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727B1 - 쇼케이스 - Google Patents

쇼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727B1
KR101973727B1 KR1020170043070A KR20170043070A KR101973727B1 KR 101973727 B1 KR101973727 B1 KR 101973727B1 KR 1020170043070 A KR1020170043070 A KR 1020170043070A KR 20170043070 A KR20170043070 A KR 20170043070A KR 101973727 B1 KR101973727 B1 KR 101973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ing unit
unit
moisture
cool ai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2327A (ko
Inventor
박병복
Original Assignee
박병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복 filed Critical 박병복
Priority to KR1020170043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727B1/ko
Publication of KR20180112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1Devices for lighting, humidifying, heating, venti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열실 내의 온도와 습도를 적정한 상태로 유지하여 진열제품에 함습된 수분이 증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장시간 진열제품을 보관하여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쇼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는, 내부에 구획부를 통해 구획되는 진열실과 설치실이 형성된 진열부, 상기 진열부의 설치실에 설치되고,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기발생부, 상기 진열부의 설치실에 열기를 공급하여 습기를 발생시키는 습기발생부, 상기 진열부의 설치실에 설치되고, 상기 설치실 내의 냉기 및 습기를 상기 진열실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쇼케이스{SHOW CASE}
본 발명은 케익, 육류, 어류 등 다양한 종류의 진열제품을 보관할 수 있는 쇼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케이스는 제과, 육류, 어류 등의 식품을 저온으로 보관하여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그 유통기한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쇼케이스는 마트나, 대형 매장 등에 배치된 상태에서 소비자가 쇼케이스의 진열실에 진열된 식품을 골라 구매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쇼케이스는 냉각기를 통해 진열실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하게 되는데, 냉각기를 통해 공급되는 냉기로 인해 진열실이 건조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식품에 함습된 수분이 증발되어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92842호(2016.12.29)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진열실 내의 온도와 습도를 적정한 상태로 유지하여 진열제품에 함습된 수분이 증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장시간 진열제품을 보관하여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쇼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는, 내부에 구획부를 통해 구획되는 진열실과 설치실이 형성된 진열부, 상기 진열부의 설치실에 설치되고,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기발생부, 상기 진열부의 설치실에 열기를 공급하여 습기를 발생시키는 습기발생부, 상기 진열부의 설치실에 설치되고, 상기 설치실 내의 냉기 및 습기를 상기 진열실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실의 바닥면에는 상기 냉기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수분이 저장되는 저장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습기발생부는 상기 냉기발생부에 상기 열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저장홈에 저장된 물을 가열한다.
그리고, 상기 냉기발생부는 외면에 다수개의 냉각핀이 설치되고, 내부에 냉매가 순환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습기발생부는 내부에 핫가스가 순환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냉기발생부의 통로 또는 습기발생부의 통로에 냉매 또는 핫가스를 공급하는 열원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습기발생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습기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냉기발생부로 집중시키는 열기집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기집중부는,
길이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상기 습기발생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습기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가드부, 상기 상부가드부의 일측에서 하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습기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가드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발생부는 제1공급관 및 제1배출관을 통해 열원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습기발생부는 제2공급관 및 제2배출관을 통해 상기 열원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공급관과 제2공급관에는 상기 열원공급부가 상기 냉기발생부의 통로 또는 습기발생부의 통로에 냉매 또는 핫가스를 교번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제1전자밸브와 제2전자밸브가 각각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는, 진열실 내의 온도와 습도를 적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언제나 진열제품의 신선도 유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에 적용된 냉각부와 습기발생부가 설치실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에 