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124Y1 - 화물 운반용 파레트 - Google Patents

화물 운반용 파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124Y1
KR200457124Y1 KR2020090010667U KR20090010667U KR200457124Y1 KR 200457124 Y1 KR200457124 Y1 KR 200457124Y1 KR 2020090010667 U KR2020090010667 U KR 2020090010667U KR 20090010667 U KR20090010667 U KR 20090010667U KR 200457124 Y1 KR200457124 Y1 KR 200457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rame
pallet
frame
side wal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164U (ko
Inventor
이두순
Original Assignee
공간찬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간찬넬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공간찬넬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0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124Y1/ko
Priority to PCT/KR2009/004765 priority patent/WO2010090384A1/ko
Publication of KR201000081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1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1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2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34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98Overall construction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776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 B65D2519/00796Guiding means for fork-li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파레트가 유동하지 않는 안정적인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층층이 적층될 수 있고, 파레트의 두께가 비교적 얇아 그 사용시나 보관시 점유하는 공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적재되는 화물의 종류나 적재량 등을 고려해 벽프레임을 선택적이고 용이하게 탈착하면서 다양한 화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적재 및 이송시킬 수 있어 물류 운반의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화물 운반용 파레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화물, 운반, 파레트, 파레트 프레임, 지지브래킷, 벽프레임, 상부커버, 판넬,

Description

화물 운반용 파레트{PALATE FOR FREIGHT TRANSPORT}
본 고안은 화물 운반용 파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파레트가 유동하지 않는 안정적인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층층이 적층될 수 있고, 파레트의 두께가 비교적 얇아 사용시나 보관시 점유하는 공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적재되는 화물의 종류나 적재량 등을 고려해 벽프레임을 선택적이고 용이하게 탈착하면서 다양한 화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적재 및 이송시킬 수 있어 물류 운반의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화물 운반용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의 적재 및 운반을 위한 파레트는 상,하부면이 평면인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부면에 화물을 적재하여 비교적 다량의 화물을 한 번에 이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류관리 시 물건의 이송을 간편하게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파레트는 통상 측면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지게차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파레트에는 적재된 화물의 이송 과정에서 개방 상태의 사방 둘레를 통한 화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파레트를 상측 방향으로 적층하여 한 번에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측판부 재가 측면 주위에 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측판부재는 통상 파레트의 각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그 사용시 세워지도록 회전시키고, 사용 후에는 다시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측판부재의 다른 형태로써, 사용시에만 파레트의 각 측면에 결합하고, 사용 후에는 파레트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하는 형태가 있다. 이에 따라, 파레트판의 둘레에 측판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평철이 설치되고, 상기 평철에 의해 측판부재가 파레트의 측면에 지지되면서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측면에 측판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레트의 경우, 측판부재를 세운 후, 측판부재의 세워진 상태를 지지하는 고정력이 비교적 약하다. 이에 따라, 복수의 파레트가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적층되면, 측판부재가 그 하중을 견디지 못해 파레트 측면에 대한 결합 구조에 파손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측판부재가 접혀진 상태에서 파레트에 화물을 적재하게 되면, 접혀진 상태에서 파레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의 측판부재로 인해 화물 적재에 방해를 받는 동시에, 파레트의 운송 과정에서 측판부재가 회전하여 세워질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측면에 별도의 측판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레트의 경우, 파레트의 측면에 평철을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파레트를 수평 방향으로 배열시 측면의 평철로 인해 작업에 방해를 받게 된다. 또한, 복수의 파레트가 각각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적층되면, 측판부재에 상당한 하중이 작용하는 동시에 그 하중이 파레트 측면의 평철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평철 자체나 파레트 측면 및 평철의 결합 부분에 파손이 발생되며, 이는 측판부재가 파레트의 측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결과로 이어진다.
