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179B1 -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는 조리용기용 증기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는 조리용기용 증기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179B1
KR101367179B1 KR1020130014235A KR20130014235A KR101367179B1 KR 101367179 B1 KR101367179 B1 KR 101367179B1 KR 1020130014235 A KR1020130014235 A KR 1020130014235A KR 20130014235 A KR20130014235 A KR 20130014235A KR 101367179 B1 KR101367179 B1 KR 101367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discharge
lid
steam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제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이첸
문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이첸, 문제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이첸
Priority to KR1020130014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물 등의 수단으로 제작되는 조리용기의 함체를 덮어주는 뚜껑에 증기배출수단을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수단을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에 함유되어진 양념 등이 증기배출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요소의 사이에 끼이게 되면서 발생되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해소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배출캡의 상면에 뚜껑손잡이가 결합되는 결합홈부를 형성하여 뚜껑의 이면으로 조임수단으로 뚜껑손잡이를 고정하고, 뚜껑손잡이와 배출캡은 서로 대응되는 걸림수단으로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하고 배출캡의 이면에 형성된 가이드돌부에 회전캡을 축결합하여 회전캡이 뚜껑의 상면에 긴밀하면서 밀봉되게 결합되어 회전캡의 회전조작으로 배출캡에 형성된 배출홀에 회전캡의 개구부를 일치시켜 개폐함으로써 조리시 발생되는 양념 등이 함유된 증기가 배출공과 개구부만을 통해서 배출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는 조리용기용 증기배출장치{Stream discharge apparatus of kitchen utensil lid}
본 발명은 가열하여 음식을 조리할 경우 발생되는 증기에 의해 용기 외부로 내용물이 넘침을 방지하는 증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조로 조립되면서도 증기배출에 의한 양념 등이 증기배출장치의 조립된 부품내부로 끼임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물이 있는 음식을 조리할 경우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이 가열수단의 가열에 의하여 끓게 되면서 밀폐되어진 용기내부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면 수증기가 발생되면서 압력이 높아져 수증기와 함께 내용물의 일부가 용기의 외부로 넘쳐 흘러나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종래에 뚜껑의 손잡이가 장착되는 상면에 뚜껑의 손잡이 역할을 하면서 용기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발산하도록 증기배출장치를 장착하여 흘러나온 내용물에 의해 용기표면과 가열수단이 더럽혀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흘러나온 내용물에 의하여 가열수단의 가스불이 꺼지게 되는 가스안전사고를 방지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증기배출장치의 구조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뚜껑의 상면에 뚜껑손잡이와 그 하측으로 배출홈이 형성된 배출캡을 위치시키고 뚜껑의 저면으로 배출홈이 형성된 하부캡이 위치되어 뚜껑의 저면에서 관통공을 통하여 뚜껑손잡이를 조임볼트로 조임결합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증기배출장치는 배출홈이 항상 개방되어 있어 음식이 조리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와 가스가 많이 소요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등록실용 20-0456879와 같이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뚜껑의 상면에 절개부가 형성된 뚜껑손잡이의 하측으로 개폐확인을 하면서 수증기가 