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750Y1 - 돌 채취 제거기 - Google Patents

돌 채취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750Y1
KR200454750Y1 KR2020080012677U KR20080012677U KR200454750Y1 KR 200454750 Y1 KR200454750 Y1 KR 200454750Y1 KR 2020080012677 U KR2020080012677 U KR 2020080012677U KR 20080012677 U KR20080012677 U KR 20080012677U KR 200454750 Y1 KR200454750 Y1 KR 200454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or
frame
mounting
blade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425U (ko
Inventor
윤창신
현원화
강용철
고문환
Original Assignee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2020080012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75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4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4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7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3/00Gatherers for removing stones, undesirable roots or the like from the soil, e.g. tractor-drawn rak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터에 연결되어 경작지에 박혀있는 돌을 캐내어 한곳에 모아주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경작지의 돌을 채취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돌 채취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트랙터에 연결하되 트랙터와 경사진 방향을 갖게 연결하며, 트랙터의 동력을 받아 칼날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구동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칼날이 땅을 파고 들어가 깊숙한 곳의 돌을 캐내도록 하고, 캐내어진 돌은 나선형으로 고정된 칼날과 트랙터에 경사지게 연결된 형태에 의해 한쪽으로 이동하여 모아지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Figure R2020080012677
돌, 경작지, 트랙터, 제거

Description

돌 채취 제거기{Gravel removal equipment}
본 고안은 트랙터에 연결되어 경작지에 박혀있는 돌을 캐내어 한곳에 모아주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경작지의 돌을 채취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돌 채취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경작지에 자갈과 같은 돌이 박혀있을 경우 농사짓는 과정이 힘들고, 작물도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므로, 경작지의 돌은 농사를 시작하기 전에 미리 제거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넓은 경작지에 있는 돌을 인력에 의존하여 제거할 수 없고, 또한 땅속에 박혀 있는 돌은 쉽게 캐내지도 못하고 캐낸다 하더라도 흙과 돌을 선별하여 주기도 어려운 것으로, 경작지의 돌을 없애기가 쉽지 않은 것이었다.
기존의 구근 채취기 등을 이용하는 경우 표층에 섞여 있는 돌은 경작지의 표면으로 노출되게 할 수 있으나 선별된 돌이 경작지 표면에 그대로 노출되어 다시 돌을 모아서 버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감자 등이 심겨져 있는 표층의 돌을 선별하게 되므로, 경작지에 깊이 박혀있는 돌은 캐내지도 못하고 선별하여 제거하지도 못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돌이 많은 지역 특히 제주도와 같은 지역에서는 농토를 개간하여 작물을 재배하고자 할 때 경작지에 포함된 돌을 골라내어 작물의 재배에 문제가 없는 농토를 만들기가 쉽지 않은 작업이다.
그리고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하여 작업을 하게 되는 로터리와 쟁기 등의 후부작업기는 트랙터와 평행 상태를 유지하며 결합이 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트랙터와 경사진 방향을 갖도록 연결한 후 작업을 하여야 하나, 기존의 후부 작업기는 경사진 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가 없게 됨은 물론 경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경작지에 숨겨져 있는 돌을 간단히 채취하여 한쪽에 모아지게 함으로써 경작에 방해가 되는 돌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트랙터에 연결하여 경작지를 이동하면 땅속의 돌이 캐내어진 후 한쪽으로 모아지게 되어 돌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은 트랙터에 매달고 이동하면 땅속의 돌을 캐서 한쪽으로 모아지게 함으로써 경작지의 돌을 쉽게 제거하여 작물의 재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경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트랙터에 연결하되 트랙터와 경사진 방향을 갖게 연결하며, 트랙터의 동력을 받아 칼날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구동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칼날이 땅을 파고 들어가 깊숙한 곳의 돌을 캐내도록 하고, 캐내어진 돌은 나선형으로 고정된 칼날과 트랙터에 경사지게 연결된 형태에 의해 한쪽으로 이동하여 모아지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경작지의 돌을 골라낸 후 한쪽에 모아주어 돌을 제거하기가 용이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트랙터의 후방에 결합되는 프레임의 하측으로 트랙터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구동축을 설치하되 상기 프레임은 트랙터와 경사진 방향을 갖게 설치하고, 구동축에는 나선형 방향으로 칼날을 설치하여 칼날이 경작지를 헤치며 돌을 골라내면 칼날의 나선형 결합으로 돌을 외측으로 이동하여 