적용된 냉각부와 습기발생부 및 열원공급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에 적용된 냉각부와 습기발생부가 설치실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에 적용된 냉각부와 습기발생부 및 열원공급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1)는 제과, 육류, 어류 등 다양한 종류의 진열제품을 냉장 또는 냉동상로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진열제품에 포함된 습기가 제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진열부(10), 냉기발생부(20), 습기발생부(30), 이동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진열부(10)는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진열부(10)의 개방된 부분에는 빈 공간을 개폐시키기 위한 투명 재질의 슬라이딩 도어(1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진열부(10)의 내부 양측 벽면의 높이 방향 중 대략 중앙부분에는 직사각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미도시)가 수평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획부(16)가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진열부(10)의 빈 공간은 구획부(16)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상기 구획부(16)의 상부공간은 진열제품을 진열할 수 있는 진열실(10a)로 사용되고, 상기 구획부(16)의 하부공간은 상기 냉기발생부(20), 습기발생부(30), 이동부(40)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실(10b)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진열실(10a)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진열대(12)가 설치되어 다양한 종류의 진열제품을 진열할 수 있고, 진열실(10a)의 천장이나 벽면 등에는 진열제품의 전시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조명(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열부(10)의 일측 내벽면과 구획부(16)의 일단 사이에는 상기 설치실(10b)에 존재하는 냉기와 수증기가 진열실(10a)에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그릴 또는 그레이팅 구조의 제1이동가이드(14)가 설치되고, 상기 진열부(10)의 타측 내벽과 구획부(16)의 타단 사이에는 상기 진열실(10a)에 존재하는 냉기와 수증기가 설치실(10b)에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그릴 또는 그레이팅 구조의 제2이동가이드(15)가 설치된다.
상기 냉기발생부(20)는 설치실(10b)의 바닥면(13)에 설치되어 상기 진열대(12)에 진열된 진열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코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후술되는 열원공급부(50)로부터 공급된 냉매가 순환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끝단에는 열원공급부(50)에 연결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관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냉기발생부(20)의 유입구는 제1공급관(70)을 통해 열원공급부(50)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는 제1배출관(80)을 통해 열원공급부(50)와 연결된다.
따라서, 열원공급부(50)의 냉매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어 통로를 따라 순환하면서 냉기발생부(20)를 냉각시킨 다음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열원공급부(50)에 회수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발생부(20)의 외면에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냉각핀(23)이 장착된다.
상기 냉각핀(23)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등의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냉기발생부(20)로부터 냉기를 전도 받아 설치실(10b) 내에 발산시키고, 상기 이동부(40)가 상기 설치실(10b) 내에 발산된 냉기를 진열실(10a)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냉각핀(23)은 냉기의 발산작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냉기발생부(20)에서 발생되는 냉기가 상승되어 진열실(10a)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가 상기 냉기발생부(20)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설치실(10b)의 바닥부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상기 냉기발생부(20)에서 발생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홈(13a)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저장홈(13a)은 평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실(10b)과 연결되는 벽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냉기발생부(20)보다 낮은 곳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냉기발생부(20)가 작동함에 따라 냉기발생부(20)의 표면 및 냉각핀(23)의 표면에 발생하는 이슬 즉, 물은 상기 설치실(10b)의 바닥면(13)으로 자연스럽게 떨어진 다음 상기 저장홈(13a)으로 흘러들어가 저장되고, 상기 습기발생부(30)는 상기 저장홈(13a)에 저장된 물을 증발시켜 진열실(10a)의 습도가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습기발생부(30)는 내부에 열원공급부(50)로부터 공급된 핫가스가 순환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끝단에는 열원공급부(50)에 연결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관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습기발생부(30)의 유입구는 제2공급관(90)을 통해 열원공급부(50)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는 제2배출관(100)을 통해 열원공급부(50)와 연결된다.
상기 습기발생부(30)의 일부분은 상기 저장홈(13a)의 바닥면(13)을 관통하는 구조이며,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는 진열부(10)의 하측에 별도로 마련된 빈 공간(S)에서 열원공급부(50)와 연결된다.