배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회전캡이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회전캡의 내측에 수용되어 일측으로 뚜껑손잡이에 형성된 절개부와 일치되도록 배출홀이 형성된 배출캡에 뚜껑손잡이의 결합돌부가 관통되게 결합되어 뚜껑의 저면으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스텐판을 위치시켜 조임볼트로 뚜껑손잡이의 결합돌부와 조임고정토록 하여 회전캡을 회전조작으로 개구부를 배출캡의 배출홀과 일치되어 하여 용기내부에서 내용물이 끓어 넘칠 때 수증기를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넘침을 방지토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이 용기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회전캡의 개폐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동시에 배출되는 수증기와 같이 음식물의 맛을 위해 가미된 양념 등이 함께 상승되어 증기배출장치의 부품이 조립된 틈새로 이물질이 끼이게 되면서 음식을 조리하는 도구상 청결하지 못하여 상당히 비위생적인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었고, 증기배출장치의 결합 구조상 설거지로는 제거가 되지 않고 뚜껑에서 증기배출장치를 분리해야만 완전한 제거가 되기 때문에 세척이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또한 회전캡의 내측으로 배출캡이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증기배출장치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재료비의 상승은 물론이고 디자인이 투박하게 되면서 상품성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뚜껑에 증기배출장치의 조립부는 노출되지 않고 증기만 배출되도록 견고하면서 밀폐되도록 장착하여 수증기를 배출하는 증기배출장치에 이물질이 끼지 않게 하여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콤팩트한 디자인을 제공하면서 조립을 용이토록 하고 증기배출을 위한 조작의 용이성을 제공하여 증기가 배출홈으로 정확하게 안내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배출캡의 상면에 뚜껑손잡이가 결합되는 결합홈부를 형성하고 이면 중앙에는 뚜껑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에 끼임되는 결합돌부와 일측으로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뚜껑손잡이가 배출캡의 결합홈부에 결합하고 배출캡의 외측으로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환태로 된 회전캡을 결합하여 콤팩트한 디자인을 제공하면서도 뚜껑의 관통홀에 결합한 상태에서 뚜껑의 이면에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스텐판을 위치시켜 조임나사로 뚜껑손잡이를 결합하여 간단하게 조립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출되는 수증기가 증기배출장치의 부품이 결합된 내부로 이물질을 끼이지 않게 하여 위생적이면서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면서도 콤팩트한 디자인을 제공하여 재료비의 절감을 물론이고 상품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증기배출장치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일 실시 예의 외관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증기배출장치가 뚜껑에 장착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증기배출장치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뚜껑의 상면에 배출캡이 결합되는 결합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뚜껑손잡이와 배출캡이 또 다른 결합구조를 나타낸 결합도.
도6은 본 발명의 회전캡의 작동으로 개폐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7은 본 발명의 회전캡이 개구되어 증기가 배출되는 상태도.
도8은 본 발명의 회전캡이 닫혀져 개구부가 막혀진 상태도.
도9는 종래의 증기배출장치 구조를 나타낸 조립도.
