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913A - 모자 - Google Patents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913A
KR20110139913A KR1020100060028A KR20100060028A KR20110139913A KR 20110139913 A KR20110139913 A KR 20110139913A KR 1020100060028 A KR1020100060028 A KR 1020100060028A KR 20100060028 A KR20100060028 A KR 20100060028A KR 20110139913 A KR20110139913 A KR 20110139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or
crown
hat
guide
e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주경
신유진
김양현
에릭 팔럭
Original Assignee
신주경
김양현
신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주경, 김양현, 신유진 filed Critical 신주경
Priority to KR1020100060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9913A/ko
Publication of KR20110139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42B1/0184Peaks or visors detachable or movable, e.g. rotatabl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5Hats; Caps; Hoods made of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머리 부분을 열, 직사광성, 먼지, 충격 등의 외부작용으로부터 보호하며 패션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챙부가 본체부의 임의의 위치에 연결될 수 있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자{Headgear}
본 발명은 착용자의 머리 부분을 열, 직사광성, 먼지, 충격 등의 외부작용으로부터 보호하며 패션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챙부가 본체부의 임의의 위치에 연결될 수 있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모자는 머리에 쓰는 물건으로서, 추위, 더위, 먼지 따위를 막거나, 착용자의 머리 부분을 열, 직사광성, 먼지, 충격 등의 외부작용으로부터 보호한다. 한편, 근래에는 개개인의 스타일과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용도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모자의 종류에는 야구모자 등과 같은 캡(cap), 베레모, 카우보이 햇 등의 여러 종류가 있다. 여기서 야구모자는 근래에 젊은층을 중심으로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다.
야구모자는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패널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머리 전체를 감싸는 크라운과, 크라운의 전면 하단 부분에 고정부착되어 착용자의 안면을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챙부와, 크라운의 내부 하단 둘레부분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이마와 머리 둘레에서 흐르는 땀을 흡수하는 헤드밴드부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근래에 생산되고 판매되는 야구모자는 일반적으로 6개의 패널로 구성되는 크라운을 갖는데, 이 크라운의 전면부를 이루는 2개의 패널은 크라운의 형상유지를 위해 다소 단단하게 형성되며, 이 크라운의 전면부에는 팀의 로고를 나타내는 문양이나 각종 숫자, 문자, 기호 내지 그림 등이 부착되기도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야구모자는 개개인의 스타일과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용도로서 사용되기도 하는데, 최근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를 비스듬히 쓰는 것이 유행하고 있다. 즉, 모자의 챙부가 정면이 아니라 약간 측면을 향하도록 모자를 착용하는 것이다.
한편, 스타일을 추구하는 경우가 아니라 정면이 아닌 측면에서 입사되는 직사광선을 차양하기 위한 경우에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를 비스듬히 걸쳐 쓸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모자는 챙부가 크라운에 고정되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챙부가 정면으로부터 소정각도 틀어진 상태로 모자를 돌리게 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도 동일한 각도로 틀어지게 된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크라운의 전면부를 이루는 2개의 패널은 다소 단단하게 형성되어 본래 착용자의 이마에 맞는 형상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크라운이 돌아가게 되면 착용자는 큰 불편을 느끼게 된다.
