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042Y1 - 철도차량의 윤축베어링 인발기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윤축베어링 인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042Y1
KR200455042Y1 KR2020090001652U KR20090001652U KR200455042Y1 KR 200455042 Y1 KR200455042 Y1 KR 200455042Y1 KR 2020090001652 U KR2020090001652 U KR 2020090001652U KR 20090001652 U KR20090001652 U KR 20090001652U KR 200455042 Y1 KR200455042 Y1 KR 2004550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wheelset
cylinder
hydraulic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384U (ko
Inventor
김호종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2020090001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04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3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3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0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0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7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1Multiple output members, e.g. multiple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고안은 유압탱크에 저장된 오일을 정해진 유압경로로 전송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를 몸체의 일정위치에 탑재하고 몸체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정위치에 탑재되어 인발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인발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전기제어반과; 상기 프레임부의 좌,우 양끝몸체에 각각 위치하여 고정된 윤축으로부터 윤축베어링을 수평운동으로 통해 걸어 인발하는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의 몸체를 각기 상하수직운동시키는 제1 및 제2 수직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의 윤축베어링 인발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차축 저어널에 강제 압입된 베어링을 조작반 조작에 의해 양쪽 또는 한쪽 베어링을 선택하여 인발하므로 그에 따라 인력에 의한 의존성을 제거하여 차량정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윤축, 차축 저어널, 레일, 윤축베어링

Description

철도차량의 윤축베어링 인발기{Drawing machine of shaft bearing for railway vechicle}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윤축베어링 인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어반을 통해 유압실린더를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유압실린더에 설치된 슬라이딩 베어링 인발지그를 베어링과 차축 저어널에 거치하고 철도차량의 윤축베어링을 좌우로 인발하는 철도차량의 윤축베어링 인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용 윤축베어링(D축용)은 회전하고 있는 차축을 받쳐 축에 작용하는 하중을 받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계요소로, 현재 화물차량(Freight Car)과 고속철도차량(KTX)에 사용되는 베어링은 NFL(NO Field Lubrication)형 저어널 테이퍼 로울로 베어링(D축용)으로 자축 저어널에 윤축베어링 압입시 50톤정도의 안착압력으로 강제 압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기관차, 전동차, 객차, 화차 등의 철도차량은 정비를 위해서 철도차량의 모든 부분을 완전해체시켜 정비한후 다시 조립하는 중수선 작업을 하고 있다.
더나아가, 상기와 같은 철도차량의 윤축(800)은 한 개의 차축(Axle)과 두 개의 차륜(Wheel), 두 개의 윤축베어링(Shaft Bearing)으로 구성되는데 차축에 두 개의 윤축베어링이 압입된다. 상기 차축 저어널에 강제 압입된 윤축베어링을 인발하기 위해서 50톤 이상의 힘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윤축베어링을 인발함에 있어 자축 저어널과 베어링내 손상이 없어야 한다. 그래서, 이를 위해 유압유니트와 유압실린더가 사용되며, 유압유니트는 유압을 형성하는 유압모터와 유압펌프, 오일의 공급과 회귀를 통해 베어링을 인발하는 유압실린더부,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개폐작용을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철도차량의 인발기 검수과정의 일례를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살펴보면, 먼저 윤축베어링(9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윤축베어링(900)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륜체(940)와;
