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500Y1 - 도넛 글레이징 장치 - Google Patents

도넛 글레이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500Y1
KR200455500Y1 KR2020090004099U KR20090004099U KR200455500Y1 KR 200455500 Y1 KR200455500 Y1 KR 200455500Y1 KR 2020090004099 U KR2020090004099 U KR 2020090004099U KR 20090004099 U KR20090004099 U KR 20090004099U KR 200455500 Y1 KR200455500 Y1 KR 2004555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nut
glaze
wire shelf
heating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0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161U (ko
Inventor
장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상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상천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상천하
Priority to KR2020090004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500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1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1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5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5/00Apparatus for handling baked articles
    • A21C15/002Apparatus f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or sweeping or coating the surface of baked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60Deep-fried products, e.g. doughnu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넛컨디셔너, 임시수납부를 구비함으로써 갓 글레이징 처리된 도넛의 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열장치에서 공급되는 온풍의 외부배출을 방지하는 배출방지턱을 가지는 송풍팬을 구비함으로써 온풍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온풍을 재순환시켜 가열 효율 및 장치의 에너지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도넛 글레이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넛 글레이징 장치는 상면에 다수 개의 도넛이 배치된 와이어 선반이 안착되어 상기 와이어 선반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 선반의 폭과 대응되어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이송수단으로 구비된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 일측에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이송장치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와이어 선반 상의 도넛에 온풍을 접촉시켜 도넛을 적정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장치; 상기 가열장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열장치를 통하여 적정온도로 가열된 도넛의 표면에 글레이즈를 고르게 도포시키는 글레이즈 도포장치; 상기 글레이즈 도포장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와이어 선반이 배출되는 배출선반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 선반을 다수 개 수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 선반의 폭방향 양측과 대응되는 수납 브래킷을 가지는 임시수납부; 그리고 상기 임시수납부 또는 이송장치에 공급할 도넛을 수납하여 일정온도 상태로 유지시키며, 상기 이송장치의 하부에 배치되는 도넛 컨디셔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넛, 글레이즈, 도포

Description

도넛 글레이징 장치{Apparatus for glazing doughnut}
본 고안은 도넛 글레이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넛컨디셔너, 임시수납부를 구비함으로써 갓 글레이징 처리된 도넛의 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열장치에서 공급되는 온풍의 외부배출을 방지하는 배출방지턱을 구비함으로써 온풍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온풍을 재순환시켜 가열 효율 및 장치의 에너지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도넛 글레이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넛(doughnut)은 소맥분에 설탕, 버터 등을 혼합하고 기름으로 튀기거나 오븐에 구워 만든 식품으로, 이러한 도넛은 도넛 전문 체인매장이나 슈퍼마켓, 편의점 등에서 판매되고 있다.
상세히, 도넛은 소맥분에 설탕, 버터 등을 혼합뿐만 아니라 밀, 보리, 호밀, 옥수수 등의 곡식 가루에 소금, 설탕, 버터, 이스트(yeast) 등을 배합하여 만든 도우(dough:가루반죽)를 일정온도로 부풀린 다음 화로나 오븐 등을 이용하여 튀겨내거나 구워서 만들어진다.
상기와 같은 도넛은 아시아 국가에서는 과자의 일종으로 간식이나 때로는 끼 니로 대신하기도 하며, 특히 미국에서는 아침 식사 대신 하는 사람도 많다.
또한, 도넛은 통상 전술한 바와 같은 반죽, 발효 단계 등을 거친 도우(dough:가루반죽)를 기름에 튀겨내어 만들며, 도넛 속에 딸기, 스트로베리 등의 다양한 잼을 넣어 만들기도 한다.
더욱이, 기름에 튀겨진 도넛의 표면에 슈거 파우더를 입히거나, 설탕, 쵸콜릿, 캬라멜 등을 도넛의 표면에 도포하여 굳혀서 만들기도 하며, 이러한 도넛을 글레이즈드 도넛(glazed doughnut)이라고 한다.
여기서, 상기 글레이즈드 도넛(glazed doughnut)은 기름에 튀겨진 도넛에 각종 글레이즈를 도포하여 만드는 것으로 도넛 글레이징 장치를 통하여 도넛 전문 매장이나 도넛 제조공장 등에서 만들어지고 있다.