도10은 종래의 증기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증기배출장치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증기배출장치는 조리용기함체를 덮어주는 뚜껑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에 뚜껑손잡이(10)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부(21)가 형성되고 이면에는 회전캡(30)에 결합되면서 뚜껑(50)의 상면에 안착되는 가이드돌부(23)가 형성되고 일측에 배출홀(24)이 형성된 배출캡(20)이 장착되어 뚜껑(50)의 이면에서 용기내부에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다수의 통공(41)이 형성된 스텐판(40)이 위치되어 조임요소(42)로 뚜껑손잡이(10)를 조임고정토록 하고, 배출캡(20)의 외측으로 가이드돌부(23)에 축결합되어 뚜껑(50)의 상면에서 회전에 의해 배출캡(30)에 형성된 개구부(32)를 배출캡(30)에 형성된 배출홀(24)과 일치시켜 용기내부에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조리용기 뚜껑의 상면에 노출되게 위치된 증기배출장치의 결합은 배출캡(20)의 이면 중앙에 형성된 끼임돌부(22)를 뚜껑(50)의 관통홀(51)에 긴밀하게 끼임되어져 배출캡(20)의 상면의 결합홈부(21)로 결합되는 뚜껑손잡이(10)를 뚜껑의 이면에서 스텐판(40)을 관통하는 조임수단(42)으로 이물질이 끼임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임의적인 빠짐이 방지되게 조임고정토록 하고 조임고정시에 왓샤 등을 이용하여 더욱 긴밀한 조임으로 고정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배출캡(20)의 이면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돌부(23)에 회전캡(30)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뚜껑(50)의 상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회전캡(30)이 배출캡(20)에 축결합되어 일정반경으로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배출캡(20)의 이면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돌부(23)의 상단으로 일측에 가이드홈(26)이 형성된 안착면(25)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캡(30)의 중앙에는 관통부를 형성하고 관통부(31)의 상면에는 안착테(33)를 형성하여 배출캡의 가이드돌부에 회전캡이 축결합되면서 안착면(25)이 안착테(33)에 안착되어 긴밀하게 축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안착면(25)에 가이드홈(26)을 형성하고 안착테(33)에는 가이드홈(26)에 위치되는 가이드돌기(34)를 형성하여 회전캡(30)의 회전작동시 가이드돌기(34)가 가이드홈(26) 반경내에서만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캡(30)에는 회전조작을 용이토록 하는 작동손잡이(35)가 하나 이상으로 형성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조리용기에서 음식을 가열하여 조리할 경우에 회전캡(30)이 배출캡(20)의 배출홀(24)을 막아 가열에 의하여 음식이 익혀지면서 수증기가 압력에 의해 상승될 경우 회전캡(30)을 회전하여 개구부(32)를 배출홀(24)과 일치시켜 개구토록 함으로써 수증기를 배출하여 넘침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폐를 위하여 회전캡(30)의 회전조작시에 배출캡(20)에 축결합된 회전캡(30)과 동시에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뚜껑손잡이(10)가 결합되는 배출캡(20)에 걸림수단(13,27)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즉, 배출캡(20)의 뚜껑손잡이(10)가 결합되는 결합홈부(21) 내벽 일측에 걸림홈(27)을 형성하고 뚜껑손잡이(10)의 하단으로 형성된 결합돌부(11)의 외측으로 걸림돌기(13)를 형성하여 걸림돌기(13)가 걸림홈(27)에 걸림된 상태로 조립되어지고 뚜껑손잡이(10)는 조임요소(42)에 의해 뚜껑(50)에 긴밀하게 조임된 상태이기 때문에 배출캡(20)도 동시에 뚜껑(50)에 긴밀하게 고정장착되는 것이고, 회전캡(30)만 배출캡(20)에서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캡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 배출캡(20)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홀(24)은 뚜껑(50)의 관통홀(51)에 끼워지는 끼임돌부(22)에서부터 회전캡(30)의 관통부(31)에 끼워지는 가이드돌부(23)까지 폭이 점점 확장되는 형태로 연결되게 내입되어 결합홈부(21)의 바닥면에 상향돌출되게 형성되고 뚜껑손잡이(10)의 하단에 결합홈부(21)에 끼워지는 결합돌부(11)에 상향돌출된 바닥면에 끼임되어 걸림되는 절개부(14)를 형성하여 절개부(14)가 배출홀(24)의 형성을 위하여 바닥면에서 상향돌출된 부분으로 끼임되어 임의로 회전되지 않게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바닥면의 중앙에는 뚜껑손잡이(10)를 뚜껑(50)에 고정하기 위한 조임수단(42)이 관통되는 결합공(28)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회전캡의 회전조작으로 증기를 배출할 때 외부에서 개폐된 상태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배출홀(24)이 형성된 상면에는 지시부(29)를 형성하고 개구부(32)가 형성된 상면에는 개폐표시가 된 표시부(36)를 형성하여 회전캡(30)을 회전조작함에 따라 표시부(36)의 위치가 지시부(29)에 위치되게 되면서 개폐확인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0: 뚜껑손잡이 11: 결합돌부
