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033Y1 -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033Y1
KR200458033Y1 KR2020090000811U KR20090000811U KR200458033Y1 KR 200458033 Y1 KR200458033 Y1 KR 200458033Y1 KR 2020090000811 U KR2020090000811 U KR 2020090000811U KR 20090000811 U KR20090000811 U KR 20090000811U KR 200458033 Y1 KR200458033 Y1 KR 200458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re
mattress
sides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735U (ko
Inventor
박상훈
Original Assignee
박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훈 filed Critical 박상훈
Priority to KR20200900008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03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7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7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0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트리스에 고정하여 스트레칭이나 운동을 할 수 있으며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재활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팔, 다리, 허리 등 다양한 부위의 운동 및 이완을 할 수 있는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은 사용자가 누워서 사용할 수 있는 매트리스와, 상기 매트리스의 후방에 상단으로 수직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프레임에 직각으로 연통되게 연결되는 수평프레임을 형성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 수직프레임의 하단 몸체 후방으로는 형성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모터 회전에 의해 권취되도록 견인와이어와 고정와이어를 형성한 견인부와, 상기 견인부에 의해 슬라이딩되도록 저면에 로울러가 형성되고 수평프레임에 복원스프링에 의해 탄력설치된 중앙박스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박스의 양측으로는 양측박스를 형성한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중앙박스 저면으로는 상기 견인와이어의 단부에 고정되는 중량물을 연결형성하는 중량부와, 상기 중량부를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키도록 프레임부의 수평프레임 일측으로 형성한 스톱부와, 상기 스톱부에 의해 정지 및 해지되는 안내부와 중량부를 당기거나 풀어주도록 정,역회전 및 스톱스위치가 형성되는 전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HEALTH MACHINE}
본 고안은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트리스에 고정하여 스트레칭이나 운동을 할 수 있으며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재활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팔, 다리, 허리 등 다양한 부위의 운동 및 이완을 할 수 있는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운동은 걷기, 단전호흡, 에어로빅 조깅, 수영 싸이클, 등산과 같이 운동수행에 요구되는 대부분의 에너지공급을 유산소성 대사로서 이루어지는 유산소운동과, 중량운동, 투척, 역도 등 단시간에 큰 힘을 내는 운동으로 무산소운동 및 상기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이 혼합된 혼합운동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운동중 유산소 운동은 율동성이 강한 운동으로 심폐기능을 강화시키고 지방을 에너지로 사용하여 비만 치료에 적합한 운동이며, 무산소 운동은 민첩성과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심박수가 상당히 높아지는 운동으로 근육을 활성화 시키는 운동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운동중 무산소 운동은 다양한 운동기구를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운동기구는 사용자 자신이 직접 완력을 가하거나 작동시켜 운동을 하는 능동형 기구와 전적으로 기구의 작동에 의해 근육을 이완 또는 수축시키는 방식으로 운동효과를 높이는 피동형 기구가 있다.
상기와 같이 유산소 운동이나 무산소 운동 및 혼합운동을 하기 위하여 수영장 및 헬스장과 같은 스포츠센터를 이용하거나 등산이나 달리기와 같은 운동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포츠 센타를 이용하면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운동을 꾸준히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등산이나 달리기 같은 경우는 기후와 날씨의 영향을 받아 정상적인 운동을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 하였다.