이때, 소규모의 도넛 프랜차이즈 매장에서는 매장의 규모를 감안하여 컴팩트한 도넛 글레이징 장치가 요구되며, 구매자가 갓 제조된 도넛을 즉석에서 주문하여 먹을 수 있도록 도넛 공급 및 제조 효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소규모의 매장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도넛 글레이징 장치는 단순하게 튀겨진 도넛을 공급하여 도넛 표면에 글레이즈를 도포하는 장치가 사용되었다.
상세히, 발효처리된 반죽을 1차적으로 도넛을 기름에 튀겨낸 다음, 튀겨진 도넛을 와이어 선반 등에 다수 개 배치하며, 이러한 와이어 선반을 도넛 글레이징 장치에 공급시키는 작업에 의해 공급되는 도넛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며 도넛 표면에 글레이즈를 도포하였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선반에 도넛을 배치하는 작업과, 와이어 선반을 도넛 글레이징 장치에 공급시키는 작업은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도넛이 배치된 와이어 선반을 도넛 글레이징 장치에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없으며, 글레이즈드 도넛의 제조의 효율이 떨어지고, 갓 제조된 글레이즈드 도넛을 구매자가 즉석에서 구매하여 먹을 수 있도록 구매자에게로 즉석 공급의 구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글레이징 장치는 작업자에 의해 공급된 와이어 선반 상에 배치된 도넛을 가열하는 가열장치에서 도넛에 글레이즈를 도포하기 위하여 도넛을 가열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온풍이 외부로 배출되어 장치의 에너지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넛컨디셔너, 임시수납부를 구비함으로써 글레이즈 도포를 위한 도넛을 임시적으로 수납하여 매장 등에서 갓 글레이징된 도넛의 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도넛 글레이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열장치에서 공급되는 온풍의 외부배출을 방지하는 배출방지턱을 구비함으로써 글레이즈 도포를 위한 도넛의 가열장치에서 온풍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온풍을 재순환시켜 가열 효율 및 에너지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과열방지 팬을 가지는 송풍팬을 구비함으로써 가열장치에서 온풍을 순환시키는 송풍팬의 장시간 사용시 발생되는 과열현상 및 과열현상으로 인한 장치의 정지, 오작동, 고장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송풍팬의 내구성을 증대시켜 장시간 사용에도 안정적으로 온풍순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넛 글레이징 장치는 상면에 다수 개의 도넛이 배치된 와이어 선반이 안착되어 상기 와이어 선반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 선반의 폭과 대응되어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이송수단으로 구비된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 일측에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이송장치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와이어 선반 상의 도넛에 온풍을 접촉시켜 도넛을 적정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장치; 상기 가열장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열장치를 통하여 적정온도로 가열된 도넛의 표면에 글레이즈를 고르게 도포시키는 글레이즈 도포장치; 상기 글레이즈 도포장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와이어 선반이 배출되는 배출선반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 선반을 다수 개 수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 선반의 폭방향 양측과 대응되는 수납 브래킷을 가지는 임시수납부; 그리고 상기 임시수납부 또는 이송장치에 공급할 도넛을 수납하여 일정온도 상태로 유지시키며, 상기 이송장치의 하부에 배치되는 도넛 컨디셔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열장치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장치를 통한 제품공급속도와, 상기 가열장치에서의 가열온도 및 상기 글레이즈 도포장치에서의 글레이즈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 가열장치 및 글레이즈 도포장치는 설치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임시수납부는 상기 글레이즈 도포장치 일측에 구비된 배출선반의 하부에 상기 설치대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글레이즈 도포장치는 상기 가열장치를 통과한 도넛의 표면에 글레이즈가 도포될 수 있도록 글레이즈에 유동압력을 전달하여 일정량의 글레이즈를 공급시키는 공급펌프와, 상기 공급펌프의 일단에 연결되어 글레이즈를 상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라인과, 상기 공급라인을 통하여 공급된 글레이즈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경사면을 따라 상기 와이어 선반의 폭 방향과 대응되어 고르게 분배시키는 분배 기와, 상기 분배기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배기를 통하여 분배된 글레이즈가 상기 와이어 선반 상의 도넛에 도포되고 남은 잔여 글레이즈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저장조와, 그리고 일단이 상기 저장조 바닥과 연통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공급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저장조에 수집 저장된 글레이즈를 상기 공급라인 측으로 재공급시키는 재공급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와이어 선반 상의 도넛에 온풍을 공급시키는 공급덕트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외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방열커버와, 상기 와이어 선반 상의 도넛 측으로 온풍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급덕트 상부 내측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시즈히터와,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공급덕트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덕트 측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급덕트는 상기 시즈히터가 구비되는 내측 상부의 바닥면에 다수 개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상기 유입공과 대응되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하부 양측에는 상기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된 온풍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출방지턱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송풍팬은 상기 공급덕트 측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메인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의 과열을 방지하는 과열방지 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도넛 글레이징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넛컨디셔너 및 임시수납부를 구비함으로써 튀겨진 도넛을 적정수분을 유지시키면서 일정기간 동안 냉동 및 냉장보관이 가능하며, 요구되는 도넛의 양만큼 임시 수납하여 도넛 글레이징 장치에 글레이즈드 도넛 제조를 위한 도넛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공급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넛 글레이징 장치에 도넛 공급효율이 증대됨으로써 글레이즈드 도넛의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갓 제조된 글레이즈드 도넛을 구매자에게 즉석 판매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배출방지턱을 갖는 가열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냉동/냉장보관되거나 상온의 도넛에 글레이즈를 도포하기 위한 도넛 가열장치에서 도넛에 공급되는 온풍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배출방지턱에 의해 온풍이 공급덕트 측으로 안내되어 발생된 온풍이 재가열되어 순환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열효율 및 에너지 효율이 현저히 증대될 수 있다.
