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408Y1 - 자전거용 우산 및 양산 거치대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우산 및 양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408Y1
KR200457408Y1 KR2020100000437U KR20100000437U KR200457408Y1 KR 200457408 Y1 KR200457408 Y1 KR 200457408Y1 KR 2020100000437 U KR2020100000437 U KR 2020100000437U KR 20100000437 U KR20100000437 U KR 20100000437U KR 200457408 Y1 KR200457408 Y1 KR 2004574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umbrella
stand
coupling piece
b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265U (ko
Inventor
정희성
Original Assignee
정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성 filed Critical 정희성
Priority to KR2020100000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40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2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2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4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4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62J11/26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specially adapted for umbrell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용 우산 및 양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우산을 자전거 핸들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우천 시 자전거 운전의 안전성을 도모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토록 함과 동시에 빗물로부터 운전자 피해를 방지하고 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타원형의 지주대(1) 상단에 결합편(11)을 마련하여 집게(2)를 결합시키고, 지주대(1) 하단에는 핸들고정클램프(3)를 끼움설치하여 우산거치대를 구성하되, 상기 집게(2)는 하부로 한쌍의 연결브라켓(21)(22)을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한 다음 연결브라켓(21)(22)사이로 지주대(1) 상단의 결합편(11)을 위치시켜 그 중심부를 관통하는 볼트(b)로 상호 고정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볼트(b)에 고정레버(23)를 나사결합시켜 그 조임력으로 연결브라켓(21)(22)과 결합편(11)이 상호 밀착 고정되게 하고, 상기 핸들고정클램프(3)는 그 상단으로 타원형의 지주대관통공(31)과 이격공(32)을 상호 연계되게 형성하여, 지주대관통공(31)은 그 내로 지주대(3)의 하단이 관통설치되게 하고, 상기 이격공(32)은 핸들고정클램프(3) 상단 측방향을 관통하는 볼트(b)와 조임레버(33)의 나사결합에 의해 그 간격이 좁혀지면서 지주대 관통공(31) 내주연을 조임하여 지주대(1) 하단이 물림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전거용 우산 및 양산 거치대{umbrella and parasol prop for bicycle}
본 고안은 우천 시 또는 화창한 날에 자전거를 운행할 때 빗물 또는 자외선에 의해 피해를 줄이면서도 자전거 운행은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자전거용 우산 및 양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이 늘고 있으나, 우천 또는 자외선(이하 '우천'으로 통칭함)등으로 인하여 자전거 운행이 회피되고 있다. 그렇지만 꼭 자전거를 이용하여야 할 경우에는 빗물이나 자외선(이하 '빗물'로 통칭함)을 피하기 위해 한 손에 우산 또는 양산(이하 '우산'으로 통칭함)을 들고 운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한 손의 우산으로 인하여 안전한 운행이 불가피하여 항상 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빗물의 차단 효율도 극히 낮았다. 실제로 위 경우로 인해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위와 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우산 없이 자전거를 운행하게 되면 빗물에 의해 운전자가 피해를 입는 것을 감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이 우천 시 자전거 운행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은 우산의 파지, 우산의 파지각도 조절, 파지 높이 조절의 기능을 가진 자전거 핸들 부착용 거치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는, 타원형의 지주대 상단에 결합편을 마련하여 우산손잡이를 파지하는 집게와 결합하고, 지주대 하단에는 자전거핸들을 파지하는 핸들고정클램프를 끼워 거치대를 구성하되, 상기 집게는 하부로 한 쌍의 연결브라켓을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연결브라켓 사이로 지주대 상단의 결합편을 위치시켜 그 중심부를 관통하는 볼트로 상호 고정되게 하면서 상기 볼트에 고정레버를 나사결합시켜 그 조임력으로 연결브라켓과 결합편이 상호 밀착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핸들고정클램프는 상단으로 타원형의 지주대관통공과 이격공을 상호 연계되게 형성하여 지주대관통공은 그 내로 지주대의 하단이 관통설치되게 하고, 상기 이격공은 핸들고정클램프 상단 측 방향을 관통하는 볼트와 조임레버의 나사결합에 의해 그 간격이 좁혀지도록 하면서 지주대 관통공 내주연을 조임하여 지주대 하단이 물림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과제해결수단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은 자전거 핸들에 우산을 신속·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천 시 자전거를 운행할 때 우산을 지참하더라도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돌발사항이 발생할 경우 신속한 대처는 물론 그로 인한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자전거 핸들에 거치 되는 우산의 설치 각도 및 그 높낮이를 운전자 신체 및 운행 조건에 맞게 조절할 수 있어 빗물로부터 운전자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3은 가 - 가'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집게의 사용상태도,
도 5는 "가"부 확대단면예시도,
도 6은 "가"부 분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핸들고정클램프의 평면예시도,
도 8은 자전거 핸들에 설치되어 우산을 거치시키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상기 설명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1,2에서와 같이 지주대(1)의 상·하부로 집게(2)와, 핸들고정클램프(3)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지주대(1)는 타원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그 상단에 결합편(11)을 마련한다.
