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705Y1 - 배연창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배연창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705Y1
KR200457705Y1 KR2020090016916U KR20090016916U KR200457705Y1 KR 200457705 Y1 KR200457705 Y1 KR 200457705Y1 KR 2020090016916 U KR2020090016916 U KR 2020090016916U KR 20090016916 U KR20090016916 U KR 20090016916U KR 200457705 Y1 KR200457705 Y1 KR 200457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window
closing
fixed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704U (ko
Inventor
최용환
Original Assignee
최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환 filed Critical 최용환
Priority to KR2020090016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70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7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7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7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1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mechanical actuators and heat sensitiv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1Adjustable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건물에 구비되는 배연창을 평소에 전동/수동으로 개폐시켜 실내환기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화재발생시에는 배연창을 자동으로 개방시켜줄 수 있도록 한 배연창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창틀 내의 가이드레일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창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창으로 이루어진 배연창을 포함하는 배연창 개폐장치에 있어서,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발생감지부; 상기 창틀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개폐창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에 왕복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개폐창에 상기 이동부재와 대향되게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개폐창을 자동과 수동을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재와 고정부재의 대향면에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와 고정부재를 선택적으로 잠금/해제시켜주는 락킹수단; 상기 락킹수단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창의 이동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재와 고정부재의 대응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대응되게 설치되는 위치감지수단; 및 상기 제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상기 화재발생감지부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순간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이동부재와 고정부재를 일체로 고정시켜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상기 개폐창을 자동으로 개방시키고,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부재와 고정부재를 분리시켜 상기 개폐창을 수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연창, 화재, 환기, 자동개방

Description

배연창 개폐장치{OPEN AND SHUT APPARATUS FOR A WINDOW}
본 고안은 배연창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건물에 구비되는 배연창을 평소에 전동/수동으로 개폐시켜 실내환기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화재발생시에는 배연창을 자동으로 개방시켜줄 수 있도록 한 배연창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용도의 대형빌딩이나 대형창고 등과 같이 밀폐된 공간이 많은 건물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실제 화기로 인한 인명피해보다 건물 내부의 밀폐구역이나 통로에 들어차는 유독가스 및 연기로 인한 인명피해가 더욱 심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현재 건축되고 있는 일정 규모이상의 건물에는 화재발생시에 건물 내부에서 발생된 유독가스가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연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질식사 등의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키도록 하는 배연창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연창은 자동개폐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화재감지기와 연계되어 화재발생시 자동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은 배연창 개폐장치의 종래 기술은 로드타입, 와이어 타입 등 다양한 구성의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개선을 거듭하여 근래에는 체인을 이용하는 체인타입 등 여러 가지가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실용신안등록 20-0421667호로 선출원 된 종래 배연창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배연창 개폐장치는 창틀(10)에 피벗(11)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연창(20)과, 상기 배연창(20)을 개폐시키도록 일단이 연결된 체인(31)과, 상기 체인(31)이 맞물리는 스프로킷(미도시)이 내장되어 창틀(10)에 설치되는 본체(30)와, 상기 스프로킷을 구동시키도록 구동축으로 연결된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구동모터에 의해 체인(31)이 본체(30) 내부에서 가이드되어 외부로 인출되면서 그 일단에 고정된 배연창(20)을 밀어내어 창문이 열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연창(20)은 화재시 자동으로 개방되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평상시에 수동으로 개폐시켜 실내 환기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체인(31)의 인출이 제한되어 배연창(20)의 개방각도가 소정각도 이하로 제한을 받게 됨에 따라 상기 배연창(20)을 통한 사람의 탈출 및 소방수의 살수 투입이 불가능하여 인명구조 및 화재의 조기진압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각종 건물에 구비되는 배연창을 평소에는 전동/수동으로 개폐시켜 실내환기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화재발생시에는 배연창을 자동으로 개방시켜줄 수 있도록 한 배연창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배연창 개폐장치는, 창틀 내의 가이드레일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창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창으로 이루어진 배연창을 포함하는 배연창 개폐장치에 있어서,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발생감지부; 상기 창틀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개폐창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에 왕복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개폐창에 상기 이동부재와 대향되게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개폐창을 자동과 수동을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재와 고정부재의 