모아주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트랙터에 연결된 상태에서 경사진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트랙터와 연결되는 장착대가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트랙터에 연결된 로터리와 쟁기 등의 후부 작업기가 유압실린더의 실린더축 신축에 따라 경사 방향이 조절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트랙터에 연결하여 경작지를 이동하게 되면 경작지에 깊숙이 파묻혀 있는 돌을 캐내게 되고, 또한 캐내어진 돌은 한 쪽에 모아지게 함으로써 경작지의 돌을 쉽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경작지에 깊이 파묻힌 돌도 채취하여 돌이 포함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물의 경작이 이루어지게 하고, 파내어진 돌은 한쪽으로 모아지게 함으로 써 쉽게 돌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경작지의 돌을 골라내는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되는 후부 작업기의 좌우 장착대 위치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경사 방향으로 트랙터에 후부 작업기가 연결되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작업 종류에 따라 후부 작업기가 트랙터와 이루는 경사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최적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트랙터의 후방에 설치된 링크에 결합되는 장착대가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고 트랙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양쪽으로 전달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동력을 프레임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가 내장된 체인커버와, 상기 체인커버의 하측에서 체인커버 사이에 설치되고 나선형으로 칼날이 고정된 회전축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트랙터의 회전동력은 회전축으로 전달되어 체인커버에 내장된 동력전달장치를 통하여 하측의 구동축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구동축에는 나선형으로 여러 개의 칼날이 고정되어 있어, 구동축이 회전되면서 칼날이 경작지를 파주게 된다.
본 고안에서 프레임에 고정되는 3개의 장착대 중 탑링크와 결합되는 장착대는 프레임의 상측에서 일정높이를 띄워서 고정하고, 하부링크와 결합되는 장착대는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하되 일측의 장착대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트랙터의 링크에 결합시킬 때 프레임이 트랙터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지 않고 한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되게 된다.
본 고안에서 구동축에는 나선형으로 일자형 칼날을 고정시킴으로써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칼날이 경작지를 파면서 돌을 골라내고, 나선형으로 부착된 칼날과 경사지게 설치된 프레임의 방향에 의해 파내어진 돌이 일측으로 이동하여 배출되게 된다.
본 고안의 체인커버에는 하측으로 슬라이드 스키드를 부착시킴으로써 슬라이드 스키드가 경작지의 지면을 타고 이동하면 구동축을 회전시켜 칼날이 경작지를 파도록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프레임에는 지지다리를 설치하여 프레임이 지면에 세워질 때 지지다리를 이용하여 프레임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세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후에 트랙터를 연결할 때 쉽게 링크를 결합시키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은 트랙터의 하부링크와 연결되는 양쪽의 장착대가 전후로 이동게 하여, 유압실린더로 장착대를 전후 이동시킬 경우 트랙터와 연결되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원하는 경사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다.
즉 프레임에 장착대 커버를 전후로 한 쌍을 고정하고, 상기 장착대 커버에 장착대 프레임을 끼우되 상기 장착대 프레임의 전방에는 장착대를 고정하고 후방에는 링크대를 힌지로 결합하며, 상기 링크대의 중앙은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대에 힌지 결합하고, 상기 장착대 커버와 링크대의 일측에는 유압실린더를 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유압실린더를 신장시키며 유압실린더가 설치된 쪽의 장착 대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반대쪽의 장착대는 후퇴하여 트랙터에 경사진 상태로 체결이 되며, 유압실린더를 신축시킬 경우는 상기와 반대의 경사방향을 갖고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트랙터의 후방에 설치된 3개의 링크에 결합되는 장착대가 설치되는 프레임(10)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에 설치되고 트랙터의 회전동력을 동력변환기(20)로 전달받아 양쪽 측면으로 전달하는 회전축(30)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30)의 회전동력을 프레임(10)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가 내장된 체인커버(40)를 구비하고, 상기 체인커버(40)의 하측에서 체인커버(40) 사이에 설치되고 나선형으로 칼날(51)이 고정된 구동축(50)을 구비하며, 상기 체인커버(40)의 하측에는 슬라이드 스키드(60)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의 프레임(10)에는 양쪽으로 체인커버(40)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중앙에는 동력변환기(20)가 설치되어 트랙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프레임(10)의 상측에 설치된 회전축(30)을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회전축(30)의 회전력은 체인커버(40)의 내측에 설치된 동력전달장치를 통하여 체인커버(40)의 하측에 가로질러 설치된 구동축(50)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트랙터의 회전동력에 의해 구동축(50)이 회전되게 한다.