상기 윤축베어링(900) 내부의 상하에 위치하는 내륜체(930)와, 윤축베어링(900) 중앙에 위치하는 스페이서(950)와;
상기 내륜체(930)와 외륜체(940) 사이에서 회전하는 롤베어링(960)과, 윤축베어링(900)의 위아래에서 상기 내륜체(930)와 외륜체(940)를 덮고 있는 씰(910), 및 디플렉터(92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윤축베어링(900)을 검수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우선 한쪽 윤축에 인발기(980)의 결합고정부(990)를 밀어넣어 윤축베어링(900)을 뽑아낸 후 윤축베어링(900)을 또다시 분해한편, 한쪽 베어링(900)을 인발한 후 에어작키로 윤축을 180° 회전한 다음 반대쪽 베어링(900)을 인발하게된 다. 이때, 상기 과정에서 씰(910) 및 디플렉터(920)를 윤축베어링(900)에서 밀어내고, 내륜체(930)및 롤베어링(960), 스페이서(950)를 윤축베어링(900)에서 분리한 다음 정비작업을 착수하여 윤축베어링(900)의수명주기를 결정하거나 정밀 검사하여 재사용 여부를 판단하며,정비가 완료된 후에는 다시 윤축베어링(900)의부속품과 씰(910) 및 디플렉터(920)를 차례로 조립시킨 뒤 철도차량의 윤축에 끼워 결합하여 검수작업을 완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철도차량의 인발기는 기존 윤축베어링 인발기는 한쪽 방향만 인발이 가능하여 한쪽 베어링 인발 후 에어작키로 윤축을 180° 회전 후 반대쪽 베어링을 인발해 작업효율성이 저하되고, 윤축베어링 인발 후 베어링이 작업장 바닥에 자유낙하하여 베어링 내 손상을 일으킬 위험과 윤축을 인력에 의한 이송으로 작업자 안전사고 발생 우려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 철도차량의 인발기는 상기와 같은 윤축베어링(900)의 검수작업을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수행해야만하므로, 상기 윤축베어링(900)의 내륜체(930)와 디플렉터(920)에 형성된 틈 사이로 정과 망치 또는 특수제작된 인발기()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지랫대 원리로 윤축베어링(900)에서 씰(910)과 디플렉터(920)를 분리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인발기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 분해시 씰(910) 및 디플렉터(920) 부분이 휘어져 변형되거나, 외륜체(940), 스 페이서(950) 및 내륜체(930)에 충격 흔적이 발생하고, 분해시의 충격으로 제품에 손상되거나 이로 인해 휘어져 손상된 씰(910) 및 디플렉터(920)는 재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철도차량용 윤축베어링 분해정비를 위하여 차축 저어널에 강제압입 되어있는 베어링을 작업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유압실린더를 통한 슬라이딩 베어링 인발지그를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베어링과 차축 저어널 간극에 거치하고 일정한 힘을 가해 양쪽 또는 한쪽 베어링을 편리하게 인발하는 철도차량의 윤축베어링 인발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베어링 받침대를 설치하여 베어링 인발 후 베어링 자유낙하에 의한 베어링 내 손상을 방지하고 신속한 인발작업을 통해 작업효율성을 높이는 철도차량의 윤축베어링 인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고안은 유압탱크에 저장된 오일을 정해진 유압경로로 전송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를 몸체의 일정위치에 탑재하고 몸체부를 형성하며, 양쪽 하단에는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에 의해 인발되는 윤축베어링을 받쳐주는 베어링받침대가 각기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정위치에 탑재되어 인발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인발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전기제어반과;
상기 프레임부의 좌,우 양끝몸체에 각각 위치하여 고정된 윤축으로부터 윤축베어링을 수평운동으로 통해 걸어 인발하는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의 몸체를 각기 상하수직운동시키는 제1 및 제2 수직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의 윤축베어링 인발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차축 저어널에 강제 압입된 베어링을 조작반 조작에 의해 양쪽 또는 한쪽 베어링을 선택하여 인발할 수 있고, 베어링이 제거된 윤축을 윤축 배출장치를 통해 배출하여 인력에 의존성을 최소화 하여 작업자 근골격계 질환 발생 예방은 물론 차량정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인발된 베어링의 자유낙하 방지를 통한 베어링 품질을 향상하여 대내외의 정비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장치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압탱크(1)에 저장된 오일을 정해진 유압경로로 전송하는 유압펌프(2)와;
상기 유압펌프(2)를 몸체의 일정위치에 탑재하고 몸체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3)와;
