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640B1 - 그라인더용 연마휠 - Google Patents

그라인더용 연마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640B1
KR101366640B1 KR1020120066960A KR20120066960A KR101366640B1 KR 101366640 B1 KR101366640 B1 KR 101366640B1 KR 1020120066960 A KR1020120066960 A KR 1020120066960A KR 20120066960 A KR20120066960 A KR 20120066960A KR 101366640 B1 KR101366640 B1 KR 101366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iece
support plate
diamond
rotary support
sand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3414A (ko
Inventor
상 돈 이
Original Assignee
(주)인성다이아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성다이아몬드 filed Critical (주)인성다이아몬드
Priority to KR1020120066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640B1/ko
Publication of KR20130143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3/0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 B24D13/14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 front face
    • B24D13/16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 front face comprising pleated flaps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인더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연마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샌드 페이퍼편과 다이아몬드 페이퍼편으로 이루어진 연마부재에 의해 가공물을 가공시 탕탕탕 튀는 듯한 진동없이 안정적으로 가공이 이루어짐은 물론 마모율을 최소화하여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라인더의 회전축으로 장착되는 장착공이 중심에 형성되는 회전지지판과, 상기 회전지지판의 상면으로 연마부재인 샌드 페이퍼편과 다이아몬드 페이퍼편이 교호로 부착되는 연마휠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재인 샌드 페이퍼편과 다이아몬드 페이퍼편은 가공시 완충력을 가져 튀는 진동없이 가공되도록 상기 회전지지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각 페이퍼편의 밑면만이 부착되어 세워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용 연마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그라인더용 연마휠{Grinding wheel}
본 발명은 그라인더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연마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샌드 페이퍼편과 다이아몬드 페이퍼편으로 이루어진 연마부재에 의해 가공물을 가공시 탕탕탕 튀는 듯한 진동없이 안정적으로 가공이 이루어짐은 물론 마모율을 최소화하여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그라인더용 연마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이나 목재 또는 기타 가공물의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인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그라인더의 회전축 상에 원판 상의 연마수단을 장착하여 가공물의 표면을 매그럽게 가공하거나 다듬질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절단작업의 용도로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그라인더의 회전축 상에 장착되는 통상적인 연마수단으로 사용되는 연마휠은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 상에 장착할 수 있도록 중심에 장착공이 형성되는 원형의 회전지지판과, 상기 회전지지판의 상면으로 연마부재가 부착되어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상기에서, 회전지지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연마부재는 공지된 바와 같이 일정 크기의 사각으로 절단하여 서로 겹쳐지게 접착시키는 것으로, 주로 샌드 페이퍼가 사용된다.
아울러, 경도가 높은 가공물이나 거칠기가 큰 가공물을 가공하거나 다듬기 작업을 행하기 위해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00194호 "그라인더의 휠페이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연마부재를 샌드 페이퍼와 다이아몬드 페이퍼를 교호(交互)로 부착하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 도 6 및 7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연마휠(100)은, 중심에 그라인더의 회전축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112)이 형성된 회전지지판(110)의 상면으로 연마부재(120)인 일정 크기의 사각으로 절단된 샌드 페이퍼편(122)과 다이아몬드 페이퍼편(124)을 교호로 겹쳐진 후 눕혀지게 부착된다.
