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038Y1 - 조립식 모자 - Google Patents

조립식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038Y1
KR200458038Y1 KR2020090008156U KR20090008156U KR200458038Y1 KR 200458038 Y1 KR200458038 Y1 KR 200458038Y1 KR 2020090008156 U KR2020090008156 U KR 2020090008156U KR 20090008156 U KR20090008156 U KR 20090008156U KR 200458038 Y1 KR200458038 Y1 KR 2004580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hat
coupling
visor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052U (ko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김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현 filed Critical 김창현
Priority to KR2020090008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038Y1/ko
Publication of KR201000130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0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0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0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5Hats; Caps; Hoods made of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모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부분으로 모자의 몸체를 이루는 크라운과; 상기 크라운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챙;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모자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에는 상하로 일정길이 절개형성된 상부 세로결합슬릿 및 하부 세로결합슬릿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챙은 상기 크라운과의 결합영역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세로결합슬릿으로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편과, 상기 복수개의 삽입편 사이에 돌출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크라운의 내측벽면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크라운과 챙을 결합시키기 위해 별도로 재봉(바느질)이나, 접착제, 스테플 등의 결합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모자의 제조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모자, 조립식 모자

Description

조립식 모자{PREFABRICATED HAT}
본 고안은 조립식 모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크라운과 챙을 봉제가 아닌 조립에 의해 제조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모자에 관한 것이다.
모자는 햇볕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가리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최근에는 모자가 패션 아이템으로 기능하여 종류와 디자인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자는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부분으로 모자의 몸체를 이루는 크라운과, 원형이나 타원형태로 크라운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햇볕을 가리는 챙으로 구성된다. 모자는 각각의 패턴에 따라 제단된 크라운과 챙을 재봉(바느질)이나 접착제, 스테플 등에 의해 결합하여 제조된다.
그런데, 최근 모자의 종류와 디자인이 다양화됨에 따라 모자의 원단과 패턴도 다양화된다. 가죽과 같이 상대적으로 두꺼운 원단의 경우 재질 자체의 특성에 의해 크라운과 챙을 상호 결합시키는 것이 까다로우며 다양한 디자인으로 원단을 재단하여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단(소재)과 디자인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챙과 크라운을 상호 조립하여 제작되는 조립식 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원단의 재봉, 접착 또는 결합공정 등을 생략하여 생산성 향상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조립식 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은 조립식 모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모자는,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부분으로 모자의 몸체를 이루는 크라운과; 상기 크라운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챙;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모자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에는 상하로 일정길이 절개형성된 상부 세로결합슬릿 및 하부 세로결합슬릿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챙은 상기 크라운과의 결합영역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세로결합슬릿으로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편과, 상기 복수개의 삽입편 사이에 돌출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크라운의 내측벽면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크라운은 양단부영역이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상호 결합시 폐쇄공간을 형성하는 가로분할편을 포함하며, 상기 챙은 상기 가로분할편의 외주연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크라운은 