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837Y1 - 작동이 용이하면서 개폐확인을 할 수 있는 넘침방지용 용기뚜껑 - Google Patents

작동이 용이하면서 개폐확인을 할 수 있는 넘침방지용 용기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837Y1
KR200456837Y1 KR2020110003698U KR20110003698U KR200456837Y1 KR 200456837 Y1 KR200456837 Y1 KR 200456837Y1 KR 2020110003698 U KR2020110003698 U KR 2020110003698U KR 20110003698 U KR20110003698 U KR 20110003698U KR 200456837 Y1 KR200456837 Y1 KR 2004568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ap
discharge
li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6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제구
Original Assignee
문제구
주식회사 로이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제구, 주식회사 로이첸 filed Critical 문제구
Priority to KR20201100036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837Y1/ko
Priority to CN2011202171637U priority patent/CN202136192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8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8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4Knobs, e.g. for l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opening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열에 의한 음식물의 조리시에 발생되는 국물의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열에 의하여 발생되는 증기로 인한 국물의 넘침을 뚜껑에서 간단한 개폐조작에 의하여 가능토록 하고, 동시에 사용의 편의성과 제조의 용이성은 물론 제품의 견고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뚜껑의 상면에 손잡이의 하측으로 손잡이와 탈착가능하여 조립되는 배출캡과 상기 배출캡의 내부에 수용되어 임의각도로 회전되는 회전캡과 상기 회전캡과 배출캡이 결합되는 손잡이를 뚜껑과 결합토록 하기 위한 마개와 조임요소로 구성되어져 회전캡의 간단한 조작으로 증기 배출의 단속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작동이 용이하면서 개폐확인을 할 수 있는 넘침방지용 용기뚜껑{A courage cover for overflowing prevention}
본 고안은 가열에 의한 음식물의 조리시에 발생되는 국물의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열에 의하여 발생되는 증기로 인한 국물의 넘침을 뚜껑에서 간단한 개폐조작에 의한 사용의 편의성과 제조시 조립의 용이성은 물론 조립의 견고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살균, 기타 가열을 하여 조리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을 끓이게 될 경우에 증기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대부분 조리용기에는 뚜껑을 닫아 밀폐를 한 후 가열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럴 경우에 조리용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의 압력이 점차적으로 높아지게 되면서 일정압력이상이 되면 뚜껑을 밀어내고 용기 밖으로 넘쳐 흘러나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용기 밖으로 흘러나온 내용물이 가열수단으로 묻게 되어 더렵혀지게 되는 것이고, 더 나아가서는 가열수단의 불을 꺼뜨려 가스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조리용기의 뚜껑(100)에 형성되는 손잡이(110)의 하단에 배출공(121)이 형성된 캡(120)을 위치토록 한 후 뚜껑(100)의 내측에도 손잡이(100)의 고정을 위한 마개(130)를 형성한 후 마개(130)와 손잡이(110)는 물론 캡(120)을 고정토록 한 것이다.
