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074Y1 -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074Y1
KR200458074Y1 KR2020100007863U KR20100007863U KR200458074Y1 KR 200458074 Y1 KR200458074 Y1 KR 200458074Y1 KR 2020100007863 U KR2020100007863 U KR 2020100007863U KR 20100007863 U KR20100007863 U KR 20100007863U KR 200458074 Y1 KR200458074 Y1 KR 200458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nector
terminal block
present
wir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흥식
Original Assignee
서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7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0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0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1End pieces for multiconductor cables supported by the cable and for facilitating connections to other conductive members, e.g. for liquid cooled welding cab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입되는 전선의 피복이 규격보다 덜 벗겨진 상황에서 삽입되거나 또는 전선의 두께로 인하여 인입된 전선의 끝단이 단자대의 내측에서 뜨기 때문에 커넥터에 제대로 접촉되지 못하는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전선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는, 직립된 단면을 이루는 지지부(35)와, 상기 지지부(35)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인입된 전선이 접촉 및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을 갖는 수용브라켓(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Connector for terminal assembly connected wire}
본 고안은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대의 바디에 인입되는 전선의 피복이 규격보다 덜 벗겨진 상태로 삽입되거나 또는 전선의 두께로 인하여 인입된 전선의 끝단이 바디의 내측에서 뜨기 때문에 내부에 장착된 커넥터에 제대로 접촉되지 못하는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전선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선 접속조립식 단자대는 하기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의 종래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는 각 바디(10)별로 별개의 전선(2)이 인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서, 노브(11)와, 상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전선인입구(12)와, 상기 전선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전선(2)을 고정하는 고정판(13)과, 상기 고정판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15)와, 상기 고정판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4)과, 상기 인입된 전선에서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20)와, 상기 커넥터의 상단이 지지되는 걸림턱(16)을 포함하여 된다.
커넥터(20)는, 하단에 "U"자형으로 양측면이 모두 개방되게 형성된 하단부(21)와, 상기 하단부에서 상측으로 수직면을 이루게 연장되고 상단에서 절곡되어 바디(10)의 걸림턱(16)에 걸어지는 상단부(22)를 포함하며, 아울러 도전체로서 전선(2)을 통해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전달한다.
노브(11)는 상하로 이동되어 고정판(13)을 상하로 회동시키며, 상기 고정판은 힌지(15)에 의해 회전하게 고정되고, 상기 노브가 이동되어 힘을 가하면 하측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노브에 가해지는 힘이 없어지면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된다.
전선(2)은 전선인입구(12)를 통해 인입되어 고정판(13)에 의해 커낵터(20)에 고정되며, 그 끝단(2a)은 상기 커넥터의 하단부(21)에 수용된다.
즉, 사용자가 노브(11)를 가압하면 고정판(13)이 하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그 단부와 바디(10)의 내측면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전선인입구(12)를 통해 전선(2)을 인입시켜 상기 공간을 통해 커넥터(20)의 'U'자형 하단부(21)에 까지 밀려 들어가게 한 다음 상기 노브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판이 상방으로 회전되어 인입된 전선을 가압하여 커낵터(20)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커넥터(20)는 통상적으로 인입된 전선(2)과의 사이에 최소한 2개의 접점을 유지하여야 하는데, 피복이 제대로 벗겨지지 않은 상태가 되면 스프링(14)에 의한 가압시에 상기 전선과 커넥터 간의 전기적인 접점을 이루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음은 물론 상기 피복이 벗겨진 전선의 하부가 커넥터의 'U'자형 하단부(21)와 접촉(a)되어 하나의 접점을 유지할 수는 있으나 예를 들어 지름이 큰 전선(b)의 경우에는 상기 하단부에 접촉되지 않고 뜨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커넥터와 전선 간의 접점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인입된 전선의 피복이 정상규격보다 덜 벗겨진 상태이거나 또는 전선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전선의 끝단이 뜨는 현상이 발생하여도 전선과 커넥터 간의 접점이 이루어지게 하는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직립된 단면을 이루는 지지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입된 전선과의 접촉 및 전선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수용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수용브라켓이 측면에서 절곡되어 지지부의 수직면에 대향되는 벽면을 더 포함하는 'ㄱ'자 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는 인입된 전선의 끝단에서 피복이 정해진 규격보다 덜 벗겨진 상황에서 인입되거나 또는 전선이 두껍기 때문에 가압시에 전선의 끝단이 뜨는 현상이 발생 되더라도 커넥터와의 접점을 이룰 수 있어 고장이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 및 품질향상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의 사용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를 부여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의 사용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30)는,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바디(10)의 걸림턱(16)에 고정되는 걸림부(31)와, 상기 걸림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35)와, 상기 지지부의 한쪽 끝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면을 형성하고 다시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의 수직면에 대향되는 벽면을 형성하여 전선(2)의 돌출됨을 방지하는 수용브라켓(32)과, 상기 지지부의 끝단에서 횡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부(34)와, 상기 수평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전선을 통해 인가되는 전기적신호를 전달하는 전달부(33)를 포함하여 된다.
걸림부(31)는 횡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평면을 이루며, 바디(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형성되는 걸림턱(16)에 안착된다.
지지부(35)는 걸림부(31)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직립형상으로서, 수용브라켓(32)의 벽면과 대향되는 직립된 단면을 형성하고, 하측 끝부분에서 수평부(34)가 절곡된 형상으로 연결된다.
수용브라켓(32)은 지지부(35)에서 횡방향으로 'ㄱ'형으로 연장 및 절곡되며,상기 지지부의 한쪽 측단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전선(2)의 인입 및 수용공간의 한쪽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에서 절곡되므로 지지부의 단면과 대향된 벽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지지부의 수직면과의 사이에 전선의 끝단(2a)이 수용되는 일정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즉, 수용브라켓(32)은 전선(2)의 끝단이 수용되도록 한쪽 측면과 정면이 막히고 반대 측면이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며, 이러한 상기 수용브라켓은 양쪽 측면이 모두 막힌 상태로도 본 고안의 목적달성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다양한 응용 예 중 하나 일 뿐이다.
수평부(34)는 지지부(35)의 하측에서 횡방향으로 절곡되어 편평한 면을 이루며, 바디(10)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된다.
전달부(33)는 수평부(34)의 한쪽 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전선(2)에 의하여 전달되는 단자대에 연결되는 전기적 수단에 전달하는 것이며, 단자대의 품종이나 형상에 따라 지지부(35)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바디(10)의 관통구(17)를 통해 돌출되도록 형성하여도 된다(도 1 참조).
이에 따라, 커넥터(30)는 지지부(35)의 상측에서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바디(10)의 내측 걸림턱(16)에 안착되는 걸림부(31)와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디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수평부(34)와 상기 수평부의 한쪽 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바닥면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타 전기적 신호 전달수단과 연결 또는 삽입되는 전달부(33)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전달부는 바디의 형상이나 응용에 따라 지지부의 측방향에서 바디의 관통구(17)를 통해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30)에 전선(2)을 연결할 때에는, 사용자가 노브(11)를 가압하여 고정판(13)을 밀어서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전선인입구(12)를 통해 상기 전선을 삽입하면 끝단(2a)이 수용브라켓(32)과 지지부(35) 사이의 공간으로 수용되면서 상기 전선과 커넥터간의 접점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전선(2)의 끝단은, 수용브라켓(32)에 의해 일측이 막혀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인입된 전선의 두께로 인하여 그 끝단이 상방으로 뜨게 되어 경사지는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더라도(도 1의 b와 도 3의 c 참조) 커넥터(30)의 일측이 막혀 있기 때문에 상기 끝단은 수용브라켓과 접촉되어 접점을 이루게 된다.
삭제
10 : 단자대 11 : 노브
12 : 전선인입구 13 : 고정판
14 : 스프링 15 : 힌지
16 : 걸림턱 30 : 커넥터
31 : 걸림부 32 : 수용브라켓
33 : 전달부 34 : 수평부
35 : 지지부