또한, 상기 측판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는 파레트(이하 제1 파레트라 지칭함)나 별도의 측판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레트(이하 제2 파레트라 지칭함)는 기초의 바닥 부분 및 상판 등이 상방향을 기준으로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면서 적층되는 형태이고, 그 결과 파레트의 전체적인 두께가 비교적 두껍게 된다. 이에 따라, 파레트 자체의 부피로 인해 그 보관시나 화물 적재시 비교적 넓은 공간을 점유하게 되고, 이는 화물 운송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동시에 파레트를 보관 및 관리하는 과정에서도 넓은 보관공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파레트는 상측 방향으로 다수 적층시 각 파레트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파레트들의 적층 상태가 비교적 불안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일부 파레트의 낙하로 인해 주변 시설물이 파괴되거나 인명피해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이유로 상기 제1 및 제2 파레트는 매우 낮은 높이로 적층되어 보관할 수 밖에 없고, 이는 파레트의 보관에 비교적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어 물류의 보관 및 운송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동시에 경제성을 저하시킨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의 파레트가 유동하지 않는 안정적인 상태로 상향 적층될 수 있고, 그 결과 다수의 파레트를 층층이 적층하면서 화물을 적재 및 운반하거나 파레트를 보관할 수 있어 물류 운반의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화물 운반용 파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파레트의 전체 두께가 비교적 얇게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작은 부피를 갖게 되면서 그 사용시나 보관시 점유하는 공간은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소정 공간에 비교적 많은 량의 화물을 적재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 운반용 파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파레트의 상부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벽프레임을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라 수 있는 화물 운반용 파레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파레트의 보관시에는 파레트의 페리트 프레임 사각 모서리에 서리치된 지지브패킷의 상부로 다수의 파레트 지지브래킷을 적층하여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정해진 공간에 다량의 파레트를 보관할 수 있고, 파레트의 사용시에는 파레트에 벽프레임과 상부커버를 용이하게 결합시켜 파레트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운송하는 과정에서 화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화물 운반용 파레트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적재되는 화물의 종류나 적재량 등을 고려 하여 벽프레임을 용이한 작업을 통해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면서 다양한 화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적재 및 이송시킬 수 있는 화물 운반용 파레트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파레트의 파레트 프레임 각 모서리에 설치된 지지브래킷의 하부에 받침구가 결합되어 파레트의 파레트 프레임을 지면에서 슬라이딩으로 이송시킬 때 지지브래킷의 마모를 방지하고, 용이하게 파레트 프레임이 지면에서 슬라이딩으로 이송될 수 있는 화물 운반용 파레트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판형으로 양측단이 결합되어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파레트 프레임(100)과;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브래킷 몸체(210)의 상부에 내측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절곡부(220)가 구비되고, 상기 절곡부(220)의 상단부에 상부로 돌출된 지지돌기(230)가 구비되며, 상기 브래킷 몸체(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구(240)가 구비되어 파레트 프레임(100)의 모서리에 설치 모서리의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브래킷(200)과;
삭제
삭제
제 1판넬(311)의 테두리에 결합된 제 1측벽프레임(312)이 구비되고, 제 2판넬(313)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상기 제 1측벽프레임(312)의 일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제 1힌지(314)로 결합된 제 2측벽프레임(315)이 구비된 제 1벽프레임(310)이 구비되며, 제 3판넬(321)의 테두리에 결합된 제 3측벽프레임(322)이 구비되고, 제 4판넬(323)의 테두리에 상기 제 3측벽프레임(322)의 일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제 2힌지(324)로 결합된 제 4측벽프레임(325)이 구비되어 제 3측벽프레임(322)과 제 4측벽프레임(325)의 양측이 상기 제 1측벽프레임(312)와 제 2측벽프레임(315)에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 2벽프레임(320)이 구비되어 파레트 프레임(100)과 지지브래킷(2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벽프레임(300)과;
상기 벽프레임(3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벽프레임(3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커버(400)로 구성된 화물 운반용 파레트에 있어서,
그리고 상기 파레트 프레임(100)은 상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끝단부가 하향으로 연장된 절곡판(111)이 구비되고,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연장된 받침판(112)이 구비된 프레임 몸체(110)와;