대향면에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와 고정부재를 선택적으로 잠금/해제시켜주는 락킹수단; 상기 락킹수단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창의 이동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재와 고 정부재의 대응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대응되게 설치되는 위치감지수단; 및 상기 제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상기 화재발생감지부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순간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이동부재와 고정부재를 일체로 고정시켜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상기 개폐창을 자동으로 개방시키고,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부재와 고정부재를 분리시켜 상기 개폐창을 수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이동부재의 내부에 삽착되어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전자석으로 발생한 자력에 의해 전진작동되는 데드볼트와, 상기 데드볼트가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전진작동된 데드볼트를 후퇴시켜 잠금을 해제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락킹수단은 평상시 상기 개폐창을 여닫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수단은, 상기 락킹수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개폐창의 이동방향으로 제1접점과 제2접점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포함하여, 상기 제1접점과 제2접점이 상호 간에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온/오프 신호에 의해 상기 개폐창의 이동위치를 파악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배연창 개폐장치에 의하면, 각종 건물에 구비되는 배연 창을 평소에 전동/수동으로 개폐시켜 실내환기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화재발생시에는 배연창을 자동으로 강제 개방시켜 연기 및 유독가스를 용이하게 배출시켜줌으로써 질식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배연창 개폐장치의 정면도 및 부분상세도이며, 도 4는 배연창 개폐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의 (a)(b)는 배연창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창틀(101) 내의 가이드레일(102)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창(103)과, 상기 가이드레일(102)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창(105)으로 이루어진 배연창(100)을 수동과 자동을 모두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는 화재발생감지부(110), 구동부(130), 락킹수단(150), 위치감지수단(170), 컨트롤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화재발생감지부(110)는 건물 내부의 곳곳에 복수개 설치되는 것으로, 화재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130)는 평소에 개폐창(105)을 자동/수동으로 개폐시키거나 또는 건물 내부에서 화재발생시 개폐창(105)을 자동으로 개방시켜줄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동부(130)는 창틀(101)의 상측에 구동모터(131)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창(105)의 길이방향으로 구동모터(131)의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가능하도록 리드스크류(13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리드스크류(133)에는 이동부재(135)가 나사결합되어 리드스크류(133)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개폐창(105)에는 이동부재(135)와 대향되게 고정부재(137)가 고정설치된다. 이와 같은 이동부재(135)와 고정부재(137)는 락킹수단(150)에 의해 잠금과 해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락킹수단(150)은 개폐창(105)을 자동과 수동을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이동부재(135)와 고정부재(137)를 선택적으로 잠금/해제시켜주는 것으로, 락킹수단(150)은 이동부재(135)와 고정부재(137)의 대응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락킹수단(150)은 이동부재(135)의 내부에 삽착되어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전자석(151)으로부터 발생한 자력에 의해 직하부로 전진작동되는 데드볼트(153)와, 상기 데드볼트(153)가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137)에 형성되는 삽입공(155)과, 상기 전자석(151)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데드볼트(153)를 후퇴시켜 잠금을 해제시키는 복귀스프링(15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락킹수단(150)은 화재발생시 상기 이동부재(135)와 고정부재(137)를 일체로 고정시켜 구동부(130)의 동력에 의해 개폐창(105)을 자동으로 개 방시키게 되고,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부재(135)와 고정부재(137)를 분리시켜줌으로써 개폐창(105)을 수동으로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락킹수단(150) 부근에는 위치감지수단(17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위치감지수단(170)은 이동부재(135)와 고정부재(137)의 대응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락킹수단(150)이 해제되어 개폐창(105)이 수동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정된 상태에서 개폐창(105)의 이동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해주게 된다. 이러한 위치감지수단(170)은 락킹수단(150)을 사이에 두고 개폐창(105)의 이동방향으로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접점과 제2접점(173a, 173b)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접점(171a, 171b)과 제2접점이 상호 간에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온/오프(0n/Off) 신호에 의해 개폐창(105)의 이동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 5(a)에 도시된 같이, 상기 락킹수단(150)이 해제된 상태에서 제1접점(171a, 171b)과 제2접점(173a, 173b)이 각각 접촉된 경우를 이동부재(135)와 고정부재(137)의 위치가 일치되는 기준점이라 가정할 때, 도 5(b)와 같이 상기 접점(173a)와 접점(171b)이 접촉하는 경우를 개폐창(105)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접점(171a)와 접점(173b)가 접촉하는 경우는 개폐창(105)이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후술할 컨트롤부(190)에서는 위치감지수단(170)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고정부재(137)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부재(135)를 동시에 이동시켜 데드볼트(153)와 삽입공(155)의 위치를 일치시켜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화재발생시 락킹수단(150)을 즉각적으로 작동시켜 개폐창(105)을 자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위치감지 수단(170)은 자계에 의해서 접점이 붙고 떨어지는 리드스위치(LEED S/W)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리드스위치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작동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컨트롤부(190)는 이상과 같은 제 구성요소 즉 구동부(130), 락킹수단(150), 위치감지수단(170)을 제어하여 배연창(100)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시켜주게 된다.