따라서, 열원공급부(50)의 핫가스는 상기 습기발생부(30)의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어 통로를 따라 순환하면서 습기발생부(30)를 가열한 다음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습기발생부(30)는 통로를 순환하는 핫가스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저장홈(13a)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습기발생부(30)는 상기 냉기발생부(20)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저장홈(13a)에 저장된 물 뿐만 아니라 설치부의 바닥면(13)으로 낙하되어 고인 물과, 냉기발생부(20)와 냉각핀(23)의 표면에 맺힌 이슬이나 서리를 가열하여 증발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1)는 상기 습기발생부(30)의 발열작동을 통해 냉각핀(23)에 서리가 생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냉기발생부(20)에 냉각핀(23)을 촘촘한 간격으로 배열하였을 경우 냉각핀(23)에 서리가 생기게 되면 냉각핀(23)의 통로가 막히게 됨으로, 기존에는 냉각핀(23)에 생길 서리의 두께까지 계산해서 냉각핀(23)의 간격을 넓게 배치해야 했으며, 이로 인해 냉각핀(23)의 적용 개수가 한정적일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경우 상기 습기발생부(30)를 냉기발생부(20)의 근접한 위치에 설치하여 냉기발생부(20) 및 냉각핀(23)을 가열하도록 하므로서 냉각핀(23)에 발생된 서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각핀(23) 사이의 통로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존에 비해 냉각핀(23)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냉각기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진열실(10a)의 온도를 보다 저온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부가적으로, 상기 습기발생부(30)의 상부에는 열기집중부(60)가 더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기집중부(60)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설치공간에 배치되는 상부가드부(61), 상기 상부가드부(61)의 끝단에서 하 방향으로 절곡되는 하부가드부(6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드부(61)의 상면에는 지지대(6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611)의 상단에는 구획부(16)의 저면에 볼팅 결합되는 플랜지(P)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열기집중부(60)는 상기 습기발생부(30)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습기발생부(30)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냉기발생부(20)로 집중시킨다.
즉, 상기 상부가드부(61)는 상기 습기발생부(30)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하부가드부(62)는 상기 습기발생부(30)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상기 습기발생부(30)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냉기발생부(20) 및 냉각핀(23)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습기발생부(30)에서 발생된 열기는 상부가드부(61)에 반사되어 저장홈(13a)에 저장된 물에도 집중됨에 따라 증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냉기발생부(20) 및 냉각핀(23)에 집중된 열기가 진열실(10a)로 바로 이동되지 않고 냉기발생부(20)에서 발생된 냉기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낮아진 상태에서 진열실(10a)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음에 따라, 습기발생부에 의해 진열제품의 신선도가 저하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실(10b)에서 발생된 수증기는 상기 이동부(40)를 통해 진열실(10a)로 이동되어 진열제품에 공급된다.
상기 이동부(40)는 공지의 흡기팬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실(10b)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설치실(10b)에 설치된 설치판(17)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제2이동가이드(15)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40)를 작동시키면 기압차로 인해 설치실(10b)의 냉기 및 습기가 제1이동가이드(14)를 통해 진열실(10a)로 이동되고, 진열실(10a)로 이동된 냉기 및 습기는 제2이동가이드(15)를 통해 설치실(10b)로 이동됨을 반복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습기발생부(30)를 통해 설치실(10b)에서 습기를 발생시키고, 상기 이동부(40)를 통해 진열실(10a)에 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므로서, 진열실(10a) 내의 습도를 적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진열제품에 함습된 수분이 증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장시간 진열제품을 보관하여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어 소비자와 