높이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분할되는 복수개의 가로분할편들을 포함하며, 상기 세로결합슬릿 및 상기 하부 세로결합슬릿은 상기 복수개의 가로분할편들 중 최하위에 위치한 하부 가로분할편에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편은, 상기 하부 세로결합슬릿을 통해 크라운의 외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상부 세로결합슬릿을 통해 다시 크라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본체와; 상기 삽입본체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크라운의 판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가로분할편들의 하단부에는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세로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가로분할편들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세로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세로결합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조립식 모자에 의하면, 크라운과 챙을 결합시키기 위해 별도로 재봉(바느질)이나, 접착제, 스테플 등의 결합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생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결합부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특히, 가죽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두꺼운 소재로 이루어져 크라운과 챙의 결합이 까다로운 모자의 경우에도 본 고안에 따른 상호 결합에 의한 조립구조에 의해 간편하게 제조(결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챙과 크라운이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므로, 하나의 챙(또는 크라 운)에 다양한 형상, 모양, 색상을 갖는 크라운(또는 챙)을 교환하여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챙과 크라운의 조합에 의해 모자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10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100)의 전개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는,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부분으로 모자의 몸체를 이루는 크라운(110)과, 상기 크라운(11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챙(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크라운(110)에는 상하로 일정길이 절개형성된 상부 세로결합슬릿(115d) 및 하부 세로결합슬릿(115e)이 일정간격으 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챙(120)은 상기 크라운(110)과의 결합영역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세로결합슬릿(115d,115e)으로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편(123)과, 상기 복수개의 삽입편(123) 사이에 돌출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크라운(110)의 내측벽면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편(125)을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고안의 이해가 용이하도록 편의상 모자의 몸체를 이루는 크라운(110)이 복수의 가로분할편(111,113,115)로 이루어져 상단이 부드럽게 구부러진 형태를 갖는 굽은 고깔 형태의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모자의 크라운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신사용 예장 모자와 같은 원통(원기둥) 형태, 고깔과 같은 원뿔 형태, 크라운의 윗부분에 앞쪽에서 뒷쪽까지 비스듬한 골이 형성되어 있는 중절모 형태, 크라운의 윗부분이 중절모처럼 골이 형성되어 있거나 움푹 들어가지 않고 산처럼 올라간 신사모자인 중산모 형태 등일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100)는 전개도의 형상에 따라 절개된 크라운(110)과 챙(120)을 상호 조립하여 제조된다.
크라운(110)은 높이방향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절개된 복수의 가로분할편(111,113,115)들의 상호 조립에 의해 완성된다. 복수의 가로분할편(111,113,115)들은 상호 일 영역이 결합된 상태로 양측단부가 자유단이 되도록 분할된다. 크라운(110)은 복수의 가로분할편(111,113,115)이 결합될 경우 폐쇄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크라운(110)은 높이방향을 따라 최상위에 위치하는 상부 가로분할편(111)과, 최하위에 위치하여 챙(120)과 결합되는 하부 가로분할편(115)과, 상부 가로분할편(111)과 하부 가로분할편(115)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가로분할편(113)으로 구성된다.
상부 가로분할편(111)은 판면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서로 결합되는 상부 가로결합돌기(111a)와 상부 가로결합슬릿(111c)과, 판면의 하부영역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하게 위치한 중간 가로분할편(113)의 중간 세로결합슬릿(113e)에 결합되는 상부 세로결합돌기(111d)를 포함한다. 상부 가로결합돌기(111a)는 상부 가로분할편(111) 판면의 일측단부에 돌출형성되어 타측단부의 판면에 절개 형성된 상부 가로결합슬릿(111c)에 삽입된다. 상부 가로결합돌기(111a)의 양측면에는 상부 가로결합돌기(111a)로부터 절첩가능하게 연장형성된 상부 가로결합날개(111b)가 형성된다.
상부 가로결합날개(111b)는 상부 가로결합돌기(111a)가 상부 가로결합슬릿(111c)에 삽입될 때는 상부 가로결합돌기(111a)의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접혀지고 상부 가로결합돌기(111a)가 상부 가로결합슬릿(111c)에 삽입된 후에는 상부 가로결합돌기(111a)의 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펼쳐진다.