즉, 종래의 모자의 경우, 챙부를 돌리게 되면 그에 고정된 크라운도 같이 돌아가게 되고, 크라운의 전면부는 착용자의 이마의 형상에 맞게, 그리고 단단하게 생산되므로, 크라운이 돌아간 상태로 모자를 착용하게 되면 착용감이 떨어지고, 나아가 장시간 착용했을 때 착용자에게 피로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챙부가 본체부의 임의의 위치에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모자를 머리게 맞게 착용했을 경우의 착용감을 유지시킬 수 있는 모자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용자 두상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 크라운부, 및, 상기 크라운부의 하단의 테두리부에 장착되는 챙부를 포함하고, 상기 챙부의 장착위치는 상기 크라운부의 하단의 테두리부 중 임의의 위치로 변경가능한 모자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챙부는 상기 크라운부의 하단의 테두리부를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자는 상기 챙부의 좌우 폭 방향으로 상기 챙부의 일단의 좌우 양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부재, 및, 폐곡선 형상을 가지며 상기 크라운부의 하단의 테두리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몸체, 상기 가이드몸체의 상하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리브로 구성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리브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리브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크라운부의 하단의 테두리부는 상기 가이드부가 설치되는 내측 테두리부, 및, 상기 내측 테두리부의 상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가이드부 전체를 덮도록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외측 테두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내측 테두리부의 하단과 상기 외측 테두리부의 하단은 서로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테두리부의 하단과 상기 외측 테두리부의 하단에는 벨크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의 적어도 하나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브부재의 요철과 상기 가이드리브의 요철은 서로 치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일단의 상단 또는 하단에 자석이 부착되고, 상기 자석이 부착된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상단 또는 하단에 대응하는 가이드리브의 내벽은 자석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테두리부의 내부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폐곡선 형상의 밴드가 구비되고, 상기 폐곡선을 이루는 상기 밴드의 일부의 내외부가 반전되면 상기 밴드 전체의 내외부가 반전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챙부는 상기 크라운부에 대해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챙부의 일단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상기 챙부의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부착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착패드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크라운부의 하단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복수 개의 돌기가 삽입고정되는 복수 개의 고정홀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챙부의 일단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상기 챙부의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부착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착패드의 일면과 상기 크라운부의 하단의 테두리부에는 벨크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용자의 머리를 덮어서 감싸는 크라운부, 상기 크라운부의 하단에 장착되어 차양을 수행하는 챙부, 및, 상기 챙부를 상기 크라운부에 장착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챙부는 차양 방향이 변경 가능한 모자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크라운부 하단의 테두리는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길이가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자는 챙부의 장착위치가 크라운부의 하단의 테두리부 중 임의의 위치로 변경가능하므로, 크라운이 착용자의 두상에 맞게 착용된 상태로 챙부만을 움직여서 차양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차양방향의 조절 내지 스타일 연출을 위해 챙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아울러 이때 크라운의 착용상태는 그대로 유지되어 양호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자는 챙부가 크라운부의 하단 테두리부를 따라 이동가능하므로, 챙부의 차양방향을 용이하게 변경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자는 챙부가 크라운부에 대해 탈착 가능하므로, 챙부가 필요 없을 경우 떼어낼 수 있고, 챙부를 단순히 회전시키는 경우에 비해 다양한 스타일 연출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크라운부와 챙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크라운부와 챙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에 대해 챙부가 회전하는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크라운부에 있어서 내측 테두리부와 외측 테두리부의 내면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크라운부의 사시도 및 그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크라운부와 챙부가 각각 분리된 상태 및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크라운부와 챙부가 각각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크라운부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크라운부와 챙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챙부를 회전이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크라운부와 챙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크라운부와 챙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착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모자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착용자가 종래의 모자를 비스듬히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모든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모자로서 야구모자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모자는 야구모자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모자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100)는 착용자 두상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 크라운부(110), 및, 크라운부(110)의 하단의 테두리부(113)에 장착되는 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야구모자를 기준으로 하므로, 상기 크라운부(110)는 다수 개의 패널(111)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챙부(130)의 장착위치는 크라운부(110)의 하단의 테두리부(113) 중 임의의 위치로 변경이 가능한데, 이에 대해서는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크라운부(110)는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6개의 패널(111-1 내지 111-4, 나머지 두 개의 패널은 미도시)의 각 측변 주위를 상호 재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널(111)은 통상적인 직물 또는 신축성 직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가죽 등의 여러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다만, 크라운부(110)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두 개의 패널(111-1, 111-2)은 크라운부(110)의 외형을 서있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다소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삼각형 형상의 패널들의 측변을 재봉하여 크라운부(110)를 형성하므로, 크라운부(110)는 대략 반구 형상을 갖게 된다. 이러한 반구 형상 내부에 착용자의 두상이 수용되므로, 크라운부(1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다.
