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109Y1 - 제품용기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제품용기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109Y1
KR200456109Y1 KR2020090009079U KR20090009079U KR200456109Y1 KR 200456109 Y1 KR200456109 Y1 KR 200456109Y1 KR 2020090009079 U KR2020090009079 U KR 2020090009079U KR 20090009079 U KR20090009079 U KR 20090009079U KR 200456109 Y1 KR200456109 Y1 KR 200456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ontainer
arm
tray
storage box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615U (ko
Inventor
장진원
장덕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90009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10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6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6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1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5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8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having finge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6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품용기가 반출되는 제품용기 반출부에 제품용기가 대기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품용기를 동시에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제품용기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조성물, 제품용기, 이송, 접촉센서

Description

제품용기 이송장치{Transporting Device for Receptacle}
본 고안은 제품용기가 반출되는 제품용기 반출부에 제품용기가 대기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품용기를 동시에 운반할 수 있는 제품용기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제품용기가 반출되는 제품용기 반출부에 제품용기가 대기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품용기를 동시에 운반할 수 있는 제품용기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을 비롯한 액체 또는 분말형태의 조성물은 이를 담는 제품용기가 필요하고, 통상적으로 상기 제품용기는 자동화된 이송장치에 의해 공급라인에서 반출라인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품용기는 컨베이어와 같은 공급라인으로 하나씩 공급되기도 하나, 수납상자에 다수의 제품용기가 담긴 채로 공급라인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송장치는 상기 수납상자에 수납된 제품용기를 하나 또는 복수 개씩 집어 상기 반출라인으로 이송하게 된다.
그러나, 수납상자의 이송과정에서 수납상지의 바닥면이 수평을 유지하지 못 하게 되면 상기 수납상자에 수납된 제품용기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게 된다. 수납상자에 수납된 제품용기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면 상기 이송장치가 수납상자 내부의 제품용기를 집을 수 없거나, 집는 과정에서 장치 또는 제품용기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종래 이송장치는 제품용기가 반출되는 반출부에 반출되지 못한 제품용기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 반출부에 제품용기가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품용기가 반출될 때까지 대기하여야 함에도 반출라인에 계속 제품용기를 공급하여 생산에 차질 및 설비의 고장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제품용기가 반출되는 제품용기 반출부에 제품용기가 대기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품용기를 동시에 운반할 수 있는 제품용기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품용기 수납상자 내부에 수납된 상기 제품용기를 집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암, 상기 암을 상기 제품용기 수납상자와 제품용기의 반출을 위한 트레이가 공급되는 제품용기 반출부 사이에서 왕복운동시키는 암 이송부, 및, 상기 제품용기 반출부의 트레이에 제품용기가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제품용기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암은 상기 제품용기의 외주면 방향으로 진퇴 운동하여 상기 제품용기를 집는 핑거와, 상기 핑거를 상기 제품용기의 상부에서 승강 운동시키는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은 상기 핑거가 지지되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샤프트가 연결되는 상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판과 상부판 사이에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상기 상부판에 구비되는 상부센서와, 상기 하부판에 구비되되 상기 상부센서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하부센서로 구비되는 접촉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센서와 하부센서가 접촉한 경우 경고음 또는 경고등을 작동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제품용기 이송장치에 의하면, 제품용기가 반출되는 제품용기 반출부에 제품용기가 대기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품용기를 동시에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용기의 유무에 따라 제품용기의 이송을 속행 또는 중단할 수 있으므로, 제품용기 이송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류에 따라 이송과정을 수행하므로 제품용기 또는 이송설비가 파손 또는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제품용기 수납상자 이송장치(100)에 의하여 이송된 제품용기 수납상자(120)에 수납된 제품용기(10)를 본 고안에 따른 제품용기 이송장치(500)가 이송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하며, 도 2는 상기 제품용기 수납상자(120)에 수납된 마지막 제품용기들이 이송된 상태를 도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제품용기 이송장치(500)에 의하여 이송되는 제품용기가 수납된 수납상자를 자동으로 이송하는 제품용기 수납상자 이송장치(100)의 간단한 작동과정을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제품용기 이송장치(500)는 수납상자(120)가 공급되는 제품용기 수납상자 이송장치(100)에서 제품용기(10)가 수용되는 트레이(330)가 공급되는 제품용기 반출부(300)로 제품용기를 이송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제품용기 이송장치(500)는 제품용기 수납상자 내부에 수납된 상기 제품용기를 집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암(570), 상기 암(570)을 상기 제품용기 수납상자(120)와 제품용기의 반출을 위한 트레이(330)가 공급되는 제품용기 반출부(300) 사이에서 왕복운동시키는 암 이송부(530) 및, 상기 제품용기 반출부의 트레이에 제품용기가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575)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암(570)은 총 4개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된다. 따라서, 상기 제품용기 이송장치(500)이 1회 왕복하면 총 4개의 제품용기가 이송된다. 상기 암(570)의 개수는 제품용기의 특성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품용기 수납상자 이송장치(100)는 본 고안에 따른 제품용기 이송장치(500)의 하부로 제품용기(10)가 수납된 수납상자(120)를 공급한다.