상기 프레임(10)에는 트랙터의 링크와 결합시키기 위한 3개의 장착대(11)(12)(13)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 중 탑링크와 결합되는 장착대(11)는 프레임(10)의 상측에서 일정높이를 띄워서 고정하고, 하부링크와 결합되는 장착대(12)(13)는 프레임(120)의 후방에 설치하되 일측의 장착대(13)가 타측의 장착대(12)에 비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함으로써, 트랙터에 장착할 때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같이 장착대(12)(13)가 프레임(10)에서 일정 거리를 유지하지 않을 경우 트랙터의 링크에 결합시키면 프레임(10)은 돌출된 장착대(13)가 더 후방으로 위치하게 되어 결국 프레임(10)은 트랙터와 일정간격을 유지하지 않고 한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구동축(50)에는 나선형으로 일자형 칼날(51)을 고정시키되 상기 칼날(51)은 칼날 고정구(52)에 볼트로 결합되게 함으로써 칼날(51)의 마모나 교환시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며, 구동축(50)에 나선형으로 칼날(51)을 고정시킴으로써 구동축(50)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칼날(51)이 경작지를 파면서 돌을 골라내고, 나선형으로 부착된 칼날(51)과 경사지게 설치된 프레임(10)의 방향에 의해 파내어진 돌이 일측으로 이동하여 배출되게 한다.
본 고안은 별도로 지지하지 않고는 세워지지 않으므로, 프레임(10)의 장착대(13)에 별도로 지지다리(70)를 착탈시키는 착탈구(71)를 설치하여 지지다리(7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프레임(10)이 지면에 세워질 때 지지다리(70)를 이용하여 프레임(10)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세워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은 프레임(10)의 상측에 전후 방향으로 수평되게 한 쌍의 장착대 커버(100)(101)를 고정시키되 상기 장착대 커버(100)(101)는 사각 앵글을 사용 하고, 상기 장착대 커버(100)(101)에는 사각 파이프인 장착 프레임(110)(111)을 끼우며, 상기 장착 프레임(110)(111)의 전방에는 장착대(12)(13)을 고정하는 한편 장착대 프레임(110)(111)의 후방에는 링크대(200)의 양쪽을 힌지(201)(202)로 결합하고, 상기 링크대(200)의 중앙은 프레임(10)에 고정된 고정대(120)에 힌지(121)로 결합되며, 상기 장착대 커버(100)(101)의 안쪽으로는 유압실린더(30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상기 유압실린더(300)에 의해 신축되는 실린더축(310)은 링크대(300)의 일측에 힌지(311)로 결합되게 하고, 상기 장착대 커버(100)(101)에 일정 높이를 두고 장착대(11)가 고정되게 함으로써, 유압실린더(300)를 이용하여 장착대(12)(13)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며, 이로 인하여 트랙터와 체결되는 로타리나 쟁기 등의 후부 작업기가 트랙터와 이루게 되는 경사 각도를 자유롭게 구분되게 한다.
즉 유압실린더(300)의 실린더축(310)을 신장시킬 경우 도 9및 도 12와 같이 링크대(200)의 좌측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장착 프레임(110)(111)이 장착대 커버(100)(101)에 끼워진 채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이 경우 장착 프레임(110)은 후방으로 이동하고, 장착 프레임(111)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장착대(13)는 장착대(12)에 비하여 후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트랙터에 체결할 경우 장착대(13)가 후방으로 이동된 만큼 경사진 상태로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 같이 본 고안은 장착대(12)(13)의 전후 위치를 유압실린더(300)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트랙터의 후부 작업기가 트랙터와 이루는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후부 작업기는 로타리와 쟁 기 등의 농기계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서 지지다리(70)를 이용하여 세워져 있는 프레임(10)의 후방으로 트랙터를 이동시킨 후 트랙터의 3개 링크를 각각 프레임(10)의 장착대(11)(12)(13)에 끼워 고정시키고, 트랙터를 이용하여 프레임(10)을 약간 들어 올리고 지지다리(70)를 접어주거나 분리시키도록 한다.
이때 프레임(10)의 장착대(12)(13)가 돌출된 길이가 달라 트랙터에 장착되었을 경우 돌출된 장착대(13)가 돌출되지 않은 장착대(12)에 비하여 트랙터에서 더 멀게 되므로, 트랙터와 프레임(10)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지 못하고 프레임(10)이 트랙터와 경사진 상태로 체결되게 된다.