한편, 챙부(130)는 착용자의 머리를 덮어서 감싸는 크라운부(110)에 장착되어, 차양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챙부(130)는 크라운부(110)를 구성하는 패널(111)보다는 신축되지 않으며 견고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챙부(130)는 그 내부에 챙심(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챙부(130)는 크라운부(110)의 하단의 테두리부(113)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테두리부(113)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크라운부와 챙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크라운부와 챙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100)는, 챙부(130)의 좌우 폭 방향으로 챙부(130)의 일단의 좌우 양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부재(131; 131a, 131b)와, 폐곡선 형상을 가지며 크라운부(110)의 하단의 테두리부(113)에 구비되는 가이드몸체(151), 가이드몸체(151)의 상하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리브(153; 153-1, 153-2)로 구성된 가이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113)는, 가이드부(150)가 설치되는 내측 테두리부(114), 및, 내측 테두리부(114)의 상부에서 분기되어 가이드부(150) 전체를 덮도록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외측 테두리부(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외측 테두리부(115)가 내측 테두리부(114)와의 분기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방으로 젖혀진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131)는 챙부(130)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부(135)로부터 챙부(130)의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수직부(135)의 좌우 양단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슬라이드 부재(131)는 곡면을 이루는 가이드몸체(151)에 밀착될 수 있도록, 만곡되어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소성(plasticity)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 수지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이드부(150)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131)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크라운부(110)의 내측 테두리부(114)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150)는 상기 내측 테두리부(114)의 외면 둘레를 감싸도록 폐곡선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몸체(1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가이드몸체(151)의 외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131)가 밀착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50)는 상기 가이드몸체(151)의 상하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리브(1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131)는 상기 가이드리브(153-1, 153-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챙부(130)에 구비된 슬라이드 부재(131)는 가이드리브(153-1, 153-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몸체(151)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도 3에는 슬라이드 부재(131a)가 가이드리브(153-1, 153-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부재(131)는 가이드리브(153-1, 153-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가이드리브(153-1, 153-2)는 슬라이드 부재(131)의 좌우 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131)가 가이드리브(153-1, 153-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면서도 가이드리브(153-1, 153-2)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슬라이드 부재(131)의 높이는 가이드리브(153-1, 153-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슬라이드 부재(13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가이드리브(153-1, 153-2)의 외측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편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외측 테두리부(115)가 상부로 젖혀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외측 테두리부(115)를 하방으로 내릴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테두리부(115)가 상기 가이드부(150) 전체를 덮도록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외측 테두리부(115)의 높이는 내측 테두리부(114)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131)가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면 슬라이드 부재(131)와 연결된 챙부(130)는 크라운부(110)에 대해 회전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챙부(130)의 회전이동의 예는 도 4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에 대해 챙부가 회전하는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챙부(130)는 크라운부(110)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패널(111-1, 111-2)의 하부의 테두리부에 위치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모자(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131)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131)가 삽입되고 슬라이드 부재(131)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이드되는 가이드부(150)를 구비하므로, 챙부(13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챙부(130)가 전면을 향하는 상태에서 약 45° 우측을 향하도록 우측의 일방향(①)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또는 챙부(130)가 전면을 향하는 상태에서 약 90° 좌측을 향하도록 좌측의 일방향(②)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131)와 가이드부(150)는 챙부(130)를 크라운부(110)에 상대이동시키기도 하지만, 챙부(130)를 크라운부(110)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점에서 '연결부재'라고 칭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자(100)는 이와 같이 챙부(130)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연결부재, 즉 슬라이드 부재(131) 및 가이드부(150)와의 상대이동에 따라 챙부(130)만 움직일 뿐, 착용자의 머리를 덮어서 감싸는 크라운부(110)는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챙부(130)를 이동시켜 차양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갖으면서도, 아울러 모자(100)의 착용감은 양호한 상태로 유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자(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부(110)의 하단의 테두리는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르다. 