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615Y1 - 투습 발수 면 원단 - Google Patents

투습 발수 면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615Y1
KR200458615Y1 KR2020100004258U KR20100004258U KR200458615Y1 KR 200458615 Y1 KR200458615 Y1 KR 200458615Y1 KR 2020100004258 U KR2020100004258 U KR 2020100004258U KR 20100004258 U KR20100004258 U KR 20100004258U KR 200458615 Y1 KR200458615 Y1 KR 2004586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pellent
fabric
moisture
co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2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213U (ko
Inventor
정영선
문홍택
연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쌍방울트라이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쌍방울트라이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쌍방울트라이그룹
Priority to KR20201000042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615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2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2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6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6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5/00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2Cott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투습 발수 면 원단을 제공한다. 투습 발수 면 원단은 발수 가공 면사로 편직된 투습 발수 원단에 있어서, 상기 투습 발수 원단은 편직 후 소수성 유연 가공제로 유연 처리된다.

Description

투습 발수 면 원단{Water repellent cotton fabric with moisture permeability}
본 고안은 투습 발수 면 원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습성과 발수성을 갖는 투습 발수 면 원단에 관한 것이다.
투습성을 가지면서, 발수성을 갖는 원단은 내의, 운동복, 외출복 등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에, 투습 발수 기능을 가진 면 원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투습성 및 발수성을 가진 투습 발수 면 원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은, 발수 가공 면사로 편직된 투습 발수 원단에 있어서, 상기 투습 발수 원단은 편직 후 소수성 유연 가공제로 유연 처리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은, 면사를 소수성을 가지도록 개질한 발수 가공 면사로 편직된 투습 발수 원단에 있어서, 상기 투습 발수 원단은 상기 발수 가공 면사를 사용하여 싱글조직으로 편직된 후, 카치온 지방산계 유연제로 유연 처리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은 투습성과 발수성을 가진 면 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투습 발수 면 원단은 공기 및 습기는 통과시키면서도, 발수 기능을 가진 면 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은 발수 가공 면사를 사용하여 편직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을 편직하는데 사용된 발수 가공 면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수 가공 면 원단을 편직하는데 사용된 발수 가공 면사는, 소수성의 성질을 띄도록 면사를 개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사는 친수성의 성질을 갖는다. 즉, 면사는 물분자와 쉽게 결합하는 친수성의 성질을 가지므로, 물을 쉽게 흡수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친수성의 성질을 갖는 면사를 개질을 통하여 소수성의 성질을 갖도록 한다. 즉, 면사를 개질하여 소수성의 성질을 갖도록 한 면사를, 발수 가공 면사라 정의한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에서 발간한 섬유사전을 참조하면, 미국 Du Pont사의 제품인 젤런(Zelen) 발수 가공제를 사용한 젤런(Zelen) 발수에 대하여 예시하고 있다. 젤런 발수 가공제는 물 분산성의 페이스트(Paste)상이며 고분자 질소 화합물로 되어 있고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강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을 편직하는데 사용된 발수 가공 면사는, 젤런 발수 가공제를 사용하여 발수 가공된 면사일 수 있다.
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을 편직하는데 사용된 발수 가공 면사는, 영국 I.C.I사 제품인 벨란(Velan) 발수 가공제를 사용하여 발수 가공된 면사일 수 있다. 벨란 발수 가공제는 스테아라미드 메틸피리디니움 클로라이드라 불리는 백색 분말로 섬유소 OH기와 반응하여 항구적인 발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을 편직하는데 사용된 발수 가공 면사를 개질하는데 사용된 발수 가공제에 대하여, 젤런 발수 가공제 및 벨란 발수 가공제에 대한 내용은 예시적인 것으로, 젤런 발수 가공제 및 벨란 발수 가공제 이외에 면사에 적용되어 면사에 소수성의 성질을 부여할 수 있는 가공제는 무엇이든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은 상술한 발수 가공 면사를 사용하여 편직되는데, 예를 들어, 환편기를 이용하여 싱글 조직으로 편직될 수 있다. 이 때, 편환의 길이는 2.00mm~3.00mm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은 편직 후, 소수성 유연 가공제로 유연 처리될 수 있다. 즉, 발수 가공 면사를 사용하여 편직된 원단을 유연처리함으로써, 편직 원단의 소수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이 때, 예를 들어, 카치온 지방산계 유연제를 사용하여 유연처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은 발수 가공 면사를 사용하여 편직된다. 