상부 가로결합돌기(111a)의 폭은 상부 가로결합슬릿(111c)의 폭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부 가로결합날개(111b)가 상부 가로결합돌기(111a)의 양측으로 펼쳐지면 상부 가로결합돌기(111a)와 상부 가로결합날개(111b)의 폭은 상부 가로결합슬릿(111c)의 폭에 비해 넓어진다. 이에 의해 상부 가로결합슬릿(111c)에 삽입된 상부 가로결합돌기(111a)가 상부 가로결합슬릿(111c)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 다. 또한, 상부 가로결합날개(111b)가 상부 가로결합슬릿(111c)의 양측 판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조립이 완료된 상부 가로분할편(111)이 직립된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상부 세로결합돌기(111d)는 상부 가로결합편(111a)의 하단부에 돌출형성된다. 상부 세로결합돌기(111d)는 조립시 인접하게 위치한 중간 가로분할편(113)의 중간 가로결합슬릿(113c)에 삽입된다. 상부 세로결합돌기(111d)의 양쪽으로도 상부 세로결합날개(111e)가 구비되어 상부 세로결합돌기(111d)의 삽입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부 세로결합날개(111e)가 중간 세로결합슬릿(113e)의 양측 판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조립이 완료된 모자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부 가로분할편(111)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절개선(112)은 조립식 모자(100)의 최상단 형태를 형성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100)는 상부 형상이 모아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부절개선(112)이 서로 접촉되는 직선형태로 구비되나 경우에 따라 상부절개선(112)은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중간 가로분할편(113)은 상부 가로분할편(111)과 하부 가로분할편(115) 사이에 구비되어 모자의 높이를 형성한다. 중간 가로분할편(113)은 모자의 높이에 따라 그 개수가 가변될 수 있다. 중간 가로분할편(113)은 판면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호 결합되는 중간 가로결합돌기(113a)와 중간 가로결합슬릿(113c) 및 하부영역에 위치한 중간 가로분할편(113)에 결합되는 중간 세로결합돌기(113d)와 상부영역에 위치한 상부 가로분할편(111) 또는 중간 가로분할편(113)이 결합되는 중간 세로결 합슬릿(113e)이 구비된다.
이들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상부 가로분할편(111)의 구성들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부 가로분할편(115)은 크라운(110)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챙(120)과 결합된다. 하부 가로분할편(115)은 챙본체(121)의 개구(122)에 하부절개선(115f)이 접촉되게 결합된다. 하부 가로분할편(115)은 판면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호 결합되는 하부 가로결합돌기(115a)와 하부 가로결합슬릿(115c)을 포함한다. 또한, 판면에 하부 영역에 상하로 절개되어 챙(120)의 삽입편(123)을 삽입지지하는 상부 세로결합슬릿(115d)과 하부 세로결합슬릿(115e)을 포함한다.
하부 가로분할돌기(115a)과 하부 가로결합슬릿(115c)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상부 가로분할돌기(111a)과 상부 가로결합슬릿(111c)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부 세로결합슬릿(115d)과 하부 세로결합슬릿(115e)은 서로 상하로 배치되며 후술할 챙(120)의 삽입편(123)을 지지한다. 하부 세로결합슬릿(115e)은 상부 세로결합슬릿(115d)에 비해 면적이 크게 절개되어 삽입편(123)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상부 세로결합슬릿(115d)은 삽입편(123)의 선단부(123c)만 삽입되므로 하부 세로결합슬릿(115e)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가로분할편(111,113,115)의 폭과 개수는 모자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모자(100)는 위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므로 복수의 가로분할편(111,113,115)의 폭이 위로 갈수록 좁아진다. 그러나, 원통형의 신사용 예장모자나 중절모 등과 같이 크라운(110)의 폭이 일정한 모자의 경우 복수의 가로분할편(111,113,115)의 폭도 일정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로분할편(111,113,115)의 폭을 점차 크게 했다가 다시 줄일 경우 볼록한 크라운(110)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가로분할편(111,113,115)의 다양한 변형(갯수, 형태, 크기 등)에 의해 원뿔 모양의 고깔 형태, 상단이 부드럽게 구부러진 형태의 고깔 형태, 원통(원기둥) 형태, 중산모, 중절모, 신사용 예장 모자 등을 표현할 수 있다.
한편, 가로분할편(111,113,115)의 하부절개선과 상부절개선의 형상을 서로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할 경우 크라운(110)의 판면을 평평하게 구비할 수 있고, 가로분할편(111,113,115)의 하부절개선과 상부절개선의 형상에 요철을 형성할 경우 크라운(110)의 판면에 주름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100)는 모자의 상부형상이 뾰족하게 구비되므로 상부 가로분할편(111)의 결합에 의해 상부형상을 완성할 수 있으나, 중절모와 같이 모자의 상부면이 직선형상이 아니라 면형상인 경우 크라운(110)의 전개도의 상부 가로분할편(111)에 상부면을 추가할 수 있다. 상부면은 상부 가로분할편(111)과 결합돌기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상부 가로분할편(111)과 중간 가로분할편(113) 및 하부 가로분할편(115)에 구비된 각각의 세로결합돌기(111d,113d)와 세로결합슬릿(111c,113c)은 가로분할편(111,113,115)의 폭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챙(120)은 크라운(110)의 외주연에 조립된다. 챙(120)은 크라운(110)의 외주 연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챙본체(121)와, 챙본체(121) 상에 관통형성되어 크라운(110)이 결합되는 개구(122)와, 개구(122)에 돌출 형성되어 하부 가로분할편(115)의 상하 세로결합슬릿(115d,115e)에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편(123)과, 복수의 삽입편(123) 사이에 구비되어 크라운(110)의 내측면을 접촉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편(125)을 포함한다.