상기 프레임 몸체(110)의 받침판(112) 상부에 받침판(112)을 따라 결합되는 지지바(120)와;
격자형상으로 상기 지지바(120)의 내측면에 양측단이 결합되고, 양측단 상부가 지지바(120)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걸림턱(131)이 구비된 보강바(130)와;
테두리가 하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보강바(13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상부커버(400)는 직사각형의 커버프레임(410)과;
상기 커버프레임(410)의 내측에 결합되는 커버판넬(420)과;
상기 커버프레임(410)의 모서리 하단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430)와;
상기 결합돌기(430)의 하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삽입돌기(44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지지브래킷(200)의 받침구(240)는 판형의 받침구 몸체(241) 사각 테두리 중 직각으로 연결된 두 테두리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끝단부가 ∪형상으로 굴곡된 받침돌기(242)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돌기(242)의 상단부에 샹향 수직으로 돌출된 고정돌기(24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벽프레임(300)의 제 1벽프레임(310)은 제 1측벽프레임(312)과 제 2측벽프레임(315)의 외측면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중앙이 상하 관통되어 제 1삽입공(316a)이 구비된 다수의 제 1고정구(316)가 구비되고, 상기 제 1측벽프레임(312)과 제 2측벽프레임(315) 중 하나의 측벽프레임(312, 315) 외측면 상부에 중앙이 상하로 관통된 제 2삽입공(317a)이 구비되어 상부커버(400)가 결합되는 제 2고정구(31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벽프레임(300)의 제 2벽프레임(320)은 제 3측벽프레임(322)과 제 4측벽프레임(325)의 외측면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하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체결돌기(326a)가 구비된 다수의 체결구(326)가 구비되고, 상기 제 3측벽프레임(322)과 제 4측벽프레임(325) 중 하나의 측벽프레임(322, 325) 외측면 상부에 중앙이 상하로 관통된 제 3삽입공(327a)이 구비되어 상부커버(400)가 결합되는 제 3고정구(327)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다수의 체결구(326) 중 상부 위치에 구비된 체결구(326)의 상부 중앙에 상부커버(400)가 결합되는 삽입홈(326b)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화물 운반용 파레트는 다수의 파레트가 유동하지 않는 안정적인 상태로 상향 적층될 수 있고, 그 결과 다수의 파레트를 층층이 적층하면서 화물을 적재 및 운반하거나 파레트를 보관할 수 있어 물류 운반의 효율성이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파레트의 전체 두께가 비교적 얇게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파레트가 비교적 작은 부피를 갖게 되면서 그 사용시나 보관시 점유하는 공간은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소정 공간에 비교적 많은 량의 화물을 적재 및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로는 파레트에 벽프레임과 상부커버를 용이하게 탈착 결합할 수 있어 화물의 적재 및 운반 작업시간이 상당히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파레트의 보관시에는 파레트의 지지브래킷 상부에 다수의 파레트 지지브래킷을 적층하여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정해진 공간에 다량의 파레트를 보관할 수 있고, 파레트의 사용시에는 파레트에 벽프레임과 상부커버를 용이하게 결합시켜 파레트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운송하는 과정에서 화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파레트는 적재되는 화물의 종류나 적재량 등을 고려하여 벽 프레임을 용이한 작업을 통해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면서 다양한 화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적재 및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파레트의 파레트 프레임 각 모서리에 설치된 지지브래킷의 하부에 받침구가 결합되어 파레트의 파레트 프레임을 지면에서 슬라이딩으로 이송시킬 때 지지브래킷의 마모를 방지하고, 용이하게 파레트 프레임이 지면에서 슬라이딩으로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의 파레트 프레임과 상판이 분리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의 파레트 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의 파레트 프레임과 지지브래킷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의 벽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의 벽프레임 중 제 1벽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의 벽프레임 중 제 2벽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의 상부커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의 벽프레임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의 파레트 프레임과 지지브래킷, 벽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가 적층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는 크게 파레트 프레임(100)과 지지브래킷(200), 벽프레임(300), 상부커버(4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파레트 프레임(100)에 대해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판형으로 