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614Y1 - 연마 헤드 - Google Patents

연마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614Y1
KR200456614Y1 KR2020100008156U KR20100008156U KR200456614Y1 KR 200456614 Y1 KR200456614 Y1 KR 200456614Y1 KR 2020100008156 U KR2020100008156 U KR 2020100008156U KR 20100008156 U KR20100008156 U KR 20100008156U KR 200456614 Y1 KR200456614 Y1 KR 2004566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base plate
abrasive
suppor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철
Original Assignee
조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철 filed Critical 조희철
Priority to KR2020100008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6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6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3/0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 B24D13/14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 front face
    • B24D13/145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 front face having a brush-like work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3/0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 B24D3/02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 B24D3/2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and being essentially organic
    • B24D3/28Resins or natural or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재, 목재판, 스틸판 등 단단한 재료의 표면을 연마하는데 사용되는 연마 헤드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결합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진 지지체와, 지지체의 연장부에 연마지립이 부착된 다수의 연마부재를 포함하되, 다수의 연마부재가 그룹을 형성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연마부재군이 서로 이격되게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마 헤드{Abrasive head}
본 고안은 석재, 목재판, 스틸판 등 단단한 재료의 표면을 연마하는데 사용되는 연마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마 헤드는 석재, 목재판, 스틸판, 콘크리트 등과 같은 단단한 재료(일명, 피연마물)의 표면을 연마하거나, 바닥의 페인트 또는 우레탄을 연마하여 제거할 때 사용되는 기구이다. 최고의 연마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연마시 수반되는 연마 방해 인자들을 제거하여야 한다. 연마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소로는, 크게 연마시 발생되는 마찰열과 피연마물의 절입분에 의한 눈메움 현상이다.
마찰열에 의한 공구의 열화로 연마지립의 이탈 혹은 연마공구의 변형을 초래하여 공구가 소손되기도 한다. 또한 피연마물의 절입분에 의한 눈메움 현상은 연마작업의 속도를 저하시키거나 연마작업 자체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 은 종래 연마 헤드를 장착한 전동 연마기를 사용하여 용접 부위를 갖는 피연마물의 표면을 연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종래 연마 헤드(10)는 전동 연마기(11)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베이스 플레이트(8)에 부착된 연마지립(9)이 피연마물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전동 연마기(11)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연마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만일 피연마물의 표면이 평활한 경우에는 종래 연마 헤드(10)로 연마작업을 수행하는데 문제가 없지만 평활하지 않은 굴곡진 면이나 요철 혹은 홈이 있는 평면에서는 평면의 종래 연마 헤드(10)로는 균일한 연마작업을 수행하기 곤란하다. 특히 용접비드가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표면에서는 평면모양의 연마체로는 용접비드의 손상없이 균일 연마가 불가능하다. 만일 용접비드부위를 평면의 연마체롤 연마할 경우 용접비드가 손상되어 용접부위의 강도저하 및 용접불량의 원인을 초래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연마 시 피연마물의 냉각과 동시에 피연마물의 절입분을 외부로 제거하여 눈메움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연마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연마 시 요철 굴곡 혹은 돌출에 따라 균일하게 연마할 수 있는 연마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른 연마 헤드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결합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진 지지체와, 지지체의 연장부에 연마지립이 부착된 다수의 연마부재를 포함하되, 다수의 연마부재가 그룹으로 묶여진 적어도 2개 이상의 연마부재군이 서로 이격되게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다수의 연마부재가 그룹으로 묶여진 연마부재군은 다수의 연마부재의 지지체들이 서로 꼬인 상태로 묶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연마 헤드 구성에 따르면, 연마부재와 피연마물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연마시 그 형성된 공간에 와류형 공기가 유입되어 피연마물의 절입분을 외부로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피연마물을 냉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연마 헤드는 연마 시 요철 굴곡에 따라 균일하게 연마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연마 헤드는 다수의 연마부재의 지지체들이 서로 꼬인 상태로 묶여지도록 구현됨으로써, 연마부재의 지지체가 연마 시 끊어지거나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연마 헤드를 장착한 전동 연마기를 사용하여 연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a 는 본 고안에 따른 연마 헤드를 장착한 전동 연마기를 사용하여 연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b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 헤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c 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연마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에서 제시한 모범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도록 해석되지 않는다.