챙본체(121)는 원형, 타원형 또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어 크라운(110)에 결합된다. 챙본체(121)는 모자의 종류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햇빛을 가리기 위한 차양모자의 경우 챙본체(121)의 넓이가 커지고 신사용 정장모자의 경우 챙본체(121)의 넓이가 좁게 구비된다. 다만, 야구모자 등과 같은 캡(cap) 형태의 모자의 경우는, 챙이 크라운의 일측에만 결합되는 구조로 인해 챙이 그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아래로 처지는 등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없으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서 제외된다.
삽입편(123)은 개구(122)로부터 중심영역으로 돌출 형성되며 조립시 개구(122)에 기립되게 접혀진 상태로 하부 가로분할편(115)의 상하 세로결합슬릿(115d,115e)에 삽입된다. 삽입편(123)은 돌출형성된 삽입본체(123a)와, 삽입본체(123a)의 양측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된 측면지지날개(123b)와, 삽입본체(123a)의 상부영역에 뾰족하게 형성된 선단부(123c)로 구분된다. 삽입본체(123a)는 크라운(110)과 챙(120)의 조립시 크라운(110)의 내측에서 하부 세로결합슬릿(115e)을 통해 외측으로 삽입되고, 삽입본체(123a)의 선단부(123c)는 상부 세로결합슬릿(115d)을 통해 다시 하부 가로분할편(115) 내부로 삽입된다.
측면지지날개(123b)는 삽입본체(123a)의 양측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삽입본체(123a)가 하부 가로분할편(115)의 하부 세로결합슬릿(115e)에 삽입될 때는 삽입본체(123a)의 내측방향으로 접혀진 상태로 유지되고, 삽입본체(123a)가 하부 가로분할편(115)의 하부 세로결합슬릿(115e)으로 삽입이 되면 삽입본체(123a)의 외측방향으로 펼쳐져서 삽입본체(123a)가 하부 세로결합슬릿(115e)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측면지지날개(123b)는 삽입본체(123a)의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하부 가로분할편(115)의 판면을 지지하여 하부 가로분할편(115)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삽입편(123)이 하부 세로결합슬릿(115e)과 상부 세로결합슬릿(115d)에 고정되는 경우 외측으로 드러난 삽입편(123)의 형상자체가 모자의 외적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100)의 조립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100)에 대응하는 전개도를 준비한다. 그리고, 전개도 상의 크라운(110)과 챙(120)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한다. 즉, 크라운(110)은 각 가로분할편(111,113,115)의 가로결합돌기(111a,113a,115a)를 가로결합슬릿(111c,113c,115c)에 삽입하고, 세로결합돌기(111d,113d)를 이웃하는 가로분할편(111,113,115)의 세로결합슬릿(113e)에 결합시켜 조립을 완성한다. 챙(120)은 개구(122)를 중심으로 삽입편(123)과 지지편(125)을 접어서 개구(122)에 기립된 상태로 만든다.
삽입편(123)과 지지편(125)을 접어서 세운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편(123)과 지지편(125)의 외측으로 조립이 완료된 크라운(110)을 끼운다. 크라운(110)의 하부 가로분할편(115)이 개구(122)에 대응되게 끼워지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삽입편(123)을 순차적으로 하부 가로분할편(115)의 하부 세로결합슬릿(115e)을 통해 외부로 노출시킨다.
하부 세로결합슬릿(115e)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삽입편(12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123c)를 상부 세로결합슬릿(115d)으로 삽입시키고 측면지지날개(123b)를 양측으로 펼쳐 조립을 완료한다.