상기 프레임부(3)의 일정위치에 탑재되어 인발기장치(4)에 전원을 공급하고 인발기 의 기능을 제어하는 전기제어반(5)과;
상기 프레임부(3)의 좌,우 양끝몸체에 각각 위치하여 고정된 윤축(6)으로부터 윤축베어링(7)을 수평운동으로 통해 걸어 인발하는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8,9)와
상기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8,9)의 몸체를 각기 상하수직운동시키는 제1 및 제2 수직실린더부재(10,11)와;
상기 프레임부(3)의 양쪽 하단에 각기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8,9)에 의해 인발되는 윤축베어링(7)을 받쳐주는 베어링받침대(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3)는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8,9)를 각기 상면에 탑재하고 제1 및 제2 수직실린더부재(10,11)에 의해 상하 운동을 실행하는 수평브라켓(13)와;
상기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8,9)에 구비된 다수개 예컨대, 4개의 슬라이드봉(14)이 유출입되도록 대응되게 천공된 천공구멍(15)이 다수개 예컨대, 4개가 형성되고 그 몸체가 수평브라켓(13)의 상부에 위치하며, 그 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고리에 제1 및 제2 수직실린더부(10,11)의 실린더로드(16)가 연결되어 상,하로 안내레일부(17)를 따라 운동하는 실린더지지판(18)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8,9)의 각각에는 다수개 예컨대, 4개의 슬라이드봉(14)의 상단부에 윤축베어링(7)을 걸러 인발할 수 있도록 결합고리부(19)가 형성된다.
더나아가, 상기 프레임부(3)의 하단에는 좌우 각 한 개씩 설치되어 차륜내측을 지지하고 베어링 인발시 윤축이 레일 위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윤축이탈 방지대(20)가 설치되고, 그 하단부 중앙에는 인발된 윤축(6)의 일면에 일시적인 힘을 가하여 전 혹은 후면부측으로 인발된 윤축(6)을 이송시키는 윤축배출장치부(2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윤축배출장치부(21)에는 고정대(22)에 고정된 유압실린더부재(23)와, 상기 유압실린더부재(23)의 실린더로드(24)에 힌지(25)를 매개로 일단이 연결되고 그 반대측 상단부에 인발된 윤축(6)의 레일접촉면에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단부가 결합되는 삼각형 형상의 배출판(2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3)는 유압탱크(2), 유압탱크(3), 솔레노이드밸브부(5), 베어링 받침대(12), 제1 및 제2 수직실린더부재(10,11) 및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8,9)의 수평브라켓(11)이 각기 부착되고, 강제 압입된 윤축베어링(7)을 차축 저어널에서 인발시 발생할수 있는 응력에 견딜수 있도록 'H'형강을 사용하며, 상기 실린더지지판(16)의 상하 작용을 안내할 수 있도록 'ㄷ‘형강을 사용한다
한편, 상기 전기제어반(5)은 유압계통(1,2)와 조작반에 전원을 공급하고 조작반의 조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전원부 내부에 설치된 PLC(Programable Logic Controller)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솔레노이드 밸브부(28)의 예컨대, 6개의 솔레노이드밸브들에 보내 지령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작용을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기제어반(5)은 전원 on-off스위치, 유압유니트 on-off 스위치, 전원램프, 윤축 배출장치의 1단 전진 스위치, 2단 전진스위치, 후진 스위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부(28)는 프레임 상부에 위치하고 전기제어 반(5)의 조작에 따른 전원부 PLC(Programable Logic Controller)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받아 지령에 따른 개폐작용을 하여 오일을 제1 및 제2 수직실린더부재(10,11),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8,9) 및 유압실린더부재(23)에 오일을 공급하고 차단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부(28)는 총 6개로 구성되며, 1개의 메인 솔레노이드 밸브와 각 유압실린더부에 오일공급 및 차단 작용을 하는 5개의 서브(sub)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은 도 5의 (a-d)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기제어반(5)에서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유압계통 즉, 유압펌프(2)와 유압탱크(1)에 전원을 공급하여 유압을 가동시키고 아울러 전기적 제어신호를 전기제어반(5)의 내부에 설치된 PLC(Programable Logic Controller)를 통해 예컨대, 6개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된 솔레노이드밸브부(5)로 전송하여 그 명령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들이 개폐작용을 하므로 그에 따라 제1 및 제2 수직실린더부재(10,11),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8,9) 