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7017A -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7017A
KR20220097017A KR1020200189968A KR20200189968A KR20220097017A KR 20220097017 A KR20220097017 A KR 20220097017A KR 1020200189968 A KR1020200189968 A KR 1020200189968A KR 20200189968 A KR20200189968 A KR 20200189968A KR 20220097017 A KR20220097017 A KR 20220097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body part
disabled
elderly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6949B1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황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화식 filed Critical 황화식
Priority to KR1020200189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949B1/ko
Publication of KR20220097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7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6Devices for fastening baths to floors or walls; Adjustable bath feet ; Lining panels or attachments therefor
    • A47K3/162Collapsible stands or supports fo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05Means for bathing bedridden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저수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하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판; 가이드판과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각도조절부재가 구비되는 받침부; 및 몸체부는 몸체부의 하면에 몸체부를 경사지게 세워서 바닥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포함되고, 가이드판은 사용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상체를 고정할 수 있는 벨트를 더 포함하고, 받침부는 사용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면에 돌출 형성된 고무흡착부재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FUNCTIONAL BATH APPARATUS FOR HANDICAPPED PEOPLE}
본 발명은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자가 안전하게 목욕이 가능한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구 고령화로 인하여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병원이나 요양원을 이용하는 인구도 증가하고 있다.
이때 병원의 환자들 중 병세가 심해 침대 등에 누워 있을 수밖에 없는 경우 목욕을 하는 것이 어려우며, 요양원의 고령의 노인들 또한 이동이 불편하여 목욕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병원이나 요양원 등에서 보행 또는 이동이 극히 어려운, 즉 거동이 불편한 중증환자들의 위생관리를 위해 침대 상에서 머리를 감기기나 온몸을 씻길 수 있는 세신 장비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목욕공간에 설치되는 욕조는, 일정 수위의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 또한 거동이 불편한 자들의 경우 욕조에 들어가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렵다.
이로 인해, 욕조가 구비되어 있더라도 욕조를 사용하지 않고 간병인이 물수건 등을 이용해 전신을 닦아 주는 등의 방법이 행해질 뿐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456561호 (2011.11.01)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거동이 불편한 자들의 목욕을 보조하기 쉽도록, 일정 각도로 세우는 것이 가능하고 머리가 불편하지 않도록 머리받침이 구비되는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거동이 불편한 자가 욕조를 사용하는 도중 미끄럼을 방지하고, 간병인이 힘을 덜 들이고 거동이 불편한 자의 목욕을 보조할 수 있는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거동이 불편한 자들도 욕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이 가능하며 욕조 내부의 목욕 공간에 수월하게 진입이 가능한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저수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하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과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각도조절부재가 구비되는 받침부; 및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상기 몸체부를 경사지게 세워서 바닥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포함되고, 상기 가이드판은 사용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상체를 고정할 수 있는 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사용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면에 돌출 형성된 고무흡착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홈과 결합되는 가이드돌기가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몸체부 전면이 상기 몸체부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내측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 힌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몸체부 전면이 회전하여 상기 몸체부의 전측이 개방되어 상기 가이드판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판의 일부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 전면은 회전 가능하도록 제2 힌지부재를 구비하는 살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살수부재는, 상기 살수부재의 제1 측면에 상기 살수부재의 내부로 물을 유입시킬 수 있는 공급홀; 및 상기 살수부재의 제2 측면에 상기 공급홀을 통해 유입된 물을 살수하는 살수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 전면은 회전 가능하도록 제3 힌지부재를 구비하는 머리받침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 후면은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유닛이 구비되는 발받침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 및 상기 받침부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 형성되는 배수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 후면에 고무 마개로 개폐가능한 배수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이동을 위해 외측면에 앞바퀴와 뒷바퀴가 형성되는 바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몸체부의 하면에 구비되는 지지대가 일정 각도로 움직여 바닥을 지지함으로써, 몸체부가 바닥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질 수 있다.