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407Y1 -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407Y1
KR200457407Y1 KR2020090009512U KR20090009512U KR200457407Y1 KR 200457407 Y1 KR200457407 Y1 KR 200457407Y1 KR 2020090009512 U KR2020090009512 U KR 2020090009512U KR 20090009512 U KR20090009512 U KR 20090009512U KR 200457407 Y1 KR200457407 Y1 KR 200457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torage tank
heat storage
fuel cell
cel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935U (ko
Inventor
박관준
김호석
홍병선
신미남
Original Assignee
(주)퓨얼셀 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퓨얼셀 파워 filed Critical (주)퓨얼셀 파워
Priority to KR2020090009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407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9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9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4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67Heat exchange or temperature measuring elements, thermal insulation, e.g. heat pipes, heat pumps,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bent in a serpentine or zig-za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29Heat exchange using liq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발생한 폐열을 축열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연결되어 순환되는 열매체를 통하여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열을 축열하는 축열조, 및 상기 축열조에 내장되어, 온수 또는 난방수를 유동시켜 상기 열매체와의 열교환 작용으로 상기 온수 또는 난방수를 가열하는 열교환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코일은, 적어도 2개의 통로를 형성하여 병렬 구조로 연결된다.
폐열, 축열, 열교환코일, 난방수, 온수

Description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 {HEAT EXCHANGER FOR THERMAL STORAGE IN FUEL CELL SYSTEM}
본 고안은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발생한 폐열을 축열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 시스템의 폐열 회수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전지 시스템(1)에서 발생한 열, 즉 폐열을 축열조(2)의 열매체에 축적하고, 축열조(2)의 열매체에 축적된 열을 난방수 또는 온수와 열교환 하여 가열된 난방수 또는 온수를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이송펌프(3)는 축열조(2)로부터 저온의 열매체를 연료전지 시스템(1)에 공급하고 고온의 열매체를 축열조(2)로 순환시키므로, 열매체를 통하여 연료전지 시스템(1)에서 발생한 폐열을 회수하여 축열조(2)에 축적되게 한다.
연료전지 시스템(1)의 운전에 따라, 축열조(2)의 상부에 고온영역이, 축열조(2)의 하부에 저온영역이 존재한다. 대류 현상에 의하여, 고온 열매체는 상부로 저온 열매체는 하부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가지므로 축열조(2)의 상부와 하부에서 온도 차이가 발생된다.
연료전지 시스템(1)은 발전 시스템으로써 장시간 운전하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연료전지 시스템(1) 내에서 발생되는 열량은, 적은 열량이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축열조(2)에 서서히 축적되며, 사용자가 필요로 할때, 집중적으로 사용되는 경향을 가진다. 따라서 축열조(2)에 축적된 열을 짧은 시간에 집중적으로 회수하는 축열조용 열교환기가 필요하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온수의 경우, 온수입구로 공급되는 수돗물은 축열조(2)내의 열교환코일(4)을 거치면서 폐열을 회수하고, 이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되어 온수출구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온수는 순환되지 않고 사용처에서 소멸된다.
난방수의 경우, 열매체(예를 들면, 물)는 순환펌프(6)의 작동에 의하여 축열조(2) 내의 열교환코일(5)을 거치면서 폐열을 회수하고, 이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되며, 난방영역(7)의 열교환코일(8)에서 방열한다. 열매체는 폐루프 구조의 시스템 내에서 지속적으로 순환되면서 반복 사용된다.
도2를 참조하면,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는 축열조(2), 및 축열조(2) 내에 설치되는 열교환코일들(4, 5)로 구성된다. 열교환코일들(4, 5)은 물 대(對) 물의 열교환 방식을 적용하며, 물, 즉 열매체의 높은 열전도율로 인하여 별도의 방열핀을 구비하지 않는다.
열교환코일들(4, 5)은 각각 일측으로 온수입구와 난방수입구를 구비하고 다른 일측에 온수출구와 난방수출구를 구비하는 단일 통로로 형성되어, 저온 상태로 유입되는 온수와 난방수를 가열하여 공급한다. 한편,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시스템(1)은 축열조(2)에 축적되는 온도가 60 내지 80℃ 정도이며, 주로 65℃ 이하에서 운전된다.