따라서, 편직 원단이 발수성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은 편직 후, 소수성 유연 처리제를 사용하여 유연처리를 함으로써, 편직 원단의 소수성을 보다 강화한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은 발수 가공된 원사를 사용하여 편직한 후, 2차의 발수 가공, 즉 소수성 유연 처리제를 사용한 유연처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편직 원단의 소수성이 보다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은 발수 가공된 원사를 사용하여 편직되기 때문에, 원사 자체는 물을 흡수하지 않지만, 편직 원단을 구성하는 원사와 원사 사이로는 공기, 습기 등이 통과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은 물방울은 흡수 또는 통과하지 못하지만 공기, 습기 등은 통과가 가능하여, 발수성을 가지나 투습성 및 통기성이 우수한 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의 성질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100)은 물방울(A)은 통과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발수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100)은 공기(B) 및 습기(C)는 원사와 원사 사이로 통과시키기 때문에, 투습성 및 통기성이 좋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의 제조 방법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면사 발수 가공 공정(S310), 편직 공정(S320), 염색 공정(S330), 소수성 유연 공정(S340), 건조 공정(S350) 및 카렌더 공정(S360)을 포함한다.
면사 발수 가공 공정(S310)은 면사가 소수성의 성질을 띄도록 개질하는 공정이다.
예를 들어, 젤런 발수 가공제 또는 벨란 발수 가공제를 사용하여 면사를 발수 가공할 수 있다.
젤런 발수 가공제를 사용한 면사의 발수 가공 공정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젤런 발수 가공제를 더운물에 용해시키고 초산나트륨을 가하여 처리액을 만든 후, 면사를 처리액에 침지하거나 면사에 처리액을 분사한 후 건조한다. 건조된 면사는 150~160?로 열처리한 후 비누 및 소다회를 사용하여 쇼핑하고, 이어서 수세 및 건조를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에서 개시한 젤런 발수 가공제를 사용한 발수 가공 공정은 예시에 불과하며, 젤런 발수 가공제를 사용한 다양한 발수 가공 공정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젤런 발수 가공제를 사용한 발수 가공 공정만을 개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 외에도 벨란 발수 가공제를 사용한 발수 가공 공정뿐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발수 가공제를 사용한 발수 가공 공정을 포함함은 당연하다.
편직 공정(S320)은 발수 가공된 면사를 편직하여 원단을 생성하는 공정이다. 예를 들어, 발수 가공된 면사를 환편기를 이용하여 싱글조직으로 편직할 수 있으며, 이 때 편환의 길이는 2.00mm~3.00mm일 수 있다.
염색 공정(S330)은 편직된 원단을 염색하는 공정이다. 염색 공정(S330)은 염색기를 사용하여 수행하며, 하나 이상의 염료를 사용하여 원하는 색상으로 염색을 수행한다.
소수성 유연 공정(S340)은 염색된 원단을 소수성 유연제를 사용하여 유연처리하는 공정이다. 예를 들어, 카치온 지방산계 유연제를 사용하여 유연처리할 수 있다. 염색된 원단을 소수성 유연제를 사용하여 유연처리하는 하면, 원단은 소수성의 성질이 커져, 발수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건조 공정(S350)은 유연처리된 원단을 탈수한 후, 건조시키는 공정이다. 건조 공정(S350)은 건조기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데, 이 때, 자연건조하여도 무방하다.
건조가 완료된 원단에는 카렌더 공정(S360)을 수행한다. 즉, 카렌더 공정은 상기 공정을 모두 통과한 원단에 롤러를 이용하여 압력을 가해, 원단을 평활하게 하는 공정이다.
이하, 표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의 특성을 설명한다.
표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의 발수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결과를 도시한다.
실험 조건 세탁 횟수 결과
투습 발수
면 원단에
물 1ml를
떨어뜨림
0회 원단 상에서 물방울을 형성함. 물방울은 원단 상에서 굴러다님.
1-5회 원단 상에서 물방울을 형성함. 물방울은 원단 상에서 굴러다님.
6-19회 원단 상에서 물방울이 분산되며 굴러다니지는 않으나 원단 이면으로 스며들지 않음.
원단을 털었을 경우 물이 원단에서 탈락됨.
20-25회 원단 상에서 물방울이 분산됨.
1-2분 이상 방치 시에 물이 이면으로 스며듬.
원단을 털었을 경우 쉽게 탈락됨.
표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에 물 1ml를 떨어뜨린 경우, 원단의 발수 여부를 나타낸다. 한편, 원단을 세탁한 후에 동일한 조건으로 실험을 반복하였으며, 세탁은 1-25회까지 반복하였다.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세탁하지 않은 투습 발수 면 원단 상에 물 1ml를 떨어뜨리면, 원단에 물이 스며들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오히려, 원단 상에서 물방울을 형성하며, 물방울은 원단 상에서 굴러다닌다.
원단을 1회 세탁한 후 건조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여도, 원단에는 물이 스며들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세탁을 5회 반복할 때까지 동일한 결과가 나타난다.
한편, 원단을 6-19회 세탁한 경우, 원단 상에 물방울이 분산되며, 물발울이 굴러다니지는 않으나 원단 이면으로 스며들지도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원단을 털었을 경우 물이 원단에서 탈락된다.
원단을 20-25회 세탁한 경우, 원단 상에 물을 떨어뜨리면 원단 상에 물방울이 분산되고 스며들지 않는다. 그러나, 1-2분 이상 방치 시에 물이 이면으로 스며든다. 또한, 원단을 털었을 경우 쉽게 탈락된다.
표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의 투습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결과를 도시한다.
실험 조건 결과
수증기가 발생하는 뜨거운 물을 컵에 담고 투습 발수 면 원단으로 덮음 수증기가 원단을 통과하여 배출됨
표 2를 참조하면, 수증기가 발생하는 뜨거운 물을 컵에 담고 투습 발수 면 원단으로 덮었을 때에, 수증기가 원단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습 발수 면 원단은 수증기가 통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투습 발수 면 원단
A: 물방울
B: 공기
C: 습기