그에 따라 하나의 샌드 페이퍼에 의하여 연마하는 가공작업에 비하여 경도가 높고 거칠기가 큰 가공물의 가공이나 다듬기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연마휠(100)에 있어서는 회전지지판(110)의 상면으로 부착되는 연마부재(120)인 샌드 페이퍼편(122)과 다이아몬드 페이퍼편(124)이 교호로 겹쳐진 후 눕혀지게 부착됨에 따라 가공물을 가공시 겹쳐져 눕혀진 샌드 페이퍼편(122)과 다이아몬드 페이퍼편(124)의 단차(h)에 의하여 탕탕탕 튀는 것과 같은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그로 인해 가공물의 가공부위가 경우에 따라 매끄럽게 가공되지 못함은 물론 작업자의 손목 부위에 질병을 유발하여 직업병을 일으키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다시 말해서, 작업자가 오랜 가공작업을 통하여 탕탕탕 튀는 듯한 진동이 손목 부위로 지속적으로 전달됨에 따라 작업자의 손목 부위에는 심각한 직업병을 가지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아울러, 상기 연마부재(120)인 샌드 페이퍼편(122)과 다이아몬드 페이퍼편(124)이 회전지지판(110)의 상면으로 교호로 겹쳐진 후 눕혀지게 부착됨에 따라 가공물과의 접촉면적이 넓게 형성됨으로써, 마모 또한 심하게 발생하였고 그로 인해 연마휠을 자주 교체해주어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527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샌드 페이퍼편과 다이아몬드 페이퍼편으로 이루어진 연마부재에 의해 가공물을 가공시 탕탕탕 튀는 듯한 진동없이 안정적으로 가공이 이루어짐은 물론 마모율을 최소화하여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그라인더용 연마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워진 연마부재가 높은 지지력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은 지지력을 갖도록 여러 겹으로 부착되는 연마부재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마부재를 회전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마찰저항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접촉면적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그라인더의 회전축으로 장착되는 장착공이 중심에 형성되는 회전지지판과, 상기 회전지지판의 상면으로 연마부재인 샌드 페이퍼편과 다이아몬드 페이퍼편이 교호로 부착되는 연마휠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재인 샌드 페이퍼편과 다이아몬드 페이퍼편은 가공시 완충력을 가져 튀는 진동없이 가공되도록 상기 회전지지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각 페이퍼편의 밑면만이 부착되어 세워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페이퍼편은 회전지지판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이아몬드 페이퍼편 사이에 형성되는 샌드 페이퍼편은 가공시 세워진 연마부재가 눕혀지지 않게 적어도 하나 이상 겹쳐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겹쳐지게 형성되는 샌드 페이퍼편은 상기 회전지지판의 장착공 측의 일단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겹쳐지게 형성되는 샌드 페이퍼편은 3~5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워지게 부착되는 연마부재인 각 페이퍼편은 가공시 가공물과의 접촉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넓은 접촉면적을 갖도록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지게 형성되는 연마부재인 각 페이퍼편은 연마휠의 중심선상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샌드 페이퍼편과 다이아몬드 페이퍼편으로 이루어진 연마부재에 의해 가공물을 가공시 탕탕탕 튀는 듯한 진동없이 안정적으로 가공이 이루어짐은 물론 마모율을 최소화하여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공물의 가공면을 튀는 진동없이 매끄럽게 가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손목에도 직업병을 유발시키지 않는 효과와 함께 오랜 사용기간의 확보 인해 경제성도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세워진 연마부재가 높은 지지력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완충력으로 오랫동안 지속하여 가공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닫.
또한, 높은 지지력을 갖도록 여러 겹으로 부착되는 연마부재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완충력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연마부재를 회전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마찰저항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접촉면적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공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4b는 도 4a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평면도.
도 4c는 도 4a에 따른 개략적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 6은 일반적인 그라인더용 연마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인더의 회전축으로 장착되는 장착공(112)이 중심에 형성되는 회전지지판(110)과, 상기 회전지지판(110)의 상면으로 연마부재(120)인 일정 크기의 사각으로 절단된 샌드 페이퍼편(122)과 다이아몬드 페이퍼편(124)이 교호로 부착되는 연마휠(100)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샌드 페이퍼편과 다이아몬드 페이퍼편으로 이루어진 연마부재에 의해 가공물을 가공시 탕탕탕 튀는 듯한 진동없이 안정적으로 가공이 이루어짐은 물론 마모율을 최소화하여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연마부재(120)인 샌드 페이퍼편(122)과 다이아몬드 페이퍼편(124)은 가공시 완충력을 가져 튀는 진동없이, 즉 가공면을 쓸듯이 가공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지지판(110)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각 페이퍼편(122)(124)의 밑면만이 부착되어 세워지게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각 페이퍼편(122)(124)은 회전지지판(11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연마부재인 샌드 페이퍼편과 다이아몬드 페이퍼편을 일정 간격으로 세워 배치함에 따라 가공물을 가공하고자 가압시 상기 일정 간격으로 벌어진 사이로 인하여 완충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며, 그로 인해 가공물의 가공면을 빗자루로 쓸듯이 가공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탕탕탕 튀는 듯한 진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회전지지판의 상면으로 부착되는 연마부재인 샌드 페이퍼편과 다이아몬드 페이퍼편을 일정 간격으로 두고 세워지도록 형성함에 따라 가공물을 가공시 세워진 연마부재의 각 페이퍼편의 끝단부가 가공에 따른 가압으로 인하여 가공물의 표면으로 비스듬하게 접촉되면서 가공이 