따라서 단일 통로의 열교환코일들(4, 5)은 축열조(2)에서 효율적인 열교환을 구현하기 어렵고, 이로 인하여, 축열조(2)에 축적된 열량을 짧은 시간 내에 열교환코일들(4, 5) 내의 열매체로 방출하기, 또한 어렵다.
본 고안은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발생한 폐열을 축열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연결되어 순환되는 열매체를 통하여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열을 축열하는 축열조, 및 상기 축열조에 내장되어, 온수 또는 난방수를 유동시켜 상기 열매체와의 열교환 작용으로 상기 온수 또는 난방수를 가열하는 열교환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코일은, 적어도 2개의 통로를 형성하여 병렬 구조로 연결된다.
상기 축열조는, 수직 상태로 설치되는 통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온수와 상기 난방수를 각각 유입 및 공급하는 입구와 출구를 상기 축열조의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코일은, 상기 축열조에 수직 상태로 내장되는 복수의 분지관들, 상기 분지관들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1 분지 헤더, 및 상기 분지관들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2 분지 헤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수와 상기 난방수 각각의 입구는, 상기 제1 분지 헤더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지관들은 주름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지관들은 스테인레스 계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코일은, 유입되는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온수로 공급하는 온수용 열교환코일, 및 저온으로 유입되는 난방수를 가열하여 고온으로 공급하는 난방수용 열교환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축열조에 설치되는 열교환코일을 적어도 2개의 통로로 형성하여 병렬 구조로 연결하므로 단일 통로의 열교환코일에 비하여, 더 가는 구조로 열교환코일의 형성이 가능하다. 같은 유량을 유동시킬 때, 복수의 통로를 가지는 열교환코일은 단일 통로의 열교환코일에 비하여, 축열조 내에서 보다 넓은 영역에 분포되어, 효과적인 열교환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즉 축열조에 축적된 열량을 짧은 시간 내에 열교환코일 내의 온수 또는 난방수로 회수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폐열 회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연료전지 시스템의 폐열 회수장치는, 연료전지 시스템(21)에서 발생한 열, 즉 폐열을 축열조(22)의 열매체에 축적하고, 축열조(22)의 열매체에 축적된 열량을 온수용 물 또는 난방수와 열교환하여 가열된 온수 또는 난방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송펌프(23)는 연료전지 시스템(21)과 축열조(22) 사이에 설치되어, 저온의 열매체를 축열조(22)에서 연료전지 시스템(21)으로 이송하고, 연료전지 시스템(21)에서 가열된 고온의 열매체를 축열조(22)로 순환시킨다. 즉 순환되는 열매체는 연료전지 시스템(21)의 폐열을 회수하여, 축열조(22)에 축적한다.
도4는 도3의 축열조에 적용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의 구성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100)는 연료전지 시스템(21)에 연결되는 축열조(22), 및 축열조(22)에 내장되는 열교환코일(40)을 포함한다.
열교환코일(40)은 온수용 열교환코일(41)과 난방수용 열교환코일(42)을 포함할 수 있다. 온수용 열교환코일(41)은 축열조(22) 내에 수직 상태로 설치되어, 일측으로 온수용 물(편의상, 저온의 온수라 한다)을 유입하고, 축열조(22) 내의 열매체와의 열교환 작용하여 가열된 고온의 온수를 다른 일측으로 공급한다.
난방용 열교환코일(42)은 축열조(22) 내에서 온수용 열교환코일(41)과 이격되어 수직 상태로 설치되어, 일측으로 저온의 난방수를 유입하고, 축열조(22) 내의 열매체와 열교환 작용하여 가열된 고온의 난방수를 다른 일측으로 공급한다.
축열조(22)는 열교환코일(40)을, 즉 온수용 열교환코일(41)과 난방용 열교환코일(42)을 내장하며, 수직 상태로 설치되는 통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축열조(22)는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저온의 온수를 유입하여 고온의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입구(11)와 온수출구(12), 및 저온의 난방수를 유입하여 고온의 난방수를 공급하는 난방수입구(13)와 난방수출구(14)를 상부에 구비한다.
즉 온수 및 난방수는 축열조(22)의 상방에서 온수입구(11)와 난방수입구(13)로 각각 유입되어, 온수출구(12) 및 난방수출구(14)를 통하여 축열조(22)의 상방으로 각각 공급된다.