이상과 같은 배연창 개폐장치는 장애인 또는 노약자 등의 사용자가 평소에도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작동스위치(200)에 의해 작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동스위치(200)는 편의에 따라 유/무선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락킹수단(150)은 컨트롤부(190)의 제어에 의해 평상시 개폐창(105)을 여닫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배연창 개폐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해보기로 한다.
우선, 컨트롤부(190)에서는 평상시 배연창(100)을 실내 환기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락킹수단(150)을 해제시켜줌으로써 개폐창(105)을 수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부(190)는 위치감지수단(170)에 의해 고정부재(137)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상기 이동부재(135)를 고정부재(137)와 일체로 이동시켜줌으로써 화재발생시 락킹수단(150)을 즉각적으로 잠금 상태로 전환시킬 준 비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개폐창(105)을 수동으로 사용하던 중 화재발생감지부(11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게 되면 컨트롤부(190)에서는 락킹수단(150)을 작동시켜 이동부재(135)와 고정부재(137)를 일체로 고정한 다음, 구동부(130)의 동력을 이용하여 개폐창(105)을 자동으로 개방시켜주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방된 개폐창(105)을 통해 건물 내의 연기 및 유독가스를 용이하게 배출시켜줄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는 레일(31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강화유리도어(300)로 설치된 자동문에도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평소에는 작동스위치(210)의 조작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 겸용으로 사용하다가, 화재발생시 강화유리도어(300)를 강제개방시켜 줌으로써 건물 내에 있던 사람들이 외부로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배연창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의 정면도 및 부분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배연창 101 : 창틀
103 : 고정창 105 : 개폐창
110 : 화재발생감지부 130 : 구동부
131 : 구동모터 133 : 리드스크류
135 : 이동부재 137 : 고정부재
150 : 락킹수단 151 : 전자석
153 : 데드볼트 155 : 삽입공
157 : 복귀스프링 170 : 위치감지수단
190 : 컨트롤부 200 : 작동스위치

Claims (4)

  1. 창틀 내의 가이드레일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창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창으로 이루어진 배연창을 포함하는 배연창 개폐장치에 있어서,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발생감지부;
    상기 창틀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개폐창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에 왕복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개폐창에 상기 이동부재와 대향되게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개폐창을 자동과 수동을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재와 고정부재의 대향면에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와 고정부재를 선택적으로 잠금/해제시켜주는 락킹수단;
    상기 락킹수단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창의 이동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재와 고정부재의 대응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대응되게 설치되는 위치감지수단; 및
    상기 제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상기 화재발생감지부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순간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이동부재와 고정부재를 일체로 고정시켜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상기 개폐창을 자동으로 개방시키고,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부재와 고정부재를 분리시켜 상기 개폐창을 수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창 개폐장 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이동부재의 내부에 삽착되어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전자석으로 발생한 자력에 의해 전진작동되는 데드볼트와, 상기 데드볼트가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전진작동된 데드볼트를 후퇴시켜 잠금을 해제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창 개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은 평상시 상기 개폐창을 여닫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배연창 개폐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수단은,
    상기 락킹수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개폐창의 이동방향으로 제1접점과 제2접점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포함하여, 상기 제1접점과 제2접점이 상호 간에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온/오프 신호에 의해 상기 개폐창의 이동위치를 파악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창 개폐장치.