상기 제품용기 수납상자 이송장치(100)는 수납상자(120)를 이동시키는 수납상자 컨베어어(110)와, 상기 수납상자(120)의 외주면 상단을 결속하는 수납상자 고정암(170)과, 상기 수납상자 고정암을 지지하는 고정암 지지판(151, 153)과, 상기 고정암 지지판을 수납상자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고정암 이송 판(130)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상자(120)는 내부에 제품용기(10)가 적재되어 후술할 암(570)의 하부에 공급된다.
상기 수납상자(120)의 길이방향 외주면 양단에는 수납상자를 결속하는 제1고정암 지지판(151)과 제2고정암 지지판(153)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제2고정암 지지판(151, 153)은 각각 가이드부재(1511, 15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고정암 지지판(151, 153)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암 지지판들이 상기 수납상자의 외주면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지지판레일(160)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고정암 지지판(151, 153)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수납상자 고정암(170)이 지지된다.
상기 수납상자 고정암(170)은 상기 수납상자의 외주면 상단으로 진퇴운동 가능한 가압부(171)가 구비된다.
따라서, 각 고정암 지지판(151, 153)은 상기 가압부(171)가 상기 수납상자의 외주면 상단에서 분리된 뒤 상기 지지판 레일(160)을 따라 수납상자(120)의 외주면에서 분리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판 레일(16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암 지지판(151, 153)을 수납상자 컨베이어(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고정암 이송판(13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암 이송판(130)은 이송판 레일(140)을 따라 상기 수납상자(120)에 인접한 수납상자로 수납상자 고정암(17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는 상기 제품용기 수납상자에 수납된 마지막 제품용기들이 이송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상기 제품용기 반출부(3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품용기 반출부(300)는 상기 수납상자 컨베이어(11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어 트레이(330)를 이송하는 트레이 컨베이어(310)와, 상기 트레이(330)를 소정위치에 대기시키기 위한 스토퍼(350)을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330)는 제품용기(10)가 수납되는 구성으로 제품용기가 수용되는 수용홈(331)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수납상자(120)에 수납되어 공급되는 제품용기(10)는 상기 암(570)에 의해 트레이 컨베이어(310) 상부로 이송된 뒤 상기 트레이의 수용홈(331)에 제품용기(10)를 투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의 내주면은 상기 제품용기(10)가 트레이(330)의 수용홈(331)에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트레이(330)는 상기 트레이 컨베이어(310)를 따라 이동하여 후술할 암(570)의 핑거(5731, 5733) 하부로 공급되나 상기 스토퍼(350)에 의해 소정시간 대기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350)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스토퍼(351)와 제2스토퍼(353)로 구비된다.
상기 제1스토퍼(351)는 진퇴운동하는 샤프트(3511)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3511)가 상기 트레이(330) 방향으로 전진하면 상기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 컨베 이어 상에서 소정시간 대기하게 된다.
한편, 제품용기(10)가 트레이(330)에 투입되고 나면 상기 제1스토퍼(351)의 샤프트(3511)는 퇴진하고, 제품용기가 수용된 트레이(330)는 트레이 컨베이어(310)를 따라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스토퍼(353)의 샤프트(3531)는 트레이(330) 방향으로 전진운동하여 상기 제품용기(10)가 수용된 트레이(330)만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게 한다.
