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575Y1 - 조립선반 - Google Patents

조립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575Y1
KR200454575Y1 KR2020090005366U KR20090005366U KR200454575Y1 KR 200454575 Y1 KR200454575 Y1 KR 200454575Y1 KR 2020090005366 U KR2020090005366 U KR 2020090005366U KR 20090005366 U KR20090005366 U KR 20090005366U KR 200454575 Y1 KR200454575 Y1 KR 2004545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up
support plate
assembly shelf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067U (ko
Inventor
허현
Original Assignee
허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현 filed Critical 허현
Priority to KR2020090005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575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0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0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5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5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5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 A47B57/54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clamped in discrete positions, e.g. on tubes with grooves or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받침판이 서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위·아래로 설치되는 조립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비자(사용자)가 쉽게 조립해서 쓸 수 있는 조립선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선반은, 다수의 삽입구멍(11)이 모서리부나 가장자리부에 각각 형성된 받침판(10)과; 다수의 받침판(10)이 서로 간격을 두고 위·아래에 배치되도록 받침판(10)의 삽입구멍(11)에 끼워지며, 다수의 지지홈(31)이 서로 간격을 두고 위·아래에 형성된 지지기둥(30)과; 상부 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서, 지지기둥(30)에 형성된 다수의 지지홈(31) 중 어느 한 지지홈(31)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며, 지지기둥(30)의 위·아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구(40)와; 상부 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서, 상·하면이 모두 제거되어 있고, 하단 둘레에는 플랜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구(40)가 끼워진 상태로 받침판(10)의 삽입구멍(11)에 관통결합됨으로써 받침판(10)이 플랜지(21)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받침판(10)의 위쪽으로 상부가 돌출되는 하부지지컵(20)과; 받침판(10)의 위쪽으로 돌출되는 하부지지컵(20)의 상부가 내측으로 삽입되었을 때 하부지지컵(20)의 상단부분이 돌출되도록 하부지지컵(20)에 비해 높이는 낮고 형상은 동일하게 제작되는 상부지지컵(5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립선반, 받침판, 지지구, 하부지지컵, 상부지지컵, 조립용이