정확히는 사람의 두상을 고려하여 크라운부(110)의 세로 방향 길이가 가로 방향 길이보다 다소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크라운부(110)의 하단의 테두리는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모자와 같이 챙부가 움직임에 따라 크라운부가 같이 움직이게 되면 크라운부의 형상과 두상이 서로 맞지 않게 되어 착용감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챙부(130)가 이동되어도 크라운부(110)는 착용자가 모자(100)를 제대로 착용한 상태, 즉 크라운부(110)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패널(111-1, 111-2)이 이마 부분에 오도록 착용한 상태 그대로 정지되기 때문에, 양호한 착용감을 계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크라운부(110)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패널(111-1, 111-2)은 다소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모자(100)는 크라운부(110)가 움직임으로 인해 단단한 전면부가 착용자의 이마부분이 아닌 다른 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자(100)에 의할 경우, 챙부(13)를 돌려 차양방향을 변경하거나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크라운부(110)는 돌아가지 않으므로 양호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크라운부에 있어서 내측 테두리부와 외측 테두리부의 내면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테두리부(115)가 내측 테두리부(114)에 대해 상방으로 젖혀진 상태에서의 일부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자(100)는 내측 테두리부(114)의 하단과 외측 테두리부(115)의 하단이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자(100)는 내측 테두리부(114)의 하단과 외측 테두리부(115)의 하단에 벨크로(117, Velcro)를 구비할 수 있다.
벨크로(117)는 갈로리 모양의 작은 돌기물이 여러 개 달린 돌기천(117b)과 작은 고리가 여러 개 달린 고리천(117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벨크로(117)는 돌기천(117b)의 돌기와 고리천(117a)의 고리가 서로 물림으로써 밀착되고, 또한 힘을 주면 서로 쉽게 떼어지는 성질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 테두리부(114)의 하단의 둘레에 걸쳐 고리천(117a)이 구비되고, 외측 테두리부(115)의 하단의 둘레에 걸쳐 돌기천(117b)이 구비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모자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리천(117a)과 돌기천(117b)이 구비되는 테두리부가 서로 바뀔 수도 있고, 고리천(117a)과 돌기천(117b)이 테두리부(113)의 둘레에 걸쳐 구비되지 않고 소정간격 이격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실시예의 모자(100)는 내측 테두리부(114)의 하단과 외측 테두리부(115)의 하단에 즉,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벨크로(117)를 구비하므로, 외측 테두리부(115)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테두리부(114)를 덮도록 하방으로 내렸을 때, 바람 등에 의해 펄럭이지 않고 내측 테두리부(114)와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크라운부(110)에 대해 좌우로 회전이동할 수 있는 챙부(13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즉, 내측 테두리부(114)가 외측 테두리부(115)와 벨크로(117)에 의해 밀착 고정되어 있으면, 챙부(130)가 자연적으로 또는 의도치 않게 좌우 이동하려 할 때 상기 벨크로(117)의 고정력에 의해 챙부(130)도 안정적으로 크라운부(11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본 제2실시예와 같이 벨크로(117)를 구비한 경우에 챙부(130)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외측 테두리부(115)에 힘을 주어 벨크로(117)의 접착을 떼어낸 후 상방으로 젖힌 후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내측 테두리부(114)의 하단과 외측 테두리부(115)의 하단이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벨크로(117)를 구비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벨크로(117) 대신 작은 자석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크라운부의 사시도 및 그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자세하게는, 도 6(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크라운부의 사시도 및 일부 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Ⅵ-Ⅵ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자(100)는 외측 테두리부(115)의 내부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폐곡선 형상의 밴드(119)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폐곡선을 이루는 밴드(119)는 그 일부의 내외부가 반전되면 밴드(119) 전체의 내외부가 반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폐곡선 형상의 밴드(119)는 외측 테두리부(115)가 내측 테두리부(114)를 덮도록 하방으로 내렸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외측 테두리부(115)의 내부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 테두리부(115)의 내부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폐곡선 형상의 밴드(119)를 구비하고, 상기 밴드(119)의 일부의 내외부가 반전되면 밴드(119) 전체의 내외부가 반전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외측 테두리부(115)를 상방으로 젖힐 때 테두리부를 따라 접을 필요 없이 한 번의 동작으로 외측 테두리부(115) 전체를 젖힐 수 있다.