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자가 몸체부 내부 목욕 공간에서 물에 빠질 위험이 없고, 간병인 또한 허리를 굽힐 필요 없이 더 수월하게 목욕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 전면이 회전하여 개폐가 가능하여, 몸체부 전면이 개방된 후 가이드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가이드판이 몸체부 외부로 돌출 되었을 때 거동이 불편한 자가 가이드판에 앉은 채로 욕조 내부로 가이드판을 이동시키면, 거동이 불편한 자도 욕조 내부의 목욕 공간에 수월하게 진입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욕조에 따르면, 가이드판과 받침부는 각도조절부재를 이용하여 사이각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의 하면을 기준으로 받침부의 각도를 높이게 되면 거동이 불편한 자가 욕조 내부에 편안하게 기댈 수 있어 간병인이 수월하게 거동이 불편한 자의 목욕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의 벨트가 욕조 사용자의 상체를 고정시켜주며, 받침부의 고무흡착부재로 인하여 욕조 사용자의 미끄럼이 방지되므로, 욕조의 저수 공간에 담겨있는 물의 수위가 높더라도 거동이 불편한 자가 물에 잠길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측”, “후측”, “상측” 및 “하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며,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좌측”, “우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에서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왼쪽과 오른쪽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수평 방향”이라는 용어는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는 상태의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을 의미하고,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수직 방향”이라는 용어는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는 상태의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을 의미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10)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10)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10)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10)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10)는 몸체부(100), 가이드판(200), 받침부(300) 및 지지부(400)를 포함한다. 다만, 몇몇 실시 예에서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요소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몸체부(100)의 내부는 목욕 시에 물이 수용되는 저수 공간을 형성한다.
몸체부(100)는 장기간 사용시 부식을 막기 위하여, 스테인리스,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밖에 몸체부(100) 내의 저수 공간에 물이 수용되는 경우 목욕 환경을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미도시), 습도 센서(미도시) 등이 몸체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 표시된 좌표계를 참조하면, 몸체부 전면(110)은 몸체부(100)의 전체적인 골격 중 전측 방향, 몸체부 후면(120)은 몸체부(100)의 전체적인 골격 중 후측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는 없으나, 몸체부(100)의 측면은 몸체부(100)의 전체적인 골격 중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되어 총 두 개가 된다.
즉, 몸체부 후면(120)은 몸체부 전면(110)은 대면하도록 형성되며 몸체부(100)의 측면에 의해 연결되어 몸체부(100)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한다.
도 1에 표시된 좌표계를 참고하면, 몸체부(100)의 하면을 기준으로 몸체부 전면(110)은 제1 힌지부재(11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시된 바는 없으나, 몸체부 전면(110)의 하측에 제1 힌지부재(111)가 위치하며, 이로 인해 몸체부 전면(110)은 몸체부(100)의 하면을 기준으로 몸체부(100)의 내측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몸체부(100)의 전측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전측이 개방되는 경우, 몸체부(100)는 몸체부(100)의 전측의 주변부를 형성하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가 드러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몸체부 전면(110)이 회전하여 몸체부(100)의 전측이 개방되는 경우에 후술할 가이드판(200)이 후술할 가이드홈(131, 141) 및 가이드돌기(202)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지나치면서 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몸체부 전면(110)의 좌측과 우측 양단 및 하측은 밀봉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밀봉 부재(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이는 몸체부(100)의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경우 물이 몸체부 전면(110)과 몸체부(100)의 측면이 연결되는 틈새로 상기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 전면(110)은 살수부재(113) 및 머리받침부재(117)를 포함한다.
살수부재(113)는 몸체부 전면(110)의 내측 및 상측에 형성되며, 살수부재(113)의 내부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살수부재(113)는 부식을 방지 위하여 스테인리스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살수부재(113)는 몸체부 전면(110)의 내측에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살수부재(113)는 공급홀(114) 및 살수홀(115)을 포함한다.
공급홀(114)은 살수부재(113)의 제1 측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측면은 도 1의 좌표계를 참조하면, 살수부재(113)의 전면을 의미한다.
공급홀(114)은 살수부재(113)의 내부로 물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살수부재(113)의 상기 제1 측면에 관통 형성된다.
도시된 바는 없지만 공급홀(114)은 탄성 물질, 예를 들면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패킹부재가 마개 역할을 하여 공급홀(114)에 체결될 수 있다.