12: 조임공 13: 걸림돌기
14: 절개부
20: 배출캡 21: 결합홈부
22: 끼임돌부 23: 가이드돌부
24: 배출홀 25: 안착면
26: 가이드홈 27: 걸림홈
28: 관통공 29: 지시부
30: 회전캡 31: 관통부
32: 개구부 33: 안착테
34: 가이드돌기 35: 작동손잡이
36: 표시부
40: 스텐판 41: 통공
42: 조임수단
50: 뚜껑 51: 관통홀

Claims (6)

  1. 가열에 의해 음식을 조리할 경우 압력에 의해 수증기의 넘침을 방지하도록 용기뚜껑에 장착되는 증기배출장치에 있어서,
    상면 중앙에 뚜껑손잡이(10)가 결합되는 결합홈부(21)가 형성되고 이면에는 회전캡(30)에 축결합되면서 뚜껑(50)의 상면에 안착되는 가이드돌부(23)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뚜껑(50)의 상면에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51)에 끼워져 증기가 배출되도록 일측에 배출홀(24)이 형성된 끼임돌부(22)가 형성된 배출캡(20)과,
    상기 배출캡(20)의 결합홈부(21)에 결합되어 걸림수단(13,27)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돌부(11)가 형성된 뚜껑손잡이(10)와,
    상기 배출캡(20)의 가이드돌부(23)가 밀착되게 축결합되도록 중앙에 관통부(31)가 형성되고 일측에 증기배출을 위한 개구부(32)가 형성된 회전캡(30)이 일정반경으로만 회전이 되도록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개구부(32)가 배출홀(24)과 일치되어 개구되면서 용기 내부에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토록 하고,
    상기 뚜껑(50)의 이면에는 다수의 통공(41)이 형성된 스텐판(40)이 위치되어 중앙에 조임수단(42)이 관통되어 뚜껑손잡이(10)에 조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는 조리용기용 증기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캡(20)의 이면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돌부(23)의 상단으로 일측에 가이드홈(26)이 형성된 안착면(25)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캡(3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부(31)의 상면에는 배출캡(20)이 결합되어 안착면(25)이 안착되는 안착테(33)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테(33)에는 가이드홈(26)에 위치되어 회전캡(30)을 일정반경으로만 회전되도록 회전반경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34)가 형성됨을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는 조리용기용 증기배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손잡이(10)와 배출캡(20)에 형성된 걸림수단(13,27)은 배출캡(20)의 결합홈부(21) 내벽 일측에 걸림홈(27)을 형성하고 뚜껑손잡이(10)의 하단으로 형성된 결합돌부(11)의 외측으로 걸림홈(27)에 끼임되어 걸림되는 걸림돌기(13)를 형성하여 뚜껑손잡이(10)가 배출캡(20)의 결합홈부(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는 조리용기용 증기배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캡(20)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홀(24)은 뚜껑(50)의 관통홀(51)에 끼워지는 끼임돌부(22)에서부터 회전캡(30)의 관통부(31)에 끼워지는 가이드돌부(23)까지 폭이 점점 확장되는 형태로 연결되게 내입되어 결합홈부(21)의 바닥면에 상향돌출되게 형성되어 중앙에 결합홈부(21)로 결합되는 뚜껑손잡이(10)를 뚜껑(50)에 고정하기 위한 조임수단(42)이 관통되어 뚜껑손잡이(10)의 이면 중앙에 형성된 조임공(12)에 조임되는 관통공(28)이 형성되고 뚜껑손잡이(10)의 하단에 결합홈부(21)에 끼워지는 결합돌부(11)에 상향돌출된 바닥면에 끼임되어 걸림되는 절개부(14)가 형성되어 뚜껑손잡이(10)가 배출캡(20)에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는 조리용기용 증기배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캡(30)에는 회전조작을 용이토록 하는 작동손잡이(35)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는 조리용기용 증기배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캡(20)의 배출홀(24)이 형성된 상면에는 지시부(29)가 형성되고, 회전캡(30)의 개구부(32)가 형성된 상면에는 개폐확인을 외부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는 표시부(3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는 조리용기용 증기배출장치.
