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561Y1 - 환자용 목욕 시트 - Google Patents

환자용 목욕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561Y1
KR200456561Y1 KR2020090008608U KR20090008608U KR200456561Y1 KR 200456561 Y1 KR200456561 Y1 KR 200456561Y1 KR 2020090008608 U KR2020090008608 U KR 2020090008608U KR 20090008608 U KR20090008608 U KR 20090008608U KR 200456561 Y1 KR200456561 Y1 KR 2004565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side walls
sheet
bath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275U (ko
Inventor
양은숙
Original Assignee
양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은숙 filed Critical 양은숙
Priority to KR2020090008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561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2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2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5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05Means for bathing bedridden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47Beds for special sanitary purposes, e.g. for giving enemas, irrigations, flush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자용 목욕 시트에 과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정한 높이의 양 측벽과 전 후벽을 갖고 가요성 재질로 형성된 방수시트와; 일단 부분만이 상기 양 측벽의 내벽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전 후벽의 내벽으로부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전 후벽의 외측으로 외출되도록 설치된 제 1 내지 제 4 케이블과; 상기 양측 벽과 상기 전 후벽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 수개 이상 고정되어 상기 양 측벽 및 전 후벽의 기립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립상태유지부재와; 상기 방수시트의 바닥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머리받이 및 발받이와; 상기 바닥면에 설치된 배수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시트가 가요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기존 침대 등에 환자를 누여둔 상태에서도 환자의 불편함이 없이 시트를 펼친 상태에서 환자의 등과 다리 밑으로 쉽게 넣을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각 모서리에 설치된 제 1 내지 제 4 케이블을 당겨 기존 침대의 전 후 프레임에 묶는 것으로서 양 측벽 및 전 후 벽의 형성이 가능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물의 사용시 물이 시트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과 아울러 배수관을 통해 사용 후 물의 배수가 용이하고, 가요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간편하게 사용 후 접을 수 있어서 보관 및 휴대 가능한 이점이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구성의 채용으로 제조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열악한 생활환경에 처한 환자도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환자목욕, 환자용 목욕 시트