셋째, 과열방지 팬을 가지는 송풍팬을 구비함으로써 가열장치의 장시간 작동이 요구됨에 따른 장시간 사용에 의해 송풍팬이 과열되어 발생하는 가열장치의 오작동 및 고장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송풍팬의 내구성이 증대되어 장시간 사용에도 안정적으로 온풍순환이 이루어지며, 가열장치의 원활한 구동이 구현될 수 있다.
넷째, 방열커버를 가지는 가열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가열장치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한 작업자의 화상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안전한 작업환경이 구현됨에 따라 글레이즈드 도넛 제조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넛 글레이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넛 글레이징 장치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넛 글레이징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넛 글레이징 장치에서 와이어 선반이 이송되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넛 글레이징 장치에서 가열장치의 온풍순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넛 글레이징 장치에서 가열장치의 요부인 송풍팬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넛 글레이징 장치에서 글레이즈 도포장치의 글레이즈 공급 및 재공급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넛 글레이징 장치는 이송장치(100), 가열장치(200), 글레이즈 도포장치(300), 임시수납부(500), 그리고 도넛 컨디셔너(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송장치(100)는 상면에 다수 개의 도넛이 배치된 와이어 선 반(900)이 안착되어 상기 와이어 선반(900)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 선반(900)의 폭과 대응되어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이송수단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은 소정의 이송길이를 가지는 이송체인(110)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한 쌍의 이송체인(110)은 상기 와이어 선반(90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체인(110)을 순환시키는 각각의 구동기어(130)가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연동축(150)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동축(150)은 상기 구동기어(130) 일측으로 연장형성되어 구동모터(155)가 연결되며, 이러한 상기 구동모터(155)는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며, 선택적으로 구동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열장치(200)는 상기 이송장치(100)에 의해 이송되는 와이어 선반(900) 상의 도넛에 온풍을 접촉시켜 도넛을 글레이즈 도포의 적정온도로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장치(100) 일측에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이송장치(100)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가열장치(200)는 케이스(210), 방열커버(240), 시즈히터(230), 그리고 송풍팬(2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10)는 상기 이송장치(100)를 통해 이송되는 와이어 선반(900) 상의 도넛에 온풍을 공급시키는 공급덕트(220)를 가지며, 상기 이송장치(100)의 일측에 이격되어 둘러싸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열커버(240)는 상기 케이스(2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케 이스(210) 외면과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210)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열커버(240)는 상기 케이스(210) 상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210)의 상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210)의 상기 이송장치(100) 좌우방향 양 측면과도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210)의 상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열커버(240)는 상기 케이스(210) 표면에 발생하는 열기가 외부공기와 원활히 접촉되어 냉각될 수 있도록 커버 표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의 통공(24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방열커버(240)를 구비함으로써 가열장치(200)로부터 작업자의 화상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안전한 작업환경을 구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덕트(220)는 상기 이송장치(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덕트(221)와, 상기 상부덕트(221)와 대응되어 상기 이송장치(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덕트(225) 및 상기 이송장치(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부덕트(221)와 하부덕트(225)를 연결하는 연결덕트(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덕트(221)의 