양측단이 결합되어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파레트 프레임(100)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레트 프레임(100)은 프레임 몸체(110) 상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끝단부가 하향으로 연장된 절곡판(111)이 구비되고, 프레임 몸체(110)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연장된 받침판(11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몸체(110)의 받침판(112) 상부에는 받침판(112)을 따라 결합되는 지지바(120)가 구비되고, 격자형상으로 상기 지지바(120)의 내측면에 양측단이 결합되고, 양측단 상부가 지지바(120)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걸림턱(131)이 구비된 보강바(1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보강바(130)의 상부에는 테두리가 하향으로 절곡된 상판(140)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파레트 프레임(100)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모서리의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브래킷(200)은 도 1내지 도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브래킷 몸체(210)의 상부에 내측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절곡부(220)가 구비되고, 상기 절곡부(220)의 상단부에는 지지돌기(230)가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브래킷 몸체(210)의 하부에는 받침구(24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지지브래킷(200)의 받침구(240)는 판형의 받침구 몸체(241) 사각 테두리 중 직각으로 연결된 두 테두리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끝단부가 ∪형상으로 굴곡된 받침돌기(242)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돌기(242)의 상단부에는 샹향 수직으로 고정돌기(243)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파레트 프레임(100)과 지지브래킷(2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벽프레임(300)은 도 6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제 1판넬(311)의 테두리에 결합된 제 1측벽프레임(312)이 구비되고, 제 2판넬(313)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상기 제 1측벽프레임(312)의 일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제 1힌지(314)로 결합된 제 2측벽프레임(315)이 구비된 제 1벽프레임(31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벽프레임(300)의 제 1벽프레임(310)은 제 1측벽프레임(312)과 제 2측벽프레임(315)의 외측면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중앙이 상하 관통되어 제 1삽입공(316a)이 구비된 다수의 제 1고정구(316)가 구비되고, 상기 제 1측벽프레임(312)과 제 2측벽프레임(315) 중 하나의 측벽프레임(312, 315) 외측면 상부에 중앙이 상하로 관통된 제 2삽입공(317a)이 구비되어 상부커버(400)의 커버프레임(410) 모서리 하단부에 구비된 결합돌기(430) 하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삽입돌 기(440)가 결합되는 제 2고정구(317)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 3판넬(321)의 테두리에 결합된 제 3측벽프레임(322)이 구비되고, 제 4판넬(323)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상기 제 3측벽프레임(322)의 일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제 2힌지(324)로 결합된 제 4측벽프레임(325)이 구비되어 제 3측벽프레임(322)과 제 4측벽프레임(325)의 양측이 상기 제 1측벽프레임(312)와 제 2측벽프레임(315)에 양측이 각각 결합되는 제 2벽프레임(3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벽프레임(300)의 제 2벽프레임(320)은 제 3측벽프레임(322)과 제 4측벽프레임(325)의 외측면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하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체결돌기(326a)가 구비된 다수의 체결구(326)가 구비되고, 상기 제 2벽프레임(322)과 제 4측벽프레임(325) 중 하나의 측벽프레임(322, 325) 외측면 상부에 중앙이 상하로 관통된 제 3삽입공(327a)이 구비되어 상부커버(400)의 커버프레임(410) 모서리 하단부에 구비된 결합돌기(430) 하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삽입돌기(440)가 결합되는 결합되는 제 3고정구(327)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벽프레임(3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벽프레임(3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커버(4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커버프레임(410)의 내측에 커버판넬(420)이 결합되고, 상기 커버프레임(410)의 모서리 하단부에는 하향으로 결합돌기(430)가 돌출되며, 상기 결합돌기(430)의 하부에는 하향으로 삽입돌기(440)가 돌출된다.