축열조(22)의 상부에 고온의 열매체가 위치하므로 온수출구(12) 및 난방수출구(14)가 축열조(22)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온수와 난방수를 고온 상태로 공급하는 데 있어서 보다 유리하다.
온수입구(11), 온수출구(12), 난방수입구(13) 및 난방수출구(14)가 축열조(22)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축열조(22)의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은 상태에 서 생산 작업이 완료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열교환코일(4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온수용 열교환코일(41)은 복수의 제1 분지관들(51), 제1 분지 헤더(511) 및 제2 분지 헤더(512)를 포함한다.
제1 분지관들(51)은 축열조(22) 내에 수직 상태로 설치되어, 온수를 유동시키면서 열교환하도록 통로를 복수로 형성한다. 제1 분지 헤더(511)는 제1 분지관들(51)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고, 온수입구(11)에 연결된다.
온수입구(11)는 축열조(22)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 분지 헤더(511)에 연결된다. 따라서 온수입구(11)로 유입되는 온수는 제1 분지 헤더(511)에서 제1 분지관들(51)로 분배될 수 있다.
제2 분지 헤더(512)는 축열조(22)의 상방에서 제1 분지관들(51)을 서로 연결하고, 온수출구(12)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분지관들(51)을 경유는 온수는 제2 분지 헤더(512)에서 모아져 온수출구(12)를 통하여 사용처로 공급되어 소비된다.
제1 분지 헤더(511)와 제2 분지 헤더(512)는 복수의 통로를 형성하는 제1 분지관들(51)을 각각 병열 구조로 연결하여, 축열조(22) 내에서 열교환 구조를 넓게 형성한다.
제1 분지관들(51)은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좁은 공간의 축열조(22) 내에서 열매체와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고, 스테인레스 계열 재질로 형성되어 고온 조건에서 강한 내부식성을 가질 수 있으며 온수의 경우 인체에 무해하게 한다.
난방용 열교환코일(42)은 복수의 제2 분지관들(52), 제1 분지 헤더(521) 및 제2 분지 헤더(522)를 포함한다. 제2 분지관들(52)은 축열조(22) 내에 수직 상태로 설치되어, 난방수를 유동시키면서 열교환하도록 통로를 복수로 형성한다. 제1 분지 헤더(521)는 제2 분지관들(52)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고, 난방수입구(13)에 연결된다.
난방수입구(13)는 축열조(22)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 분지 헤더들(521)에 연결된다. 따라서 난방수입구(13)로 유입되는 난방수는 제1 분지 헤더(521)에서 제2 분지관들(52)로 분배될 수 있다.
제2 분지 헤더(522)는 축열조(22)의 상방에서 제2 분지관들(52)을 서로 연결하고, 난방수출구(14)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 분지관들(52)을 경유하는 난방수는 제2 분지 헤더(522)에서 모아져 난방수출구(14)를 통하여 난방영역(7)의 열교환코일(8)에서 방열 작용한다. 또한 난방수는 순환펌프(6)의 작동에 의하여 축열조(22) 내의 분지관들(52)로 순환되어 축열조(22) 내의 열을 회수한다.
제1 분지 헤더(521)와 제2 분지 헤더(522)는 복수의 통로를 형성하는 제2 분지관들(52)을 병열 구조로 연결하여, 축열조(22) 내에서 열교환 구조를 넓게 형성한다.
제2 분지관들(52)은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좁은 공간의 축열조(22) 내에서 열매체와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고, 스테인레스 계열 재질로 형성되어, 고온 조건에서 강한 내부식성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제1, 제2 분지관들(51, 52)은 온수용 열교환기(41) 및 난방용 열교환기(42)에서 각각 열교환 통로를 복수로 형성하므로 단일 통로를 형성하는 종래 기술의 열교환기(4, 5)에 비하여, 같은 양의 유량을 유동시키는 경우, 축열조(22) 내에서 열교환 작용하는 부분을 더 균일하게 분포시킨다.
즉 제1, 제2 분지관들(51, 52)은 축열조(2)의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열량을 회수하여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열량을 회수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수된 열량을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대응이 가능하고, 축열조(22)에 축열된 열매체의 온도와 저온의 열매체(온수 또는 난방수)의 온도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경우에도 효과적인 열교환이 가능하다.