Description

조립선반{The shelf assembly}
본 고안은 다수의 받침판이 서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위·아래로 설치되는 조립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비자(사용자)가 쉽게 조립해서 쓸 수 있는 조립선반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조립선반은, 모서리부에 각각 구멍(151)이 뚫려 있는 사각 형상의 받침판(150)과, 다수의 받침판(150)이 위·아래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구(160)가 서로 간격을 두고서 위·아래에 장착되어 있는 다수의 지지기둥(155)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받침판(150)의 뒷면에는 구멍(151)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부싱(152)이 돌출해 있으며, 이 받침판(150)들이 적당한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지지기둥(155)에는 다수의 지지홈(156)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各) 지지구(160)에는 지지돌기(161)가 형성되어 있어 이 지지구(160)를 좌우로 분할해 지지기둥(55)의 양측에서 결합시키면, 이 지지홈(156)에 지지돌기(161)가 끼워져 지지구(160)가 지지기둥(155)에 장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구성의 조립선반은, 지지구(160)를 끼워넣는 부싱(152) 이 받침판(150) 뒷면에 일체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받침판(150)의 소재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술한 종래 구성의 조립선반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사결합방식으로 분해·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선반의 고정구"를 제안한바 있다(등록실용신안 제0442669호).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조립선반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함은 물론, 본 출원인이 제안한바 있는 고정구를 사용했을 때보다 더 신속하게 조립해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선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가 해결 가능한 본 고안의 조립선반은, 다수의 삽입구멍이 모서리부(部)나 가장자리부(部)에 각각 형성된 받침판 과; 다수의 받침판이 서로 간격을 두고 위·아래에 배치될 수 있도록 받침판의 각(各) 삽입구멍에 끼워지며, 다수의 지지홈이 서로 간격을 두고 위·아래에 형성된 지지기둥 과; 상부 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서, 지지기둥에 형성된 다수의 지지홈 중 어느 한 지지홈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며, 지지기둥의 위·아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구 와; 상부 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서, 상·하면이 모두 제거되어 있고, 하단 둘레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구가 끼워진 상태로 받침판의 삽입구멍에 관통결합됨으로써 받침판이 플랜지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받침판의 위쪽으로 상부가 돌출되는 하부지지컵 과; 받침판의 위쪽으로 돌출되는 하부지지컵의 상부가 내측으로 삽입되었을 때 하부지지컵의 상단부분이 돌출될 수 있도록 하부지지컵에 비해 높이는 낮고 형상은 동일하게 제작되는 상부지지컵 ;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선반은 받침판이 격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선반은 받침판의 평면 형상이 삼각형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선반은 받침판의 삽입구멍과 하부지지컵과 지지구와 상부지지컵의 평면 형상이 다각형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조립선반에 의하면, 받침판에 뚫려 있는 삽입구멍 안으로 끼워진 하부지지컵과, 하부지지컵 위에 씌워지는 상부지지컵 사이에 받침판이 끼워져서 고정되므로, 사용자가 쉽게 조립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선반에 의하면, 상부지지컵과 하부지지컵은 받침판과 분리된 별개의 부품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받침판의 소재와 두께에 상관없이 다양한 형상의 받침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평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된 받침판도 쓸 수 있으므로, 실내의 구석진 코너(corner)에 설치하기 좋은 조립선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격자형의 받침판이 사용 가능하므로, 무게가 가볍고 통풍이 잘 되는 경량(輕量)의 조립선반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립선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면과 관련하여,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조립선반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선반의 받침판이 하부지지컵과 상부지지컵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5의 (a) 내지 (c)는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조립선반의 조립과정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받침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하부지지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조립선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5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선반은, 다수의 삽입구멍(11)이 모서리부에 형성된 받침판(10) 과, 다수의 받침판(10)이 서로 간격을 두고 위·아래에 배치될 수 있도록 받침판(10)의 각(各) 삽입구멍(11)에 끼워지며 또한 다수의 지지홈(31)이 서로 간격을 두고 위·아래에 형성된 지지기둥(30) 과, 위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서 지지기둥(30)에 형성된 다수의 지지홈(31) 중 어느 한 지지홈(31)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며 또한 지지기둥(30)의 위·아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구(40) 와, 위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서 상·하면이 모두 제거되어 있고 또한 하단 둘레에 플랜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구(40)가 내측에 끼워져 있는 상태로 받침판(10)의 삽입구멍(11)에 관통결합됨으로써 받침판(10)이 플랜지(21)에 의해 지지되면서 받침판(10)의 위쪽으로 상부가 돌출되는 하부지지컵(20) 과, 받침판(10) 위로 돌출된 하부지지컵(20)의 상부가 내측에 삽입되었을 때 하부지지컵(20)의 상단부분이 위쪽으로 약간 돌출될 수 있도록 이 하부지지컵(20)보다는 높이가 낮고 형상은 동일하게 제작된 상부지지컵(50) 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지지컵(50)의 하단 둘레에도 플랜지(5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플랜지(21, 51)는 그 크기가 받침판(10)에 형성된 삽입구멍(11)보다 더 크다.
따라서 받침판(10) 밑쪽에서 삽입구멍(11) 안으로 하부지지컵(20)을 끼우고, 받침판(10) 위쪽에서 하부지지컵(20) 쪽으로 상부지지컵(50)을 씌운 후, 상부지지 컵(50) 위로 튀어나온 하부지지컵(20)의 상단부분을 바깥으로 꺾게 되면, 상·하부지지컵(50, 20)의 플랜지(51, 21) 사이에 받침판(10)이 꽉 물린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하부지지컵(20) 내에 끼워지는 지지구(40)는, 본 출원인의 등록실용신안 제0442669호에 기재된 것처럼, 좌우로 분리 가능한 형태이면서, 그 내측에는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구(40)를 좌우로 분리시킨 후 지지기둥(3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결합시키면, 지지구(40)의 지지돌기(41)가 지지기둥(30)의 지지홈(31) 안으로 들어가 고정된다.
이처럼, 본 고안에 의한 조립선반은 지지기둥(30)과 지지구(40)의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받침판(10)이 지지기둥(30)의 소정 위치(높이)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 또한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소비자(사용자)가 쉽게 조립해서 쓸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조립선반은, 도 6 내지 8에 도시된 것처럼,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받침판(10)에 형성되는 삽입구멍(11)과, 이 삽입구멍(11)에 끼워지는 하부지지컵(20)과, 하부지지컵(20) 위에 씌워지는 상부지지컵(50)과, 지지기둥(30) 및 지지구(40)는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 형상이 원형이 아닌 다른 형상, 즉 다각형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조립선반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받침판(10)이 격자 형(그릴 형태)이어도 좋고, 받침판(10)의 평면 형상이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이거나 원형이어도 무방하다. 도 8은 평면 형상이 삼각형을 이루고 있고 받침판(10)으로 제작한 조립선반을 나타낸 것인데, 이런 유형의 조립선반은 그동안 쓸모없이 내버려지고 있던 실내의 구석진 공간에 놓고 사용하기에 알맞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조립선반은, 받침판(10)과 지지구(40)의 소재에 대해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일 예로, 받침판(10)과 지지구(40)가 금속으로 제작된 경우에는 내구성 측면에서 유리하고,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경우에는 취급 용이성과 생산성 및 경량화 측면에서 유리하면, 유리나 목재의 경우에는 실내장식 측면에서 유리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조립선반의 일 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선반의 부싱부분을 단면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조립선반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선반의 받침판이 하부지지컵과 상부지지컵에 의해 위치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5의 (a) 내지 (c)는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조립선반의 조립과정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받침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하부지지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조립선반의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받침판
11...삽입구멍
20...하부지지컵
21...플랜지
30...지지기둥
31...지지홈
40...지지구
41...지지돌기
50...상부지지컵
51...플랜지