Claims (2)

  1. 전선인입구(12)를 통해 인입되는 전선과 접점이 이루어지게 바디(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선으로부터 전기적신호를 전달하는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30)는, 직립된 단면을 이루는 지지부(35)와, 상기 지지부(35)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인입된 전선이 접촉 및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을 갖는 수용브라켓(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브라켓(32)은, 상기 측면에서 절곡되는 단면을 더 포함하는 'ㄱ'자 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
KR2020100007863U 2010-07-27 2010-07-27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 KR200458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863U KR200458074Y1 (ko) 2010-07-27 2010-07-27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863U KR200458074Y1 (ko) 2010-07-27 2010-07-27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074Y1 true KR200458074Y1 (ko) 2012-01-18

Family

ID=45842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863U KR200458074Y1 (ko) 2010-07-27 2010-07-27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07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405A (ko) * 2007-06-08 2009-01-12 엔에이치엔(주) 파일 업로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405A (ko) * 2007-06-08 2009-01-12 엔에이치엔(주) 파일 업로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3286B2 (en) Connector apparatus adapted for the direct plug-in connection of conductors
JP3154214U (ja) 同軸ケーブル用小型コネクタ
CN2916996Y (zh) 电连接器
KR20070012666A (ko) 인쇄 회로용 플러그인 커넥터
JP2010049896A (ja) コネクタ
CN107069273B (zh) 电连接器
KR20110103901A (ko)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US9548555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easy to assemble
CN110391532B (zh) 连接器
US1007944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ductive balls
US7568949B2 (en) Connecting socket for a data network
KR200458074Y1 (ko) 전선 접속 조립식 단자대의 커넥터
NO844310L (no) Elektrisk kontaktanordning.
TWI601336B (zh) 用於直接電接觸一電路板的插接連接手段(一)
KR101664304B1 (ko) 커넥터
KR200445633Y1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KR101978925B1 (ko) 포크인 커넥터
JP3118607U (ja) 中継アダプタ
CN107681290A (zh) 线缆连接器组件
KR100939502B1 (ko)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
US9806477B2 (en) Jack for data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780735B1 (ko) 저가형 커넥터
CN215418651U (zh) 用于电缆线的限位装置
CN220324369U (zh) 一种引线连接装置及接触器
CN220155781U (zh) 一种线缆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