KR2020090016916U 2009-12-28 2009-12-28 배연창 개폐장치 KR200457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916U KR200457705Y1 (ko) 2009-12-28 2009-12-28 배연창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916U KR200457705Y1 (ko) 2009-12-28 2009-12-28 배연창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704U KR20110006704U (ko) 2011-07-06
KR200457705Y1 true KR200457705Y1 (ko) 2011-12-29

Family

ID=4556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916U KR200457705Y1 (ko) 2009-12-28 2009-12-28 배연창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70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307B1 (ko) 2013-08-30 2015-02-10 (주) 아이커머 데이터센터의 공조 시스템
WO2017099504A1 (ko) * 2015-12-11 2017-06-15 주식회사 창일이엘티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 개폐장치
KR102044147B1 (ko) 2018-09-17 2019-11-13 김정호 배연창 개폐장치
KR20230040599A (ko)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대륙기업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자동개폐장치가 설치된 배연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331B1 (ko) * 2012-03-13 2013-10-07 코르텍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슬라이딩 도어 및 이에 사용되는 도어용 클로저
KR200471155Y1 (ko) * 2013-10-21 2014-02-11 (주)세진정밀 고소 창문 개폐장치
KR102084238B1 (ko) * 2018-10-15 2020-03-03 주식회사 에프디솔루션 수동 개폐가 용이한 모터 이동식 배연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0068A (ja) 1999-04-26 2000-11-07 Nishimura Koki 窓ロック自動開放装置
KR200376430Y1 (ko) 2004-11-24 2005-03-11 조도영 건축용 슬라이드 도어의 전동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0068A (ja) 1999-04-26 2000-11-07 Nishimura Koki 窓ロック自動開放装置
KR200376430Y1 (ko) 2004-11-24 2005-03-11 조도영 건축용 슬라이드 도어의 전동 개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307B1 (ko) 2013-08-30 2015-02-10 (주) 아이커머 데이터센터의 공조 시스템
WO2017099504A1 (ko) * 2015-12-11 2017-06-15 주식회사 창일이엘티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 개폐장치
KR102044147B1 (ko) 2018-09-17 2019-11-13 김정호 배연창 개폐장치
KR20230040599A (ko)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대륙기업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자동개폐장치가 설치된 배연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704U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705Y1 (ko) 배연창 개폐장치
EP1919052A3 (en) Control device for opening/closing member
RU2004106572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доступа в шахту лифта
KR100814745B1 (ko) 차압 배연창 자동개폐시스템
KR101326363B1 (ko) 여닫이창문 개폐장치
KR101351862B1 (ko) 침수방지를 위한 실내개폐용 문틀
CN107973201A (zh) 电磁锁和施工升降系统
CN113994063B (zh) 在紧急模式中具有改进的可操作性的基于摆动门的入口系统
KR101051129B1 (ko) 구동부와 제어장치를 일체로 갖는 제연구역 출입문 자동폐쇄장치
JP2001220973A (ja) 建築用シャッター
WO2005069723A3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barrier
WO2009023994A1 (fr) Fenêtre de sécurité avec ensembles de charnière et procédé pour sa production
KR20190127159A (ko)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KR101525186B1 (ko) 배연댐퍼장치
KR20110036899A (ko) 직선위치 제어방식에 의한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KR200428319Y1 (ko) 제연감지 도어 해정기
KR102123519B1 (ko) 슬라이딩 및 회전개폐가 가능한 자동문
KR200251041Y1 (ko)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
CN114575119A (zh) 一种安全门组件及具有其的洗衣机以及洗衣机控制方法
JP3991175B2 (ja) 建築用シャツターの降下検知装置
JP2006248695A (ja) エレベーター出入口の安全装置
KR920001163Y1 (ko) 건물용 배연창(排涅窓)
JPH08232564A (ja) 建物用電動開閉装置における安全装置
KR920001200Y1 (ko) 건물의 배연창 자동 개폐장치
KR200329541Y1 (ko) 연기감지 방화용 도어클로저의 도어걸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