이때에도 마개(130)의 측방으로 관통홀(131)을 형성하여 증기가 관통홀(131)과 캡(120)의 배출공(121)으로 배출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단점은 항상 관통홀(131)과 배출공(121)이 외부와 연통되어지는 상태이기 때문에 음식물의 조리시 맛과 영양은 물론 많은 조리시간이 소요된다라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00)과 캡(120)의 사이에 별도의 가림판(140)을 위치시켜 가림판(140)이 뚜껑(100)에 형성된 개구부(101)를 자중에 의하여 임의로 막고 있다가 증기의 압력이 상승되면 가림판(140)을 상측으로 밀어내면서 배출이 가능토록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가림판(140)이 증기의 압력이 미세하게 변화될 경우에 상하승강되어지면서 소음을 발생토록 한다라는 것이고, 이러한 가림판(140)이 캡(120)의 내부에 수용되어지게 되고, 이때 증기속에 함유되어진 양념등의 점도로 인하여 가림판(140)이 하강하지 않게 될 경우에는 항상 개방된 상태로 된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00)의 상부에 돌출되게 위치되어지는 손잡이(110)의 내부로 스프링(112)으로 작동되는 버튼(111)을 형성하여 버튼(111)의 탄성 누름으로 뚜껑(100)의 개구부(101)을 개폐하는 가림판(140)을 형성하여 필요시 버튼(111)의 조작으로 뚜껑(100)의 개구부(101)를 개폐토록 함으로서 증기를 배출토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의 단점이 스프링(112)의 탄성에 의한 작동으로 인하여 증기속에 함유되어진 이물질에 의하여 스프링(112)의 작동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지속성이 떨어진다라는 것이고, 버튼(111)의 조립구조가 복잡하여 잣은 고장의 원인이 된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수증기 배출을 위한 결합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수증기의 배출을 간단한 조작으로 사용에 따라서 임의대로 개폐되도록 하고 개폐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문제를 해결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뚜껑의 상면에 손잡이의 하측으로 손잡이와 탈착가능하여 조립되는 배출캡과 상기 배출캡의 내부에 수용되어 임의각도로 회전되는 회전캡과 상기 회전캡과 배출캡이 결합되는 손잡이를 뚜껑과 결합토록 하기 위한 마개와 조임요소로 구성되어져 회전캡의 간단한 조작으로 증기 배출의 단속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손잡이와 배출캡은 물론 회전캡이 간단한 맞물림에 의한 조립으로 분해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좌우회전이 정확하여 증기의 단속이 용이하면서도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넘침방지수단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넘침방지수단이 뚜껑에 장착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넘침방지수단이 뚜껑에 결합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넘침방지수단이 개폐되는 작동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넘침방지수단이 개폐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과 도 7은 종래의 넘침방지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버튼 누름으로 개폐되는 넘침방지수단의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넘침방지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넘침방지수단이 뚜껑에 장착된 사시도와 단면도이며 도 4와 도 5는 넘침방지수단이 개폐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넘침방지수단은 중앙에 증기의 배출을 위한 개구부(11)가 형성된 뚜껑(10)의 상면에 손잡이(20)의 하측으로 손잡이(20)와 탈착가능하면서 회전되지 않게 조립되는 배출캡(30)과 상기 배출캡(3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임의각도로 만 회전되어지면서 회전의 조작은 물론 회전반경을 단속하게 되는 레바(41)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캡(40)과 상기 손잡이(20)를 뚜껑(10)에 고정하면서 조리용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이 형성된 마개(50)와 상기 마개(50)와 손잡이(20)를 견고하게 결합토록 하는 조임요소(6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때 손잡이(20)의 구조는 배출캡(30)이 단순 끼임에 의하여 조립이 되도록 하면서도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잡이(20)의 하측으로는 2단턱(21,23)을 구비하여 상부단턱(21)에는 스토퍼(22)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하부단턱(23)에는 배출공(24)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부단턱(21)에 배출캡(30)의 내환환테(31)가 끼워지면서 내부환테(31)에 형성된 끼임홈(32)에 손잡이(20)의 스토퍼(22)가 끼임되어지면서 배출캡(30)이 손잡이(20)에 끼임된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단턱(23)에는 