따라서,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운동기구가 많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운동기구는 부피가 커서 실내에 설치하기에는 많은 장소를 필요로 하였으며 가격이 고가이어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을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재활치료에 필요한 운동은 사용자가 운동기구가 있는 곳으로 이동을 하여 운동을 해야 함으로써 환자에게 도움을 주는 사람 없이는 재활치료에 필요한 운동을 할 수 없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용자가 누워서 사용할 수 있는 메트리스에 운동기구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 취침 전, 후에 스트레칭이나 운동을 할 수 있으며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재활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팔, 다리, 허리 등 다양한 부위의 운동을 혼자서도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눕거나 업드린 상태에서 가압하여 허리나 등을 펼칠 수 있는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용자가 누워서 사용할 수 있는 장방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손잡이를 형성한 매트리스와, 상기 매트리스의 후방에 상단 전방으로 접촉스위치를 형성한 수직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직각으로 연통되게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을 형성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수직프레임 하단 몸체 후방으로는 전원의 인가에 의해 정지 및 정, 역회전하는 구동모터를 형성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모터 회전에 의해 권취되도록 중앙에 견인와이어를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내측으로 형성하고 상기 견인와이어의 양측에는 수직프레임에 탄력 설치된 고정와이어를 형성하는 견인부와, 상기 견인부에 의해 슬라이딩되도록 저면에 로울러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견인와이어를 안내하는 견인안내휠이 축설되며 후방으로는 수평프레임에 복원스프링에 의해 탄력 설치된 중앙박스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박스의 양측으로는 내부에 고정와이어를 안내하는 고정안내휠을 축설한 양측박스를 형성한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중앙박스 저면으로는 상기 견인와이어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면 양측에는 이송로울러가 형성된 중량물을 연결하고 상기 중량물의 양측에는 상측에는 고리와 하측에는 안내휠을 형성하여 고정와이어가 고리와 안내휠을 통과되어 고정되도록 고정와이어 단부에 걸림링을 형성하며 상기 중량물의 배면에는 발목을 고정할 수 있는 발목고정대를 형성한 중량부와, 상기 중량부를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키도록 프레임부 수평프레임의 일측으로 솔레노이드밸브를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인출 및 삽입을 제어할 수 있는 센서를 중량물의 상측과 수직프레임 상단 정면에 형성한 스톱부와, 상기 스톱부의 솔레노이드밸브의 인출 및 삽입을 제어하도록 센서스위치를 형성하고 안내부와 중량부를 당기거나 풀어주도록 정, 역회전 및 스톱스위치가 형성된 구동스위치를 형성한 전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매트리스의 전방 상측면으로는 “T"자 형상의 삽입홈과 이동홈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홈의 전방으로는 이동공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홈에서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걸림대의 전방에 연장 형성한 걸림봉이 통과되도록 하여 매트리스 몸체 저면에 인장스프링으로 탄력 설치하고 상기 걸림봉 단부는 매트리스에 절개되어 전방이 힌지 결합하여 개폐될 수 있는 받침덮개의 전방면 하단에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 및 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받침덮개는 가스쇼바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중량부의 걸림링 하단에는 연결와이어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와이어의 단부에는 걸림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사용자가 누워서 사용할 수 있는 메트리스에 운동기구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 취침 전, 후에 스트레칭이나 운동을 할 수 있으며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재활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팔, 다리, 허리 등 다양한 부위의 운동을 혼자서도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눕거나 업 드린 상태에서 신체를 가압하여 허리나 등을 펼칠 수 있어 신체를 이완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의 스톱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매트리스(10)와, 매트리스(10)에 설치되는 프레임부(20)와, 상기 프레임부(20) 하단에 설치된 구동부(30)와, 구동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누를 수 있는 중량부(60)를 안내부(50)의 안내에 의해 견인하는 견인부(40)와, 상기 안내부(50)를 정지시키는 스톱부(70)로 구성된다.
상기의 매트리스(10)는 장방형태의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양측에 손잡이(12)를 형성한다.
이러한 매트리스(10)의 후방에 상단에는 프레임부(2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프레임부(20)는 전방으로 접촉스위치(23)를 형성한 수직프레임(21)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프레임(21)의 상단에 직각으로 연통되게 연결되는 수평프레임(22)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부(20) 수직프레임(21)의 하단 몸체(11) 후방으로는 구동부(30)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부(30)는 전원의 인가에 의해 정지 및 정, 역회전하는 구동모터(3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30)의 구동모터(31) 회전에 의해 권취되도록 견인부(4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견인부(40)는 중앙에 견인와이어(41)를 형성하고 상기 견 인와이어(41)의 양측에 고정와이어(42)를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부(20)의 수직프레임(21)과 수평프레임(22)의 내측으로 설치되어 구동모터(31)에 의해 견인와이어(41)가 권취되고 고정와이어(42)는 스파이어럴스프링(42')에 의해 탄력설치된다.
한편, 상기 견인부(40)에 의해 견인되어 프레임부(20)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부(50)를 형성한다.