및 유압실린더부재(23)의 오일을 공급/차단하는 작용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유압탱크(2)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부(28)의 솔레노이드밸브들의 각각의 제어에 따라 유압탱크(3)내의 오일을 유압라인을 통해 프레임부(3)의 상부에 위치한 제1 및 제2 수직실린더부재(10,11),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8,9) 및 유압실린더부재(23)에 각기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과정중에 리프트(도시안됨)에 의해 이송된 윤축(6)이 프레임 부(3)의 하단부()의 윤축배출장치부(21) 레일상에 위치될 경우 윤축이탈방지대(14)가 윤축(6)이 프레임부(3)의 하단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윤축(6)의 몸체 예컨대, 4곳에 맞닿아 지지하게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수직실린더부재(10,11)는 유압탱크(2)로부터 공급된 유압에 의해 가동되어 실린더로드(16)를 상방향으로 밀어내게된다. 그러면, 상기 제1 및 제2 수직실린더부재(10,11)의 각 실린더로드(16)상에 고정된 실린더지지판(18)도 안내레일부(17)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이 실린더지지판(18)과 연동하는 각 수평브라켓(13)도 상방향으로 이동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각 수평브라켓(13)상에 위치한 제1 및 제2 수직실린더부재(10,11)도 함께 연동되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적절한 위치에 도달될 경우 전기제어반(5)의 조작버튼을 눌러주게 되면 상기 각 수평브라켓(13)이 정지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과정후에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8,9)를 구동시키면 이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8,9)는 프레임부(3)의 내부방향으로 슬라이드봉(14)를 밀어내게되는데, 이때, 상기 슬라이드봉(14)은 실린더지지판(18)의 천공구멍(15)을 경유하여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봉(14)이 내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슬라이드봉(14)의 끝단부에 설치된 결합고리부(19)가 윤축베어링(7)의 후단부와 윤축(6)사이에 이르게 되면 예컨대, 저어널부분(27)에 도달하게될 경우 조작자가 전기제어반(5)의 조작버튼을 눌러 정지시킨다음 제1 및 제2 수직실린더부재(10,11)를 구동시켜 실린더지지판(18)를 예컨대, 양단이 'H'형강의 형태로된 안내레일부(17)를 따 라 하단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실린더지지판(18)이 안내레일부(17)를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 이 실린더지지판(18)과 연동하는 각 수평브라켓(13)도 하방향으로 이동하게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봉(14)의 끝단부에 설치된 결합고리부(19)가 윤축베어링(7)의 후단부와 윤축(6)사이(차축저어널:27)에 이른상태에서 수평브라켓(13)이 하단으로 이동하면 상기 결합고리부(19)가 윤축베어링(7)의 후단부에 견고하게 걸어지게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합고리부(19)가 윤축베어링(7)의 후단부에 걸려질 경우 전기제어반(5)의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제1 및 제2 수직실린더부재(10,1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결합고리부(19)가 윤축베어링(7)의 후단부에 걸려질 경우 전기제어반(5)을 통해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8,9)를 외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8,9)는 프레임부(3)의 내부방향으로 이동해 있던 슬라이드봉(14)를 안쪽으로 끌어당기게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봉(14)이 실린더지지판(18)의 천공구멍(15)을 경유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8,9)의 내부측으로 끌어당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봉(14)이 외부방향으로 끌여당겨지게 될 경우 슬라이드봉(14)의 끝단부에 설치된 결합고리부(19)도 윤축베어링(7)의 후단부에 걸려있다가 이 슬 라이드봉(14)의 이동방향으로 같이 끌어당겨지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결합고리부(19)가 슬라이드봉(14)의 이동방향으로 끌려당겨질 경우 이 결합고리부(19)에 걸려있는 압입된 윤축베어링(7)도 그 당겨지는 힘에 의해 압입이 해제되어 윤축(6)으로부터 이탈되어 하부에 위치한 베어링받침대(12)의 상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윤축베어링(7)이 베어링받침대(12)에 안착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8,9)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윤축베어링(7)을 윤축(6)으로부터 인발한 경우 윤축(6)이 이탈되지 않도록 예컨대, 윤축(6)의 몸체 4곳에 맞닿아 지지하고 있는 윤축이탈방지대(20)를 해제시킨다.