살수홀(115)는 살수부재(113)의 제2 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살수부재(113)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관통된다. 이때 상기 제2 측면은 도 1의 좌표계를 참고하면, 살수부재(113)의 후면을 의미한다. 살수홀(115)은 복수 개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살수홀(115)은 공급홀(114)을 통해 살수부재(113)로 유입된 물을 살수부재(113)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살수부재(113)의 하측에 제2 힌지부재(112)가 구비되어 몸체부 전면(110)과 연결되고, 이로 인해 살수부재(113)는 몸체부(100)의 내측을 향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후술할 지지부(400)에 의해 몸체부(100)가 경사지게 세워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10)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제1 힌지부재(111)와 연결된 몸체부 전면(110)과 제2 힌지부재(112)와 연결된 살수부재(113)를 회동시켜서 전술한 살수홀(115)에서 물이 분사되는 방향이 사용자의 머리를 향할 수 있도록 각도를 조할 수 있다.
다시 도 2의 좌표계를 참고하면, 머리받침부재(117)의 상측에 제3 힌지부재(116)가 구비되어 몸체부 전면(110)과 연결되고, 이로 인해 머리받침부재(117)는 몸체부(100)의 내측을 향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10)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가이드판(200)에 몸을 기대고 있는 사용자의 머리가 불편하지 않도록 머리받침부재(117)를 회동시켜서 몸체부 전면(110)을 기준으로 머리받침부재(117)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몸체부(100)의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131, 141)이 형성된다.
길이 방향은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고하면, 몸체부(100)의 상기 하면의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형성되는 가이드홈(131, 141)의 개수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시된 바는 없지만 1개만 배치될 수도 있고 소정 간격으로 3개 이상이 배치될 수도 있다.
가이드홈(131, 141)은 후술할 가이드판(20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몸체부 후면(120)은, 몸체부 후면(120)의 상측에 발받침부재(12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고하면 발받침부재(122)는, 발받침부재(122)의 상측에 구비된 회전 유닛(121)에 의해 몸체부 후면(120)과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다.
발받침부재(122)는 몸체부 후면(120)의 내측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좌표계를 참조할 때 발받침부재(122)의 하측이 몸체부(100)의 양 측면의 상측을 향하도록 발받침부재(122)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10) 사용자가 후술할 가이드판(200) 및 받침부(300)에 몸을 기대고 안정적으로 서있을 수 있도록 발을 발받침부재(122)에 받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고하면, 배수구(123)는 몸체부 후면(120)에 전측 방향에서 후측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도시된 바는 없으나, 배수구(123)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배수구(123)는 몸체부(100)의 하면에서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는 없으나, 배수구(123)는 탄력성 물질, 예를 들면 고무 등으로 형성된 마개가 구비되며 상기 마개는 개폐 가능하다.
배수구(123)는 몸체부(100)의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마개를 개방하여 외부로 물을 배수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몸체부(100)는 바퀴부(150)를 포함한다.
바퀴부(150)는 몸체부(100)의 양 측면의 하측에 형성된다. 바퀴부(150)는 몸체부(100)의 전측에 형성되는 앞바퀴와 몸체부(100)의 후측에 형성되는 뒷바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욕조 장치(10)를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있는 장소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는 없으나, 바퀴부(150)는 몸체부(100)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판(200)은 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몸체부(100)의 하측에 구비된다. 가이드판(200)은 사용자가 몸체부(100)에 들어가는 경우 등을 기댈 수 있
가이드판(200)은 장기간 사용시 부식을 막기 위하여 스테인리스,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판(200)의 하면에는 가이드돌기(202)가 가이드홈(131, 141)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가이드돌기(202)는 가이드홈(131, 141)과 결합되어 가이드판(200)이 도 1에 도시된 좌표계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가이드돌기(202)는 가이드홈(131, 141)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된 바는 없으나, 몸체부 전면(110)이 회전하여 몸체부(100)의 전측이 개방되는 경우, 가이드판(200)은 가이드홈(131, 141)을 따라 전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때 가이드판(200)의 일부가 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홈(131, 141)으로 인하여 가이드판(200)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가이드판(200)이 몸체부(100)의 외부로 전부 돌출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 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된 가이드판(200)에 거동이 불편한 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다. 그 후 가이드판(200)을 몸체부(100)의 내부로 이동시킴으로써 거동이 불편한자가 수월하게 몸체부(10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가이드판(200)과 후술할 받침부(300)는 각도조절부재(31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이드판(200)은 벨트(210)를 포함한다.
