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519Y1 -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 - Google Patents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519Y1
KR200454519Y1 KR2020110001653U KR20110001653U KR200454519Y1 KR 200454519 Y1 KR200454519 Y1 KR 200454519Y1 KR 2020110001653 U KR2020110001653 U KR 2020110001653U KR 20110001653 U KR20110001653 U KR 20110001653U KR 200454519 Y1 KR200454519 Y1 KR 2004545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ion
salt
water
seawat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진
Original Assignee
정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진 filed Critical 정태진
Priority to KR2020110001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5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5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Abstract

본 고안은 염전의 증발지에 설치되는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염전 상에 설치되는 일정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영역에 설치되며 해수가 수용되는 유량조절조와; 상기 염전 상의 해수를 상기 유량조절조로 공급하는 해수공급펌프와; 일단부는 상기 유량조절조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염전 상에 지지되어 일정 경사를 갖게 설치되며, 상기 유량조절조로부터 공급된 해수가 판면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는 증발수로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수로의 판면에는 상기 해수의 유동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 돌출형성된 유속지연턱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해수는 상기 증발수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유속지연턱에 부딪혀 유속이 지연됨과 아울러 포물선 형태를 이루게 되어 상기 증발수로 상에 체류하는 시간이 지연되고 태양복사열의 흡수량이 향상되어 해수의 증발이 촉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SALTERN VAPORIZATION WATERCOURSE ASSEMBLY}
본 고안은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염전의 증발지에 설치되어 해수의 증발을 촉진시키는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일염은 염전에서 바닷물을 가두어 햇볕과 바람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형성되는 소금 결정을 모아 제조되는 것이다. 천일염은 바닷물에 포함된 다양한 미네랄을 포함하고 있으며 염화나트륨 함량이 낮아 맛은 물론 인체의 건강에도 유익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 천일염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천일염의 제조방법은 해수를 염전으로 유입시킨 후, 단순히 햇볕과 바람에 의해 수분을 증발시켜 생산하므로 소금의 생산에 평균 20-25일 내외의 장시간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다량 생산이 어렵고 청결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분 증발을 촉진시켜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소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해수의 증발을 촉진시켜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의 증발지에서 대량의 소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인력의 투입을 최소화하여 소금 생산을 위한 인건비를 줄여 궁극적으로 소금의 제조단가를 줄이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은 염전의 증발지에 설치되는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는, 상기 염전 상에 설치되는 일정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영역에 설치되며 해수가 수용되는 유량조절조와; 상기 염전 상의 해수를 상기 유량조절조로 공급하는 해수공급펌프와; 일단부는 상기 유량조절조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염전 상에 지지되어 일정 경사를 갖게 설치되며, 상기 유량조절조로부터 공급된 해수가 판면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는 증발수로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수로의 판면에는 상기 해수의 유동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 돌출형성된 유속지연턱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해수는 상기 증발수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유속지연턱에 부딪혀 유속이 지연됨과 아울러 포물선 형태를 이루게 되어 상기 증발수로 상에 체류하는 시간이 지연되고 태양복사열의 흡수량이 향상되어 해수의 증발이 촉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발수로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을 지지하는 측면이 일체로 형성되며,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30°~70° 경사 각도로 구비되며,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제1증발수로와 제2증발수로가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증발수로의 단부에는 결합홈이 일정 깊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제1증발수로에 결합되는 상기 제2증발수로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량조절조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증발수로와 연결되는 연결벽은 나머지 측벽들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상기 해수공급펌프로부터 공급된 해수가 상기 연결벽을 통해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증발수로로 공급되고, 상기 연결벽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게 구비되어 서로 다른 높이의 연결벽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발수로는 상기 유량조절조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복수개가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유량조절조의 하부를 지지하는 조절조프레임과; 상기 증발수로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구비되어 상기 증발수로를 지지하는 수로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는 염전의 증발지에 설치되어 일정량의 해수를 경사진 증발수로를 따라 이동시키며 이동속도를 지연시킴과 아울러 유동 형태를 변경시킴에 따라 태양복사열의 흡수량을 증가시켜 해수의 증발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소금의 생산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해수공급펌프에 의해 강제적으로 염전과 증발수로 조립체를 해수가 순환하면서 태양복사열을 흡수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의 증발지에서도 다량의 소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증발수로를 상호 조립에 의해 설치하게 되므로, 설치, 분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증발지 내에서 해수와 태양복사열의 접촉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해수를 유동시키는 별도의 인력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인건비를 줄여 궁극적으로 소금의 생산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가 설치되지 않은 종래의 염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금의 생산기간이 단축되므로 외기와 해수의 접촉기간이 짧아져 비교적 청결한 상태의 소금을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가 구비된 염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의 측단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의 증발수로의 결합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600)가 구비된 염전(1)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6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600)의 측단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염전(1)은 해수면보다 1m 정도 낮은 곳에 위치하게 된다. 염전(1)의 테두리 영역에는 방파제(미도시)가 구비되어 바닷물이 차오르는 것을 방지한다. 바닷물이 염전(1)으로 범람할 경우 해수를 증발시켜 이미 생산해 놓은 소금까지 모두 녹아버리게 되어 방파제(미도시)의 역할이 중요하다.