도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열교환코일(4, 5)은 축열조(2)의 열매체에 축적된 열을 회수하기 위하여 긴 배관으로 형성되고, 또한 유동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굵은 배관으로 형성된다.
온수의 유동을 보면, 공급된 물은 온수입구를 통해 축열조(2)로 유입되고 단일 통로의 열교환코일(4)을 통해 열을 회수하면서, 가열되어 온수출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난방수의 유동을 보면, 난방수는 난방수입구를 통해 축열조(2)로 유입되고 단일 통로의 열교환코일(4)을 통해 열을 회수하면서, 가열되어 난방수출구를 통해 난방영역(7)의 열교환코일(8)로 공급된다.
이에 비하여, 도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열교환코일(40)은, 온수용 열교환코일(41)과 난방수용 열교환코일(42)은 각각 종래기술의 열교환코일(4, 5)보다 가늘고 짧은 배관들로 복수의 통로를 형성하는 제1, 제2 분지관들(51, 52)을 구비한다.
온수의 유동을 보면, 공급된 물은 온수입구(11)를 통해 제1 분지 헤더(511)로 유입되고, 제1 분지 헤더(511)에서 분지되어 복수의 제1 분지관들(51)을 경유하면서 축열조(22) 내의 열매체와 열교환 작용하여 가열된다. 가열된 온수는 제2 분지 헤더(512)에 모아진 후 온수출구(12)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난방수의 유동을 보면, 냉각된 난방수는 난방수입구(13)를 통해 제1 분지 헤더(521)로 유입되고, 제1 분지 헤더(521)에서 분지되어 복수의 제2 분지관들(52)을 경유하면서 축열조(22) 내의 열매체와 열교환 작용하여 가열된다. 가열된 난방수는 제2 분지 헤더(522)에 모아진 후 난방수출구(14)를 통해 난방영역(7)의 열교환코일(8)로 공급된다
제1 분지관들(51)은 복수로 형성되어 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온수의 유량 감소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분지관들(52)은 복수로 형성되어 과부하에 의한 순환펌프(6)의 소비전력 증가에 대응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폐열 회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2는 도1의 축열조에 적용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의 구성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폐열 회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4는 도3의 축열조에 적용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전지 시스템 6 : 순환펌프
7 : 난방영역 8 : 열교환코일
11 : 온수입구 12 : 온수출구
13 : 난방수입구 14 : 난방수출구
51, 52 : 제1, 제2 분지관 511, 521 : 제1 분지 헤더
512, 522 : 제2 분지 헤더 21 : 연료전지 시스템
22 : 축열조 23 : 이송펌프
40 : 열교환코일 41 : 온수용 열교환코일
42 : 난방수용 열교환코일 100 : 축열조용 열교환기

Claims (7)

  1. 삭제
  2. 연료전지 시스템에 연결되어 순환되는 열매체를 통하여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열을 축열하는 축열조; 및
    상기 축열조에 내장되어, 온수 또는 난방수를 유동시켜 상기 열매체와의 열교환 작용으로 상기 온수 또는 난방수를 가열하는 열교환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코일은,
    적어도 2개의 통로를 형성하여 병렬 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축열조는,
    수직 상태로 설치되는 통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온수와 상기 난방수를 각각 유입 및 공급하는 입구와 출구를 상기 축열조의 상부에 형성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
  3. 연료전지 시스템에 연결되어 순환되는 열매체를 통하여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열을 축열하는 축열조; 및
    상기 축열조에 내장되어, 온수 또는 난방수를 유동시켜 상기 열매체와의 열교환 작용으로 상기 온수 또는 난방수를 가열하는 열교환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코일은,
    적어도 2개의 통로를 형성하여 병렬 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코일은,
    상기 축열조에 수직 상태로 내장되는 복수의 분지관들,
    상기 분지관들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1 분지 헤더, 및
    상기 분지관들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2 분지 헤더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와 상기 난방수 각각의 입구는,
    상기 제1 분지 헤더에 연결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관들은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관들은 스테인레스 계열 재질로 형성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
  7. 연료전지 시스템에 연결되어 순환되는 열매체를 통하여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열을 축열하는 축열조; 및
