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308Y1 -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의 냉기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의 냉기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308Y1
KR200457308Y1 KR2020080016377U KR20080016377U KR200457308Y1 KR 200457308 Y1 KR200457308 Y1 KR 200457308Y1 KR 2020080016377 U KR2020080016377 U KR 2020080016377U KR 20080016377 U KR20080016377 U KR 20080016377U KR 200457308 Y1 KR200457308 Y1 KR 2004573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discharge port
guide device
air guide
storage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191U (ko
Inventor
김규준
Original Assignee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6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308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1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1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3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3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08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1Devices for lighting, humidify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 A47F3/043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의 냉기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냉기 공급에 따른 후면 도어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최소화 함과 아울러 공급되는 냉기의 직진성을 향상시켜 저장실의 상부 조명수단의 발열에 의해 발생하는 고온의 공기층에 상관없이 상부 측 선반까지 냉기의 유도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저장실 내의 냉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케이스의 내부 저장실에 다단으로 장착되는 브래킷에 선반이 올려져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부 밑면과 전방의 모서리에는 형광등 등과 같은 각각의 조명수단이 구비되며, 후방면에는 후면 도어의 전방에 열교환실의 열교환기로부터 열교환된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거쳐 저장실 내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통로가 형성된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의 냉기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기 가이드장치는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냉기가 후면 도어의 하부 측과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덕트와,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냉기가 선반의 하부로 집중되지 않고 공급통로 측으로 유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의 냉기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단, 대면, 쇼케이스, 냉기, 토출, 가이드, 차단, 유도

Description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의 냉기 가이드장치{Cold air guide system of many item meeting style show case}
본 고안은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의 냉기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냉기 공급에 따른 후면 도어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최소화 함과 아울러 공급되는 냉기의 직진성을 향상시켜 저장실의 상부 조명수단의 발열에 의해 발생하는 고온의 공기층에 상관없이 상부 측 선반까지 냉기의 유도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저장실 내의 냉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의 냉기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케이스는 정육이나 채소 또는 수산물 등과 같이 진열이나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에 따라 순환되는 냉기에 의해 냉장이나 냉동을 통하여 보다 오랜 기간을 신선하게 진열이나 보관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으로, 진열이나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에 따라 크게 개방형과 밀폐형으로 구비되어 지고, 형식에 따라 다단형, 평형, 평대형 및 대면형 등으로 분류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여러 형식으로 분류되는 것 중에서도 본원에서는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를 일 예로 첨부된 도면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1)는, 받침대(110)의 상부에 필요로 하는 물품을 냉동 또는 냉장 진열이나 보관할 수 있도록 열교환실(120)의 내부에 송풍팬(도시되지 않음)과 열교환기(122)에 의해 순환되는 냉기가 공급되는 저장실(130)이 형성되는 본체케이스(10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케이스의 전면에는 진열된 물품을 확인할 수 있는 글라스(140)가, 후면에는 저장물을 인입 및 인출을 위한 각각의 후면 도어(15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장실(130)에는 다단으로 장착되는 브래킷(132a)에 선반(132)이 올려져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부 밑면과 전방의 모서리에는 형광등 등과 같은 각각의 조명수단(134)(134a)이 구비되며, 후방면 후면 도어의 전방에는 열교환실의 열교환기로부터 열교환된 냉기가 토출구(135)를 거쳐 저장실(130) 내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통로(13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의 전방 조명수단의 인근에는 상기 저장실에서 순환되는 냉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38)가 형성되어 진다.