Claims (4)

  1. 조립선반에 있어서,
    다수의 삽입구멍(11)이 모서리부(部)나 가장자리부(部)에 각각 형성된 받침판(10) 과;
    다수의 상기 받침판(10)이 서로 간격을 두고 위·아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10)의 각(各) 삽입구멍(11)에 끼워지며, 다수의 지지홈(31)이 서로 간격을 두고 위·아래에 형성된 지지기둥(30) 과;
    상부 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서, 상기 지지기둥(30)에 형성된 다수의 지지홈(31) 중 어느 한 지지홈(31)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지지기둥(30)의 위·아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구(40) 와;
    상부 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서, 상·하면이 모두 제거되어 있고, 하단 둘레에는 플랜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구(40)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받침판(10)의 삽입구멍(11)에 관통결합됨으로써 상기 받침판(10)이 상기 플랜지(21)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받침판(10)의 위쪽으로 상부가 돌출되는 하부지지컵(20) 과;
    상기 받침판(10)의 위쪽으로 돌출되는 상기 하부지지컵(20)의 상부가 내측으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하부지지컵(20)의 상단부분이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지지컵(20)에 비해 높이는 낮고 형상은 동일하게 제작되는 상부지지컵(50) ;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선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은, 격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선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은, 평면 형상이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선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삽입구멍(11)과 상기 하부지지컵(20)과 상기 지지구(40)와 상기 상부지지컵(50)은, 평면 형상이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선반.
KR2020090005366U 2009-05-04 2009-05-04 조립선반 KR2004545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366U KR200454575Y1 (ko) 2009-05-04 2009-05-04 조립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366U KR200454575Y1 (ko) 2009-05-04 2009-05-04 조립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067U KR20100011067U (ko) 2010-11-12
KR200454575Y1 true KR200454575Y1 (ko) 2011-07-15

Family

ID=4420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366U KR200454575Y1 (ko) 2009-05-04 2009-05-04 조립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5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377Y1 (ko) 2009-10-09 2012-03-13 허현 조립선반용 상단 접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선반
KR101334597B1 (ko) * 2012-03-12 2013-11-29 (주)티첸코리아 일체형 조립부재가 형성된 조립선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061U (ko) * 1987-07-31 1989-03-25 최규원 진열대의 선반고정 장치
KR890001491A (ko) * 1987-07-13 1989-03-27 브룩스 프레데릭 수조립식 자립 선반 시스템
KR20020077037A (ko) * 2002-01-30 2002-10-11 최현숙 다단식 상품 진열대
JP2006068073A (ja) 2004-08-31 2006-03-16 Heisho Cho メタルラックの多重組合せ位置決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491A (ko) * 1987-07-13 1989-03-27 브룩스 프레데릭 수조립식 자립 선반 시스템
KR890002061U (ko) * 1987-07-31 1989-03-25 최규원 진열대의 선반고정 장치
KR20020077037A (ko) * 2002-01-30 2002-10-11 최현숙 다단식 상품 진열대
JP2006068073A (ja) 2004-08-31 2006-03-16 Heisho Cho メタルラックの多重組合せ位置決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377Y1 (ko) 2009-10-09 2012-03-13 허현 조립선반용 상단 접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선반
KR101334597B1 (ko) * 2012-03-12 2013-11-29 (주)티첸코리아 일체형 조립부재가 형성된 조립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067U (ko) 201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9484B1 (en) Adjustable modular shelf
JP2007050227A (ja) 組立式棚
CA2915689A1 (en) Column cap
JP5229907B2 (ja) 搬送ワーク固定機構
KR200454575Y1 (ko) 조립선반
US8898985B2 (en) Ceiling panel system
USD597815S1 (en) Plane screwdriver
JP5331747B2 (ja) ラック用フレーム及びラック
KR102015877B1 (ko) 조립 선반
KR200442669Y1 (ko) 조립식 선반의 고정구
KR200471284Y1 (ko) 그레이팅
CN203968519U (zh) 主控板安装盒组件和具有其的冰箱
KR101334597B1 (ko) 일체형 조립부재가 형성된 조립선반
JP6801864B2 (ja) 外装材の仮支持部材
JP2017006575A (ja) 複合型りん具
KR20200001740U (ko) 조립식 다층선반
JP6595373B2 (ja) 窓枠のコーナージョイント構造
KR101738564B1 (ko) 금속 천장재 마감구
JP4732797B2 (ja) 組立式コンテナ
JP3192592U (ja) 猫用爪研ぎ
CN210076115U (zh) 一种拼接式花盆底盘
JP3059021U (ja) 物置棚
JP5821113B1 (ja) ティッシュボックスホルダー
KR200478698Y1 (ko) 조립형 부스의 프레임 세트
KR101143753B1 (ko) 조립식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