Description

환자용 목욕 시트{Sheet for bathing patients}
본 고안은 환자용 목욕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욕을 하려 해도 몸이 많이 불편하여 이동이 불가능한 환자를 침대 등에 누여 놓은 채, 현장에서 간편하게 목욕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목욕 시트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환자용 목욕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 중 이동이 가능하여 혼자서도 목욕 가능한 환자가 있는 한편, 병세가 심해 침대 등에 누워 있을 수밖에 없어 목욕 불가능하거나 목욕을 하려면 매우 어려운 환자가 있다.
한편, 환자용 침대 등은 환자가 편히 누울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별도의 부가장치가 없고, 단지 침대의 길이방향에 따른 상부 또는 하부영역 부분을 일정한 각도로 들어올릴 수 있는 구성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목욕 불가능하거나 목욕을 하려면 매우 어려운 환자의 목욕은 간병인이 물수건 등을 이용해 전신을 닦아 주는 등의 방법이 있으나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에 개재된 실용등록번호 20-0401864호 " 환자용 목욕 전용침대"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환자용 목욕 전용침대"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을 용이하게 목욕시키기 위한 목욕 전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침대 프레임의 용이한 상,하 승강이 이루어지게 함은 물론 침대 프레임 상측의 상판과 그 상판을 지지하고 있는 상판프레임을 별도의 엑츄에이터에 의해 각도 조절 및 분할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침대프레임의 상,하 승강이 자유로워 편리하게 환자의 신체를 청결하게 세척시킬 수 있으면서도, 환자의 신체를 강제적으로 회전시키거나 엎드리지 않고도 분할 회전 가능한 상판의 작동에 의해 편안한 상태로 환자의 위치 및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며, 목욕 침대를 다 사용하고 난 이후에는 그 상판 전체를 일 측으로 경사지게 각도 조절하여 용이하게 상판 및 그 침대를 세척할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환자용 목욕 전용 침대는, 침대 프레임의 상,하 승강이 이루어지게 하고, 침대 프레임 상측의 상판과 그 상판을 지지하고 있는 상판 프레임을 별도의 엑츄에이터에 의해 각도 조절 및 분할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침대프레임의 상,하 승강이 쉬어 편리하게 환자의 신체를 청결하게 세척시킬 수 있는 이점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환자용 목욕 전용 침대는, 말 그대로 환자를 위한 전용 목욕 침대로서 목욕 가능한 침대를 제안하고 있기 때문에 복잡한 부품 및 이에 따른 제조비용의 상승으로 제품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열악한 생활환경에 있는 환자는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 환자용 목욕 전용 침대는 그 부피가 매우 크기 때문에 병원 등에 국한되어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도 가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함과 아울러 보관이 용이하고 물을 절약할 수 있는 한편 제조비용이 저렴하여 열악한 생활환경에 처한 환자도 쉽게 구입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자용 목욕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환자용 목욕 시트에 있어서, 일정한 높이의 양 측벽과 전 후벽을 갖고 가요성 재질로 형성된 방수시트와; 일단 부분만이 상기 양 측벽의 내벽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전 후벽의 내벽으로부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전 후벽의 외측으로 외출되도록 설치된 제 1 내지 제 4 케이블과; 상기 양측 벽과 상기 전 후벽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 수개 이상 고정되어 상기 양 측벽 및 전 후벽의 기립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립상태유지부재와; 상기 방수시트의 바닥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머리받이 및 발받이와; 상기 바닥면에 설치된 배수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목욕 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시트가 가요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기존 침대 등에 환자를 누여둔 상태에서도 환자의 불편함이 없이 시트를 펼친 상태에서 환자의 등과 다리 밑으로 쉽게 넣을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각 모서리에 설치된 제 1 내지 제 4 케이블을 당겨 기존 침대의 전 후 프레임에 묶는 것으로서 양 측벽 및 전 후 벽의 형성이 가능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물의 사용시 물이 시트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과 아울러 배수관을 통해 사용 후 물의 배수가 용이하고, 가요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간편하게 사용 후 접을 수 있어서 보관 및 휴대 가능한 이점이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구성의 채용으로 제조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열악한 생활환경에 처한 환자도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1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목욕 시트를 병원침대에 설치한 것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목욕 시트를 펼쳐 놓은 전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 후벽이 연결되는 모서리부를 발췌시킨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평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목욕 시트(10)는, 가요성을 갖는 방수시트(20)와, 방수시트(20) 양 측벽(21)(22)과 전 후벽(23)(24)이 연결되는 각 모서리(C)의 일 측에 고정되어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양 측벽(21)(22)과 전 후벽(23)(24)을 형성시키는 제 1 내지 제 4 케이블(30)(31)(32)(33)과, 양 측벽(21)(22) 및 전 후벽(23)(24)의 기립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립상태유지부재(40)와, 방수시트(20)의 바닥면에 설치된 머리받이(50) 및 발받이(51)와, 바닥면에 설치된 배수관(60)을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방수시트(2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환자 또는 환자용 침대의 사용편리를 감안하여 직사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환자를 깨끗하게 씻길 수 있는 물이 사용되므로 물이 새나갈 수 없도록 방수 가능한 방수시트(2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고안에서 방수시트(20)를 가요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은 사용 후 접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목욕 시트(10)는 양 측벽(21)(22)과 전 후벽(23)(24)을 연결하는 각 모서리(C) 영역에 제 1 내지 제 4 케이블(30)(31)(32)(33)을 설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내지 제 4 케이블(30)(31)(32)(33)의 일단(30')(31')(32')(33') 부분만이 양 측벽(21)(22)의 내벽 고정부(H)에 고정되어 있고, 일단(30')(31')(32')(33')을 제외한 제 1 내지 제 4 케이블(30)(31)(32)(33)의 나머지 부분은 전 후벽(23)(24)의 내벽으로부터 통공(H')을 통하여 전 후벽(23)(24)의 외측으로 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제 1 내지 제 4 케이블(30)(31)(32)(33)을 잡아당기면 모서리(C)는 내측을 향하여 접혀 들어가고, 당긴 제 1 내지 제 4 케이블(30)(31)(32)(33)은 기존 병원침대의 전후 프레임에 묶어두면 양측 벽(21)(22)과 전 후벽(23)(24)이 세워진다. 이때 양측 벽(21)(22)과 전 후벽(23)(24)에 복 수개 이상 고정된 다수의 기립상태유지부재(40)는 양측 벽(21)(22) 및 전 후벽(23)(24)과 함께 세워져 양측 벽(21)(22)과 전 후벽(23)(24)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목욕 시트(10)를 침대 등에 누운 환자 밑으로 설치하려면, 먼저 간병인은 환자용 목욕 시트(10)를 도 2에서와 같이 전개한 상태에서 환자를 침대의 한쪽으로 돌아 누인 후 배수관(60)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오도록 환자용 목욕 시트(10)를 환자의 허리 아래로 펼친 후 환자를 다시 원위치로 돌아 누인다. 이렇게 하면 쉽게 환자용 목욕 시트(10)를 환자의 허리 및 다리 아래로 위치시킬 수 있으며, 환자의 머리는 머리받이(50)에 다리는 발받이(51)에 올려둔다.
이후 간병이 제 1 및 제 2 케이블(30)(31)을 잡아당기면 모서리(C)는 내측을 향하여 접혀 들어가고, 따라서 제 1 및 제 2 케이블(30)(31)을 침대의 전후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묶고, 나머지 제 3 및 제 4 케이블(32)(33)을 잡아당기면 모서리(C)는 내측을 향하여 접혀 들어가고, 제 3 및 제 4 케이블(32)(33)을 나머지 어느 하나의 침대 프레임에 묶으면 양측 벽(21)(22)과 전 후벽(23)(24)이 세워진다. 이때, 양측 벽(21)(22)과 전 후벽(23)(24)에 복 수개 이상 고정된 다수의 기립상태유지부재(40)는 양측 벽(21)(22) 및 전 후벽(23)(24)과 함께 세워져 양측 벽(21)(22)과 전 후벽(23)(24)의 세워진 형상을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환자용 목욕 시트(10)는 물을 사용할 수 있는 풀(pool) 형상이 된다.
이와 같이 환자용 목욕 시트(10)의 설치가 완료되어 풀(pool) 형상이 되면 간병인은 별도 용기에 담긴 물을 사용하여 먼저 환자머리를 세발하고, 비누 묻힌 수건으로 환자의 물을 씻긴 후 다시 맑은 물을 사용하여 전신을 깨끗하게 닦아준 후 배수관(60)을 통하여 사용수를 배수한 후 전신을 깨끗한 마른 수건으로 닦아주는 것으로서 환자의 목욕은 간편하게 완료되며, 이후 사용된 환자용 목욕 시트(10)는 접으면 보관 및 휴대하기 좋은 크기가 되므로 보관이 용이한 곳에 보관하면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목욕 시트를 병원침대에 설치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목욕 시트를 펼쳐 놓은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 후벽이 연결되는 모서리부를 발췌시킨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평 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환자용 목욕 시트 20 : 방수시트
21, 22 : 양 측벽 23, 24 : 전 후벽
30 ~ 33: 제 1 내지 제 4 케이블 40 : 기립상태유지부재
50 : 머리받이 51 : 발받이
60 : 배수관