이때 상기 제 1판넬(311)과 제 2, 3, 4판넬(313, 321, 323)은 투명한 재질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실시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플라스 틱과 같은 합성수지 및 금속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물 운반용 파레트는 먼저 파레트 프레임(100)의 프레임 몸체(11) 각 모서리 외측에 지지브래킷(200) 브래킷 몸체(210) 내측면을 밀착시켜 프레임 몸체(11)와 브래킷 몸체(21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 몸체(110)와 브래킷 몸체(210)는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용접 등과 같은 방법으로 견고히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 몸체(110)의 각 모서리 외측에 지지브래킷(200)이 고정된 파레트 프레임(100)의 프레임 몸체(110) 내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형상의 보강바(130) 양측단에 고정된 지지바(120)가 프레임 몸체(110)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받침판(112)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바(130)의 상부에는 테두리가 하부로 절곡된 상판(14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하부로 절곡된 상판(140)의 테두리는 보강바(130)의 양측단에 지지바(120)보다 상부로 돌출된 걸림턱(131) 외측면에 밀착되며 설치됨으로써 상판(140)이 보강바(130)의 상부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절첩된 벽프레임(300)의 제 1벽프레임(310)과 제 2벽프레임(320)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힌지(314)를 중심으로 제 1측벽프레임(312)과 제 2측벽프레임(315)이 직각으로 이루도록 회동시키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 2벽프레임(320)의 제 3측벽프레임(322)과 제 4측벽프레임(325)이 직각을 이루도록 제 2힌 지(324)를 중심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 1측벽프레임(312)과 제 2측벽프레임(315) 중 하나의 측벽프레임(312, 315) 외측면 상부에는 중앙이 상하로 관통된 제 2삽입공(317a)이 구비된 제 2고정구(317)가 구비되어 제 1측벽프레임(312)과 제 2측벽프레임(315)은 직각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3측벽프레임(322)과 제 4측벽프레임(325) 중 하나의 측벽프레임(322, 325) 외측면 상부에는 중앙이 상하로 관통된 제 3삽입공(327a)이 구비된 제 3고정구(327)가 구비되어 제 3측벽프레임(322)과 제 4측벽프레임(325) 또한 직각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직각을 이루도록 회동시킨 벽프레임(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벽프레임(310)의 제 1측벽프레임(312)과 제 2측벽프레임(315)의 외측면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구비된 제 1고정구(316)의 제 1삽입공(316a)에 제 2벽프레임(320)의 제 3측벽프레임(322)과 제 4측벽프레임(325)의 외측면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돌출된 체결구(326)의 하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체결돌기(326a)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 2벽프레임(320)의 제 3측벽프레임(322)과 제 4측벽프레임(325)을 제 1벽프레임(310)의 제 1측벽프레임(312)과 제 2측벽프레임(315)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시키며 제 1고정구(316)의 제 1삽입공(316a)에 체결구(326)의 체결돌기(326a)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 1벽프레임(310)의 제 1측벽프레임(312)과 제 2측벽프 레임(315)에 제 2벽프레임(320)의 제 3측벽프레임(322)과 제 4측벽프레임(325)의 양측단을 서로 결합시킨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프레임(300)의 제 1벽프레임(310)과 제 2벽프레임(320)의 하부가 파레트 프레임(100)의 프레임 몸체(110)와 지지브래킷(200)의 브래킷 몸체(210)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파레트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시킨다.
즉 상기 제 1벽프레임(310)의 제 1, 2측벽프레임(312, 315)과 제 2벽프레임(320)의 제 3, 4측벽프레임(322, 325) 하부가 파레트 프레임(100)의 프레임 몸체(110) 상단부에 내측으로 굴곡되어 끝단부가 하향으로 연장된 절곡판(111)의 내측으로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파레트 프레임(100)의 프레임 몸체(110)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 1, 2벽프레임(310, 320)의 제 1, 2, 3. 4측벽프레임(312, 315, 322, 325) 하단부는 프레임 몸체(110)의 절곡판(111)과 보강바(130)의 걸림턱(131) 사이, 즉 상판(140)의 테두리 사이로 삽입되어 보강바(130)의 양측단에 구비된 지지바(120)의 상부에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벽프레임(300)의 제 1벽프레임(310)과 제 2벽프레임(320)을 파레트 프레임(100)에 결합시킨 후 제 1벽프레임(310)과 제 2벽프레임(320)의 내측으로 운송할 화물을 상판(140)의 상부로 적재한 후 제 1벽프레임(310)과 제 2벽프레임(320)의 상부가 밀폐되도록 제 1벽프레임(310)과 제 2벽프레임(320)의 상부에 상부커버(400)를 결합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벽프레임(300)의 제 1벽프레임(310)과 제 2벽프레임(320) 을 파레트 프레임(100)에 결합한 후 내부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파레트 프레임(100)의 상판(140)에 먼저 화물을 적재한 후에 벽프레임(300)의 제 1벽프레임(310)과 제 2벽프레임(320)을 파레트 프레임(100)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벽프레임(300)의 설치 순서는 적재할 화물과 적재장소에 따라 적정한 방법을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파레트 프레임(100)에 벽프레임(200)이 설치되고 상판(140)의 상부에 화물이 적재된 후 상부커버(400)를 벽프레임(30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시켜 커버프레임(410)의 각 모서리 하부에 구비된 결합돌기(430) 하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삽입돌기(440)를 제 