판매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열원공급부(50)는 상기 냉기발생부(20)에 냉매를 공급하고 상기 습기발생부(30)에는 핫가스를 공급하는 것으로, 공지의 라지에이터(51)와 콤프레셔(52)로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는 상기 열원공급부(50) 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판넬은 쇼케이스(1)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지에이터(51)와 콤프레셔(52)는 진열부(10)의 하측에 별도로 마련된 빈 공간(S)에 설치되며 연결관(110)을 통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라지에이터(51)는 상기 제1공급관(70)을 통해 냉기발생부(20)의 유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콤프레셔(52)는 제1배출관(80)을 통해 냉기발생부(20)의 배출구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공급관(90)은 일측이 상기 습기발생부(30)의 유입구와 연결되고, 타측은 연결관(110)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배출관(100)은 일측이 상기 습기발생부(30)의 배출구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1공급관(70)과 연결되며, 상기 제2배출관(100)에는 핫가스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지밸브(V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공급관(70)에는 제1전자밸브(V1)가 설치되고, 상기 제2공급관(90)에는 제2전자밸브(V2)가 설치되어 상기 열원공급부(50)는 상기 냉기발생부(20)의 통로 또는 습기발생부(30)의 통로에 냉매 또는 핫가스를 교번되게 공급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냉기발생부(20)의 냉매를 공급하여 설치실(10b) 내에 냉기를 발생시키고자 할 경우, 제1공급관(70)의 제1전자밸브(V1)가 개방되도록 하고 제2공급관(90)의 전자밸브는 잠기도록 한 다음 열원공급부(50)를 작동시키면 냉매가 제1공급관(70)과 팽창밸브(V3) 및 유입구를 순차적으로 거쳐 냉기발생부(20)의 통로에 공급되어 냉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냉기발생부(20)의 통로를 순환한 냉매는 상기 제1배출관(80)을 통해 열원공급부(50)에 회수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실(10b)에 발생된 냉기는 이동부(40)에 의해 제1가이드를 거쳐 진열실(10a)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습기발생부(30)에 핫가스를 공급하여 가열하여 설치실(10b) 내에 수증기를 발생시키고자 할 경우, 제2공급관(90)의 제2전자밸브(V2)가 개방되도록 하고 제1공급관(70)의 제1전자밸브(V1)는 잠기도록 한 다음 열원공급부(50)를 작동시키면 핫가스가 제2공급관(90)과 유입구를 순차적으로 거쳐 습기발생부(30)의 통로에 공급되며, 이로 인해 습기발생부(30)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저장홈(13a)에 저장된 물과 냉기발생부(20) 및 냉가핀에 맺힌 이슬이나 서리를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습기발생부(30)의 통로를 순환한 핫가스는 제2배출관(100)을 통해 열원공급부(50)에 회수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실(10b)에 발생된 수증기는 이동부(40)에 의해 제1이동가이드(14)를 거쳐 진열실(10a)에 공급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쇼케이스 10 : 진열부
10a : 진열실 10b : 설치실
11 : 도어 12 : 진열대
13 : 바닥면 13a : 저장홈
14 : 제1이동가이드 15 : 제2이동가이드
20 : 냉기발생부 21,31 : 유입구
22,32 : 배출구 30 : 습기발생부
40 : 이동부 50 : 열원공급부
60 : 열기집중부 61 : 상부가드부
611 : 지지대 62 : 하부가드부
70 : 제1공급관 80 : 제1배출관
90 : 제2공급관 100 : 제2배출관
110 : 연결관

Claims (6)

  1. 내부에 구획부를 통해 구획되는 진열실과 설치실이 형성된 진열부,
    상기 진열부의 설치실에 배치되고, 외면에 다수개의 냉각핀이 설치되며, 내부에 냉매가 순환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기발생부,
    상기 진열부의 설치실에 배치되고, 상기 설치실에 열기를 공급하여 습기를 발생시키는 습기발생부,
    상기 진열부의 설치실에 설치되고, 상기 설치실 내의 냉기 및 습기를 상기 진열실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실의 바닥면에는 상기 냉기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수분이 저장되는 저장홈이 형성되며,
    상기 습기발생부는 상기 냉기발생부에 상기 열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저장홈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고,
    상기 습기발생부는 내부에 핫가스가 순환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냉기발생부의 통로 또는 습기발생부의 통로에 냉매 또는 핫가스를 공급하는 열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기발생부는 제1공급관 및 제1배출관을 통해 열원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습기발생부는 제2공급관 및 제2배출관을 통해 상기 열원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공급관과 제2공급관에는 상기 열원공급부가 상기 냉기발생부의 통로 또는 습기발생부의 통로에 냉매 또는 핫가스를 교번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제1전자밸브와 제2전자밸브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2배출관에는 핫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열원공급부는,