내부공간에 상기 이송장치(100) 측으로 온풍이 공급될 수 있도록 시즈히터(230)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턱트(221)의 바닥면에는 유입공(2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덕트(225)는 상기 상부턱트(221)를 통하여 유입된 온풍이 상기 이송장치(100) 상에서 이송되는 도넛에 열을 전달한 후,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연결덕트(223) 측으로 유입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바닥부에 상기 유입공(222)과 대응되는 배출공(22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턱트(225)가 내측 하부에 구비된 상기 가열장치(200)의 케이스(210)는 상기 이송장치(100) 진행방향 전방 및 후방 측에 배출방지턱(211)을 가지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턱트(225)는 상기 배출공(226) 하부 공간이 상기 이송장치(100)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이송장치(100)의 진행방향으로는 밀폐되어 상기 배출공(226)을 통과한 온풍이 상기 연결덕트(223) 측으로 직접 유입되거나, 상기 배출방지턱(211)에 안내되어 상기 연결덕트(223) 측으로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공(226) 하부공간에는 상기 이송장치(100) 상에 이송되는 도넛의 원활한 가열을 위하여 제2 시즈히터(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방지턱(211)에 의해 상기 상부턱트(221)로부터 공급된 온풍이 상기 하부덕트(225)의 배출공(226)을 거쳐 상기 연결덕트(223) 측으로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배출방지턱(211)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상부턱트(221)로부터 공급된 온풍이 상기 하부덕트(225)의 배출공(226)이 형성된 상면부에 부딪쳐 분산되는 온풍을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막아줄 수 있으며, 상기 연결덕트(223) 측으로 원활하게 안내하여 상기 가열장치(200)의 가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열장치(200)가 상기 상부덕트(221), 하부덕트(225) 및 연결덕트(223)로 이루어진 공급덕트(220)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덕트(225)에 배출방지턱(211)이 형성됨으로써 도넛을 가열하는 온풍이 순환시스템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급되는 온풍의 외부배출을 방지하여 에너지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장치(200)의 하부덕트(225) 일측에는 송풍팬(290)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덕트(223)를 통하여 상기 상부덕트(221) 측으로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송풍팬(29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상부덕트(221)로부터 상기 이송장치(100) 상의 도넛 측으로 유입된 온풍이 상기 하부덕트(225)를 거쳐 상기 연결덕트(223)를 통하여 다시 상기 상부덕트(221) 측으로 순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풍팬(290)은 상기 상부덕트(221) 측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메인 송풍팬(293)과, 상기 메인 송풍팬(293)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91)의 과열을 방지하는 과열방지 팬(29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송풍팬(290)이 상기 과열방지 팬(295)을 가지고 구비됨으로써 상기 송풍팬(290)의 내구성이 증대되어 상기 가열장치(200)의 장시간 구동시에도 안정적인 온풍의 순환이 가능하며, 상기 가열장치(200)의 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과열방지 팬(295)을 가지는 송풍팬(29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열장치(200)의 장시간 작동이 요구됨에 따른 장시간 사용에 의해 상기 송풍팬(290)이 과열에 의해 상기 가열장치(200)의 오작동 및 고장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송풍팬(290)의 내구성이 증대되어 장시간 사용에도 안정적으로 온풍순환이 이루어지며, 상기 가열장치(200)의 원활한 구동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글레이즈 도포장치(300)는 상기 가열장치(200)를 통하여 글레이즈가 도포될 수 있는 적정온도로 가열된 도넛의 표면에 글레이즈를 고르게 도포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열장치(200) 일단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글레이즈 도포장치(300)는 공급펌프(330), 공급라인(340), 분배기(350), 저장조(310), 그리고 재공급라인(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공급펌프(330)는 상기 가열장치(200)를 통과한 도넛의 표면에 글레이즈가 도포될 수 있도록 글레이즈에 유동압력을 전달하여 일정량의 글레이즈를 공급시키며, 일측에 상기 공급라인(340)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재공급라인(320)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배기(350)는 상기 공급라인(340)을 통하여 공급된 글레이즈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경사면(353)을 따라 상기 와이어 선반(900)의 폭방향과 대응되어 고르게 분배시킨다.
