼움홀을 갖는 거치구; 및
    상기 거치구를 커버하는 캡;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구의 상부에 씌워지는 상기 캡은 중앙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캡의 저면에는 끼움구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구가 거치구의 끼움홀에 끼움되고 상기 캡의 저면 둘레에 돌출편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편이 절개부에 삽입되며, 상기 캡은 거치구를 커버하고, 미관을 미려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의 상면 중앙부에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흡착판의 둘레부에 돌출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의 나선홈 상단에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몸체의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패킹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패킹 저면 둘레에 환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관통공 둘레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 둘레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
  7. 삭제
KR2020090007950U 2009-06-19 2009-06-19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 KR2004587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950U KR200458737Y1 (ko) 2009-06-19 2009-06-19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950U KR200458737Y1 (ko) 2009-06-19 2009-06-19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920U KR20100012920U (ko) 2010-12-29
KR200458737Y1 true KR200458737Y1 (ko) 2012-03-06

Family

ID=44485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950U KR200458737Y1 (ko) 2009-06-19 2009-06-19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73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771A1 (ko) * 2016-08-09 2018-02-15 장진태 흡착 장치
KR20200009234A (ko) * 2018-07-18 2020-01-30 텐 셍 어쏠티드 하우스웨어 씨오 엘티디 흡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428B1 (ko) * 2011-10-14 2012-04-19 김창율 진공 흡착구
KR101951951B1 (ko) * 2016-12-15 2019-02-25 임근백 진공 흡착 장치
KR102152988B1 (ko) * 2019-01-04 2020-09-07 임근백 진공 흡착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1286A (ja) * 2006-08-28 2008-03-06 Sony Corp 吸盤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1286A (ja) * 2006-08-28 2008-03-06 Sony Corp 吸盤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771A1 (ko) * 2016-08-09 2018-02-15 장진태 흡착 장치
KR20180017352A (ko) * 2016-08-09 2018-02-21 장진태 흡착 장치
KR101979598B1 (ko) 2016-08-09 2019-05-17 장진태 흡착 장치
KR20200009234A (ko) * 2018-07-18 2020-01-30 텐 셍 어쏠티드 하우스웨어 씨오 엘티디 흡판 장치
KR102081506B1 (ko) 2018-07-18 2020-02-25 텐 셍 어쏠티드 하우스웨어 씨오 엘티디 흡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920U (ko) 201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8737Y1 (ko) 원터치 탈착식 흡착구
JP4959893B2 (ja) 負圧式保持装置
JP2991429B1 (ja) 真空吸引密閉容器
WO2015043516A1 (zh) 一种吸附盘及设有此吸附盘的吸盘装置
JP3209497U (ja) 重複使用に有利な真空固定具
GEP20104968B (en) Lid for a cup-shaped receptacle
KR100786816B1 (ko) 진공 흡착기
KR20110020955A (ko) 탄성 진공흡착구
JP2006329417A (ja) 真空吸着具
KR20100008412A (ko) 진공흡착기
JP2009092107A (ja) 吸着具
WO2008123692A1 (en) Vacuum suction apparatus
KR20110105599A (ko) 흡착구
KR20080111667A (ko) 진공 흡착구
JPH05220042A (ja) 吸盤付物掛具
JPH11117361A (ja) 吸盤付シャワ掛具
JP4974063B2 (ja) 保存容器
JP3166717U (ja) 押圧式弾力二層吸盤
KR200318414Y1 (ko) 진공 흡착구
US20110101182A1 (en) Holding Device for Hand-Held Shower Head
CN219331328U (zh) 盖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3428873U (zh) 水杯
WO2018068412A1 (zh) 一种环压吸盘
JP3166759U (ja) 粉末容器の構造
CN209762300U (zh) 一种带暂停水功能的切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