벨트(210)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의 양 단에 연결되어 구비되며, 사용자가 가이드판(200)에 등을 기대는 경우 사용자의 상체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가이드판(200)에서 사용자의 상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판(200)은 가이드판(20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 형성되는 배수홀(201)을 구비한다.
배수홀(201)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배수홀(201)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욕조 장치(10)를 이용하여 목욕을 할 때, 몸체부(10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가이드판(200)의 상면에 머무르는 경우 마찰력이 감소하여 사용자가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물을 가이드판(200)의 상면에 머무르지 않고 몸체부(100)의 하면으로 흘려보낼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받침부(300)는 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하측에 형성된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하체를 받침부(300)에 기대게 된다.
받침부(300)는 각도조절부재(310)를 포함하며, 가이드판(200)과 받침부(300)는 회동 가능하도록 각도조절부재(300)에 의하여 힌지 결합된다.
받침부(300)는 가이드판(200)과 마찬가지로 장기간 사용시 부식을 막기 위하여 스테인리스,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재(310)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가이드판(200)을 기준으로 받침부(300)는 일정 각도를 형성하여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몸에 맞추어 가이드판(200)과 받침부(300)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다만, 받침부(300)가 형성하는 각도는 도면에 도시된 각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받침부(300)는 받침부(300)의 상면에 고무흡착부재(320)가 돌출 형성되어 구비되며,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고무소재로 형성된다.
고무흡착부재(320)는 후술할 지지부(300)에 의하여 몸체부(100)가 지면을 기준을 일정 경사를 형성하여 세워지는 경우, 몸체부(100)의 내부에 들어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바는 없으나, 받침부(300)는 받침부(300)의 상면에 고무 소재의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드는 복수 개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드는 전술한 고무흡착부재(320)의 역할과 동일한 역할을 하여 사용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받침부(300)는 가이드판(200)과 마찬가지로 받침부(30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 형성되는 배수홀(301)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배수홀(301)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욕조 장치(10)를 이용하여 목욕을 할 때, 몸체부(10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받침부(300)의 상면에 머무르는 경우 마찰력이 감소하여 사용자가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물을 받침부(300)의 상면에 머무르게 하지 않고 몸체부(100)의 하면으로 흘려보낼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지지부(400)는 몸체부(100)의 하면에 구비된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부(400)는 몸체부(100)의 하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지지부(400)는 몸체부(100)가 경사지게 세워질 수 있도록 지지부(400)가 회동하여 지면(地面)을 지지하게 될 수 있고, 지면(地面)과 수직하게 몸체부(100)를 세워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로 인해, 거동이 불편한 자가 몸체부(100)의 내부 목욕 공간에서 물에 빠질 위험이 없고, 간병인 또한 허리를 굽힐 필요 없이 더 수월하게 목욕을 보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400)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부재(미도시), 힌지축공(미도시), 힌지축(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00)가 일정 각도를 형성하는 경우에 지지부(400)가 안정적으로 고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시된 바는 없으나, 지지부(400)는 지면(地面)과 맞닿는 일 단에 지지부(40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소재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 100: 몸체부
101: 배수홀 110: 몸체부 전면
111: 제1 힌지부재 112: 제2 힌지부재
113: 살수부재 114: 공급홀
115: 살수홀 116: 제3 힌지부재
117: 머리받침부재 120: 몸체부 후면
121: 회전 유닛 122: 발받침부재
123: 배수구 131: 가이드홈
141: 가이드홈 150: 바퀴부
200: 가이드판 201: 배수홀
202: 가이드돌기 210: 벨트
300: 받침부 301: 배수홀
310: 각도조절부재 320: 고무흡착부재
400: 지지부

Claims (9)

  1.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저수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하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과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각도조절부재가 구비되는 받침부; 및
    상기 몸체부의 몸체부 후면에 상기 몸체부를 경사지게 세워서 바닥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포함되고,