도 2a 는 본 고안에 따른 연마 헤드를 장착한 전동 연마기를 사용하여 연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마 헤드(20)는, 크게 베이스 플레이트(21)와, 베이스 플레이트(21)의 결합되는 연마부재군(25)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연마 헤드(20)는 전동 연마기(11)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연마 시 용접비드(7)를 손상시키지 않고, 요철 굴곡에 따라 균일하게 연마하면서 표면의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b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 헤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c 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연마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마 헤드(20)는 다수의 연마부재(22)가 그룹을 형성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연마부재군(25)이, 서로 이격되게 베이스 플레이트(21)에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연마 헤드(20)는 2개 이상의 연마부재군(25)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연마 헤드(20)는 회전 시 형성된 공간에 와류형 공기가 유입되어 피연마물의 절입분을 외부로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피연마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마부재(22)는 베이스 플레이트(21)에 결합되는 지지체(221)와, 지지체(221)에 부착되는 연마지립(222)을 포함한다.
지지체(221)는 탄성체 재질로 구현되며, 베이스 플레이트(21)에 결합되는 결합부(221a)와 결합부(221a)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21b)를 포함한다.
여기서, 탄성체라 함은 외부 힘에 의하여 변형을 일으킨 물체가 힘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려는 성질인 탄성을 지닌 물체를 의미한다. 일례로 지지체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체(221)가 탄성체 재질로 구현됨으로써, 지지체(221)가 연마지립(222)과 피연마물과의 마찰에 의한 충격을 어느 정도 흡수하여 작업자가 부드럽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일례로, 지지체(221)는 소정 길이를 갖는 와이어 형태의 소선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연마부재(22)의 지지체(221)들은 서로 꼬인 상태로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마부재(22)의 지지체(221)가 연마 시 끊어지거나 베이스 플레이트(21)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지체(221)는 다수개의 소선들이 꼬인 상태로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소선이란 절연체 따위를 씌우지 아니한 상태의 전선을 의미하며, 지지체(221)는 이러한 소선들이 꼬여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연마지립(222)은, 석재, 목재판, 스틸판, 콘크리트 등과 같은 단단한 재료의 표면을 연마하거나, 바닥의 페인트 또는 우레탄을 연마하는 것으로, 알루미나, 탄화규소, 탄화텅스텐(WC), 실리콘카바이드(SiC), 또는 다이아몬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연마지립(222)은 지지체(221)의 연장부(221b)에 접착제에 의한 접착방법 또는 니켈 도금으로 전착하는 방법 또는 브레이징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연마 헤드(20)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금속 와이어 형태의 소재를 수 mm ∼ 수십 mm의 길이로 절단한 후, 피연마물을 연마하는데 필요한 길이만큼의 외경 부위에 알루미나, 탄화규소, 탄화텅스텐(WC), 실리콘카바이드(SiC), 또는 다이아몬드 중에서 선택된 연마지립을 접착제 또는 전기 도금 또는 브레이징 방법으로 견고히 부착하여 연마부재를 제조한다. 이후 다수의 연마부재를 액상 수지 상태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한다. 일례로, 베이스 플레이트가 금속재질인 경우 액상수지를 이용하여 다수의 연마부재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금속 와이어 형태의 소재를 서로 꼬아서 결합한 후, 수 mm ∼ 수십 mm의 길이로 절단한 다음 알루미나, 탄화규소, 탄화텅스텐(WC), 실리콘카바이드(SiC), 또는 다이아몬드 중에서 선택된 연마지립을 접착제 또는 전기 도금 또는 브레이징 방법으로 견고히 부착하여 연마부재를 제조한다. 이후, 제조한 연마부재를 액상 수지 상태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한다. 일례로, 베이스 플레이트가 금속재질인 경우 액상수지를 이용하여 다수의 연마부재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금속 와이어 형태의 소재를 서로 꼬아서 결합한 후, 알루미나, 탄화규소, 탄화텅스텐(WC), 실리콘카바이드(SiC), 또는 다이아몬드 중에서 선택된 연마지립을 접착제 또는 전기 도금 또는 브레이징 방법으로 견고히 부착하여 연마부재를 제조한 후, 수 mm ∼ 수십 mm의 길이로 절단한다. 이후, 제조한 연마부재를 액상 수지 상태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한다. 일례로, 베이스 플레이트가 금속재질인 경우 액상수지를 이용하여 다수의 연마부재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한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고안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 : 연마헤드
21 : 베이스 플레이트
22 : 연마부재
25 : 연마부재군
221 : 지지체
221a : 결합부 221b : 연장부
222 : 연마지립