이후, 제품용기(10)가 수용된 트레이(330)가 제품용기 이송장치(500)를 모두 빠져 나가면 제2스토퍼의 샤프트(3531)는 퇴진하면서 새로운 트레이(330)를 제품용기 이송장치(500)의 하부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품용기 이송장치(500)는 수납상자(120)에 담긴 제품용기(10)를 상기 트레이(330)의 수용홈(331)에 공급하는 장치로, 수납상자 컨베이어(110)와 트레이 컨베이어(310) 상부에 구비되는 베이스(510)와, 상기 베이스(510)를 따라 이동하는 암 이송부(530)와, 상기 암 이송부를 따라 수직이동하는 수직이송부(550) 및 상기 수직이송부(550)에 구비되어 수납상자(120)에서 제품용기(10)를 집거나 트레이(330)에 제품용기(10)를 투입하는 암(570)을 포함한다.
상기 암(570)은 상기 수직이송부(55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상기 암 이송부(530)에 의해 상기 수납상자 컨베이어(110)에서 트레이 컨베이어(310)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암 이송부(530)은 상기 베이스(510)에 지지되고, 상기 베이 스(510)는 수납상자 컨베이어(110)와 트레이 컨베이어(310) 사이에 구비되는 기둥(B)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암(570)은 상기 수직이송부(550)의 하방으로 진퇴운동하는 샤프트(5711)를 수용하는 샤프트수용부(571)와, 상기 샤프트(5711)에 연결되는 상부판(572)과, 상기 상부판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부판(573)과, 상기 상부판(572)과 하부판(573)을 이어주는 연결축(574)과,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구비되는 센서(575)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5711)는 샤프트수용부(571)의 내부로 진퇴운동가능하고, 상기 상부판(572)은 샤프트(571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부판(572)에 연결축(574)로 연결된 하부판(573)은 상기 샤프트(5711)의 진퇴운동을 따라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품용기 이송장치의 제품용기 이송장치의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하부판(573)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하부판(573)은 상기 상부판(572)에 연결축(574)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하부판(573)의 말단에는 중심방향으로 진퇴운동하는 제1핑거(5731)와 제2핑거 (5733)가 구비된다.
상기 제1핑거(5731)와 제2핑거(5733)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면 제품용기(10)를 집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판(573)은 연결축(574)을 통해 상기 상부판(572) 방향으로 소정거리 유동이 가능하고, 상기 연결축(574)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5741)가 구비 되어 상기 하부판(573)이 상부판(572) 방향으로 가압되더라도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상부판에는 상부센서(5751)와 하부판에 구비되는 하부센서(5773)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센서(5751)와 하부센서(5753)을 포함하는 센서(575)는 상기 하부판(573)이 상기 상부판(572) 방향으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상부센서(5751)와 하부센서(5753)는 상기 하부판(573)이 상부판(572)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촉되어 제어부(미도시)에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하부판(573)의 이동을 제어부가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제품용기 이송장치(500)의 암에 구비된 센서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이하에서는 센서의 역할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트레이 컨베이어(310)에 대기 중인 트레이(330)에 제품용기(10)가 수용되어 있으면, 상기 제품용기 이송장치(500)의 핑거에 결속된 제품용기는 트레이(330)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 트레이에 수용된 제품용기에 의해 가압되게 된다.