그리고 상기 집게(2)는 하부로 한쌍의 연결브라켓(21)(22)을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한 다음 그 사이에 지주대(1) 상단의 결합편(11)을 삽입시켜 일측 연결브라켓(21)에서 타측 연결브라켓(22)으로 관통되는 볼트(b)를 고정레버(23)로 나사 결합하여 그 조임력으로 결합편(11)이 연결브라켓(21)(22)사이에 밀착·고정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집게(2)는 통상적인 구성 즉, 대칭된 양측 가압대(2a)(2b)를 맞물림 되게 그 내측 결합돌부(24)를 상호 관절 구조로 끼운 다음 C형 스프링으로 연결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각각의 가압대(2a)(2b) 일측이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물건을 찝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설명한 집게는 종래 널리 사용되고 공지,공용의 기술에 불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 설명과 그 구조를 나타내는 각부의 부호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 핸들고정클램프(3)는 하부 고정부재(34)로 가압부재(35)가 볼트(b)에 의해 결합 되는 통상적인 구성에 있어, 핸들고정클램프(3) 상단으로 지주대관통공(31)과 이격공(32)을 상호 연계되게 형성하여 지주대관통공(31)으로는 지주대(1)의 하단이 관통설치되게 하고, 이격공(32)은 핸들고정클램프(3) 상단 측 방향을 관통하는 볼트(b)와 조임레버(33)의 나사결합으로 그 간격이 좁혀지면서 지주대관통공(31) 내주연을 함께 조임시켜 지주대(1)하단을 위 조임 작용으로 지주대관통공(31)내에 물림 고정되게 한다.
상기 지주대관통공(31)은 지주대(1)의 타원 형상과 동일 형상으로 구성하여 지주대(1)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데, 이때 상기 지주대와 관통공은 그 형상이 타원이 아닌 다각형이어도 무관 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우천 시 자전거 운행을 위하여 우산을 사용할 경우 지주대(1) 하단의 핸들고정클램프(3)를 자전거 핸들(102)에 도 8과 같이 위치시켜 그 고정부재(34)와 가압부재(35)로 자전거핸들(102)을 가압시켜 고정·설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핸들고정클램프(3)의 설치가 끝나면 지주대(1) 상단의 집게(2)로 우산손잡이(101)를 파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집게(2)는 그 하부의 연결브라켓(21)(22)와 지주대(1)의 결합편(11)이 관절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자전거의 운행방향 및 빗물의 각도 등을 고려하여 우산의 각도를 집게(2)의 회전으로 조절한 다음 연결브라켓(21)(22) 양측의 볼트(b)와 조임레버(23)로 조임 시켜 고정되게 한다.
아울러 상기 지주대(1)는 그 하단이 핸들고정클램프(3)의 지주대관통공(31)에 볼트(b)와 조임레버(33)의 나사결합에 의한 조임·고정되어있어 우산의 높낮이 조절시 지주대관통공(31)으로부터 지주대(1)의 설치위치를 상,하 조절하여 우산의 높낮이를 설정한다.