1벽프레임(310)의 제 2고정구(317) 중앙에 구비된 제 2삽입공(317a)과, 제 2벽프레임(320)의 제 3고정구(327) 중앙에 구비된 제 3삽입공(327a)에 삽입되도록 결합시킴과 동시에 제 2벽프레임(320)의 체결구(326)의 상부에 구비된 삽입홈(326b)에 삽입돌기(440)가 각각 삽입되도록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파레트 프레임(100)의 상부에 벽프레임(300)의 제 1, 2벽프레임(310, 320)이 결합되고, 상기 제 1, 2벽프레임(310, 320) 상부에 결합된 상부커버(400)는 파레트 프레임(100)을 운반할 때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도 제 1, 2벽프레임(310, 320) 상부에서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내부의 화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400)의 커버프레임(410) 내측에 결합된 커버 판넬(420) 또한 제 1, 2, 3, 4판넬(311, 313, 321, 323)과 마찬가지로 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화물이 적재된 파레트 프레임(1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 등의 운반기계로 운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트 프레임(100)의 프레임 몸체(110) 하부에 구비된 받침판(112)의 하단부가 지지브래킷(200)의 브래킷 몸체(210) 하단부보다 상부에 위치되어 용이하게 운반기계로 운반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와 같이 운반기계를 이용하지 않고 파레트 프레임(100)을 지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운반할 때는 파레트 프레임(100)의 프레임 몸체(110) 각 모서리에 결합된 지지브래킷(200)의 하단부에 판형의 받침구 몸체(241) 사각 테두리 중 직각으로 연결된 두 테두리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끝단부가 ∪형상으로 굴곡된 받침돌기(242)의 상단부에 샹향 수직으로 돌출된 고정돌기(243)가 브래킷 몸체(210)의 외측면에 고정된 받침구(240)가 구비되어 상기 ∪형상으로 굴곡된 받침돌기(242)가 지면에 슬라이딩되며 파레트 프레임(100)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래킷(200)의 브래킷 몸체(210) 하단부에 결합된 받침구(240)는 상기와 같이 파레트 프레임(100)을 지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운반할 때 지지브래킷(200)의 브래킷 몸체(210)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지면에 돌출물이 있어서도 용이하게 파레트 프레임(100)이 운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파레트 프레임(100)에 화물 적재시, 파레트 프레임(100)의 사방 둘레를 따라 벽프레임(300)과 상부커버(400)를 용이하게 설치하여 파레트 프레임(100) 운송 과정에서의 화물 이탈을 방지하고, 파레트 프레임(100)을 사용하고 난 후에는 벽프레임(300)과 상부커버(400)를 파레트 프레임(1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파레트 프레임(100)에 벽프레임(300)과 상부커버(4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므로, 파레트 프레임(100)을 보관시에는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래킷(200)의 하부에 결합된 받침구(240)의 받침구 몸체(241)가 하부에 위치된 지지브래킷(200)의 브래킷 몸체(210) 상부에 상향으로 돌출된 지지돌기(230)에 지지되면서 다수의 파레트 프레임(100)이 적층되어 그 부피를 최소화하여 소정 공간에 비교적 다량의 파레트 프레임(100)을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파레트 프레임(100)에 화물이 적재되어 벽프레임(300)의 제 1, 2벽프레임(310, 320) 상부에 결합된 상부커버(400)의 커버프레임(410) 상부에는 다른 화물이 적재된 다수의 파레트 프레임(100)을 적층할 수 있다.
이때 상부에 적층되는 지지브래킷(200) 하부에 결합된 받침구(240)의 받침구 몸체(241)가 상부커버(400)의 커버프레임(410) 모서리 상부에 지지되면서 다수의 파레트 프레임(100)을 적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파레트 프레임(100)이 유동되지 않는 안정적인 상태로 상향 적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수의 파레트 프레임(100)을 층층이 적층하면서 화물을 적재 및 운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다수의 파레트 프레임(100)에 다량의 화물을 안정적으로 적재한 후, 한번에 운반할 수 있어 물류 운반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벽프레임(300)과 상부커버(400)가 파레트 프레임(10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성이므로, 파레트 프레임(100)에 적재되는 화물의 종류나 적재량 등을 고려하여 벽프레임(300)과 상부커버(400)를 파레트 프레임(100)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면서 다양한 화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적재 및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의 파레트 프레임과 상판이 분리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의 파레트 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의 파레트 프레임과 지지브래킷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의 벽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의 벽프레임 중 제 1벽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의 벽프레임 중 제 2벽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의 상부커버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의 벽프레임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의 파레트 프레임과 지지브래킷, 벽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 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가 적층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파레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파레트 프레임