그에 따라 열교환실의 열교환기를 거친 냉기가 저장실의 후방에 위치한 토출구와 공급통로를 통하여 저장실의 하부와 선반에 진열된 물품을 냉각시킨 후 전방에 형성된 흡입구로 흡입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저장실 내의 물품을 냉각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에 있어서는 열교환실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기가 토출구(135)에서 토출되면서 화살표와 같이 저장실(130) 내의 하부측, 즉 선반(132)의 하부 측으로 많은 량이 공급되고 공급통 로(137)를 통하여 공급되는 양이 적게 공급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다시 말해서,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기는 후방면에 부딪친 후 토출구(135)를 통하여 토출되는 과정에서 저장실(130)의 하부 측으로 집중되게 공급되고, 공급통로(137)에는 소량의 냉기가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토출구(135)는 후면 도어(150) 부분까지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공급통로(137)를 통하여 공급되는 냉기는 토출구(135)에서 토출 직후에 후면 도어(150)와 접촉되면서 온도 차이에 의한 후면 도어(150)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을 뿐만 아니라 공급통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냉기는 하부에 비하여 소량으로써, 저장실(130) 내의 상부 밑면에 구비된 조명수단(134)에서 발열되는 열이 선반(132) 사이와 고온의 공기층을 형성하고 있는 관계로, 소량의 냉기는 상기 고온의 공기층을 밀어내지 못하고, 즉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그로 인해 냉기가 원활하게 순환되지 않는 문제점으로 인해 상부 측의 선반에 진열된 물품의 냉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저장실의 하부에 진열된 물품은 공급되는 많은 량의 냉기에 의해 냉각 효율성을 뛰어 났으나, 선반에 진열된 물품은 냉각 효율성이 상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음은 물론 후면 도어 또한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냉기에 의해 결로 현상이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에서 냉기 공급에 따른 후면 도어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최소화 함과 아울러 공급되는 냉기의 직진성을 향상시켜 저장실의 상부 조명수단의 발열에 의해 발생하는 고온의 공기층에 상관없이 상부 측 선반까지 냉기의 유도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저장실 내의 냉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의 냉기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다른 목적은, 저장실의 하부와 선반의 상부 측으로 냉기의 공급이 더욱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에 따라 온도제어까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케이스의 내부 저장실에 다단으로 장착되는 브래킷에 선반이 올려져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부 밑면과 전방의 모서리에는 형광등 등과 같은 각각의 조명수단이 구비되며, 후방면에는 후면 도어의 전방에 열교환실의 열교환기로부터 열교환된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거쳐 저장실 내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통로가 형성된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의 냉기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기 가이드장치는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냉기가 후면 도어의 하부 측과 직접 접촉되지 않고 차단하도록 양 측단이 하향으로 절곡되어 일측면이 후면 도어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측면은 토출구의 그릴 일단과 고정되되, 폭이 상부에 위치하는 공급통로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차단덕트와,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냉기가 선반의 하부로 집중되지 않고 공급통로 측으로 유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경사지도록 상단이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열교환실의 후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열교환실의 바닥면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가이드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온도 감지센서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부는 온도 감지센서를 삽입하여 끼워질 수 있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 측에 삽입된 온도 감지센서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에서 냉기 공급에 따른 후면 도어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공급되는 냉기의 직진성을 향상시켜 저장실의 상부 조명수단의 발열에 의해 발생하는 고온의 공기층에 상관없이 상부 측 선반까지 냉기의 유도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저장실 내의 냉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장실 내의 하부는 물론 상부 측의 선반으로 진열된 물품 또한 냉각 효율성을 최대한 가질 수 있는 효과 함께 후면 도어에서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토출구 측에 구비되는 차단덕트와 가이드부재에 의해 저장실의 하부와 선반의 상부 측으로 냉기의 공급이 더욱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장실 내의 냉각 효율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냉기를 공급통로 측으로 직진성을 갖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부재에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급되는 냉기와 제어부에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적정 온도로의 냉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저장실 내의 온도제어까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에 설치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가이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00)의 내부 저장실(130)에 다단으로 장착되는 브래킷(132a)에 선반(132)이 올려져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부 밑면과 전방의 모서리에는 형광등 등과 같은 각각의 조명수단(134)(134a)이 구비되며, 후방면에는 후면 도어(150)의 전방에 열교환실(120)의 열교환기(122)로부터 열교환된 냉기가 토 출되는 토출구(135)를 거쳐 저장실 내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통로(137)가 형성된 통상적인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1)의 냉기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본 고안은, 저장실로 냉기 공급에 따른 후면 도어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공급되는 냉기의 직진성을 향상시켜 저장실의 상부 조명수단의 발열에 의해 발생하는 고온의 공기층에 상관없이 상부 측 선반까지 냉기의 유도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저장실 내의 냉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냉기 가이드장치는 토출구(135)로부터 토출되는 냉기가 후면 도어(150)의 하부 측과 직접 접촉되어 결로가 발생하였던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차단하는 차단덕트(10)와, 토출구(135)로부터 토출되는 냉기가 선반의 하부로 집중되지 않고 공급통로(137) 측으로 유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부재(20)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차단덕트(10)는 양 측단이 하향으로 절곡되어 일측면이 후면 도어(150)의 하부에 통상적인 스크류나 리벳팅 또는 끼움 고정방식 등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면은 토출구(135)의 그릴 일단과 통상적인 끼움 고정방식이나 스크류 고정 등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차단덕트(10)의 폭은 상부에 위치하는 공급통로(137)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토출구(135)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차단덕트(10)의 차단에 의해 후면 도어(150)의 하부 측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되어, 후면 도어가 냉기 접촉으로 인한 결로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재(20)는 경사지도록 상단이 상기 토출구(135)가 형성된 열교환실(120)의 후면에 통상적인 스크류 체결 등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열교환실(120)의 바닥면에 통상적인 스크류나 끼움 고정방식 등에 의해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가이드부재의 상단은 차단덕트의 전,후 폭과 대응되게 상부 측이 절곡되고 끝단으로 열교환실의 후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플랜지가 형성되고, 열교환실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타단의 끝단 또한 플랜지부가 형성된다.