    상기 진열부의 하측에 마련된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1공급관을 통해 상기 냉기발생부에 연결되는 라지에이터,
    상기 진열부의 하측에 마련된 공간에 설치되고, 제1배출관을 통해 상기 냉기발생부의 배출구와 연결되며, 상기 라지에이터와는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는 콤프레셔를 포함하고,
    상기 진열부의 일측 내벽과 구획부의 일단 사이에 설치되어 설치실에 존재하는 냉기와 수증기를 진열실에 이동시키는 그릴 또는 그레이팅 형상의 제1이동가이드,
    상기 진열부의 타측 내벽과 구획부의 타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진열실에 존재하는 냉기와 수증기를 설치실에 이동시키는 그릴 또는 크레이팅 형상의 제2이동가이드를 포함하는 쇼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발생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습기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냉기발생부로 집중시키는 열기집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기집중부는 길이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상기 습기발생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습기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가드부,
    상기 상부가드부의 일측에서 하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습기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가드부로 구성되는 쇼케이스.
  6. 삭제
KR1020170043070A 2017-04-03 2017-04-03 쇼케이스 KR101973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070A KR101973727B1 (ko) 2017-04-03 2017-04-03 쇼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070A KR101973727B1 (ko) 2017-04-03 2017-04-03 쇼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327A KR20180112327A (ko) 2018-10-12
KR101973727B1 true KR101973727B1 (ko) 2019-04-29

Family

ID=63876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070A KR101973727B1 (ko) 2017-04-03 2017-04-03 쇼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7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1098A (zh) * 2022-01-17 2022-02-18 深圳市华图测控系统有限公司 低氧恒湿储藏系统自动降低功耗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9928A (ja) * 2012-07-02 2014-01-20 Toshiba Carrier Corp ショーケース
JP2015054088A (ja) * 2013-09-12 2015-03-23 株式会社東京アワクメ ショーケースの加湿冷却装置及び加湿冷却ショー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842B1 (ko) 2014-09-17 2017-01-05 아르네코리아(주) 원터치 결합형 쇼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9928A (ja) * 2012-07-02 2014-01-20 Toshiba Carrier Corp ショーケース
JP2015054088A (ja) * 2013-09-12 2015-03-23 株式会社東京アワクメ ショーケースの加湿冷却装置及び加湿冷却ショー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327A (ko) 2018-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1314B2 (en) Freezer
KR20170104877A (ko) 냉장고
KR102620309B1 (ko) 냉장고
KR101973727B1 (ko) 쇼케이스
JP4562763B2 (ja) 冷蔵庫
JP2016031165A (ja) 冷蔵庫
JP4033888B2 (ja) 冷蔵庫
JP2014077615A (ja) 冷蔵庫
KR20210001150A (ko)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572073B1 (ko)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JP6766298B2 (ja) 冷蔵庫
US11268748B2 (en) Indirect air cooling for an ice maker within a refrigerator door
JP4111942B2 (ja) 冷蔵庫
JP2006189209A (ja) 冷却庫
JP2013253763A (ja) 冷却貯蔵庫
JP5367553B2 (ja) 冷却貯蔵庫
JP6866995B2 (ja) 冷蔵庫
JP2009192112A (ja) 冷蔵庫
EP3393305B1 (en) Refrigerated sales furniture
US20240175623A1 (en) Storehouse
JP7365821B2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
KR101398176B1 (ko) 냉,온장 겸용 오픈쇼케이스
JP4929620B2 (ja) 自動販売機
KR20230009086A (ko) 저장고
JP3896260B2 (ja) ショーケース付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