배출캡(30)의 내부에 수용되어지는 회전캡(40)의 내부환테(42)가 끼워져 회전캡(40)의 회전반경을 정확하게 가이드하게 되는 것이면서 동시에 손잡이(20)의 하부단턱(23)에 형성되는 배출공(24)의 위치에 따라 회전캡(40)에 형성된 레바(41)의 위치가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이는 회전캡(40)의 레바(41)가 배출캡(30)의 가이드개구홈(33)에 끼임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의 조작이 가능하게 결합되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캡(40)의 레바(41)가 형성된 부분의 하방으로 배출공(43)을 형성한 상태에서 배출캡(30)의 가이드개구홈(33)의 하방으로도 배출공(34)이 형성된 상태이어야 회전캡(40)의 레바(41)의 조작에 의하여 회전캡(40)이 좌우 회전되면서 손잡이(20)의 배출공(24)과 배출캡(30)의 배출공(34)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캡(40)이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캡(40)의 배출공(43)이 손잡이(20)의 배출공(24)과 배출캡(30)의 배출공(34)과 일치되어지거나 엇갈리게 되면서 배출공(24,34,43)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배출캡(30)의 가이드개구홈(33)이 일측으로 편심되게 이루어지거나 또는 회전캡(40)의 배출공(43)이 일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토록 하거나 또는 회전캡(40)의 레바(41)가 일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토록 함으로서 개폐가 가능하게 되면서 회전캡(40)의 후렌지(44)의 상면에 형성된 개폐확인을 위한 표시부(45)가 레바(41)의 좌우에 형성됨으로서 회전캡(40)의 좌우회전에 따라 배출캡(30)의 가이드개구홈(33)으로 노출되면서 개폐상태의 확인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캡(40)의 내측면은 증기의 배출이 압력을 받지 않으면서 배출이 용이하도록 전체적으로 만곡면(46)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배출공(43)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홈(47)이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10: 뚜껑 11: 개구부
20: 손잡이 21: 상부단턱
22: 스토퍼 23: 하부단턱
24: 배출공
30: 배출캡 31: 내부환테
32: 끼임홈 33: 가이드개구홈
34: 배출공
40: 회전캡 41: 레바
42: 내부환테 43: 배출공
44: 후렌지 45: 표시부
50: 마개
60: 조임요소

Claims (5)

  1. 중앙에 증기의 배출을 위한 개구부(11)가 형성된 뚜껑(10)과;
    상기 뚜껑(10)의 상면에 위치되는 손잡이(20)와;
    상기 손잡이(20)의 하측으로 손잡이(20)와 탈착가능하면서 회전되지 않게 손잡이에 끼움 조립되는 배출캡(30)과;
    상기 배출캡(30)의 내부에 수용되어 손잡이에 끼임조립되면서 임의 각도로만 회전되어지면서 회전의 조작은 물론 회전반경을 단속하게 되는 레바(41)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캡(40)과;
    상기 뚜껑(10)의 상면에 위치되는 손잡이(20)를 뚜껑(10)에 고정하면서 조리용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뚜껑의 하면에 형성되는 배출수단(51)이 형성된 마개(50)와;
    상기 마개(50)는 뚜껑(10)의 상면에 위치되는 손잡이(20)를 개구부(11)를 관통하여 손잡이의 하방으로 형성되는 조임돌기(25)에 조임요소(60)로 결합하게 되는 작동이 용이하면서 개폐확인을 할 수 있는 넘침방지용 용기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는 배출캡(30)이 단순 끼임에 의하여 조립이 되도록 하면서도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잡이(20)의 하측으로는 2단턱(21,23)을 구비하여 상부단턱(21)에는 스토퍼(22)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하부단턱(23)에는 배출공(24)을 형성하는 작동이 용이하면서 개폐확인을 할 수 있는 넘침방지용 용기뚜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단턱(21)에 배출캡(30)의 내환환테(31)가 끼워지면서 내부환테(31)에 형성된 끼임홈(32)에 손잡이(20)의 스토퍼(22)가 끼임되어지면서 배출캡(30)이 손잡이(20)에 끼임된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작동이 용이하면서 개폐확인을 할 수 있는 넘침방지용 용기뚜껑.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단턱(23)에는 배출캡(30)의 내부에 수용되어지는 회전캡(40)의 내부환테(42)가 끼워져 회전캡(40)의 회전반경을 정확하게 가이드하게 되는 것이면서 동시에 손잡이(20)의 하부단턱(23)에 형성되는 배출공(24)의 위치에 따라 회전캡(40)에 형성된 레바(41)의 위치가 형성되어지는 작동이 용이하면서 개폐확인을 할 수 있는 넘침방지용 용기뚜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캡(40)의 내측면은 증기의 배출이 압력을 받지 않으면서 배출이 용이하도록 전체적으로 만곡면(46)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배출공(43)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홈(47)이 형성되어지는 작동이 용이하면서 개폐확인을 할 수 있는 넘침방지용 용기뚜껑.