상기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측 테두리부(115)가 내측 테두리부(114)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챙부(130)를 이동시키기 위해 외측 테두리부(115)를 상방으로 젖혀야 할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외측 테두리부(115) 중 일부를 상방으로 젖히게 되면 외측 테두리부(115)의 내부에 구비된 밴드(119)에 대해서도, 젖혀진 외측 테두리부(115)의 일부에 대응하는 밴드(119) 일부의 내부와 외부가 반전된다. 상기 밴드(119)는 폐곡선 형상을 갖으며, 소정의 높이를 갖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제3실시예에 따르면, 밴드(119)의 일부의 내외부가 반전될 때 밴드(119) 전체의 내외부가 반전되므로, 밴드(119) 전체에 대응하는 외측 테두리부(115)가 상방으로 젖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밴드(119)의 일부의 내외부가 반전되면 밴드(119) 전체의 내외부가 반전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밴드(119)는 비틀림강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크라운부와 챙부가 각각 분리된 상태 및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자세하게는, 도 7(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크라운부와 챙부가 각각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크라운부와 챙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자(100)는 슬라이드부재(131)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다수의 요철(137)이 형성되고, 가이드리브(153; 153-1, 153-2)의 적어도 하나에 다수의 요철(155; 155-1, 155-2)이 형성되어, 슬라이브부재의 요철(137)과 가이드리브의 요철(155)이 서로 치합될 수 있다.
도 7에는 양 슬라이드부재(131a, 131b)의 상단 및 하단 모두에 다수의 요철(137)이 형성되고, 양 가이드리브(153-1, 153-2) 모두에 다수의 요철(155-1, 155-2)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의 요철(137)들 간의 간격과 가이드리브의 요철(155)들 간의 간격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131)와 가이드리브(153)는 슬라이드부재의 요철(137) 중 볼록한 부위가 가이드리브의 요철(155) 중 오목한 부위에 대응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부재(131)와 가이드리브(153)에 요철을 형성하여 서로 치합하도록 하면, 크라운부(110)에 대해 챙부(13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챙부(130)를 원하는 차양방향으로 이동시킨 뒤에는 의도하지 않게 챙부(13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슬라이드부재(131)와 가이드리브(153)에 형성된 요철이 서로 치합됨으로써 챙부(130)의 좌우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착용자가 챙부(130)의 차양방향을 다시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무리한 힘을 주지 않고도 슬라이드부재의 요철(137) 중 볼록한 부위가 가이드리브의 요철(155) 중 오목한 부위로부터 이탈할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슬라이드부재(131) 및/또는 가이드리브(153)는 자체적으로 일정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크라운부와 챙부가 각각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크라운부의 일부 단면도이다. 자세하게는, 도 8(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크라운부와 챙부가 각각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Ⅷ-Ⅷ선을 따라 자른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모자(100)는 슬라이드부재(131)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다수의 요철(137')이 형성되고, 가이드리브(153; 153-1, 153-2)의 적어도 하나에 다수의 요철(155'; 155-1', 155-2')이 형성되어, 슬라이브부재의 요철(137')과 가이드리브의 요철(155')이 서로 치합될 수 있다.