    상기 축열조에 내장되어, 온수 또는 난방수를 유동시켜 상기 열매체와의 열교환 작용으로 상기 온수 또는 난방수를 가열하는 열교환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코일은,
    적어도 2개의 통로를 형성하여 병렬 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코일은,
    유입되는 물 가열하여 고온의 온수로 공급하는 온수용 열교환코일, 및
    저온으로 유입되는 난방수를 가열하여 고온으로 공급하는 난방수용 열교환코일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
KR2020090009512U 2009-07-21 2009-07-21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 KR200457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512U KR200457407Y1 (ko) 2009-07-21 2009-07-21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512U KR200457407Y1 (ko) 2009-07-21 2009-07-21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935U KR20110000935U (ko) 2011-01-27
KR200457407Y1 true KR200457407Y1 (ko) 2011-12-20

Family

ID=44206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512U KR200457407Y1 (ko) 2009-07-21 2009-07-21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40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713A (ko) * 2012-12-14 2014-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축열 열교환기
WO2019245156A1 (ko) * 2018-06-21 2019-12-26 한국전기연구원 다기능 축열 열전하이브리드 발전장치
KR20190143801A (ko) * 2018-06-21 2019-12-31 한국전기연구원 다기능 축열 열전하이브리드 발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619B1 (ko) * 2012-09-18 2013-12-10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585Y1 (ko) 1994-08-11 1999-08-02 전주범 직수 병렬형 순간식 가스보일러용 온수열교환기
JP2002333207A (ja) 2001-05-10 2002-11-22 Toho Gas Co Ltd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の排熱利用システム
KR100740542B1 (ko) * 2006-05-30 2007-07-18 최성환 연료전지 폐열 회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585Y1 (ko) 1994-08-11 1999-08-02 전주범 직수 병렬형 순간식 가스보일러용 온수열교환기
JP2002333207A (ja) 2001-05-10 2002-11-22 Toho Gas Co Ltd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の排熱利用システム
KR100740542B1 (ko) * 2006-05-30 2007-07-18 최성환 연료전지 폐열 회수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713A (ko) * 2012-12-14 2014-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축열 열교환기
WO2019245156A1 (ko) * 2018-06-21 2019-12-26 한국전기연구원 다기능 축열 열전하이브리드 발전장치
KR20190143801A (ko) * 2018-06-21 2019-12-31 한국전기연구원 다기능 축열 열전하이브리드 발전장치
KR102295852B1 (ko) * 2018-06-21 2021-08-31 한국전기연구원 다기능 축열 열전하이브리드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935U (ko)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407Y1 (ko) 연료전지 시스템의 축열조용 열교환기
CN114087904A (zh) 电制氢余热利用装置和方法
CN101517795A (zh) 操作与吸收式冷凝器结合的燃料电池的方法和装置
CN104321608A (zh) 螺旋绕管式换热器中盐熔体与另一媒介间的换热方法
CN209840445U (zh) 一种太阳能加热供热管网蒸汽和冷凝水的系统
CN207441918U (zh) 换热机构和电池包
CN109441577A (zh) 吸收式热泵热电联产机组循环冷却水零上塔运行方法
KR20100028893A (ko) 폐열을 이용한 온실 난방장치
CN102918333A (zh) 塔式太阳能发电厂的节能装置及其操作方法
CN108726520B (zh) 一种还原炉余热回收系统
CN207945990U (zh) 一种间接空冷和湿冷机组冷端联合运行系统
CN215261357U (zh) 一种芳烃抽提汽提塔热量利用系统
CN205448369U (zh) 一种双回路太阳能热发电电站的热交换系统
CN108518719A (zh) 一种采用双凝汽器的大温差集中供热系统
JP2004317027A (ja) 太陽熱集熱器
CN203271829U (zh) 双动力orc发电系统
CN202973973U (zh) 整体扩容式热网加热器
CN212511098U (zh) 延迟焦化除盐水低温热利用节能装置
CN218410840U (zh) 一种数据中心余热跨季节相变储热系统
CN114993084B (zh) 阵列式余热回收单元、装置及换热系统
CN220472416U (zh) 热电冷却水余热回收装置
CN215675394U (zh) 供热回水加热系统
CN217685298U (zh) 供热机组余热梯级利用系统
CN209623126U (zh) 一种用于槽式光热电站的油盐换热器
CN220793318U (zh) 一种冷却水余热循环利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