Claims (6)

  1. 발수 가공 면사로 편직된 투습 발수 원단에 있어서,
    상기 투습 발수 원단은 편직 후 소수성 유연 가공제로 유연 처리된 투습 발수 면 원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 가공 면사는 면사를 소수성을 가지도록 개질한 원사인 투습 발수 면 원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 가공 면사는 면사를 젤런 발수 가공제 또는 벨란 발수 가공제를 사용하여 가공 처리한 투습 발수 면 원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유연제는 카치온 지방산계 유연제인 투습 발수 면 원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 발수 원단은 상기 발수 가공 면사를 환편기를 이용하여 싱글조직으로 편직하여 형성된 투습 발수 면 원단.
  6. 면사를 소수성을 가지도록 개질한 발수 가공 면사로 편직된 투습 발수 원단에 있어서,
    상기 투습 발수 원단은 상기 발수 가공 면사를 사용하여 싱글조직으로 편직된 후, 카치온 지방산계 유연제로 유연 처리된 투습 발수 면 원단.
KR2020100004258U 2010-04-22 2010-04-22 투습 발수 면 원단 KR2004586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258U KR200458615Y1 (ko) 2010-04-22 2010-04-22 투습 발수 면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258U KR200458615Y1 (ko) 2010-04-22 2010-04-22 투습 발수 면 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213U KR20110010213U (ko) 2011-10-28
KR200458615Y1 true KR200458615Y1 (ko) 2012-06-12