그리고, 상기 윤축이탈방지대(20)의 해제이후에 전기제어반(5)의 조작버튼을 제어하여 윤축배출장치부(21)의 유압실린더부재(23)를 구동하게되는데,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부재(23)는 실린더로드(24)를 끌어당기게 된다. 그러면, 상기 실린더로드(24)에 힌지(25)를 매개로 결합된 배출판(26)도 끌어당겨지게 되는데, 상기 삼각형상의 배출판(26)이 끌어당겨짐에 따라 인발된 윤축(6)의 레일접촉면도 일정 힘이 가해지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배출판(26)의 굵힘작용에 의해 인발된 윤축(6)이 레일(도시안됨)을 따라 후퇴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인발된 윤축(6)과 윤축베어링(7)을 정해진 점검절차에 의해 점검하게된다.
여기서, 상기 일실시예의 설명을 윤축(6)의 양쪽 베어링(7)을 모두 동시에 인발하 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윤축(6)의 한쪽 베어링(7)을 선택하여 선택적으로 인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고안 장치를 처음상태를 복귀할 경우 전기제어반(5)을 통해 상기 과정과 역으로 동작하거나 혹은 원하는 과정만을 선택할 경우 복귀하게 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윤축베어링 분해정비를 위하여 차축 저어널에 강제압입 되어있는 베어링을 작업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유압실린더를 통한 슬라이딩 베어링 인발지그를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베어링과 차축 저어널 간극에 거치하고 일정한 힘을 가해 양쪽 또는 한쪽 베어링을 편리하게 인발할 수 있으므로 철도차량의 점검에 필요한 작업장에서 사용할 경우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인발장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종래 윤축베어링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의 인발기의 개략적인 단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의 인발기의 측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5의 (a-d)는 본 고안의 인발기의 윤축베어링인발상태를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부호의 상세한 설명>
1 : 유압탱크 2 : 유압펌프
3 : 프레임부 4 : 인발기장치
5 : 전기제어반 6 : 윤축
7 : 윤축베어링 8 : 제1 인발실린더부재
9 : 제2 인발실린더부재 10: 제1 수직실린더부재
11: 제2 수직실린더부재 12: 베어링받침대
13: 수평브라켓 14: 슬라이드봉
15: 천공구멍 16: 실린더로드
17: 안내레일부 18: 실린더지지판
19: 결합고리부 20: 윤축이탈방지대
21: 윤축배출장치부 22: 고정대
23: 유압실린더부재 24: 실린더로드
25: 힌지 26: 배출판
27: 저얼널부분 28: 솔레노이드밸브부

Claims (12)

  1. 삭제
  2. 유압탱크에 저장된 오일을 정해진 유압경로로 전송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를 몸체의 일정위치에 탑재하고 몸체부를 형성하며, 양쪽 하단에는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에 의해 인발되는 윤축베어링을 받쳐주는 베어링받침대가 각기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정위치에 탑재되어 인발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인발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전기제어반과;
    상기 프레임부의 좌,우 양끝몸체에 각각 위치하여 고정된 윤축으로부터 윤축베어링을 수평운동으로 통해 걸어 인발하는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의 몸체를 각기 상하수직운동시키는 제1 및 제2 수직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의 윤축베어링 인발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제1 및 제2 인발실린더부재에 구비된 다수개의 슬라이드봉이 유출입되도록 대응되게 천공된 천공구멍이 다수개 형성되고 그 몸체가 수평브라켓의 상부에 위치하며, 그 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고리에 제1 및 제2 수직실린더부의 실린더로드가 연결되어 상,하로 안내레일부를 따라 운동하는 실린더지지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윤축베어링 인발기.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부 중앙에는 인발된 윤축의 일면에 일시적인 힘을 가하여 전 혹은 후면부측으로 인발된 윤축을 이송시키는 윤축배출장치부가 좌우에 각기 한 개씩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윤축베어링 인발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윤축배출장치부에는 고정대에 고정된 유압실린더부재와, 상기 유압실린더부재의 실린더로드에 힌지를 매개로 일단이 연결되고 그 반대측 상단부에 인발된 윤축의 레일접촉면에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단부가 결합되는 배출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윤축베어링 인발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부에는 윤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 윤축이탈 방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윤축베어링 인발기.