염전(1)의 일측에는 바닷물을 염전(1) 내부로 공급하는 저수지(100)가 구비된다. 염전(1)에는 저수지(100)로부터 공급되는 바닷물을 증발시키는 증발지(200)가 넓은 영역에 걸쳐 구비된다. 증발지(200)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되며 저수지(100)로부터 내측의 해주(300) 방향으로 점차 염도가 높아지게 된다. 도 1에서 각 증발지(200) 내부에 표기된 숫자는 염도를 나타낸다.
저수지(100)로부터 공급받은 바닷물은 평균 2.5(또는 2.8) 내외의 염도를 가지게 되고, 제1증발지(210)에서 제8증발지(280)를 거치면서 점차 염도가 상승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결정지(400)에 모인 소금은 염도가 30 이상(또는 25-27)이 된다.
여기서, 염전(1)은 저수지(100) 쪽은 상대적으로 높고 결정지(400) 쪽은 상대적으로 낮게 경사지도록 구비되어 자연 높이 차를 이용하여 염도가 높아질수록 낮은 방향인 결정지(400) 방향으로 공급되게 구비된다.
해주(300)는 무릎 높이의 낮은 지붕이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증발지(200)에서 증발되어 농도가 진해진 해수가 보관된다. 해주(300)에 보관된 해수는 다시 증발지(200)로 공급되어 햇빛에 노출되어 증발되고, 이러한 해주(300)와 증발지(200)로의 해수의 이동이 수차례 반복되어 소금 결정이 형성된다.
소금저장고(500)는 결정지(400)에서 생성된 소금을 쌓아 놓고 간수가 빠지도록 저장하는 창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600)는 복수개로 구획된 증발지(200)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설치된다.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600)는 증발지(200) 표면의 바닷물을 강제로 높이 차가 있는 증발수로(650)로 이동시켜 태양광과의 접촉시간과 면적을 증가시켜 바닷물의 증발을 촉진시켜 소금생성 시간을 단축시킨다.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지(200)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610)과, 프레임(6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유량조절조(620)와, 유량조절조(620)로 증발지(200) 상의 해수(W)를 공급하는 연결관(630)과, 해수(W)가 연결관(630)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해수공급펌프(640)와, 유량조절조(620)와 지지프레임(610)에 결합되며 판면을 따라 해수가 이동되는 증발수로(650)를 포함한다.
프레임(6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지(200)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고정된다. 증발지(200)의 바닥면은 다져진 흙으로 이루어지므로 프레임(610)을 일정 깊이 박음 삽입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프레임(610)은 목재, 금속 빔 등 내구성을 갖는 다양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610)은 유량조절조(620)를 지지하는 조절조프레임(611)과, 증발수로(650)를 지지하는 수로프레임(613)으로 구성된다. 조절조프레임(611)은 네 개의 수직보가 직사각형 형태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조절조프레임(611)의 상부에는 유량조절조(620)가 직접 적재되어 고정되거나, 유량조절조(620)를 수용하는 조절조수용프레임(미도시)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조절조프레임(611)의 높이는 1.5m 내외로 구비되어 염부가 작업 시 유량조절조(620)의 해수공급량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로프레임(613)은 동일 높이를 갖는 한 쌍의 수직보가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면에 구비된 증발수로(650)를 지지한다. 수로프레임(613)은 증발수로(6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된다.
유량조절조(620)는 연결관(630)을 통해 공급된 해수가 증발수로(650)를 따라 이동되도록 증발수로(650)로 해수를 공급한다. 유량조절조(620)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구비된다. 유량조절조(620)는 내부로 공급된 해수가 넘쳐 증발수로(650)로 공급되는 오버플로우(overflow) 방식에 의해 해수를 공급한다.