한편, 상기 핑거가 지지되는 하부판(573)은 상부판(57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부센서(5751)와 하부센서(5753)가 접촉하게 되므로 제어부(미도시)는 트레이에 제품용기가 수용되어 있음을 알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제품용기 이송장치(500)에 경고음 또는 경고등을 포함하는 알람부(미도시)를 더 구비시킨다면 상기 상부센서(5751)와 하부센서(5753)가 접촉한 경우 사용자에게 생산라인에서 발생한 오류를 알려주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제품용기 이송장치에 의하면, 제품용기가 반출되는 제품용기 반출부에 제품용기가 대기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품용기를 동시에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용기의 유무에 따라 제품용기의 이송을 속행 또는 중단할 수 있으므로, 제품용기 이송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류에 따라 이송과정을 수행하므로 제품용기 또는 이송설비가 파손 또는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제조공정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도 1은 제품용기를 수납하는 수납상자를 이송하는 제품용기 수납상자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된 제품용기 수납상자에 수납된 제품용기를 본 고안에 따른 제품용기 이송장치가 이송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2는 상기 제품용기 수납상자에 수납된 마지막 제품용기들이 이송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품용기 이송장치의 제품용기 이송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는 제품용기 이송장치의 암에 구비된 센서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제품용기 수납상자 이송장치 10 : 수납상자 컨베이어
120 : 수납상자 130 : 고정암 이송판
140 : 이송판 레일 150 : 고정암 지지판
151 : 제1지지판 153 : 제2지지판
160 : 지지판 레일 170 : 수납상자 고정암
171 : 가압부 300 : 제품용기 반출부
310 : 홀더 컨베이어 330 : 홀더
331 : 수용홈 350 : 스토퍼
351 : 제1스토퍼 353 : 제2스토퍼
500 : 제품용기 이송장치 510 : 베이스
530 : 암이송부 550 : 수직 이송부
570 : 암 571 : 샤프트수용부
5711 : 샤프트 572 : 상부판
573 : 하부판 5731 : 핑거
5733 : 핑거 574 : 연결축
5741 : 탄성부재 575 : 센서
5751 : 상부센서 5753 : 하부센서

Claims (5)

  1. 제품용기 수납상자의 수납된 제품용기를 집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암;
    상기 암이 상기 제품용기 수납상자의 제품용기를 집을 수 있는 위치와 집은 제품용기를 놓아 반출시킬 수 있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게 하는 암 이송부;
    상기 암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제품용기를 받아 이송하기 위한 트레이 컨베이어;
    상기 제품용기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트레이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이송구간 상에 서로 이격 설치되어 둘 간에 위치하는 제품용기의 이송을 교대로 허용하는 한 쌍의 스토퍼;
    상기 암에 설치되는 상부센서와 하부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센서와 하부센서가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트레이의 제품용기 수용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제품용기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제품용기의 외주면 방향으로 진퇴 운동하여 상기 제품용기를 집는 핑거와, 상기 핑거를 상기 제품용기의 상부에서 승강 운동시키는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용기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핑거가 지지되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샤프트가 연결되는 상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판과 상부판 사이에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용기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수용홈 내면은 상기 제품용기의 투입을 위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용기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센서와 하부센서가 접촉한 경우 경고음 또는 경고등을 작동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용기 이송장치.
KR2020090009079U 2009-07-13 2009-07-13 제품용기 이송장치 KR200456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079U KR200456109Y1 (ko) 2009-07-13 2009-07-13 제품용기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079U KR200456109Y1 (ko) 2009-07-13 2009-07-13 제품용기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615U KR20110000615U (ko) 2011-01-20
KR200456109Y1 true KR200456109Y1 (ko) 2011-10-13

Family

ID=4420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079U KR200456109Y1 (ko) 2009-07-13 2009-07-13 제품용기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1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615U (ko)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4038B2 (en) Pouch collection robot system and method for the assembly and collection of non-filled spouted pouches
CN107792589B (zh) 物品装载设备
US20220097884A1 (en) Feeding Method and Apparatus
JP2982643B2 (ja) 袋自動解荷供給方法並びにその装置、及び該装置で使用される袋輸送コンテナ、解束装置、トレー
US11753207B2 (en) Combination for transporting spacers for cigarette packs
EP0359299B1 (en) An automatic supply and loading device for sheet items
KR200456109Y1 (ko) 제품용기 이송장치
JP2013539445A (ja) 高速貯蔵装置
CN111655583A (zh) 蛋包装的移载装置
JP2017088193A (ja) 容器供給装置
US20230264841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Packaging Units, and Manipulator Unit
KR200454534Y1 (ko) 제품용기 수납상자 이송장치
CN213862869U (zh) 一种射孔弹喷码入内托包装装置
EP2676885B1 (en)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rod-shaped articles
JPH0822698B2 (ja) びん用積降し装置
JP2017065912A (ja) 物品収容システム
JP6689714B2 (ja) 容器処理装置
JP2021104885A (ja) 搬送装置
JP7293751B2 (ja) 搬送装置
KR20020062412A (ko) 제품용기 자동수납장치
JP2003192130A (ja) 部品搬送収納方法及びその装置
CN209939110U (zh) 包装盒进料设备
JP6275974B2 (ja) 製品充填装置
JP2022115521A (ja) 物品処理装置
JPH08169543A (ja) 箱の段積格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