이루어지게 되는 데, 이때 상기 각 페이퍼편은 세워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관계로 완충력을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가공부위 또한 비스듬하게 접촉되는 부분만 접촉되어 필요로 하는 가공 부위만 접촉되어 가공이 이루어져 효율적인 가공은 물론 각 페이퍼편의 마모율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연마휠로의 가공시 튀는 듯한 진동이 발생하지 않게 됨에 따라 작업자의 손목 등으로 직업병을 유발시키기 않고 안정적인 가공이 이루질 수 있는 것이며, 특히 필요로 하는 국부적인 가공 부분을 가공할 수 있어, 가공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페이퍼편의 접촉 또한 전체가 아니라 가공 부분과 접촉되는 끝단 부분만이 접촉됨에 따라 마모율 또한 최소화하여 보다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서 가공시 작업자의 가압으로 인하여 상기 연마부재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샌드 페이퍼편과 다이아몬드 페이퍼편이 가급적 눕혀지지 않고 세워진 채로 지지하여 지속적인 완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이아몬드 페이퍼편(124) 사이에 형성되는 샌드 페이퍼편(122)은 가공시 세워진 각 연마부재(120)가 눕혀지지 않게 적어도 하나 이상 겹쳐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겹쳐지게 형성되는 샌드 페이퍼편을 대략 3~5장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겹쳐지는 샌드 페이퍼편을 3장 이하일 경우에는 완충력은 좋으나 세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력이 떨어지고, 5장 이상일 경우에는 세워진 상태의 지지력은 좋으나 완충력이 떨어짐에 따라 3~5장으로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겹쳐지게 형성되는 샌드 페이퍼편(122)은 상기 회전지지판(110)의 장착공 측의 일단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즉 원판 상의 특성상 회전지지판의 장착공 측으로 위치한 각 페이퍼편의 내직경은 좁고 그 반대 측의 외직은 넓은 관계로, 여러 겹으로 겹쳐지는 샌드 페이퍼편의 각 끝단을 동일하게 할 경우 좁은 내직경 측으로 위치한 샌드 페이퍼편의 일단은 뭉쳐지듯이 형성됨에 따라 그 내직경에 위치한 각 페이퍼편의 완충력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좁은 내직경을 가지는 샌드 페이퍼편의 일단을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여 겹쳐지게 함으로써, 좁은 내직경을 가지는 위치에 형성되는 여러 겹의 샌드 페이퍼 역시 완충력이 저하되지 않는 것이다.
이때, 여러 겹으로 겹쳐지는 샌드 페이퍼편의 경우 동일한 길이를 가져도 무방하나 그 어긋나는 폭 만큼 서로 다른 길이로 겹쳐지게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로써, 상기 연마부재인 다이아몬드 페이퍼편 사이에 형성되는 샌드 페이퍼편을 여러 겹으로 형성함에 따라 가공에 따른 가압시에도 각 페이퍼편이 눕혀지지 않고 수직으로 세워져 완충력을 그대로 유지한 채 원활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연마부재인 샌드 페이퍼편과 다이아몬드 페이퍼편을 세워서 부착할 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마부재를 회전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마찰저항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접촉면적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지지판의 상면으로 세워지게 부착되는 연마부재(120)인 샌드 페이퍼편(122)과 다이아몬드 페이퍼편(124)은 가공시 가공물과의 접촉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넓은 접촉면적을 갖도록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즉 상기 경사지게 형성되는 연마부재인 각 페이퍼편(122)(124)은 연마휠(100)의 중심선(O) 상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 페이퍼편은 연마휠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것이 아니라 부착된 각 페이퍼편의 내직경을 기준하여 외직경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회전지지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연마부재인 각 페이퍼편을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가공에 따른 회전으로 인해 가공물의 가공 부위와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촉 면적 또한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조건으로 인하여 가공 효율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조건을 가지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각 페이퍼편이 회전방향인 원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회전되면서 가공이 이루어 지는 특성상 가공물의 가공면과의 접촉저항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물과의 접촉면적으로 넓게 확보하여 높은 가공 효율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100 : 연마휠
110 : 회전지지판 112 : 장착공
120 : 연마부재 122 : 샌드 페이퍼편
124 : 다이아몬드 페이퍼편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그라인더의 회전축으로 장착되는 장착공(112)이 중심에 형성되는 회전지지판(110)과, 상기 회전지지판(110)의 상면으로 연마부재(120)인 샌드 페이퍼편(122)과 다이아몬드 페이퍼편(124)이 교호로 부착되는 연마휠(100)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재(120)인 샌드 페이퍼편(122)과 다이아몬드 페이퍼편(124)은 가공시 완충력을 가져 튀는 진동없도록 상기 회전지지판(110)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각 페이퍼편(122)(124)의 밑면만이 수직으로 세워지게 부착 형성되되,
    상기 다이아몬드 페이퍼편(124) 사이의 샌드 페이퍼편(122)은 가공시 세워진 연마부재(120)가 눕혀지지 않게 적어도 하나 이상 겹쳐지게 형성되며, 그 겹쳐지게 형성되는 상기 샌드 페이퍼편(122)은 상기 회전지지판(110)의 장착공(112) 측의 일단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용 연마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겹쳐지게 형성되는 샌드 페이퍼편(122)은 3~5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용 연마휠.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워지게 부착되는 연마부재(120)인 각 페이퍼편(122)(124)은 가공시 가공물과의 접촉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넓은 접촉면적을 갖도록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용 연마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게 형성되는 연마부재(120)인 각 페이퍼편(122)(124)은 연마휠(100)의 중심선(O) 상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용 연마휠.