상기 안내부(50)는 프레임부(20)의 수평프레임(22)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저면에 로울러(51)를 형성하고 내측에는 견인와이어(41)를 안내하는 견인안내휠(52)이 축설되며 후방으로는 수평프레임(22)에 복원스프링(56)에 의해 탄력설치된 중앙박스(53)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중앙박스(53)의 양측으로는 내부에 고정와이어(42)를 안내하는 고정안내휠(54)을 축설한 양측박스(55)를 형성한다.
상기 안내부(50)의 중앙박스(53) 저면으로는 상기 견인와이어(41)에 의해 견인되는 중량부(60)를 형성한다.
이러한 견인부(40)의 견인와이어(41) 단부에는 상면 양측에 이송로울러(65)가 형성된 중량물(61)을 연결하고 상기 중량물(61)의 양측으로는 상측에 고리(62)와 하측으로는 안내휠(63)을 형성하여 고정와이어(42)가 통과한 상태로 고정와이어(42)의 단부에 걸림링(64)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중량물(61)의 배면에는 발목을 고정할 수 있는 발목고정대(66)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중량부(60)를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키도록 스톱부(70)를 프레임 부(20) 수평프레임(22)의 일측에 형성한다.
상기의 스톱부(70)는 중량부(60)를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키도록 프레임부(20) 수평프레임(22)의 일측으로 솔레노이드밸브(71)를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71)의 인출 및 삽입을 제어할 수 있는 센서(72)를 중량물(61)의 상측과 수직프레임(21) 상단 정면에 형성한다.
이와 같은 스톱부(70)의 솔레노이드밸브(71)의 인출 및 삽입을 제어하도록 센서스위치(81)를 형성하고 안내부(50)와 중량부(60)를 당기거나 풀어주도록 정, 역회전 및 스톱스위치가 형성된 구동스위치(82)를 형성한 전원부(8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트리스(10)의 전방 상측면으로는 “T"자 형상의 삽입홈(13)과 이동홈(14)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홈(14)의 전방으로는 이동공(15)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홈(14)에서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걸림대(16)의 전방에 연장 형성한 걸림봉(17)이 통과되도록 하여 매트리스(10) 몸체(11) 저면에 인장스프링(18)으로 탄력 설치하고 상기 걸림봉(17) 단부는 매트리스(10)에 절개되어 전방이 힌지 결합하여 개폐될 수 있는 받침덮개(19)의 전방면 하단에 형성된 고정공(19‘)에 삽입 및 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받침덮개(19)는 가스쇼바(S)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상기 중량부(60)의 걸림링(64) 하단에는 연결와이어(64‘)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와이어(64’)의 단부에는 걸림편(64“)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받침덮개(19)는 힌지에 토션스프링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매트리스(10)에 누워서 발목을 발목고정대(66)에 고정시킨다.
발목고정대(66)는 다양한 끈 형상으로 형성하되 반구형상의 철판을 회전시켜 볼트로 고정하여 발목을 고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부(30)의 구동모터(31)를 회전시켜 견인와이어(41)를 권취시키면 중량부(60)의 중량물(61) 전체를 견인한다.
이때 사용자의 발목이 삽입된 발목고정대(66) 또한 상승되어 누워있는 사용자의 신체를 거꾸로 매다는 상태로 이완시켜 준다.
한편, 사용자의 발목을 발목고정대(66)에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구동부(30)의 구동모터(31)를 회전시켜 견인부(40)의 견인와이어(41)를 권취시키면 견인와이어(41)에 연결된 중량부(60)의 중량물(61)이 상승되고 중량물(61)이 최상점으로 상승되면 중량물(61)의 상측에 형성된 센서(72)가 수평프레임(22)에 접촉하여 스톱부(70)의 솔레노이드밸브(73)를 해제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복원스프링(56)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안내부(50)의 중앙박스(53)와 양측박스(55) 및 중량물(61)이 수평프레임(2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안내부(53)의 중앙박스(53)가 이동하여 수직프레임(21)의 센서(72)와 접촉스위치(23)에 접촉하여 솔레노이드밸브(73)를 인출시켜 안내부(50)를 고정하고 구동모터(31)를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동된 상태에서 전원부(80)의 구동스위치(82)의 작동으로 구동 모터(31)를 역회전시키면 중량물(61)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여 사용자의 등, 허리 부분을 누르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곧게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중량물(61)의 위치는 전원부(80)의 구동스위치(82) 또는 센서스위치(81)를 작동하여 구동모터(31)의 정역회전 및 솔레노이드밸브(71)의 인출 및 삽입을 제어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윗몸 일으키기를 하기 위하여 한쌍의 걸림링(64)을 사용하려면 걸림편(64")을 매트리스(10)의 삽입홈(13)에 넣은 후 걸림대(16)의 저면으로 이동시켜 걸림편(64")이 걸림대(16)의 저면에 걸림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의 걸림링(64)에 사용자의 발을 넣어 사용한다.