110 : 프레임 몸체 111 : 절곡판
112 : 받침판 120 : 지지바
130 : 보강바 131 : 걸림턱
140 : 상판
200 : 지지브래킷
210 :브래킷 몸체 220 : 절곡부
230 : 지지돌기 240 : 받침구
241 : 받침구 몸체 242 : 받침돌기
243 : 고정돌기
300 : 벽프레임
310 : 제1 벽프레임 311 : 제 1판넬
312 : 제 1측벽프레임 313 : 제 2판넬
314 : 제 1힌지 315 : 제 2측벽프레임
316 : 제 1고정구 316a : 제 1삽입공
317 : 제 2고정구 317a : 제 2삽입공
320 : 제 2벽프레임 321 : 제 3판넬
322 : 제 3측벽프레임 323 : 제 4판넬
324 : 제 2힌지 325 : 제 4측벽프레임
326 : 체결구 326a : 체결돌기
326b : 삽입홈 327 : 제 3고정구
327a : 제 3삽입공
400 : 상부커버
410 : 커버프레임 420 : 커버판넬
430 : 결합돌기 440 : 삽입돌기

Claims (9)

  1. 판형으로 양측단이 결합되어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파레트 프레임(100)과;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브래킷 몸체(210)의 상부에 내측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절곡부(220)가 구비되고, 상기 절곡부(220)의 상단부에 상부로 돌출된 지지돌기(230)가 구비되며, 상기 브래킷 몸체(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구(240)가 구비되어 파레트 프레임(100)의 모서리에 설치 모서리의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브래킷(200)과;
    제 1판넬(311)의 테두리에 결합된 제 1측벽프레임(312)이 구비되고, 제 2판넬(313)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상기 제 1측벽프레임(312)의 일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제 1힌지(314)로 결합된 제 2측벽프레임(315)이 구비된 제 1벽프레임(310)이 구비되며, 제 3판넬(321)의 테두리에 결합된 제 3측벽프레임(322)이 구비되고, 제 4판넬(323)의 테두리에 상기 제 3측벽프레임(322)의 일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제 2힌지(324)로 결합된 제 4측벽프레임(325)이 구비되어 제 3측벽프레임(322)과 제 4측벽프레임(325)의 양측이 상기 제 1측벽프레임(312)와 제 2측벽프레임(315)에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 2벽프레임(320)이 구비되어 파레트 프레임(100)과 지지브래킷(2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벽프레임(300)과;
    상기 벽프레임(3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벽프레임(3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커버(400)로 구성된 화물 운반용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 프레임(100)은 상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끝단부가 하향으로 연장된 절곡판(111)이 구비되고,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연장된 받침판(112)이 구비된 프레임 몸체(110)와;
    상기 프레임 몸체(110)의 받침판(112) 상부에 받침판(112)을 따라 결합되는 지지바(120)와;
    격자형상으로 상기 지지바(120)의 내측면에 양측단이 결합되고, 양측단 상부가 지지바(120)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걸림턱(131)이 구비된 보강바(130)와;
    테두리가 하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보강바(13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파레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래킷(200)의 받침구(240)는 판형의 받침구 몸체(241) 사각 테두리 중 직각으로 연결된 두 테두리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끝단부가 ∪형상으로 굴곡된 받침돌기(242)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돌기(242)의 상단부에 샹향 수직으로 돌출된 고정돌기(24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파레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프레임(300)의 제 1벽프레임(310)은 제 1측벽프레임(312)과 제 2측벽프레임(315)의 외측면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중앙이 상하 관통되어 제 1삽입공(316a)이 구비된 다수의 제 1고정구(316)가 구비되고, 상기 제 1측벽프레임(312)과 제 2측벽프레임(315) 중 하나의 측벽프레임(312, 315) 외측면 상부에 중앙이 상하로 관통된 제 2삽입공(317a)이 구비되어 상부커버(400)가 결합되는 제 2고정구(31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파레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프레임(300)의 제 2벽프레임(320)은 제 3측벽프레임(322)과 제 4측벽프레임(325)의 외측면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하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체결돌기(326a)가 구비된 다수의 체결구(326)가 구비되고, 상기 제 3측벽프레임(322)과 제 4측벽프레임(325) 중 하나의 측벽프레임(322, 325) 외측면 상부에 중앙이 상하로 관통된 제 3삽입공(327a)이 구비되어 상부커버(400)가 결합되는 제 3고정구(32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파레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체결구(326) 중 상부 위치에 구비된 체결구(326)의 상부 중앙에 상부커버(400)가 결합되는 삽입홈(326b)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파레트.