이 때, 개구(122)에 구비된 복수의 지지편(125)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110)의 내측에서 하부 가로분할편(115)의 판면을 지지한다. 복수의 지지편(125)들이 크라운(110)의 내측을 지지하고 복수의 삽입편(123)이 이중으로 하부 가로분할편(115)에 결합되므로 크라운(110)과 챙(120)의 결합영역이 벌어져 공간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지지편(125)과 삽입편(123)의 폭과 개수를 조절할 경우 결합영역에 공간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가로분할편(115)의 하부절개선(115f)의 형상에 따라 챙(120)과 크라운(110) 결합영역의 형상을 다양화할 수 있다. 즉, 하부절개선(115f)를 평평하게 형성하면 하부절개선(115f)에 결합되는 챙본체(121)도 수평으로 결합되게 된다. 반면, 하부절개선(115f)을 굴곡지게 형성하면 이에 결합되는 챙본체(121)도 하부절개선(115f)의 굴곡형상에 따라 일정부분 올라가거나 내려가게 되어 전체적으로 곡선형상을 띄게 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조립식 모자(100)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형태일 뿐이며 소재(재질)를 달리하여 제작되는 다양한 디자인의 모자에도 본 고안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크라운의 앞쪽에서 뒷쪽까지 비스듬한 골이 형성되어 있으며 챙이 말아 올려진 모양을 갖는 중절모, 크라운의 윗부분에 중절모처럼 골이 형성되어 있거나 움푹 들어가지 않고 산처럼 높이 올라간 신사모자인 중산모, 테두리가 올라간 중절모의 일종으로, 챙이 올라가고 몸체가 낮아 몸체 중앙을 세로로 접은 펠트 모자인 페도라(dedora), 높고 평평한 원통형 크라운과 양 옆으로 약간 휘어 올라간 좁은 챙(브림)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신사용 예장모자, 종이나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원형이나 타원형태의 챙을 구비한 행사나 연회용 일회용 모자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소재(재질)의 면에서도, 예를 들어 펠트, 실크, 패브릭(fabric), 가죽(인조, 천연), 종이, 합성수지 등 종래 모자를 만들 수 있는 모든 소재가 적용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모자는 챙과 크라운을 분리 가능하므로 하나의 챙(또는 크라운)에 다양한 형상, 모양, 색상을 갖는 크라운(또는 챙)을 교환하여 부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복수개의 챙과 크라운의 조합에 의해 디자인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조립식 모자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모자의 조립완료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모자의 조립 전 전개도를 도시한 평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모자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모자의 조립완료 후 저면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립식 모자 110 : 크라운
111 : 상부 가로분할편 111a : 상부 가로결합편
111b : 상부 가로결합날개 111c : 상부 가로결합슬릿
111d : 상부 세로결합돌기 111e : 상부 세로결합날개
112 : 상부절개선 113 : 중간 가로분할편
113a : 중간 가로결합돌기 113b : 중간 가로결합날개
113c : 중간 가로결합슬릿 113d : 중간 세로결합돌기
113e : 중간 세로결합슬릿 113f : 상부절개선
113g : 하부절개선 114 : 결합영역
115 : 하부 가로분할편 115a : 하부 가로결합돌기
115b : 하부 가로결합날개 115c : 하부 가로결합슬릿
115d : 상부 세로결합슬릿 115e : 하부 세로결합슬릿
115f : 하부절개선 120 : 챙
121 : 챙본체 122 : 개구
123 : 삽입편 123a : 삽입본체
123b : 측면지지날개 123c : 선단부
125 : 지지편

Claims (5)

  1.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부분으로 모자의 몸체를 이루는 크라운과;
    상기 크라운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챙;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모자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에는 상하로 일정길이 절개형성된 상부 세로결합슬릿 및 하부 세로결합슬릿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챙은 상기 크라운과의 결합영역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세로결합슬릿으로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편과, 상기 복수개의 삽입편 사이에 돌출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크라운의 내측벽면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은 양단부영역이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상호 결합시 폐쇄공간을 형성하는 가로분할편을 포함하며,
    상기 챙은 상기 가로분할편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은 높이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분할되는 복수개의 가로분할편들 을 포함하며,
    상기 세로결합슬릿 및 상기 하부 세로결합슬릿은 상기 복수개의 가로분할편들 중 최하위에 위치한 하부 가로분할편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삽입편은,
    상기 하부 세로결합슬릿을 통해 크라운의 외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상부 세로결합슬릿을 통해 다시 크라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본체와;
    상기 삽입본체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크라운의 판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자.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로분할편들의 하단부에는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세로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가로분할편들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세로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세로결합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자.