Claims (5)

  1.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탄성체로 형성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연장부 중 피연마물과 접촉되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연마지립이 전기도금 또는 브레이징을 통해 부착된 다수의 연마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연마부재가 그룹을 형성한 다수의 연마부재군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부 및 외곽부를 포함하는 전체 면에 서로 이격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마부재가 그룹으로 묶여진 연마부재군은,
    상기 다수의 연마부재의 지지체들이 서로 꼬인 상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헤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재가 지지체는,
    다수개의 소선들이 꼬인 상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헤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지립은,
    알루미나, 탄화규소, 탄화텅스텐(WC), 실리콘카바이드(SiC), 또는 다이아몬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헤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헤드.
KR2020100008156U 2010-08-04 2010-08-04 연마 헤드 KR2004566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156U KR200456614Y1 (ko) 2010-08-04 2010-08-04 연마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156U KR200456614Y1 (ko) 2010-08-04 2010-08-04 연마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614Y1 true KR200456614Y1 (ko) 2011-11-09

Family

ID=73129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156U KR200456614Y1 (ko) 2010-08-04 2010-08-04 연마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6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410946B2 (en) Semiconductor wire bonding machine cleaning device and method
US20050153642A1 (en) Method of producing brush-like grind stone, the brush-like grind stone, and brush for grind machine
JP6421291B2 (ja) 研摩ブラシ
KR101204468B1 (ko) 연마 브러시
JP5730929B2 (ja) カップ型回転砥石
TWI705875B (zh) 研削用磨石及其製造方法
KR101137486B1 (ko) 연마 및 도막제거용 다용도 다이아몬드 연마휠
JP5806082B2 (ja) 被加工物の切断方法
KR200456614Y1 (ko) 연마 헤드
JP5700682B2 (ja) ロータリドレッサ
KR101366640B1 (ko) 그라인더용 연마휠
JP3141853U (ja) 研磨具及びこの研磨具を用いた研磨装置
CN102763207A (zh) 用于半导体器件的支撑系统
JP2007050471A (ja) ドレッシング方法及びロータリドレッシング装置
CN205630349U (zh) 防滑强化砂带
JPH11347955A (ja) 回転ブラ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74164A (ja) ツルーイング用砥石
JP3868381B2 (ja) ワイヤーソー
WO2016166852A1 (ja) 砥材および回転研磨工具
JP2018065205A (ja) ソーワイヤ、及びスライス加工方法
CN105751090A (zh) 防滑强化砂带
KR20100010875A (ko) 에틸렌초산비닐수지와 양모를 이용한 다이아몬드 연마휠의제조방법 및 그 연마휠
KR100552912B1 (ko) 다이아몬드 공구
US9878426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grinding wheel
KR20160133964A (ko) 고경질 자재 연마용 휠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