이를 위해 유량조절조(620)는 증발수로(650)와 연결되는 연결벽(621)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나머지 벽에 비해 낮게 구비되어 넘치는 해수가 증발수로(650)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연결벽(621)의 높이에 의해 증발수로(650)로 공급되는 해수의 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벽(621)은 유량조절조(620) 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게 구비되어, 증발지(200)의 위치와 증발지(200)의 넓이 등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높이의 연결벽(621)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염도가 낮은 제1증발지(210)는 연결벽(621)의 높이를 높게 하여 증발수로(650)로 공급되는 해수의 량을 줄여 증발량을 높이고, 상대적으로 염도가 높은 제8증발지(210)에 설치되는 연결벽(621)은 높이를 낮게 하여 증발수로(650)으로 공급되는 해수의 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유량조절조(620)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 중, 유량조절조(620)는 가격 및 관리보수가 용이한 고무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연결관(630)은 증발지(200) 상에 저수되어 있는 해수를 유량조절조(620)로 공급한다. 연결관(630)의 일단부는 증발지(200) 상의 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타단부는 유량조절조(620) 내부에 설치된다. 연결관(630)은 금속파이프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해수공급펌프(640)는 연결관(630)의 관로 상에 배치되어 해수가 연결관(630)을 통해 유량조절조(620)로 공급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해수공급펌프(640)는 수중펌프 또는 외부펌프로 구비될 수 있다. 수중펌프는 증발지(200) 상의 해수에 침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해수공급펌프(640)의 펌프용량에 따라 유량조절조(620)로 공급되는 해수의 공급속도가 결정되므로 증발지(200)의 면적과 증발수로(650)의 면적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용량의 것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발수로(650)는 일단부는 유량조절조(620)와 연결되게 배치되고, 타단부는 증발지(200) 상에 배치되어 유량조절조(620)로부터 공급되는 해수가 판면을 따라 다소 지연된 속도로 이동하며 태양복사열의 흡수량을 증가시켜 해수의 증발속도가 향상되도록 한다.
증발수로(650)는 일정 높이에 배치된 유량조절조(620)와 낮은 위치의 증발지(200)에 그 양단부가 배치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러한 경사각에 의해 해수가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이때, 태양광과 접촉되는 해수의 이동량이 적기 때문에 해수의 증발속도가 향상되게 된다. 즉, 증발지(200) 상에 저수되어 있는 상태일 경우 많은 양의 해수가 태양광에 노출되므로 해수의 증발속도는 느려진다. 반면, 증발수로(650)를 따라 이동되는 해수의 양은 유량조절조(620)에 의해 제한되므로, 적은 양의 해수가 태양광에 노출될 경우 태양복사열의 흡수량은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증발수로(650)가 없는 상태의 증발지에 비해 본 고안의 증발수로(650)가 배치된 증발지(200)에서의 해수의 증발속도가 향상되게 된다.
여기서, 증발수로(650)의 경사각도는 30°~70°의 범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발수로(650)는 해수가 이동되는 바닥면(651)과, 바닥면(651)의 양측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해수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측벽(653)으로 구성된다. 바닥면(651)의 판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해수의 이동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된 유속지연턱(655)이 형성된다.
유속지연턱(655)은 경사각에 의해 유동되는 해수가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접촉되면 돌출높이에 의해 윗방향으로 해수가 튀어오르게 하여 이동속도를 지연시킨다. 유속지연턱(655)의 설치에 의해 해수의 유동경로가 길어지고 해수의 이동속도가 지연되므로 태양광과의 접촉시간은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일정량의 해수가 일정길이의 증발수로(650)를 이동하며 흡수하는 태양복사열의 양은 증가하게 되고 해수의 증발량은 증가하게 된다.
특히, 무엇보다도 유속지연턱(655)에 부딪혀 해수가 튀어오르면서 둥근 포물선 형태의 유동을 보이게 되는데, 그에 따라 표면적이 증가되어 태양광 및 바람 등에 의한 증발 효율이 대폭 향상되게 된다.
유속지연턱(655)의 높이는 유량조절조(620)를 통해 공급되는 해수의 유량을 고려하여 해수가 유속지연턱(655)에 부딪혀 튀어오를 수 있는 정도로 낮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속지연턱(655)의 단면형상은 바람직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일 수 있다.