KR1020130014235A 2013-02-08 2013-02-08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는 조리용기용 증기배출장치 KR101367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235A KR101367179B1 (ko) 2013-02-08 2013-02-08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는 조리용기용 증기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235A KR101367179B1 (ko) 2013-02-08 2013-02-08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는 조리용기용 증기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7179B1 true KR101367179B1 (ko) 2014-02-26

Family

ID=50271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235A KR101367179B1 (ko) 2013-02-08 2013-02-08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는 조리용기용 증기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1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6294A (ko) * 2016-04-08 2017-10-19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스팀캡
KR102007604B1 (ko) * 2018-03-02 2019-08-05 김화옥 숯불 및 장작용 훈제 구이기
CN110680199A (zh) * 2018-07-06 2020-01-14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盖体组件及烹饪器具
CN111281123A (zh) * 2018-12-07 2020-06-16 Seb公司 蒸汽蒸煮器附件以及包括其的电蒸汽蒸煮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871U (ko) * 1999-03-06 2000-10-05 김정우 압력솥의 뚜껑손잡이장치
KR100709019B1 (ko) 2006-02-07 2007-04-18 손태순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KR200456837Y1 (ko) 2011-04-29 2011-11-21 문제구 작동이 용이하면서 개폐확인을 할 수 있는 넘침방지용 용기뚜껑
KR200456879Y1 (ko) 2010-12-27 2011-11-23 문제구 작동이 용이하면서 개폐확인을 할 수 있는 넘침방지용 용기뚜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871U (ko) * 1999-03-06 2000-10-05 김정우 압력솥의 뚜껑손잡이장치
KR100709019B1 (ko) 2006-02-07 2007-04-18 손태순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KR200456879Y1 (ko) 2010-12-27 2011-11-23 문제구 작동이 용이하면서 개폐확인을 할 수 있는 넘침방지용 용기뚜껑
KR200456837Y1 (ko) 2011-04-29 2011-11-21 문제구 작동이 용이하면서 개폐확인을 할 수 있는 넘침방지용 용기뚜껑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6294A (ko) * 2016-04-08 2017-10-19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스팀캡
KR102393075B1 (ko) 2016-04-08 2022-05-04 주식회사 위니아 스팀캡
KR102007604B1 (ko) * 2018-03-02 2019-08-05 김화옥 숯불 및 장작용 훈제 구이기
CN110680199A (zh) * 2018-07-06 2020-01-14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盖体组件及烹饪器具
CN110680199B (zh) * 2018-07-06 2022-04-1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盖体组件及烹饪器具
CN111281123A (zh) * 2018-12-07 2020-06-16 Seb公司 蒸汽蒸煮器附件以及包括其的电蒸汽蒸煮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179B1 (ko)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는 조리용기용 증기배출장치
US20150053695A1 (en) Handle-interlocking airtight boiling pot
KR20140080128A (ko) 전기 압력 밥솥용 증기 배출부 조립체
KR20100008882U (ko) 원액기
GB2387768A (en) Homogenized blender capable of steam cooking food
KR101555350B1 (ko) 전기 압력 밥솥의 클린 가이드 조립체
CN208769602U (zh) 食物搅拌器及其刀片底座
EP2436289B1 (fr) Appareil de cuisson électrique comportant un couvercle pivotant équipé d'un dispositif de récuperation des condensats
JPH11155732A (ja) 電気湯沸器
KR20080003561U (ko) 전기압력밥솥
KR101309581B1 (ko) 이물질이 끼이지 않도록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증기배출장치가 구비된 용기뚜껑
KR101304964B1 (ko) 구조가 간단하고 세척이 용이한 조리용기뚜껑에 장착된 증기배출장치
KR101379754B1 (ko)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200456837Y1 (ko) 작동이 용이하면서 개폐확인을 할 수 있는 넘침방지용 용기뚜껑
KR100736795B1 (ko) 내솥덮개의 분리가 가능한 전기압력조리기의 덮개부
KR101327359B1 (ko) 조작이 용이한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
KR200323694Y1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US20220381015A1 (en) Sink cover
KR101325784B1 (ko) 진공가능한 밀폐냄비의 패킹결합구조
KR20100035569A (ko) 웰빙 찜즙기
KR200452914Y1 (ko) 전기압력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JP6261193B2 (ja) ミキサー
KR20160006331A (ko) 냄비 뚜껑 어셈블리
KR20140134913A (ko) 조리용기
KR20090113976A (ko) 조리용기용 증기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