제5실시예에 따른 모자(100)는 슬라이드부재에 형성된 요철(137')과 가이드리브에 형성된 요철(155')이 서로 치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제4실시예에 따른 모자(100)와 공통점이 있으나, 요철이 형성된 방향은 제4실시예와 다르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실시예에서는 요철(137')이 슬라이드부재(131)의 상하단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155-1')이 가이드리브(153-1)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가이드리브(153-2)에 형성되는 요철은 가이드리브(153-1)에 형성되는 요철(155-1')과 동일하므로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실시예에 따른 모자(100)는 슬라이드부재(131)에서 외부로 향하는 방향의 요철(137')이 가이드리브(153)의 내주면에서 요철(155')과 치합되므로, 제4실시예에 따른 모자(100)에 비해 더욱 안전하게 챙부(1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크라운부와 챙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모자(100)는 슬라이드부재(131)의 일단의 상단 또는 하단에 자석(139; 139a, 139b)이 부착되고, 상기 자석(139)이 부착된 슬라이드부재(131)의 상단 또는 하단에 대응하는 가이드리브(153)의 내벽은 자석(157)일 수 있다.
도 9에는 슬라이드부재(131a, 131b)의 일단의 상단에 자석(139a, 139b)이 부착되고, 자석(139)이 부착된 슬라이드부재(131)의 상단에 대응하는 가이드리브(153-1)의 내벽에 자석(157)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제6실시예에 따른 모자(100)는 이와 같이 슬라이드부재(131) 및 가이드리브(153)에 구비되는 자석(139, 157)을 통해, 챙부(130)를 크라운부(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4실시예 및 제5실시예에 따른 모자(100)에 비해, 보다 간편하게 챙부(130)를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제6실시예에 따른 모자(100)에서 챙부(130)의 이동방법의 일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챙부를 회전이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구체적으로, 챙부(130)를 크라운부(110)의 우측 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0에는 챙부(130), 슬라이드부재(131a, 131b), 슬라이드부재의 자석(139a, 139b), 가이드리브(153-1, 153-2), 가이드리브의 자석(157) 이외의 구성은 생략하였다.
도 10(a)는 챙부(130)가 크라운부(110)의 전면부를 향해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즉, 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챙부(130)가 크라운부(110)의 전면부를 이루는 패널(111-1, 111-2)에 근접하여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부재의 자석(139a, 139b)은 가이드리브의 자석(157)과의 자력에 의해 서로 붙어 있게 된다. 따라서 챙부(130)는 크라운부(110)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챙부(130)를 회전시키기 위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챙부(130)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려 슬라이드부재의 자석(139a, 139b)을 가이드리브의 자석(157)으로부터 떼어낸다. 즉, 챙부(130)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반대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슬라이드부재(131a, 131b)의 일단은 하방향으로 내려가게 되는데, 슬라이드부재(131a, 131b)의 일단이 내려가는 힘이 자석들(139a, 139b, 157) 간의 자력보다 크면, 슬라이드부재의 자석(139a, 139b)과 가이드리브의 자석(157) 간의 부착이 떨어진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부재의 자석(139a, 139b)과 가이드리브의 자석(157) 간의 부착이 떨어지면 챙부(130)를 크라운부(110)에 대해 고정하는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챙부(130)를 크라운부(130)의 우측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
원하는 차양방향으로 챙부(130)를 이동시킨 다음에는,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챙부(130)를 하방으로 내린다. 그러면 반대편의 슬라이드부재(131a, 131b)의 일단은 상방향으로 상승하게 되어, 슬라이드부재(131a, 131b)의 상단에 위치한 자석(139a, 139b)과 가이드리브의 자석(157)이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부재의 자석(139a, 139b)과 가이드리브의 자석(157)이 부착되면, 챙부(130)는 크라운부(110)에 대해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원하지 않는 챙부(130)의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6실시예의 경우 챙부(130) 만을 한 손으로 잡고 손쉽게 챙부(130)를 회전이동시킨 후 크라운부(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제4 및 제5실시예에 비해 조작의 간편성을 제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부재의 자석(139a, 139b)이 슬라이드부재(131a, 131b)의 상단에 구비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석(139a, 139b)이 슬라이드부재(131a, 131b)의 하단 또는 상하단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가이드리브의 자석(157)가 가이드리브(153-2)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자석들(139, 157)은 모자(100)의 무게를 고려하여, 챙부(130)를 크라운부(110)에 대해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자력을 제공하는 한도 내에서는, 되도록 중량이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크라운부(110)에 대해 챙부(130)가 착탈 가능한 모자(100)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크라운부와 