KR2020090010667U 2009-02-06 2009-08-17 화물 운반용 파레트 KR200457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667U KR200457124Y1 (ko) 2009-02-06 2009-08-17 화물 운반용 파레트
PCT/KR2009/004765 WO2010090384A1 (ko) 2009-02-06 2009-08-26 화물 운반용 파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340 2009-02-06
KR2020090010667U KR200457124Y1 (ko) 2009-02-06 2009-08-17 화물 운반용 파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164U KR20100008164U (ko) 2010-08-16
KR200457124Y1 true KR200457124Y1 (ko) 2011-12-06

Family

ID=44453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667U KR200457124Y1 (ko) 2009-02-06 2009-08-17 화물 운반용 파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12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666B1 (ko) * 2014-03-21 2015-01-20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결합 구조를 구비하는 조립식 유닛 박스용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유닛 박스
KR101480664B1 (ko) * 2014-03-21 2015-01-20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조립식 유닛 박스용 l-자형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유닛 박스
KR101480665B1 (ko) * 2014-03-21 2015-01-20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조립식 유닛 박스용 힌지를 구비하는 접이식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유닛 박스
WO2015199277A1 (ko) * 2014-06-26 2015-12-30 (주)시스펙 운반용 조립 박스
KR20190000225U (ko) * 2017-07-17 2019-01-28 김용준 확장형 배관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340B1 (ko) * 2019-07-09 2019-10-07 한국파렛트풀(주) 코너부 락킹구조를 갖는 접이식 컨테이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6006345A1 (en) * 1985-04-19 1986-11-06 Ladislav Stephan Karpisek Method and apparatus for wrapping
JP2008024344A (ja) * 2006-07-21 2008-02-07 Altech Alt Co Ltd 折り畳み式パレットコンテ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6006345A1 (en) * 1985-04-19 1986-11-06 Ladislav Stephan Karpisek Method and apparatus for wrapping
JP2008024344A (ja) * 2006-07-21 2008-02-07 Altech Alt Co Ltd 折り畳み式パレットコンテナ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666B1 (ko) * 2014-03-21 2015-01-20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결합 구조를 구비하는 조립식 유닛 박스용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유닛 박스
KR101480664B1 (ko) * 2014-03-21 2015-01-20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조립식 유닛 박스용 l-자형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유닛 박스
KR101480665B1 (ko) * 2014-03-21 2015-01-20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조립식 유닛 박스용 힌지를 구비하는 접이식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유닛 박스
WO2015199277A1 (ko) * 2014-06-26 2015-12-30 (주)시스펙 운반용 조립 박스
KR101591857B1 (ko) * 2014-06-26 2016-02-04 (주)시스펙 운반용 조립 박스
US10059509B2 (en) 2014-06-26 2018-08-28 Syspac Supply Chain Assembly box for transportation
KR20190000225U (ko) * 2017-07-17 2019-01-28 김용준 확장형 배관 거치대
KR200489100Y1 (ko) 2017-07-17 2019-05-02 김용준 확장형 배관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164U (ko) 201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124Y1 (ko) 화물 운반용 파레트
KR101591857B1 (ko) 운반용 조립 박스
US7819068B2 (en) Nestable pallet
US8561824B2 (en) Assembly box and plate material connecting structure
KR101030106B1 (ko) 자동차 부품 운반용 파레트
CN108466676A (zh) 运输船及其集装箱船货舱
CN104554990A (zh) 装载式托盘箱
JP4017097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CN103842261A (zh) 用于袋装货物的输送板
KR101115606B1 (ko) 팔레트의 강도 보강구조
US20050016942A1 (en) Wheel spacer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wheel spacer
US8403142B2 (en) Container for shipping fragile product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0400826Y1 (ko) 버팀목 지지구조를 갖는 파레트
WO2010090384A1 (ko) 화물 운반용 파레트
US20110253590A1 (en) Loadable container able to be collapsed in case of no load
KR101366511B1 (ko) 랫치형 절곡기둥을 이용한 농기계 보관용 팔레트
JP4630959B2 (ja) 合成樹脂成型品
CN101391647B (zh) 一种非iso标准尺寸集装箱的组合式运输方法
CN103079971A (zh) 运输集装箱
JP2016078917A (ja) 蓋部材
JP6007452B2 (ja) パレット及び組立式コンテナ
KR200425011Y1 (ko) 통기구가 구비된 컨테이너 박스
JP5721091B1 (ja) パレット及び組立式コンテナ
KR200451140Y1 (ko) 생수통 캐리어용 파렛트
US20140156552A1 (en) Construction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