Family

ID=46607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258U KR200458615Y1 (ko) 2010-04-22 2010-04-22 투습 발수 면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6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6303B2 (en) 2015-06-05 2022-05-10 Cornell University Modified cellulosic compositions having increased hydrophobicity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452B1 (ko) * 2012-05-18 2013-11-26 조은효 발수원단 및 상기 발수원단 제작방법
CN112981724B (zh) * 2021-02-09 2022-09-27 东华大学 一种速干棉纺织品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960B1 (ko) 1997-05-20 1999-09-01 한형수 편발수 편흡습가공에 의한 직물의 흡수속건성 발수가공방법
KR100866241B1 (ko) 2004-05-21 2008-11-05 광동 에스쿠엘 텍스타일즈 컴퍼니 상이한 속성을 갖는 두 개의 면을 지닌 신속 건조 순면직물과 이의 제조방법
KR20100001636A (ko) * 2008-06-27 2010-01-06 한국염색기술연구소 면섬유의 방염ㆍ 발수ㆍ 항균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960B1 (ko) 1997-05-20 1999-09-01 한형수 편발수 편흡습가공에 의한 직물의 흡수속건성 발수가공방법
KR100866241B1 (ko) 2004-05-21 2008-11-05 광동 에스쿠엘 텍스타일즈 컴퍼니 상이한 속성을 갖는 두 개의 면을 지닌 신속 건조 순면직물과 이의 제조방법
KR20100001636A (ko) * 2008-06-27 2010-01-06 한국염색기술연구소 면섬유의 방염ㆍ 발수ㆍ 항균가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6303B2 (en) 2015-06-05 2022-05-10 Cornell University Modified cellulosic compositions having increased hydrophobicity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US11913164B2 (en) 2015-06-05 2024-02-27 Cornell University Modified cellulosic compositions having increased hydrophobicity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213U (ko) 201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1140B2 (ja) 撥水機能を有する編物用原糸の製造方法
US7407514B2 (en) Processing techniques for preparing moisture management textiles
KR200458615Y1 (ko) 투습 발수 면 원단
CN107916487A (zh) 一种色织条纹面料及其制备方法
CN107338660A (zh) 数码喷墨拔染印花处理工艺
US10214854B2 (en) Method of dyeing knitted fabrics, and fabric and vamp fabric with predetermined color using the same
JP5730110B2 (ja) 繊維布帛の製造方法及び繊維布帛
JP6092510B2 (ja) 抗菌性繊維構造物
CN104109972A (zh) 一种羊绒针织品纳米抗菌整理工艺
CN103147287A (zh) 具有抗菌防臭功能的纺织材料及其加工方法
CN109385904A (zh) 具有三防及芳香功能的针织面料及其制作方法
CN110965319B (zh) 免烫衬衫的制造方法
Ibrahim et al. Factors affecting the functional-and comfort-related properties of reactive dyed cotton knits
JP2009074200A (ja) 改質セルロース系繊維材料の製造方法
CN101684616B (zh) 利用纳米蛋白材料制备的纳米复合结构功能纺织品及其制备方法
CN107675380A (zh) 一种牛仔面料的洗水工艺
CN103938396A (zh) 服装免熨烫整理工艺
CN112981961A (zh) 光能自消毒无甲醛免烫面料的制备方法
JP2009228199A5 (ko)
JP2017071879A (ja) 脱水性に優れる編地
CN1934309A (zh) 织物分面整理方法和产品
CN105077610A (zh) 一种抗菌复合纤维袜子制作工艺
JP2015132043A (ja) 繊維布帛の製造方法及び繊維布帛
CN110820126B (zh) 一种舒适易染色的织袜面料
Kriščiūnaitė et al. P036_0134_ Investigation on influence of antimicrobial treatment on structur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ext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