KR1020120066960A 2012-06-21 2012-06-21 그라인더용 연마휠 KR101366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960A KR101366640B1 (ko) 2012-06-21 2012-06-21 그라인더용 연마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960A KR101366640B1 (ko) 2012-06-21 2012-06-21 그라인더용 연마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414A KR20130143414A (ko) 2013-12-31
KR101366640B1 true KR101366640B1 (ko) 2014-02-25

Family

ID=49986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960A KR101366640B1 (ko) 2012-06-21 2012-06-21 그라인더용 연마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6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964A (ko) 2015-05-14 2016-11-23 (주)인성다이아몬드 고경질 자재 연마용 휠 및 그 제조방법
KR102329465B1 (ko) 2021-03-31 2021-12-01 (주)인성다이아몬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는 연마용 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4580A1 (zh) * 2018-03-12 2019-09-19 桂林创源金刚石有限公司 一种磨具及制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168Y1 (ko) * 1992-08-26 1995-09-02 이종선 핸드 그라인더의 휠 페이퍼
KR20100112515A (ko) * 2009-04-09 2010-10-19 이일영 탄성플레이트를 구비한 연마용 플랩 디스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168Y1 (ko) * 1992-08-26 1995-09-02 이종선 핸드 그라인더의 휠 페이퍼
KR20100112515A (ko) * 2009-04-09 2010-10-19 이일영 탄성플레이트를 구비한 연마용 플랩 디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964A (ko) 2015-05-14 2016-11-23 (주)인성다이아몬드 고경질 자재 연마용 휠 및 그 제조방법
KR102329465B1 (ko) 2021-03-31 2021-12-01 (주)인성다이아몬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는 연마용 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414A (ko) 201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6518B2 (en) Orbital smoothing device
CN203418389U (zh) 一种晶片倒角机
JP6529210B2 (ja) 研磨ディスクを用いる研磨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物品
KR101366640B1 (ko) 그라인더용 연마휠
JP5608310B1 (ja) 研磨盤及び研磨機
KR101312395B1 (ko) 연삭기용 연마휠
US20130059505A1 (en) Orbital Smoothing Device
CN101081491A (zh) 用于表面加工的回转刀具
CN207077303U (zh) 一种自动锯片抛光机
WO2017013555A1 (en) Adaptive plate for a polishing machine with improved distribution of the working pressure
JP6141153B2 (ja) 異物除去工具及び異物除去方法
JP3141853U (ja) 研磨具及びこの研磨具を用いた研磨装置
CN204771987U (zh) 一种钢管打磨机
KR200419610Y1 (ko) 스테인레스연마기의 연마롤러장치
CN211029283U (zh) 一种螺旋伞齿轮内孔打磨设备
CN206764548U (zh) 磨盘便于拆卸的石材研磨机
JP6234250B2 (ja) ドレッシング工具
CN107214614A (zh) 一种自动锯片抛光机
KR101001668B1 (ko) 탄성플레이트를 구비한 연마용 플랩 디스크
JP5181799B2 (ja) 砥石
CN201049435Y (zh) 带阶梯的振动光饰机工作槽
CN106624165A (zh) 一种高效的锯片抛光设备
CN105935922A (zh) 一种减震型砂纸机
JP2007050471A (ja) ドレッシング方法及びロータリドレッシング装置
CN205734308U (zh) 一种砂纸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