여기서, 증발수로(650)는 증발지(200)의 면적에 따라 20m 내외로 구비된다. 증발수로(650)를 20m의 길이로 한 번에 제작할 경우, 운반,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본 고안에 따른 증발수로(650)는 복수개의 증발수로(650a,650b)를 상호 조립하여 설치 및 길이조절을 용이하게 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수로(650)는 제1증발수로(650a)와 제2증발수로(650b)가 서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구성된다. 제1증발수로(650a)와 제2증발수로(650b)는 단부영역에 각각 결합구조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호 조립되거나, 볼트-너트, 플랜지-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조립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발수로(650)는 제1증발수로(650a)의 단부에는 결합홈(657)이 형성되고, 제2증발수로(650b)의 단부에는 결합돌기(659)가 형성되어 서로 요철형상이 맞물리도록 하여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증발수로(650)의 설치 시 복수개의 증발수로(650a,650b)의 결합홈(657)과 결합돌기(659)가 서로 조립되어 간편하게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증발수로(650)는 바닥면(651), 측벽(653) 및 유속지연턱(655)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조된다. 증발수로(650)는 바람직하게, 경량성, 설치용이성, 조립용이성,장기간의 사용 및 제조단가 등을 고려하여 고무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태양광의 흡수에 의한 증발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금속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금속재질로 제조될 경우 장기간의 사용을 위해 표면을 방청도료로 코팅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600)는 유량조절조(620)에 한 개의 증발수로(650)가 결합된 형태로 구비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유량조절조(620)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복수개의 증발수로(65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동되는 해수의 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소금의 생산성은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유량조절조(620)와 증발수로(650)의 결합형태는 증발지(200)의 면적과 공간활용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600)가 구비된 염전(1)의 소금채취 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
염전(1)에는 각 증발지(200) 별로 최소 한 개의 증발수로 조립체(600)가 구비된다. 이때, 증발수로 조립체(600)는 한 개의 증발지(200) 내에 복수개가 설치될 경우 증발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저수지(100)로부터 증발지(200)로 공급된 해수(W)는 해수공급펌프(640)의 구동에 의해 연결관(630)을 통해 유량조절조(620)로 공급된다. 유량조절조(620)로 공급된 해수(W)는 연결벽(621)을 통해 오버플로우되어 증발수로(650)로 인입된다. 증발수로(650)로 인입된 해수(W)는 증발수로(650)의 경사각에 의해 바닥면(651)을 따라 이동된다.
바닥면(651)을 따라 이동되는 해수(W)는 유속지연턱(655)에 접촉되며 튀어오르게 되고, 유속이 느려진 상태로 점차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속도가 지연된 채 이동하는 해수(W)는 태양광에 노출되는 시간이 증가되고 태양복사열의 흡수량이 높아져 증발량이 증가하게 된다.
해수(W)는 증발수로(650)를 통과하여 다시 증발지(200) 상으로 이동하고, 해수공급펌프(640)에 의해 다시 증발수로(650)로 이동하는 순환과정이 반복된다. 이러한 순환과정이 반복되면서 해수(W)의 증발량이 향상되게 된다.
실제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600)를 설치한 염전에서의 소금의 채취속도를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600)가 설치되지 않은 종래의 염전에서의 소금 채취속도와 비교할 때(외부 온도 및 외부 습도를 동일하게 하고, 해수의 온도를 동일하게 했을 때), 종래에는 제1증발지에서 결정지까지 이동되는데 20-25일이 소요된 반면, 본 고안에 따른 증발수로 조립체(600)가 설치된 염전에서는 13-17일 정도가 소요되어 소금 생산속도가 30-40%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는 염전의 증발지에 설치되어 일정량의 해수를 경사진 증발수로를 따라 이동시키며 태양광과의 접촉시간을 증가시켜 해수의 증발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소금의 생산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염전 100 : 저수지
200 : 증발지 300 : 해주
400 : 소금채렴장 500 : 소금저장고
600 : 증발수로 조립체 610 : 프레임
611 : 조절조프레임 613 : 수로프레임
620 : 유량조절조 630 : 공급관
640 : 해수공급펌프 650 : 증발수로
651 : 바닥면 653 : 측벽
655 : 유속지연턱 657 : 결합홈
659 : 결합돌기

Claims (6)

  1. 염전의 증발지에 설치되는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염전 상에 설치되는 일정 높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영역에 설치되며 해수가 수용되는 유량조절조와;
    상기 염전 상의 해수를 상기 유량조절조로 공급하는 해수공급펌프와;
    일단부는 상기 유량조절조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염전 상에 지지되어 일정 경사를 갖게 설치되며, 상기 유량조절조로부터 공급된 해수가 판면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는 증발수로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수로의 판면에는 상기 해수의 유동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 돌출형성된 유속지연턱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해수는 상기 증발수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유속지연턱에 부딪혀 유속이 지연됨과 아울러 포물선 형태를 이루게 되어 상기 증발수로 상에 체류하는 시간이 지연되고 태양복사열의 흡수량이 향상되어 해수의 증발이 촉진되며,