그에 따라 냉기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20)에 의해 토출구(135)를 통하여 저장실(130)의 하부 측으로 집중되게 토출되는 것이 아니라 공급통로(137) 측으로의 유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냉기를 공급통로 측으로 직진성을 갖게 되는 것이며, 그로 인해 저장실(130)의 상부 조명수단(134)의 발열에 의해 형성된 고온의 공기층을 직진성을 갖는 냉기가 고온의 공기층을 밀어 내면서 선반(132) 위로도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저장실의 후방에 형성된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후면 도어와 차단덕트에 의해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가이드부재에 의해 공급통로로 공급되는 냉기의 직진성을 향상시켜 저장실의 상부 측의 조명수단과 선반 사이에 형성되는 고온의 공기층을 밀어 내면서 선반에 진열된 물품까지 냉기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장실 전체의 냉기 순환이 더욱더 원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를 통과하 여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의 통상적인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어 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냉기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통상적인 온도 감지센서(S)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부(30)는 온도 감지센서(S)를 삽입하여 끼워질 수 있는 삽입공(32)과, 상기 삽입공(32) 측에 삽입된 온도 감지센서(S)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3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를 통하여 저정실 측으로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를 상기 가이드부재의 장착부에 장착된 온도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제어부에서 설정된 온도와 비교하여 냉각 온도를 높이거나 또는 낮게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에 설치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가이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4는 일반적인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 10 : 차단덕트
20 : 가이드부재 30 : 장착부
32 : 삽입공 34 : 체결공
100 : 본체케이스 120 : 열교환실
122 : 열교환기 130 : 저장실
132 : 선반 134,134a : 조명수단
135 : 토출구 137 : 공급통로
150 : 후면 도어 S : 온도 감지센서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본체케이스의 내부 저장실에 다단으로 장착되는 브래킷에 선반이 올려져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부 밑면과 전방의 모서리에는 형광등 등과 같은 각각의 조명수단이 구비되며, 후방면에는 후면 도어의 전방에 열교환실의 열교환기로부터 열교환된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거쳐 저장실 내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통로가 형성된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의 냉기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기 가이드장치는, 토출구(135)로부터 토출되는 냉기가 후면 도어(150)의 하부 측과 직접 접촉되지 않고 차단하도록 양 측단이 하향으로 절곡되어 일측면이 후면 도어(150)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측면은 토출구(135)의 그릴 일단과 고정되되, 폭이 상부에 위치하는 공급통로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차단덕트(10)와,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냉기가 선반의 하부로 집중되지 않고 공급통로(137) 측으로 유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경사지도록 상단이 상기 토출구(135)가 형성된 열교환실(120)의 후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열교환실(120)의 바닥면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가이드부재(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의 냉기 가이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20)에는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온도 감지센서(S)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의 냉기 가이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30)는 온도 감지센서(S)를 삽입하여 끼워질 수 있는 삽입공(32)과, 상기 삽입공 측에 삽입된 온도 감지센서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의 냉기 가이드장치.
KR2020080016377U 2008-12-10 2008-12-10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의 냉기 가이드장치 KR2004573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377U KR200457308Y1 (ko) 2008-12-10 2008-12-10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의 냉기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377U KR200457308Y1 (ko) 2008-12-10 2008-12-10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의 냉기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191U KR20100006191U (ko) 2010-06-18
KR200457308Y1 true KR200457308Y1 (ko) 2011-12-15

Family

ID=44451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377U KR200457308Y1 (ko) 2008-12-10 2008-12-10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의 냉기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3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191U (ko) 201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0424B2 (en) LED canopy light fixture
JP2007085611A (ja) ショーケース
JP5993657B2 (ja) 2温度式のショーケース
CN101196360A (zh) 冷藏温度均匀的冷藏箱
US20060196217A1 (en) Arrangement for the forced air circulation in refrigerators and freezers
KR20200086876A (ko) 냉장고
JP4507685B2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KR200457308Y1 (ko) 다단 대면형 쇼케이스의 냉기 가이드장치
JP2001190338A (ja) サービスカート
JP5919514B2 (ja) ショーケース
US20020047506A1 (en) Refrigerator shelf
KR20100132609A (ko) 전면 냉기 유출구조를 갖는 쇼 케이스
KR101973727B1 (ko) 쇼케이스
JP4654168B2 (ja) 冷蔵庫
JP2000065464A (ja) 冷却用ショーケース
JP2517488B2 (ja) 冷却貯蔵庫
CN218683279U (zh) 一种自携立式多门展示柜
CN219374255U (zh) 一种双温冷藏展示柜
CN219353485U (zh) 冷藏展示柜
JP2006046885A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WO2023132914A1 (en) Walk-in refrigeration system
KR20140099678A (ko) 쇼케이스
JP2023060479A (ja) 前面に開口部を有する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TW200303974A (en) Walking open show case
JPH10253227A (ja) ショー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