이때, 상기 분배기(350)는 상기 경사면(353)이 상기 와이어 선반(900)의 폭방향과 대응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사면(353)을 따라 글레이즈가 흘러내려 고르게 분배될 수 있도록 글레이즈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임시저장조(310)로부터 상기 경사면(353) 측으로 글레이즈가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조(310)는 상기 분배기(350)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배 기(350)를 통하여 분배된 글레이즈가 상기 와이어 선반 상의 도넛에 도포되고 남은 잔여 글레이즈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조(310)는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분배기(350)를 통하여 분배되어 도넛에 도포된 후 남은 잔여 글레이즈를 수집할 수 있으며, 바닥면이 상기 재공급라인(320)과 연통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저장조(310)에 저장된 글레이즈는 상기 재공급라인(320)을 통하여 상기 재공급라인 일단에 연결된 공급펌프(330)에 의해 상기 공급라인(340)을 거쳐 상기 분배기(350) 측으로 글레이즈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재공급라인(320)은 일단이 상기 저장조 바닥면과 연통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공급펌프(330)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저장조(310)에 수집, 저장된 글레이즈를 상기 공급라인 측으로 재공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글레이즈 도포장치(300)는 최초 글레이즈를 분배기(350) 측으로 공급하여 가열장치(200)를 통과한 도넛의 표면에 글레이즈를 도포하고, 도포 후 잔여 글레이즈를 상기 저장조(310)를 통하여 수집, 저장하여 상기 재공급라인(320)을 통하여 재공급시킴으로써 잔여 글레이즈의 수집 및 재공급이 가능하여 도넛의 글레이즈 도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임시수납부(500)는 상기 글레이즈 도포장치(300)를 거쳐 상기 와이어 선반(900)이 배출되는 배출선반(4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 선반(900)을 다수 개 수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 선반(900)의 폭 방향과 대응되는 수납 브래킷(510)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임시수납부(500)는 상기 배출선반(400)의 하부에 설치대(80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설치대(800)는 상기 이송장치(100), 가열장치(200) 및 글레이즈 도포장치(300)가 상부에 설치되고, 장치 전체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설치대(800)의 하단에는 복수 개의 이동바퀴(8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출선반(400)은 상기 이송장치(100), 가열장치(200) 및 글레이즈 도포장치(300)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상기 와이어 선반(900)이 안정적으로 배출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이송롤러(410) 및 안착 받침대(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롤러(410)는 상기 이송장치(100)의 가열장치(200) 측에 구비된 한 쌍의 구동기어(130)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구비된 구동휠(170)과 대응되는 연동휠(47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 선반(900)을 상기 안착 받침대(460) 측으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410)는 연동휠(470)과 축(450) 상으로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 선반(900)의 폭과 대응되어 상기 와이어 선반(900)의 배출을 안내한다.
또한, 상기 안착 받침대(460)는 상기 와이어 선반(900)이 이송력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와이어 선반(900)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 예컨대 인체에 무해한 천연고무나 합성수지재질 등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휠(170)과 벨트(171)로 연결된 연동휠(470)의 일측에 축(450) 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이송롤러(410)에 의해 상기 와이어 선반(900)이 일방향으로 안내되어 상기 안착 받침대(46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배출선 반(400) 상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임시수납부(500)는 상기 이송장치(100)에 공급할 도넛이 다수 개 배치된 상기 와이어 선반(900)을 복수 개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대(80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임시수납부(500)는 상기 배출선반(4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설치대(800)의 한 쌍의 수직프레임(830)에 상기 와이어 선반(900)의 폭 방향 양측과 대응되는 한 쌍의 수납브래킷(510)으로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수납브래킷(510)이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도넛 컨디셔너(600)는 상기 임시수납부(500)에 임시로 수납하거나, 상기 이송장치에 공급할 상면에 다수 개의 도넛이 배치되는 와이어 선반(900)을 복수 개 수납하여 일정온도 상태로 유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도넛 컨디셔너(600)는 도넛의 수분이 공기 중에 방출되어 도넛의 맛이나 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냉동 및 냉장 보관이 가능하며, 도넛 글레이징 장치에 공급되기 전에 튀겨진 도넛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 선반(900)이 층층이 수납되는 수납공간(610)을 가진다.