챙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모자(100)는, 챙부(130)의 일단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챙부(130)의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부착패드(132; 132a, 13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착패드(132)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133)가 구비되고, 크라운부(110)의 하단의 테두리부(113)에는 상기 복수 개의 돌기(133)가 삽입고정되는 복수 개의 고정홀(112)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고정홀(112) 간의 간격은 복수 개의 돌기(133)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챙부(130)를 크라운부(110)에 부착했을 경우의 외관을 고려하여, 돌기(133)는 부착패드(132)의 외면에 구비되고, 고정홀(112)은 크라운부(110)의 하단의 테두리부(113)의 내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챙부의 수직부(135) 및 부착패드(132)가 크라운부(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7실시예에 의할 경우 필요에 따라 챙부(130)를 크라운부(110)에 대해 탈거할 수도 있고, 부착패드(132)에 형성된 돌기(133)를 크라운부(110)의 고정홀(112)에 삽입하여 챙부(130)를 크라운부(11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 크라운부(1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홀(112)은 테두리부(113)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챙부(130)를 떼었다가 원하는 차양방향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크라운부와 챙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모자(100)는, 챙부(130)의 일단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챙부(130)의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부착패드(132; 132a, 13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착패드(132)의 일면과 크라운부의 하단의 테두리부(113)에는 벨크로(116)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2에는 크라운부의 하단의 테두리부(113)의 내면의 둘레를 따라 벨크로(116)를 구성하는 고리천(116a)이 구비되고, 부착패드(132)의 외면에 벨크로(116)를 구성하는 돌기천(116b)이 구비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제8실시예에 따른 모자(100)는 이와 같이 벨크로(116)를 이용하여 챙부(130)를 크라운부(110)에 대해 착탈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간편하게 챙부(130)를 탈거한 후 원하는 차양방향으로 크라운부(110)에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자(100)를 착용자가 실제로 착용하여 챙부(130)의 차양방향을 변경한 경우의 상태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착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모자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는 모자(100)를 정확히 착용한 상태에서 챙부(130)의 차양방향만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챙부(130)의 차양방향이 크라운부(110)의 전면부를 향하는 일반적인 상태에서 모자(100)를 착용한 후, 챙부(130)의 차양방향을 변경할 때 챙부(130)의 차양방향만 변경될 뿐, 크라운부(110)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종래의 모자와 달리, 챙부(130)의 차양방향을 변경할 때 크라운부(110)의 전면부가 착용자의 이마에 고정된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모자(100)를 정면으로 썼을 때의 양호한 착용감은 유지되면서도 착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해, 또는 빛의 차단방향을 바꾸기 위해 챙부(130)의 차양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모자 110 : 크라운부
111 : 패널 113 : 테두리부
114 : 내측 테두리부 115 : 외측 테두리부
130 : 챙부 131 : 슬라이드 부재
150 : 가이드부 151 : 가이드몸체
153 : 가이드리브

Claims (14)

  1. 착용자 두상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 크라운부; 및,
    상기 크라운부의 하단의 테두리부에 장착되는 챙부;를 포함하고,
    상기 챙부의 장착위치는 상기 크라운부의 하단의 테두리부 중 임의의 위치로 변경가능한 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챙부는 상기 크라운부의 하단의 테두리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챙부의 좌우 폭 방향으로 상기 챙부의 일단의 좌우 양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부재; 및,
    폐곡선 형상을 가지며 상기 크라운부의 하단의 테두리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몸체, 상기 가이드몸체의 상하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리브로 구성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리브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리브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부의 하단의 테두리부는,
    상기 가이드부가 설치되는 내측 테두리부; 및,