Claims (1)

  1. 환자용 목욕 시트에 있어서,
    일정한 높이의 양 측벽(21)(22)과 전 후벽(23)(24)을 갖고 가요성 재질로 형성된 방수시트(20)와;
    일단(30')(31')(32')(33') 부분만이 상기 양 측벽(21)(22)의 내벽 고정부(H)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일단(30')(31')(32')(33')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전 후벽(23)(24)의 내벽으로부터 통공(H')을 통하여 상기 전 후벽(23)(24)의 외측으로 외출되도록 설치된 제 1 내지 제 4 케이블(30)(31)(32)(33)과;
    상기 양측 벽(21)(22)과 상기 전 후벽(23)(24)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 수개 이상 고정되어 상기 양 측벽(21)(22) 및 전 후벽(23)(24)의 기립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립상태유지부재(40)와;
    상기 방수시트(20)의 바닥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머리받이(50) 및 발받이(51)와;
    상기 바닥면에 설치된 배수관(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목욕 시트.
KR2020090008608U 2009-07-03 2009-07-03 환자용 목욕 시트 KR2004565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608U KR200456561Y1 (ko) 2009-07-03 2009-07-03 환자용 목욕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608U KR200456561Y1 (ko) 2009-07-03 2009-07-03 환자용 목욕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275U KR20110000275U (ko) 2011-01-11
KR200456561Y1 true KR200456561Y1 (ko) 2011-11-07

Family

ID=44205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608U KR200456561Y1 (ko) 2009-07-03 2009-07-03 환자용 목욕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5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017A (ko) 2020-12-31 2022-07-07 황화식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872B1 (ko) * 2018-06-04 2020-03-20 박천국 욕조 겸용 침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443B1 (ko) 2007-04-27 2008-07-07 주식회사 해피베드 환자용 침대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샤워 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443B1 (ko) 2007-04-27 2008-07-07 주식회사 해피베드 환자용 침대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샤워 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017A (ko) 2020-12-31 2022-07-07 황화식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275U (ko) 201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8612B2 (en) Caregiving bed
CN203609609U (zh) 一种卧床病人专用护理床
CN103655081B (zh) 一种卧床病人专用护理床
KR200456561Y1 (ko) 환자용 목욕 시트
US20130061385A1 (en) Moving bath tub and a lift for bathing icu patients
KR20200001710U (ko) 환자용 간이 욕조
JP3065084U (ja) 介護用浴槽
JP3198434B2 (ja) 簡易浴槽兼ベッド
JP2926315B2 (ja) 介護用ベッド
JPH1119140A (ja) 介護用昇降台車及び介護用入浴装置
JP4985856B2 (ja) 介護用半身入浴装置
KR200323679Y1 (ko) 환자용 침대 매트리스
RU192411U1 (ru) Складная ванна-простыня для мытья лежачего больного в постели
JP3976776B1 (ja) 簡易浴槽用組立式筐体
JP4522867B2 (ja) 洗髪用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洗髪方法
CN207477619U (zh) 充气式洗浴床结构
KR0131291B1 (ko) 욕조 겸용가능 간호용 침대
KR20170016102A (ko)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일회용 이동식,접이식 욕조
JP3207431U (ja) リクライニング機構及びこのリクライニング機構を備えたベッド
JP2001212201A (ja) 介護用浴槽
JP2530566B2 (ja) 浴槽に兼用できる介護用ベッド
JP3099416U (ja) 組み立て式浴槽
JP3164319U (ja) 介護用半身入浴装置
JP2001340245A (ja) 浴槽の構造
JP2005205124A (ja) 携帯型組立て式簡易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