이때, 상기 도넛 컨디셔너(600)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부에 이동바퀴(6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610)에는 전술한 임시수납부(500)의 수납브래킷(510)과 같은 복수 개의 브래킷(미도시)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판 형상으로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수납판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도넛 컨디셔너(600)는 수납된 도넛을 수분이 방출되지 않고 최적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부에 수납공간(610)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조절부(6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임시수납부(500)를 구비함으로써 도넛 글레이징 장치에 공급될 도넛을 임시로 수납하여 도넛 공급효율 및 제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넛 컨디셔너(600)를 구비함으로써 장시간 동안에도 튀겨진 도넛, 즉 도넛 글레이징 장치에 공급될 도넛을 수분 방출이 없이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여 수납 저장하여 도넛 글레이징 장치에 도넛 공급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넛 공급효율 및 제조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도넛 글레이징 장치는 상기 이송장치(100)를 통한 도넛이 다수 개 배치된 와이어 선반(900)의 공급속도와, 상기 가열장치(200)에서의 가열온도 및 상기 글레이즈 도포장치(300)에서의 글레이즈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부(7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송장치(100), 가열장치(200), 글레이즈 도포장치(300) 등에 대하여 구동력 전달제어, 구동속도제어, 온도제어, 압력제어 등의 제어를 총괄하는 마이콤(미도시)을 가지고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이콤(미도시)은 상기 가열장치(200)에서의 가열온도에 따른 가열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머(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가열온도 및 펌프압력 등을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가열온도 표시부 및 펌프압력 표시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 일측에 상기 글레이즈 도포장치(300)를 통하여 공급되는 글레이즈의 점도에 따라 상기 공급펌프(330)의 펌프압력을 조절하는 인버터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도넛 글레이징 장치에서 가열장치의 온풍순환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가열장치(200)의 공급덕트(220)에서 연결덕트(223)와 하부덕트(225)가 연결된 상기 하부덕트(225) 하부에 구비된 송풍팬(290)에 의해 공기가 상기 연결덕트(223)를 경유하여 상부덕트(221) 측으로 안내된다.
상기 상부덕트(221)에서 시즈히터(230)의 가열에 의해 공기가 데워지며, 데워진 공기, 즉 온풍은 상기 상부덕트(221)의 바닥면에 형성된 유입공(222)을 통하여 이송장치(100)에 의해 이송되는 도넛과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시즈히터(230)에 의해 가열된 온풍이 도넛과 접촉되어 도넛이 가열되며, 아울러 상기 시즈히터(230)로부터 방출되는 열기에 의해서도 도넛이 가열될 수 있다.
한편, 도넛과 접촉된 후의 온풍은 상기 하부덕트(225)의 배출공(226)을 경유하여 배출방지턱(211)에 의해 상기 연결덕트(223) 측으로 안내되며, 온풍의 일부는 상기 하부덕트(225)의 상면에 부딪힌 후 상기 배출방지턱(211)에 안내되어 상기 연결덕트(223) 측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연결덕트(223) 측으로 유입된 온풍은 상기 송풍팬(290)에 의해 다시 상기 상부덕트(221) 측으로 안내되며, 전술한 바와 같은 순환경로를 통하여 최초 공기가 데워진 온풍이 외부로 배출됨이 없이 지속적으로 순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장치(200)가 상부덕트(221), 하부덕트(225) 및 연결덕트(223)로 이루어진 공급덕트(220)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덕트(225)에 배출방지턱(211)이 형성됨으로써 도넛을 가열하는 온풍공급이 순환시스템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급되는 온풍의 외부배출을 방지하여 가열효율 및 에너지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가열장치(200)의 온풍순환시스템을 거쳐 가열처리된 도넛의 표면에 글레이즈를 도포하는 글레이즈 도포장치(300)에서 글레이즈의 공급, 분배 및 재공급의 글레이즈 순환공급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저장조(310)로부터 공급라인(340)을 통하여 글레이즈가 공급되어 분배기(350)에 의해 와이어 선반(900)의 폭방향으로 고르게 분배되어 가열장치(200)에 의해 데워진 와이어 선반(900) 상의 도넛 표면에 글레이즈가 도포된다.
이때, 도넛 표면에 글레이즈가 도포된 후 글레이즈의 점도에 따라 중력방향으로 흘러내리는 잔여 글레이즈는 상기 저장조(310)로 수집되어 저장된다.