KR2020110003698U 2011-04-29 2011-04-29 작동이 용이하면서 개폐확인을 할 수 있는 넘침방지용 용기뚜껑 KR2004568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698U KR200456837Y1 (ko) 2011-04-29 2011-04-29 작동이 용이하면서 개폐확인을 할 수 있는 넘침방지용 용기뚜껑
CN2011202171637U CN202136192U (zh) 2011-04-29 2011-06-24 便于操作可确认开闭状态的防冒溢容器盖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698U KR200456837Y1 (ko) 2011-04-29 2011-04-29 작동이 용이하면서 개폐확인을 할 수 있는 넘침방지용 용기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837Y1 true KR200456837Y1 (ko) 2011-11-21

Family

ID=45547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698U KR200456837Y1 (ko) 2011-04-29 2011-04-29 작동이 용이하면서 개폐확인을 할 수 있는 넘침방지용 용기뚜껑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56837Y1 (ko)
CN (1) CN202136192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964B1 (ko) * 2013-01-04 2013-09-06 주식회사 로이첸 구조가 간단하고 세척이 용이한 조리용기뚜껑에 장착된 증기배출장치
KR101309581B1 (ko) 2012-07-19 2013-09-17 문제구 이물질이 끼이지 않도록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증기배출장치가 구비된 용기뚜껑
KR101367179B1 (ko) 2013-02-08 2014-02-26 주식회사 로이첸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는 조리용기용 증기배출장치
KR200474722Y1 (ko) * 2013-01-28 2014-10-08 주식회사 피엔풍년 넘침 방지 뚜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2715U (ja) 1984-05-30 1985-12-21 清水 弘 調理容器における蒸気孔開閉装置
KR200403109Y1 (ko) 2005-07-18 2005-12-08 주식회사 부영실업 냄비뚜껑의 경고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2715U (ja) 1984-05-30 1985-12-21 清水 弘 調理容器における蒸気孔開閉装置
KR200403109Y1 (ko) 2005-07-18 2005-12-08 주식회사 부영실업 냄비뚜껑의 경고음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581B1 (ko) 2012-07-19 2013-09-17 문제구 이물질이 끼이지 않도록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증기배출장치가 구비된 용기뚜껑
KR101304964B1 (ko) * 2013-01-04 2013-09-06 주식회사 로이첸 구조가 간단하고 세척이 용이한 조리용기뚜껑에 장착된 증기배출장치
KR200474722Y1 (ko) * 2013-01-28 2014-10-08 주식회사 피엔풍년 넘침 방지 뚜껑
KR101367179B1 (ko) 2013-02-08 2014-02-26 주식회사 로이첸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는 조리용기용 증기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136192U (zh)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7658B (zh) A container with a thief
KR200456837Y1 (ko) 작동이 용이하면서 개폐확인을 할 수 있는 넘침방지용 용기뚜껑
KR101479069B1 (ko) 측면 가압식 안전캡
EP3009053B1 (en) Lid assembly and drink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JP5354063B1 (ja) 飲料容器の栓体
US20170107030A1 (en) Admixer-closure device for a container
CN107647771A (zh) 一种压力锅
US20110095015A1 (en) Electric Pressure Cooker with a Multi-function Detachable Cooking Seat
KR200456879Y1 (ko) 작동이 용이하면서 개폐확인을 할 수 있는 넘침방지용 용기뚜껑
KR101246679B1 (ko) 압력조리기구
US20070133343A1 (en) Blender for producing ice-cream and similar
AU2014319872A1 (en) Pressure cooker
KR200450045Y1 (ko) 압력조리기의 잔류압력제거장치
KR101367179B1 (ko)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는 조리용기용 증기배출장치
KR101442420B1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KR101520176B1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KR20120029925A (ko) 뚜껑 회전잠금수단이 구비된 압력솥
JP5900753B2 (ja) 構造が簡単で洗滌が容易な料理容器ふたに装着された蒸気排出装置
KR20090108449A (ko) 압력솥
KR101173773B1 (ko) 뚜껑 회전방지수단이 구비된 압력솥
CN103908150A (zh) 一种电压力烹饪器具
KR101327359B1 (ko) 조작이 용이한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
KR20220090979A (ko) 압력 돌솥용 뚜껑
JP3180907U (ja) 作動が容易でありながら開閉確認ができるあふれ防止用容器ふた
KR20160006331A (ko) 냄비 뚜껑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