그리고 동력변환기(20)에 트랙터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면 동력변환기(20)는 회전축(30)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축(30)의 회전력은 체인커버(40)에 내장된 동력전달장치를 통하여 구동축(50)에 전달되어 구동축(5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축(50)에는 나선형으로 칼날 고정구(52)를 고정시킨 후 상기 칼날 고정구(52)에 일자형 칼날(51)을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칼날(51)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구동축(50)을 회전시켜 칼날(51)이 지면을 파고들게 하되 슬라이드 스키드(60)가 지면에 닿게 되면 더 이상 지면을 파고 내려가지 않게 한다.
이 상태에서 전진하면 경작지에 묻혀져 있는 돌은 칼날(51)에 의해 파내어지게 되고, 파내어진 돌은 칼날(51)이 나선형으로 설치되고, 프레임(10)이 경사지게 설치된 관계로 한쪽으로 이동하여 측면으로 배출되게 된다.
즉 구동축(50)의 경사방향을 따라 돌이 이동하면서 측면으로 배출되게 되므로, 모아진 돌을 쉽게 골라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구동축(50)을 회전시켜 나선형으로 설치된 칼날(51)을 회전시킴으로써 칼날(51)이 지면을 파고들면서 돌을 지표면으로 파내게 하고, 지표면으로 파내어진 돌은 나선형으로 배열된 칼날(51)에 의해 순차적으로 치게 되는 동시에 구동축(50)이 기울어져 있는 관계로 한 쪽으로 이동하여 배출되게 되다.
따라서 경작지에서 파내어진 돌은 한쪽으로 이동하여 모아지는 형태로 길게 늘어서게 되므로, 경운기를 이용하여 모아진 돌을 외부로 들어내면 돌을 골라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트랙터와 이루어는 경사 각도가 상기와 같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작업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도 8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300)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조건이나 작업 상태에 따라 트랙터와 이루어는 경사각도를 없애거나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장착대(12)(13)를 전후로 이동시켜 트랙터에 체결 되었을 때 트랙터와 이루는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실린더(300)를 작동시켜 실린더축(310)를 신장시킬 경우 실린더축(310)이 링크대(200)의 좌측을 후방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링크대(200)는 고정대(120)에 체결되는 힌지(121)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링크대(200)의 우측을 전방으로 당기게 된다.
위와 같이 링크대(200)가 움직이면, 링크대(200)의 양측에 힌지(201)(202)로 체결된 장착 프레임(110)(111)이 전후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장착 프레임(110)(111)은 장착대 커버(100)(101)에 끼워져 있어 장착 프레임(110)은 후방으로 이동하고, 장착 프레임(111)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장착 프레임(110)(111)의 전방에는 트랙터의 하부링크와 체결되는 장착대(12)(13)가 고정되어 있게 되므로, 장착대(12)(13)가 트랙터에서 이격되는 거리가 달라, 결국 후부 작업기를 트랙터에 장착시키는 경우 트랙터와 경사진 상태로 체결이 된다.
즉 장착개(12)(13)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는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트랙터에 체결되게 된다.