이후, 상기 저장조(310)에 저장된 글레이즈는 상기 저장조(310)의 하부에 연통 연결된 재공급라인(320)을 경유하여 공급펌프(330)에 의해 상기 공급라인(340)을 거쳐 상기 분배기(350) 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분배기(350) 측으로 공급된 글레이즈는 재차 상기 분배기(350)에 의해 도넛의 표면에 도포되며, 도포되고 남은 잔여 글레이즈는 다시 상기 저장조로 재수 집되어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글레이즈 도포장치(300)는 글레이즈의 공급 및 잔여 글레이즈의 재공급에 따른 글레이즈 순환공급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잔여 글레이즈의 수집 및 재공급이 가능하여 도넛의 글레이즈 도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도넛 글레이징 장치는 도넛컨디셔너(600) 및 임시수납부(500)를 구비함으로써 튀겨진 도넛을 적정수분을 유지시키면서 일정기간 동안 냉동 및 냉장보관이 가능하며, 요구되는 도넛의 양만큼 임시 수납하여 도넛 글레이징 장치에 글레이즈드 도넛 제조를 위한 도넛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공급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넛 글레이징 장치에 도넛 공급효율이 증대됨으로써 글레이즈드 도넛의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갓 제조된 글레이즈드 도넛을 구매자에게 즉석 판매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배출방지턱(211)을 갖는 가열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냉동/냉장보관되거나 상온의 도넛에 글레이즈를 도포하기 위한 도넛 가열장치에서 도넛에 공급되는 온풍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배출방지턱(211)에 의해 온풍이 공급덕트(220) 측으로 안내되어 발생된 온풍이 재가열되어 순환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열효율 및 에너지 효율이 현저히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과열방지 팬(295)을 가지는 송풍팬(290)을 구비함으로써 가열장치의 장시간 작동이 요구됨에 따른 장시간 사용에 의해 송풍팬(290)이 과열되어 발생하 는 가열장치(200)의 오작동 및 고장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송풍팬(290)의 내구성이 증대되어 장시간 사용에도 안정적으로 온풍순환이 이루어지며, 가열장치(200)의 원활한 구동이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방열커버(240)를 가지는 가열장치(200)를 구비함으로써 가열장치(200)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한 작업자의 화상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안전한 작업환경이 구현됨에 따라 글레이즈드 도넛 제조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넛 글레이징 장치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넛 글레이징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넛 글레이징 장치에서 와이어 선반이 이송되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넛 글레이징 장치에서 가열장치의 온풍순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넛 글레이징 장치에서 가열장치의 요부인 송풍팬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넛 글레이징 장치에서 글레이즈 도포장치의 글레이즈 공급 및 재공급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송장치 110: 이송체인
130: 구동기어 200: 가열장치
210: 케이스 211: 배출방지턱
220: 공급덕트 221: 상부덕트
223: 연결덕트 225: 하부덕트
300: 글레이즈 도포장치 400: 배출선반
500: 임시수납부 600: 도넛 컨디셔너
700: 제어부 800: 설치대

Claims (7)

  1. 상면에 다수 개의 도넛이 배치된 와이어 선반(900)이 안착되어 상기 와이어 선반(900)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 선반(900)의 폭과 대응되어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이송수단으로 구비된 이송장치(100);
    상기 이송장치(100) 일측에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이송장치(100)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송장치(10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와이어 선반(900) 상의 도넛에 온풍을 접촉시켜 도넛을 적정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장치(200);
    상기 가열장치(200)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열장치(200)를 통하여 적정온도로 가열된 도넛의 표면에 글레이즈를 고르게 도포시키는 글레이즈 도포장치(300);
    상기 글레이즈 도포장치(300) 일측에 구비된 상기 와이어 선반(900)이 배출되는 배출선반(4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 선반(900)을 다수 개 수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 선반(900)의 폭방향 양측과 대응되는 수납 브래킷(510)을 가지는 임시수납부(500); 그리고
    상기 임시수납부(500) 또는 이송장치(100)에 공급할 도넛을 수납하여 일정온도 상태로 유지시키며, 상기 이송장치(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도넛 컨디셔너(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넛 글레이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100)를 통한 제품공급속도와, 상기 가열장치(200)에서의 가열온도 및 상기 글레이즈 도포장치(300)에서의 글레이즈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부(7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넛 글레이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100), 가열장치(200) 및 글레이즈 도포장치(300)는 설치대(8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임시수납부(500)는 상기 글레이즈 도포장치(300) 일측에 구비된 배출선반(400)의 하부에 상기 설치대(800)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넛 글레이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레이즈 도포장치(300)는 상기 가열장치(200)를 통과한 도넛의 표면에 글레이즈가 도포될 수 있도록 글레이즈에 유동압력을 전달하여 일정량의 글레이즈를 공급시키는 공급펌프(330)와,
    상기 공급펌프(330)의 일단에 연결되어 글레이즈를 상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라인(340)과,
    상기 공급라인(340)을 통하여 공급된 글레이즈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경사면을 따라 상기 와이어 선반(900)의 폭 방향과 대응되어 고르게 분배시키는 분배기(350)와,