이상의 작용을 통해 우산을 자전거에 거치하면 운전자가 우산을 들 필요성이 없어지므로 양손으로 자전거를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집게(2)의 또 다른 예로, 전방 내측부로 파지홈(25)이 함몰형성됨과 동시에 후방 내측의 결합돌부(24)가 상호 관절구조로 끼워져 결합핀(24')에 의해 고정되는 양측 가압대(2a)(2b)와;,
일측 가압대(2a) 중심부에 형성된 설치공(26)으로 삽입되어 그 상단이 설치공(26) 상단의 걸림홈(26')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너트(27)와;,
타측 가압대(2b) 중심부에 형성된 설치공(26)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너트(27)와 일측단이 나사결합되는 가압나사대(28)와;,
상기 가압나사대(28) 일측 외주에 설치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9)와;,
상기 가압나사대(28)의 타측단을 원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되게 핀(201)으로 설치한 가압손잡이(203)를 가지는 원판형상의 회전부재(202)와;,
상기 양측 가압대(2a)(2b) 사이에 게재됨과 동시에 가압나사대(28) 외주에 위치하게 되는 탄력스프링(204)으로 집게(2)를 구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의 집게(2)는 가압대(2a)(2b)후방이 결합돌부(24)에 의해 상호 결합 됨과 동시에 중심 내측으로 탄력스프링(204)이 게재되어있어 가압대(2a)(2b) 전방 파지홈(25)이 탄력스프링(204)에 의해 항상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집게(2)는 파지홈(25)으로 우산손잡이(101)를 위치시켜 파지토록 한다. 이때 상기 집게(2)의 일측 가압대(2b)에 설치된 회전부재(202)를 가압손잡이(203)로 회전시켜, 양측 가압대(2a)(2b)가 서로 가압 밀착되면서 파지홈(25)내의 공간을 협착하여 우산손잡이(101)를 가압 고정되게 한다.
즉, 첨부된 도면 도 4에서와 같이 일측 가압대(2b)에 마련된 상기의 회전부재(202)는 타측 가압대(2a)의 고정너트(27)와 나사결합된 가압나사대(28)를 원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되게 핀(201)으로 설치하고 있어 회전부재(202)를 회전시킬 경우 회전부재(202)의 외경이 상기 핀(201)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면서 그 외주면으로 탄성부재(29)를 가압하여 양측 가압대(2a)(2b)가 서로 강한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집게(2)는 양측 가압대(2a)(2b)의 연결브라켓(21)(22)로 사이로 지주대(1)의 결합편(11)을 설치구성하되, 상기 결합편(11)의 전면과 후면으로 다수개의 결합돌기(12)와 걸림홈(12')을 방사형으로 형성한다.
또 상기 결합편(11) 전방위치에 내외치형 이붙이 와샤(13)를 게재한다.
또 상기 결합편(11) 후방위치에는 결합편(11) 후면의 걸림홈(12')과 대응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12)가 방사형으로 돌출되면서 그 상단의 키홈(14')이 연결브라켓(21)(22) 상단 내측에 하향 돌출된 키(14")에 걸림 되도록 한 걸림판(14)을 게재하여 구성토록 한다.
이는 집게(2)의 각도 조절시 상기 내외치형 이붙이 와샤(13)와 지주대(1)의 결합편(11)전,후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2) 및 걸림홈(12') 그리고 걸림판(14)의 걸림돌기(12)가 양측 가압대(2a)(2b)의 연결브라켓(21)(22)내에서 서로 걸림·회전하여 집게(2)의 슬립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위치고정이 보다 견고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1 : 지주대 11 : 결합편
12 : 걸림돌기 12' : 걸림홈
13 : 내외치형 이붙이와샤 14 : 걸림판
14' : 키홈 14" : 키
101 : 우산손잡이 102 : 자전거핸들
b : 볼트 2 : 집게
2a, 2b : 가압대 21, 22 : 연결브라켓
23 : 고정레버 24 : 결합돌부
24' : 결합핀 25 : 파지홈
26 : 설치공 26' : 걸림홈
27 : 고정너트 28 : 가압나사대
29 : 탄성부재 201 : 핀
202 : 회전부재 203 : 가압손잡이
204 : 탄력스프링 3 : 핸들고정 클램프
31 : 지주대관통공 32 : 이격공
33 : 조임레버 34 : 고정부재
35 : 가입부재

Claims (3)

  1. 타원형의 지주대(1) 상단에 결합편(11)을 마련하여 우산 손잡이(101)를 파지하는 집게(2)와 결합시키고, 지주대(1) 하단에는 자전거핸들(102)을 파지하는 핸들고정클램프(3)를 끼워 우산거치대를 구성하되, 상기 집게(2)는 하부로 한 쌍의 연결브라켓(21)(22)을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연결브라켓(21)(22) 사이로는 지주대(1) 상단의 결합편(11)을 위치시켜 그 중심부를 관통하는 볼트(b)로 상호 고정되게 하면서 상기 볼트(b)에 고정레버(23)를 나사결합시켜 그 조임력으로 연결브라켓(21)(22)과 결합편(11)이 상호 밀착 고정되게 하고, 상기 핸들고정클램프(3)는 그 상단으로 타원형의 지주대관통공(31)과 이격공(32)을 상호 연계되게 형성하여 지주대관통공(31)은 그 내로 지주대(3)의 하단이 관통설치되게 하고, 상기 이격공(32)은 핸들고정클램프(3) 상단 측 방향을 관통하는 볼트(b)와 조임레버(33)의 나사결합에 의해 그 간격이 좁혀지면서 지주대 관통공(31) 내주연을 조임하여 지주대(1)하단이 물림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자전거용 우산 및 양산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2)는 전방 내측부로 파지홈(25)이 함몰형성되면서 후방 내측의 결합돌부(24)가 상호 관절구조로 끼워져 결합핀(24')에 의해 고정되는 양측 가압대(2a)(2b)와;,