    상기 가이드판은 사용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상체를 고정할 수 있는 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사용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면에 돌출 형성된 고무흡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홈과 결합되는 가이드돌기가 하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몸체부 전면이 상기 몸체부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내측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 힌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몸체부 전면이 회전하여 상기 몸체부의 전측이 개방되어 상기 가이드판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판의 일부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전면은 회전 가능하도록 제2 힌지부재를 구비하는 살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살수부재는,
    상기 살수부재의 제1 측면에 상기 살수부재의 내부로 물을 유입시킬 수 있는 공급홀; 및
    상기 살수부재의 제2 측면에 상기 공급홀을 통해 유입된 물을 살수하는 살수홀을 더 포함하는,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전면은 회전 가능하도록 제3 힌지부재를 구비하는 머리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후면은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유닛이 구비되는 발받침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 및 상기 받침부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 형성되는 배수홀을 포함하는,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후면에 고무 마개로 개폐가능한 배수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이동을 위해 외측면에 앞바퀴와 뒷바퀴가 형성되는 바퀴부를 더 포함하는,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
KR1020200189968A 2020-12-31 2020-12-31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 KR102446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968A KR102446949B1 (ko) 2020-12-31 2020-12-31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968A KR102446949B1 (ko) 2020-12-31 2020-12-31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7017A true KR20220097017A (ko) 2022-07-07
KR102446949B1 KR102446949B1 (ko) 2022-09-26

Family

ID=8239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968A KR102446949B1 (ko) 2020-12-31 2020-12-31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94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995U (ja) * 2006-09-04 2006-11-16 勝利 今永 身体洗浄装置
JP2008136622A (ja) * 2006-11-30 2008-06-19 Yoshiaki Tsunoda ベッド型多用途介護装置
KR200456561Y1 (ko) 2009-07-03 2011-11-07 양은숙 환자용 목욕 시트
KR20120002749A (ko) * 2010-07-01 2012-01-09 (주)동해상사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욕실용 의자
KR20120005776A (ko) * 2010-07-09 2012-01-17 장인수 고압수를 이용한 전신 마사지 의자
KR20150077097A (ko) * 2013-12-27 2015-07-07 코웨이 주식회사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건식 사우나기
KR20190015065A (ko) * 2017-08-04 2019-02-13 서영철 반신욕이 가능한 샤워침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995B2 (ja) * 1991-04-08 2001-01-22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超音波吸引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995U (ja) * 2006-09-04 2006-11-16 勝利 今永 身体洗浄装置
JP2008136622A (ja) * 2006-11-30 2008-06-19 Yoshiaki Tsunoda ベッド型多用途介護装置
KR200456561Y1 (ko) 2009-07-03 2011-11-07 양은숙 환자용 목욕 시트
KR20120002749A (ko) * 2010-07-01 2012-01-09 (주)동해상사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욕실용 의자
KR20120005776A (ko) * 2010-07-09 2012-01-17 장인수 고압수를 이용한 전신 마사지 의자
KR20150077097A (ko) * 2013-12-27 2015-07-07 코웨이 주식회사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건식 사우나기
KR20190015065A (ko) * 2017-08-04 2019-02-13 서영철 반신욕이 가능한 샤워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949B1 (ko) 202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648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athing invalids
US3066316A (en) Bathtub
US444658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athing invalids
US4034424A (en) Auxiliary bathtub for invalids
US4432104A (en) Bathing equipment for the handicapped
KR102446949B1 (ko)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목욕 장치
US6067671A (en) Shower stall seat for disabled and elderly persons
GB2412582A (en) A shower and dryer
JPH11128100A (ja) 浴槽及びシステムバス
JP2001299614A (ja) 浴 槽
CA1214603A (en) Bathing equipment for the handicapped
CA1054752A (en) Auxiliary bathtub for invalids
JP2912550B2 (ja) 浴槽装置
JPH0123461Y2 (ko)
JPS6041194Y2 (ja) 浴槽
JPH0584148A (ja) 浴槽可動浴室ユニツト
JP3022876B1 (ja) 浴槽用監視ボックス及び浴槽装置
JP2001314338A (ja) 看護、普通入浴兼用浴槽。
JP3034715U (ja) 車椅子用入浴装置
JPH06158881A (ja) 浴 室
JP2021115210A (ja) バスボード
KR20160059786A (ko) 환자용 욕조
KR200353196Y1 (ko) 반신욕용 욕조
KR200237971Y1 (ko) 목욕겸용 이동식 좌변기
JPH033532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