이와 같이 윗몸 일으키기 운동을 할 때 사용자의 체력에 따라 등받이의 각도를 높여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등받이는 받침덮개(19)를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받침덮개(19)는 걸림대(16)를 후방으로 당겨 걸림봉(17)의 단부가 고정공(19')에서 이탈하게 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걸림봉(17)이 고정공(19')에서 이탈하게 되면 가스쇼바(S)의 탄력에 의해 받침덮개(19)는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상승 된 받침덮개(19)를 사용한 후에는 걸림대(16)를 후방으로 당겨 걸림봉(17)이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받침덮개(19)를 가압하여 원래 위치로 되돌린 후 걸림대(16)를 놓으면 원래 위치로 걸림봉(17)이 이동하면서 고정공(19')에 걸림봉(17)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사용자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쿠션(C)을 수직프레임(21)의 하단 정면에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 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를 이완시킴은 물론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복근을 발달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를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의 스톱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의 전체적인 설명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매트리스 20 : 프레임부
30 : 구동부 40 : 견인부
50 : 안내부 60 : 중량부
70 : 스톱부 80 : 전원부

Claims (3)

  1. 사용자가 누워서 사용할 수 있는 장방형태의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양측에 손잡이(12)를 형성한 매트리스(10)와,
    상기 매트리스(10)의 후방에 상단 전방으로 접촉스위치(23)를 형성한 수직프레임(21)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프레임(21)의 상단에 직각으로 연통되게 연결하는 수평프레임(22)을 형성한 프레임부(20)와,
    상기 프레임부(20)의 수직프레임(21) 하단 몸체(11) 후방으로는 전원의 인가에 의해 정지 및 정, 역회전하는 구동모터(31)를 형성한 구동부(30)와,
    상기 구동부(30)의 구동모터(31) 회전에 의해 권취되도록 중앙에 견인와이어(41)를 수직프레임(21)과 수평프레임(22)의 내측으로 형성하고 상기 견인와이어(41)의 양측에는 수직프레임(21)에 탄력 설치된 고정와이어(42)를 형성하는 견인부(40)와,
    상기 견인부(40)에 의해 슬라이딩되도록 저면에 로울러(51)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견인와이어(41)를 안내하는 견인안내휠(52)이 축설되며 후방으로는 수평프레임(22)에 복원스프링(56)에 의해 탄력 설치된 중앙박스(53)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박스(53)의 양측으로는 내부에 고정와이어(42)를 안내하는 고정안내휠(54)을 축설한 양측박스(55)를 형성한 안내부(50)와,
    상기 안내부(50)의 중앙박스(53) 저면으로는 상기 견인와이어(41)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면 양측에는 이송로울러(65)가 형성된 중량물(61)을 연결하고 상기 중량물(61)의 양측에는 상측에는 고리(62)와 하측에는 안내휠(63)을 형성하여 고정와이어(42)가 고리(62)와 안내휠(63)을 통과되어 고정되도록 고정와이어(42) 단부에 걸림링(64)을 형성하며 상기 중량물(61)의 배면에는 발목을 고정할 수 있는 발목고정대(66)를 형성한 중량부(60)와,
    상기 중량부(60)를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키도록 프레임부(20) 수평프레임(22)의 일측으로 솔레노이드밸브(71)를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71)의 인출 및 삽입을 제어할 수 있는 센서(72)를 중량물(61)의 상측과 수직프레임(21) 상단 정면에 형성한 스톱부(70)와,
    상기 스톱부(70)의 솔레노이드밸브(71)의 인출 및 삽입을 제어하도록 센서스위치(81)를 형성하고 안내부(50)와 중량부(60)를 당기거나 풀어주도록 정, 역회전 및 스톱스위치가 형성된 구동스위치(82)를 형성한 전원부(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10)의 전방 상측면으로는 “T"자 형상의 삽입홈(13)과 이동홈(14)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홈(14)의 전방으로는 이동공(15)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홈(14)에서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걸림대(16)의 전방에 연장 형성한 걸림봉(17)이 통과되도록 하여 매트리스(10) 몸체(11) 저면에 인장스프링(18)으로 탄력 설치하고 상기 걸림봉(17) 단부는 매트리스(10)에 절개되어 전방이 힌지 결합하여 개폐될 수 있는 받침덮개(19)의 전방면 하단에 형성된 고정공(19‘)에 삽입 및 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받침덮개(19)는 가스쇼바(S)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60)의 걸림링(64) 하단에는 연결와이어(64‘)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와이어(64’)의 단부에는 걸림편(6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