그리고 반대로 유압실린더(300)를 작동시켜 실린더축(310)을 신축시키면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장착대(12)(13)가 이동하여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체결되게 되며, 경사 각도는 유압실린더(300)의 신축 정도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트랙터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유압실린더(300)를 이용하여 실린더축(310)을 신축시킴으로써 장착대(12)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장착대(13)는 후방으로 후퇴하거나, 반대로 장착대(13)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장착대(12)는 후방으로 후퇴하게 되는 것으로, 장착대(12)(13)의 전후 이동 정도에 따라 트랙터와 후부 작업기가 이루는 경사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자유롭게 트랙터와 후부 작업기가 이루는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트랙터에 체결된 상태에서도 경사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배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칼날이 구동축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칼날이 갈날고정구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요부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칼날이 고정된 구동축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칼날 고정 상태를 보인 사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링크대가 좌측으로 경사진 상태를 보인 다른 실시예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링크대가 우측으로 경사진 상태를 보인 다른 실시예 평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링크대가 좌측으로 경사진 상태를 보인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1,12,13 : 장착대
20 : 동력변환기 30 : 회전축
40 : 체인커버 50 : 구동축
51 : 칼날 52 : 칼날고정구
60 : 슬라이드 스키드 70 : 지지다리
100,101 : 장착대 커버 110,111 : 장착대 프레임
120 : 고정대 200 : 링크대
300 : 유압 실린더 310 : 실린더축

Claims (7)

  1. 트랙터의 후방에 설치된 3개의 링크에 결합되는 장착대가 설치되는 프레임(10)을 구비하되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는 지지다리(7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지지다리(70)로 받쳐진 프레임(10)은 지면과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에 설치되고 트랙터의 회전동력을 동력변환기(20)로 전달받아 양쪽 측면으로 전달하는 회전축(30)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30)의 회전동력을 프레임(10)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가 내장된 체인커버(40)를 구비하고, 상기 체인커버(40)의 하측에서 체인커버(40) 사이에 설치되고 나선형으로 일자형 칼날(51)이 고정된 구동축(50)을 구비하되 상기 일자형 칼날(51)은 구동축(50)에 나선형으로 고정된 칼날 고정구(52)에 볼트로 결합시키며, 상기 체인커버(40)의 하측에는 슬라이드 스키드(6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채취 제거기.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10)에는 트랙터의 링크와 결합시키는 3개의 장착대(11)(12)(13)를 고정시키되 트랙터의 탑링크와 결합되는 장착대(11)는 프레임(10)의 상측에서 일정높이를 띄워서 고정하고, 트랙터의 하부링크와 결합되는 장착대(12)(13)는 프레임(10)의 후방에 돌출되게 설치하되 일측의 장착대(13)가 타측의 장착대(12)에 비하여 외측으로 길게 돌출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채취 제거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080012677U 2008-09-19 2008-09-19 돌 채취 제거기 KR200454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677U KR200454750Y1 (ko) 2008-09-19 2008-09-19 돌 채취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677U KR200454750Y1 (ko) 2008-09-19 2008-09-19 돌 채취 제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425U KR20100003425U (ko) 2010-03-29
KR200454750Y1 true KR200454750Y1 (ko) 2011-07-25

Family

ID=44198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677U KR200454750Y1 (ko) 2008-09-19 2008-09-19 돌 채취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7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08828B (zh) * 2020-02-21 2024-05-28 甘肃农业大学 一种膜面清洁自卸式残膜打捆回收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839Y1 (ko) 2006-05-17 2006-07-31 제주도(농업기술원) 자갈 매몰형 로터리 작업기
KR20080104485A (ko) * 2007-05-28 2008-12-03 김정호 밭의 자갈 분리 및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839Y1 (ko) 2006-05-17 2006-07-31 제주도(농업기술원) 자갈 매몰형 로터리 작업기
KR20080104485A (ko) * 2007-05-28 2008-12-03 김정호 밭의 자갈 분리 및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425U (ko) 2010-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401B1 (ko) 로터리용 배토기
KR100601585B1 (ko) 양파 수확기
CN2671316Y (zh) 深根作物根茎挖掘机
KR100857586B1 (ko) 경운기 부착식 고랑 및 두둑 조성장치
KR101084369B1 (ko) 동력장치 부착형 근채류 수확기
KR102276962B1 (ko) 고구마 수확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고구마를 수확하는 방법
KR200454750Y1 (ko) 돌 채취 제거기
KR20130042817A (ko) 써래기를 갖춘 트랙터용 배토기
KR20140032592A (ko) 땅속작물 수확기
CN217957659U (zh) 一种垄作玉米机械化中耕除草装置
KR100920776B1 (ko) 근채 수확기
CN213214361U (zh) 一种适合于土豆采收的多功能采挖装置
US5875573A (en) Vertical spin ditcher with 3 point hitch
CN113498653B (zh) 一种瓜果种植用自动化挖方设备
CN201440796U (zh) 与手扶拖拉机配套使用的开沟装置
KR200461744Y1 (ko) 땅속 작물 수확기용 흙 공급구조
KR20140032593A (ko) 작물줄기 분쇄장치 부착 땅속작물 수확기
CN206294527U (zh) 新型大姜收获机
JP4918979B2 (ja) 植物抜根機
KR101864212B1 (ko) 비닐 피복 기능이 구비된 로터베이터를 구비한 작업기
CN221082049U (zh) 黄芪采收装置
KR200461743Y1 (ko) 땅속 작물 수확기용 농작물 배출구조
CN205755334U (zh) 灭茬碎土深松联合整地机
CN1774968A (zh) 旋耕机
US20120030973A1 (en) Earth mover which continuously excavates a trench and simultaneously clears the excavated trench of spo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