    상기 유량조절조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증발수로와 연결되는 연결벽은 나머지 측벽들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상기 해수공급펌프로부터 공급된 해수가 상기 연결벽을 통해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증발수로로 공급되고,
    상기 연결벽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게 구비되어 서로 다른 높이의 연결벽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수로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을 지지하는 측면이 일체로 형성되며,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30°~70° 경사 각도로 구비되며,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제1증발수로와 제2증발수로가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증발수로의 단부에는 결합홈이 일정 깊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제1증발수로에 결합되는 상기 제2증발수로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수로는 상기 유량조절조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복수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유량조절조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수직바로 구성된 조절조프레임과;
    상기 증발수로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구비되어 상기증발수로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수직바로 구성된 수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
KR2020110001653U 2011-02-28 2011-02-28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 KR2004545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653U KR200454519Y1 (ko) 2011-02-28 2011-02-28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653U KR200454519Y1 (ko) 2011-02-28 2011-02-28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519Y1 true KR200454519Y1 (ko) 2011-07-08

Family

ID=49299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653U KR200454519Y1 (ko) 2011-02-28 2011-02-28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51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565B1 (ko) 2013-03-21 2014-04-09 박용희 고효율 해수 증발 장치 및 증발로프 모듈
KR102015952B1 (ko) * 2018-11-13 2019-08-29 고영익 태양광 발전 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형 경사 염전
KR102577284B1 (ko) * 2022-10-07 2023-09-08 유성운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160U (ko) * 2008-11-10 2010-05-19 이구희 천일염 생산 염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160U (ko) * 2008-11-10 2010-05-19 이구희 천일염 생산 염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565B1 (ko) 2013-03-21 2014-04-09 박용희 고효율 해수 증발 장치 및 증발로프 모듈
WO2014148722A1 (ko) * 2013-03-21 2014-09-25 Park Yong Hee 고효율 해수 증발 장치 및 증발로프 모듈
US10376808B2 (en) 2013-03-21 2019-08-13 Joong Il Choi Sea water evaporator, and evaporation rope module for salt production
KR102015952B1 (ko) * 2018-11-13 2019-08-29 고영익 태양광 발전 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형 경사 염전
KR102577284B1 (ko) * 2022-10-07 2023-09-08 유성운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247B1 (ko) 다층 구조를 가진 수경재배장치
KR200454519Y1 (ko)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
TWI568170B (zh) Water chase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CN104304147A (zh) 一种层叠货架式立体水产养殖装置
TWM544783U (zh) 具有太陽能棚架的養殖池
CN105104225A (zh) 一种方便搬运的养猪饮水装置
CN103755031B (zh) 薄层植物填料床与水耕植物床叠加型湿地处理污水系统
CN202135529U (zh) 垂直绿化用容器
CN112243738B (zh) 节能建筑用屋顶绿化系统
KR101225187B1 (ko) 다공성 경량 소결체를 이용한 옥상 녹화장 구조체
JP4083181B2 (ja) 栽培方法並びに栽培施設
Jaefarzadeh et al. Towards the design of low maintenance salinity gradient solar ponds
JP2011254737A (ja) 養液栽培装置
KR101074909B1 (ko) 천일염 생산 장치
JP2006241812A (ja) 環境温度低減装置
KR101304678B1 (ko) 이끼식물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녹화 시스템
KR101142352B1 (ko) 벽면 녹화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CN104291446A (zh) 一种保温生态浮床
CN212184352U (zh) 多功能露台种养稻麦菜鱼装置
CN103931440A (zh) 一种室内碳化软木立式植物栽培装置
CN207744581U (zh) 一种智能化漂浮式内循环流水鱼养殖系统
CN103636423A (zh) 一种蔬菜种植装置
CN214992813U (zh) 城市道路的路面结构及城市道路
CN213074026U (zh) 一种用于大鹅养殖的温育水棚
KR102446280B1 (ko) 바닥형 양액저수조를 포함하는 식물재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