    일측 가압대(2a) 중심부에 형성된 설치공(26)으로 삽입되어 그 상단이 설치공(26) 상단의 걸림홈(26')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너트(27)와;,
    타측 가압대(2b) 중심부에 형성된 설치공(26)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너트(27)와 일측단이 나사결합되는 가압나사대(28)와;,
    상기 가압나사대(28) 일측 외주에 설치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9)와;,
    상기 가압나사대(28)의 타측단을 원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되게 핀(201)으로 설치한 가압손잡이(203)를 가지는 원판형상의 회전부재(202)와;,
    상기 양측 가압대(2a)(2b) 사이에 게재됨과 동시에 가압나사대(28) 외주에 위치하게 되는 탄력스프링(204)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우산 및 양산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2)의 연결브라켓(21)(22)로 사이로 지주대(1)의 결합편(11)을 설치구성하되, 상기 결합편(11)의 전면과 후면으로 다수개의 결합돌기(12)와 걸림홈(12')을 방사형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결합편(11) 전방 위치에 내외치형 이붙이 와샤(13)를 게재하며 결합편(11) 후방위치에는 결합편(11) 후면의 걸림홈(12')과 대응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12)가 방사형으로 돌출되면서 그 상단의 키홈(14')이 연결브라켓(21)(22) 상단의 키(14")에 걸림 되도록 한 걸림판(14)을 게재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우산 및 양산 거치대.
KR2020100000437U 2010-01-13 2010-01-13 자전거용 우산 및 양산 거치대 KR2004574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437U KR200457408Y1 (ko) 2010-01-13 2010-01-13 자전거용 우산 및 양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437U KR200457408Y1 (ko) 2010-01-13 2010-01-13 자전거용 우산 및 양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265U KR20110007265U (ko) 2011-07-20
KR200457408Y1 true KR200457408Y1 (ko) 2011-12-20

Family

ID=4556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437U KR200457408Y1 (ko) 2010-01-13 2010-01-13 자전거용 우산 및 양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40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8932A (zh) * 2019-08-25 2021-03-02 彭志军 一种夹装牢靠手机支架安装固定座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509B1 (ko) 2007-02-12 2007-08-20 김진근 자전거용 우산 및 양산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509B1 (ko) 2007-02-12 2007-08-20 김진근 자전거용 우산 및 양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265U (ko)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1564B2 (en) Lock fixing device for bicycle
EP1921499B1 (en) The camera pan head having two clamps locked connector
CN102632953B (zh) 用于拖拉自行车的设备
US7997645B2 (en) Holding assembly for a seat of a bicycle
US8156774B2 (en) Bicycle parts anti-theft device
US10046825B1 (en) Adjustable bicycle handlebar stem assembly
WO2009152768A1 (zh) 一种管件折叠接头及其锁紧装置
US20100258695A1 (en) Hanging Device That Can Bear A Heavier Weight
KR200457408Y1 (ko) 자전거용 우산 및 양산 거치대
US20090135619A1 (en) Combination device for combination of lamp and bicycle
TWM458361U (zh) 可調整角度的水壺架
TWI596028B (zh) 自行車雙規格適用之駐車架
US20110266321A1 (en) Holding device for bicycles accessories
CN201568420U (zh) 快速分连紧固栓
CN110424553B (zh) 一种钢结构连接件
EP3434572B1 (en) Adjustable bicycle handlebar stem assembly
CN203753334U (zh) 一种车把调节装置
KR101041725B1 (ko) 자전거용 도난방지 안장
CN103950497A (zh) 一种车把调节装置
US9561419B2 (en) Bicycle trainer with a bicycle wheel holding fixture
TWM552460U (zh) 自行車前叉立管定位結構
CN219838665U (zh) 车把调节装置及自行车
WO2017143466A1 (zh) 旋转龙头
CN220032136U (zh) 一种脚踏板卡扣
CN220010013U (zh) 一种角度可调的把立仪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