  9. 삭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는 그 몸체의 양단이 실린더지지판의 상하 작용을 안내할 수 있도록 'ㄷ' 형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윤축베어링 인발기.
  11. 삭제
  12. 삭제
KR2020090001652U 2009-02-14 2009-02-14 철도차량의 윤축베어링 인발기 KR2004550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652U KR200455042Y1 (ko) 2009-02-14 2009-02-14 철도차량의 윤축베어링 인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652U KR200455042Y1 (ko) 2009-02-14 2009-02-14 철도차량의 윤축베어링 인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384U KR20100008384U (ko) 2010-08-24
KR200455042Y1 true KR200455042Y1 (ko) 2011-08-11

Family

ID=4445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652U KR200455042Y1 (ko) 2009-02-14 2009-02-14 철도차량의 윤축베어링 인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04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1883B (zh) * 2020-08-15 2022-01-18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列车轮对轴箱的轴承拆解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6424A (en) 1982-09-29 1985-03-26 Usm Corporation Automated railroad bearing handling machine
US20040192054A1 (en) * 2001-05-11 2004-09-30 Pecora David S. Etch of silicon nitride selective to silicon and silicon dioxide useful during the formation of a semiconductor device
US20040214363A1 (en) * 1999-05-13 2004-10-28 Hideki Matsubara ZnSe based light emitting device with In lay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6424A (en) 1982-09-29 1985-03-26 Usm Corporation Automated railroad bearing handling machine
US20040214363A1 (en) * 1999-05-13 2004-10-28 Hideki Matsubara ZnSe based light emitting device with In layer
US20040192054A1 (en) * 2001-05-11 2004-09-30 Pecora David S. Etch of silicon nitride selective to silicon and silicon dioxide useful during the formation of a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384U (ko) 201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23351B (zh) 一种货运火车钩尾框托板螺栓拆卸装置
CN101374612B (zh) 支撑结构和用于搬运/输送工作辊的方法
CN102441813B (zh) 一种自动装夹式侧架翻转机
CN2923648Y (zh) 防尘可移动四立柱举升机
CN106276687A (zh) 用于机械设备部件拆装的多用途小车
KR200455042Y1 (ko) 철도차량의 윤축베어링 인발기
CN102528372B (zh) 敞车车体的检修装置
CN201545023U (zh) 装配线台车转运装置
CN109530597B (zh) 重型模具运输双u型小车及快速更换系统和方法
CN202212744U (zh) 轨道交通机车车辆转向架升降压装分解机
CN110588703A (zh) 车钩的拆装装置及方法
CN2568613Y (zh) 铁路客车落轮机
KR100855178B1 (ko) 철도차량의 윤축베어링 분해 공기구
RU2411137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на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м ходу
CN210060982U (zh) 一种更换烧结机台车轮轴承的装置
CN102862089A (zh) 一种铁路货车摇枕翻转机
KR100422786B1 (ko) 선재 사상압연기용 감속기 수리작업대
CN108238573B (zh) 一种轧机内提升轨道梁拆装装置及方法
CN202089039U (zh) 一种悬挂式升降平台
RU98718U1 (ru) Стенд для снятия и установки тележек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на колесные пары
CN205396277U (zh) 一种车钩缓冲器拆装工装
CN219427837U (zh) 一种用于烧结机篦板台车的活动车轮及烧结机篦板台车
CN110682074B (zh) 一种热轧线立辊awc液压缸卸除工装
KR960005998B1 (ko) 철도차량의 윤축 분리이송기
CN219670067U (zh) 升降设备定位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