KR2020090008156U 2009-06-24 2009-06-24 조립식 모자 KR2004580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156U KR200458038Y1 (ko) 2009-06-24 2009-06-24 조립식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156U KR200458038Y1 (ko) 2009-06-24 2009-06-24 조립식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052U KR20100013052U (ko) 2010-12-31
KR200458038Y1 true KR200458038Y1 (ko) 2012-01-18

Family

ID=44485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156U KR200458038Y1 (ko) 2009-06-24 2009-06-24 조립식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03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069B1 (ko) * 2019-01-29 2020-10-23 김형용 모자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380Y1 (ko) * 1988-12-22 1991-03-04 임광수 조립식 종이모자
KR200171963Y1 (ko) 1999-08-18 2000-03-15 문경철 조립식 모자
KR200231991Y1 (ko) 2001-02-27 2001-07-03 주식회사 핸즈메이크 조립식 상모놀이용 모자
KR20010071963A (ko) * 1999-05-19 2001-07-3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상 av 네트워크 구축 장치, 가상 av 네트워크 구축방법 및 가상 av 네트워크 구축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 매체
KR200246376Y1 (ko) 2001-06-05 2001-10-18 장인석 판촉용 모자
KR20020031991A (ko) * 2000-10-25 2002-05-03 김세원 타이어
KR20020046376A (ko) * 2000-12-13 2002-06-21 정진일 권선기의 플라이어 조립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380Y1 (ko) * 1988-12-22 1991-03-04 임광수 조립식 종이모자
KR20010071963A (ko) * 1999-05-19 2001-07-3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상 av 네트워크 구축 장치, 가상 av 네트워크 구축방법 및 가상 av 네트워크 구축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 매체
KR200171963Y1 (ko) 1999-08-18 2000-03-15 문경철 조립식 모자
KR20020031991A (ko) * 2000-10-25 2002-05-03 김세원 타이어
KR20020046376A (ko) * 2000-12-13 2002-06-21 정진일 권선기의 플라이어 조립체
KR200231991Y1 (ko) 2001-02-27 2001-07-03 주식회사 핸즈메이크 조립식 상모놀이용 모자
KR200246376Y1 (ko) 2001-06-05 2001-10-18 장인석 판촉용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052U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28477B (zh) 帽类物品
US11766082B2 (en) Ball cap with high brim
KR200458038Y1 (ko) 조립식 모자
CN101677642A (zh) 假发基底
US8720452B2 (en) Hair piece device
US20060143792A1 (en) Multi-functional cap
KR20130077747A (ko) 기능성 모자
JP3151126U (ja) 花模様形状傘
KR20110139913A (ko) 모자
KR100950078B1 (ko) 보조차양 출입형 차양을 갖는 모자
US2221155A (en) Convertible woman&#39;s hat
KR200236668Y1 (ko) 모자
JP3187786U (ja) 帽子及びブレード帯
KR200431535Y1 (ko) 접히는 모자
KR200272650Y1 (ko) 이중 구조의 챙을 가진 모자
KR200438826Y1 (ko) 문양이 형성된 모자
KR200301364Y1 (ko) 보조 챙이 있는 모자
KR200339833Y1 (ko) 모자챙
KR200416124Y1 (ko) 모자 우산
KR100520981B1 (ko) 기능성모자
US20030183258A1 (en) Parasol
KR20060023622A (ko) 접을 수 있는 챙을 가진 모자
KR101733690B1 (ko) 헤어밴드겸용 장식용 모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22653B1 (ko) 사이즈 조절 모자
RU26730U1 (ru) Шапка вязана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