    상기 내측 테두리부의 상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가이드부 전체를 덮도록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외측 테두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테두리부의 하단과 상기 외측 테두리부의 하단은 서로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테두리부의 하단과 상기 외측 테두리부의 하단에는 벨크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의 적어도 하나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브부재의 요철과 상기 가이드리브의 요철은 서로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일단의 상단 또는 하단에 자석이 부착되고, 상기 자석이 부착된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상단 또는 하단에 대응하는 가이드리브의 내벽은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테두리부의 내부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폐곡선 형상의 밴드가 구비되고,
    상기 폐곡선을 이루는 상기 밴드의 일부의 내외부가 반전되면 상기 밴드 전체의 내외부가 반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챙부는 상기 크라운부에 대해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챙부의 일단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상기 챙부의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부착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착패드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크라운부의 하단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복수 개의 돌기가 삽입고정되는 복수 개의 고정홀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챙부의 일단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상기 챙부의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부착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착패드의 일면과 상기 크라운부의 하단의 테두리부에는 벨크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13. 착용자의 머리를 덮어서 감싸는 크라운부;
    상기 크라운부의 하단에 장착되어 차양을 수행하는 챙부; 및,
    상기 챙부를 상기 크라운부에 장착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챙부는 차양 방향이 변경 가능한 모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부 하단의 테두리는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길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KR1020100060028A 2010-06-24 2010-06-24 모자 KR20110139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028A KR20110139913A (ko) 2010-06-24 2010-06-24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028A KR20110139913A (ko) 2010-06-24 2010-06-24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913A true KR20110139913A (ko) 2011-12-30

Family

ID=45505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028A KR20110139913A (ko) 2010-06-24 2010-06-24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991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1133A1 (fr) * 2017-09-18 2019-03-22 Ladinvest Casquette a visiere tournante
WO2019194430A1 (ko) * 2018-04-03 2019-10-10 손중후 챙 교체형 모자
WO2020008150A1 (fr) * 2018-07-05 2020-01-09 Baptista Christophe Couvre-chef tel qu'une casquette
WO2022131938A1 (en) * 2020-12-18 2022-06-23 Boost Promotions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eadgea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1133A1 (fr) * 2017-09-18 2019-03-22 Ladinvest Casquette a visiere tournante
WO2019194430A1 (ko) * 2018-04-03 2019-10-10 손중후 챙 교체형 모자
WO2020008150A1 (fr) * 2018-07-05 2020-01-09 Baptista Christophe Couvre-chef tel qu'une casquette
FR3083429A1 (fr) * 2018-07-05 2020-01-10 Christophe Baptista Couvre-chef tel qu'une casquette
WO2022131938A1 (en) * 2020-12-18 2022-06-23 Boost Promotions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eadge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488B1 (ko) 모자
KR20110139913A (ko) 모자
KR20130077747A (ko) 기능성 모자
KR200471913Y1 (ko) 탈 부착용 헤어밴드커버를 갖는 모자
KR101369204B1 (ko) 착탈가능한 차양을 갖는 착용구
KR200440784Y1 (ko) 공간부가 형성된 양면모자
US20090106877A1 (en) Headwear appearing hidden pattern effect
KR200439928Y1 (ko) 양면 챙 모자
KR101163379B1 (ko) 통기성을 향상시킨 모자
KR200459258Y1 (ko) 타올부재를 갖는 두건
KR200441032Y1 (ko) 충격을 방지해주는 챙
CN217791611U (zh) 可变形帽子
JP3169206U (ja) 帽子用衝撃緩和インナー
KR200491376Y1 (ko)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모자
KR20130002206U (ko) 통풍효과를 높인 모자
KR200454768Y1 (ko) 모자챙에 안경수용홈이 형성된 모자
KR20130024510A (ko) 차광부재를 갖는 모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62402A (ko) 크기 조절형 모자
JP3208582U (ja) 帽子
JP3216905U (ja) 日除け帽子
KR200363379Y1 (ko) 차양모자
KR20150002233U (ko) 시야가 확보된 햇 모자
KR200457707Y1 (ko) 변형 탑버튼을 가진 모자
US20170143065A1 (en) Outstandingly elastic headwear
KR200466448Y1 (ko) 크라운을 변형시킨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