KR2020090000811U 2009-01-22 2009-01-22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 KR2004580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811U KR200458033Y1 (ko) 2009-01-22 2009-01-22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811U KR200458033Y1 (ko) 2009-01-22 2009-01-22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735U KR20100007735U (ko) 2010-07-30
KR200458033Y1 true KR200458033Y1 (ko) 2012-01-18

Family

ID=44453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811U KR200458033Y1 (ko) 2009-01-22 2009-01-22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0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38497B (zh) * 2023-10-07 2024-03-29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一种膝关节矫形支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9713A (en) * 1982-12-01 1984-12-25 Latenser John F Flexion-traction back relaxing system
US5449336A (en) * 1993-10-18 1995-09-12 Sabel; Amy L. Stretching machine
JP2004329278A (ja) * 2003-04-30 2004-11-25 Kochi Univ Of Technology 身体の吊り上げ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歩行訓練機
KR100869067B1 (ko) * 2007-05-21 2008-11-17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 부하 조절이 가능한 전자식 헬스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9713A (en) * 1982-12-01 1984-12-25 Latenser John F Flexion-traction back relaxing system
US5449336A (en) * 1993-10-18 1995-09-12 Sabel; Amy L. Stretching machine
JP2004329278A (ja) * 2003-04-30 2004-11-25 Kochi Univ Of Technology 身体の吊り上げ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歩行訓練機
KR100869067B1 (ko) * 2007-05-21 2008-11-17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 부하 조절이 가능한 전자식 헬스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735U (ko) 201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8702B2 (en) Exercise apparatus and system for stationary users
US9474924B2 (en) Exercise machine handle system
US8105206B2 (en) Exercise machine
US9326908B2 (en) Body stretching assembly
US20140005015A1 (en) Portable gym using gravitational forces
CN205494829U (zh) 一种拉力式背部按摩健身器材
KR101236281B1 (ko) 하반신 마비 환자용 로잉운동기
CN213374952U (zh) 一种综合护理康复训练装置
CN107376222A (zh) 一种坐位体前屈训练装置
KR101252723B1 (ko)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KR200458033Y1 (ko) 신체 이완용 운동기구
CN210057297U (zh) 新型引体向上训练器
CN105080040A (zh) 扩胸健肌器
US5984844A (en) Portable exercise device
CN201157502Y (zh) 床上康复训练器
CN112827129B (zh) 一种舞蹈学习后腿部拉伸放松设备
CN211245388U (zh) 一种腿部训练器
CN114377354A (zh) 一种护理康复锻炼装置
CN211050816U (zh) 具有手部拉引式训练结构的跑步机
KR100856072B1 (ko) 전신 운동기구
CN208582928U (zh) 一种腿部按摩器
US20200078656A1 (en) Exercise Apparatus and System for Stationary Users
WO2010120378A2 (en) Portable gym using gravitational forces
JP3167950U (ja) リハビリ装置
CN202909379U (zh) 内科用自助式康复牵引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