    상기 분배기(350)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배기(350)를 통하여 분배된 글레이즈가 상기 와이어 선반(900) 상의 도넛에 도포되고 남은 잔여 글레이즈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저장조(310)와, 그리고
    일단이 상기 저장조(310) 바닥과 연통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공급펌프(330)와 연결되어 상기 저장조(310)에 수집 저장된 글레이즈를 상기 공급라인(340) 측으로 재공급시키는 재공급라인(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넛 글레이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200)는 상기 이송장치(10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와이어 선반(900) 상의 도넛에 온풍을 공급시키는 공급덕트(220)를 가지는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 외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210)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방열커버(240)와,
    상기 와이어 선반(900) 상의 도넛 측으로 온풍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급덕트(220) 상부 내측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시즈히터(230)와, 그리고
    상기 케이스(210)의 공급덕트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덕트(220) 측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2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덕트(220)는 상기 시즈히터(230)가 구비되는 내측 상부의 바닥면에 다수 개의 유입공(222)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10)의 하부에 상기 유입공(222)과 대응되는 배출공(226)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210) 하부 양측에는 상기 배출공(226)을 통하여 배출된 온풍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출방지턱(21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넛 글레이징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290)은 상기 공급덕트(220) 측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메인 송풍팬(293)과, 상기 메인 송풍팬(293)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91)의 과열을 방지하는 과열방지 팬(295)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넛 글레이징 장치.
KR2020090004099U 2009-04-08 2009-04-08 도넛 글레이징 장치 KR200455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099U KR200455500Y1 (ko) 2009-04-08 2009-04-08 도넛 글레이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099U KR200455500Y1 (ko) 2009-04-08 2009-04-08 도넛 글레이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161U KR20100010161U (ko) 2010-10-18
KR200455500Y1 true KR200455500Y1 (ko) 2011-09-08

Family

ID=44200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099U KR200455500Y1 (ko) 2009-04-08 2009-04-08 도넛 글레이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50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215B1 (ko) * 2013-11-22 2014-10-22 대중기계 주식회사 도넛 제조용 시럽 도포장치
CN110614709B (zh) * 2019-11-12 2020-07-24 广东明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上釉方法及其装置
KR102549361B1 (ko) * 2020-11-12 2023-06-28 신중현 전분을 재 사용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면 이송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032Y1 (ko) 1997-12-08 2000-03-02 이강오 부침개 성형용 오븐기
US20040000269A1 (en) 2002-07-01 2004-01-01 Herman Edward E. Doughnut glazing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032Y1 (ko) 1997-12-08 2000-03-02 이강오 부침개 성형용 오븐기
US20040000269A1 (en) 2002-07-01 2004-01-01 Herman Edward E. Doughnut glaz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161U (ko) 2010-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0619B2 (ja) 高速可変サイズ・トースタ
CA2414113C (en) Conveyor oven
JPH11264550A (ja) オ―ブン、ト―スタ―及びオ―ブント―スタ―
US1009201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paring dough-based products
CN205305835U (zh) 带有注入蒸汽的烤箱
EP1879486B1 (en) System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bread
KR200455500Y1 (ko) 도넛 글레이징 장치
EP2111112B1 (en) Treatment device for treating food products with conditioned air
US3371595A (en) English muffin toaster
CN213369770U (zh) 一种皮蛋制作用恒温加工装置
EP3426046B1 (en) Conveyor-type oven
US20180139969A1 (en) Method for Bakng Dough Pieces
CN106029856B (zh) 烘烤装置
CN111627164A (zh) 一种食物自动售卖机
KR101062857B1 (ko) 어묵 냉각장치
WO2007029575A1 (ja) 食品の加熱装置
US20180249719A1 (en) Bake-off oven system and method
US7137334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hawing, heating and/or glazing previously frozen baked goods or dough-based products
KR20190048039A (ko) 식품 건조기
WO2017197615A1 (zh) 烘烤传送单元
CN109671221A (zh) 一种自动烤肠系统以及自动售卖系统
CN208972422U (zh) 一种组合式烤箱
KR102362521B1 (ko) 구근 농산물 연속 가공장치
KR101211028B1 (ko) 떡 및 밥 제조장치
CN217242389U (zh) 双层分区控温烤箱及香草饼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